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국가 위성항법 시스템의 활용과 관련된 이용서비스

        이기칠,정중식,서상현 東亞大學校 建設技術硏究所 2008 硏究論文集 Vol.31 No.2

        This study is intended to describe and suggest the future available services by using the ability of estimating position with submeter error, which is provided by National 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NDGPS). Such countries as Japan, Australia,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have reviewed various applications for DGPS services with high accuracy of submeter level. In Korea, many researchers have found applications usable by NDGPS. Korea government is also seeking for applications to efficiently utilize NDGPS services as a national infrastructure. We suggest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ervices(GNSS) position services with high accuracy by investigating technologies with relation to a national R&D strategy in the field of Information Technology(IT) and Marine Technology(MT). The suggested services would help expand the future applications for NDGPS.

      • Streptozotocin-당뇨병 백서에서 당뇨병 이환기간에 따른 대동맥의 이완능 저하 및 Oxygen-Free Radical에 의한 이완능의 손상정도

        김정국,김신우,김수동,서예경,하승우,김보완,백운이,권삼,강승완 경북대학교 병원 1997 경북대학교병원의학연구소논문집 Vol.1 No.1

        목적: 당뇨병의 이환기간이 혈관의 내피세포 의존성 및 비의존성 이완능의 저하에 미치는 영향과 이환기간에 따라 oxygen-free radical(OFR)에 의한 동맥이완능의 손상정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Streptozotocin(STZ)으로 당뇨병이 유도된 3 주 및 10주째의 백서군과 연령이 비슷한 정상 대조백서군의 적출 대동맥환을 norepinephrine으로 수축시킨 상태에서 내피세포 의존성 이완제인 acetylcholine(ACh) 및 비의존성 이완제인 nitroglycerine(NTG)에 대한 이완능을 즉정하여 비교 관찬하였다. 또한 xanthine과 xanthine oxidase의 혼합으로 생성된 H₂O₂에 대동맥환을 노출시킨뒤 역시 ACh과 NTG에 대한 이완능의 손상정도를 비교하였다. 결과: 3주및 10주째 당뇨병 백서의 대동맥환은 모두 대조군 백서의 대동맥환에 비해 ACh에 대한 이완능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10주째 당뇨병 백서군에서의 ACh에대한 이완능의 저하는 3 주째 당뇨병 백서군에 비해 유의하게 심하였다.H₂O₂에 노출시킨 뒤 ACh에대한 이완능은 3주 및 10주 째 당뇨병 백서군에서 모두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심한 손상을 보였으나 3주와 10주째 당뇨병 백서군 사이의 손상정도의 차이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한편 3주 및 10주째 당뇨병 백서군 모두 NTH에 대한 대동맥환의 이완능은 대조 백서군과 별다른 차이가 없었으며 또 H₂O₂에 노출시킨 뒤에도 NTG에 대한 이완능의 손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STZ-당뇨병백서에서 대동맥의 이완능은 당뇨병에 이환된지 3 주째에 이미 ACh에 대한 내피세포 의존성 이완능이 선택적으로 저하되며 당뇨병의 이환기간이 길수록 이완능의 저하가 심하였고, OFR에 의한 동맥 이완능의 손상도 내피세포 의존성 이완능에만 선택적으로 나타나나 이환기간에 따라 OFR에 의한 이완능 손상정도에는 뚜렷한 차이가 없음을 시사하고 있다. Objectives: Diabetes mellitus produces histological evidence of endothelial as well as changes in vascular function in experimental animal. Oxygen free radicals interfere with of destroy endothelium-dependent relaxation in normal and diabetic blood vessels. The present study was investigated whether the duration of diabetic state can affect the severity of impairment in endothelium-dependent and/or independent relaxation and the sensitivity to oxygen free fadical (OFR)-induced damage in diabetic rat vasculature. Methods: The relaxative responses of aortic ring precontracted with norepinephrine in vitro to cumulative concentrations of acetylcholine (ACh) and nitroglycerine (NTG) were conducted in 3- and 10- week streptozotocin (STZ)-diabetic rats and agematched controls. After exposure to H₂O₂generated by mixing xanthine and xanthine oxidase, the degree of impairment in relaxative responses to ACh and NTG were also compared between 3- and 10-week diabetic rats. Results: The relaxative responses of aortic rings produced by cumulative concentrations of ACh were significantly lower in both 3- and 10-week diabetic rats than in the age-matched controls. The impairments of relaxative responses to ACh in 10-week diabetic rats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ose in 3-week ones. After H₂O₂ exposure, the impairments of relaxative responses to ACh in 3- and 10-week diabetic aortas was also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ose in the control in the control ones. However, the severity of H₂O₂-induced damage in 10-week diabetic aorta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an that in 3-week ones. In contrast, aortic rings of 3- and 10-week diabetic rats could still be fully relaxed by NTG, even after exposure to H₂O₂.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n SRZ-diabetic rat aortas selective impairment of endothelium-dependent relaxation to Ach can be found early even over a 3-week period after the induction of diabetes and the impairment may be greater in those with the longer duration of the diabetic state and that the impairment of the vascular relaxation by OFR is also selective to endothelium-dependent response but the sensitivity of OFR-induced damage may not be related to the duration of the diabetic state.

      • 간척지에서 옥수수 나방류 해충 3종의 발생소장

        이휘종,최원영,김상열,서종호,황정동,오성환,정진교,김주일,구현나,김길하 忠北大學校 農業科學硏究所 2015 農業科學硏究 Vol.31 No.2

        Occurrence of three troublesome lepidopterous pests, Ostrinia furnacalis, Helicoverpa armigera and Pseudaletia separata in corn cultivation of the reclaimed land were recorded using sex pheromone traps from 2012 to 2014. In case of O. furnacalis adult, two generations were observed in a year and its occurrence pattern was very regular. The 1st generation showed the highest occurrence in late May-early June and the 2nd generation was in late July-early August. On the other hand, H. armigera occurred at least three times a year but its occurrence was somewhat irregular. H. armigera adult showed the highest occurrence in mid May, late June, early August, respectively in 2012 but their occurrence patterns of the 2nd and 3rd generations were varied in 2013 and 2014. In case of P. separata, a few number of adult were captured during the survey period, indicating few number of P. separata migrated from China. Based on the control effect of O. furnacalis by Etofenprox and Carbofuranin 2012, June 26 treatment showed the highest control rate with 96.8% for Etofenprox, 85.8% for Carbofuran, respectively. Late treatment at June 19 and June 26 significantly decreased the control rate of O. furnacalis and June 26 treatment showed the lowest control rate of 1.9% for Etofenprox. 18.1% for Carbofuran, respectively.

      • KCI등재

        精神病 患者의 自由畵의 特徵과 臨床 經過와의 相互 關係에 관한 豫備的 硏究

        李符永,李重瑞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4 신경정신의학 Vol.33 No.1

        Most studies on the drawings by the psychotic patients have focused on their pathologic graphic patterns. But there are few studies exploring the changes in the art expression through the clinical course. This is a preliminary study to evaluate objectivel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course of the psychotic illness, and to find its clinical application. The study was performed retrospectively by using closed neuropsychiatric wards,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during the period between March, 1990 and February, 1992. Two independent raters assessed the clinical course of each patient involved in this group with the Brief Psychiatric Rating Scale(BPRS). For the assessment of the art expression, two independent raters used the list of the graphic characteristics which we through literature review. In addition, we assessed the quality of schizophrenic drawing as a whole.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art expression and the clinical course in our study group. There were 3 schizophrenics having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both of them,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graphic characteristics and psychopathologies between these patients and others. In spite of the clinical improvement, the art expression was assessed as worse in one schizophrenic and two manic patients.

      • KCI등재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가족력, 산과적 합병증 및 신체미세기형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안용민,김용식,정희연,신지용,윤세창,배안,이중서,주은정,이창인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9 신경정신의학 Vol.38 No.2

        연구목적 : 저자들은 태생기 동안에 받는 유전외적 요인, 즉 환경적 요인이 산발성 정신분열병 환자들의 발병에 크게 관여할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형제 중 1인 이상이 발병하여 가족력을 분명히 알 수 있는 정신분열병 환자군(이하 형제 환자군)과 가족력이 없는 산발성 정신분열병 환자군(이하 산발성 환자군) 및 정상대조군을 대상으로 산과적 합병증, 신체미세기형 및 정신분열병의 임상 양상을 비교하였다. 방 법 : 연구 대상은 형제 환자군 43명(남 22명, 여 21명), 산발성 환자군 43명(남 23명, 여 20명), 정상대조군 43명(남 20명, 여 23명)이었다. 산과적 합병증은 Lewis 척도를 이용하여 평가하였고 신체미세기형은 Waldrop 척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임상 양상으로서 발병 연령, 병전 기능 수준, 정신병리, 약물에 대한 반응, 회복시의 전반적 기능 수준, 지연성 운동장애의 유무를 평가하였다. 결 과 : 정상대조군과 정신분열병 환자군 전체를 비교하였을 때 산과적 합병증과 신체미세기형의 총점과 각 소항목의 점수에 차이가 없었다. 산발성 환자군과 형제 환자군을 비교하였을 때 산과적 합병증의 전체 점수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출생 당시에 태아가 받은 스트레스 항목의 점수가 산발성 환자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신체미세기형에서는 전체 점수 및 입의 미세기형 점수가 산발성 환자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신체미세기형의 전체 점수가 4점 이상인 환자수도 산발성 환자군에서 높은 경향성을 보였다. 산과적 합병증과 신체미세기형 사이의 상호 연관성은 찾을 수 없었다. 정신분열병의 임상 양상 중에서는 Krawiecka 척도의 총점 및 양성 증상 점수와 회복시의 전반적 기능 수준만이 형제 환자군에 비해 산발성 환자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성별에 따라서는 형제 환자군에서 남자 환자의 산과적 합병증이 유의하게 높았다. 결 론 : 본 연구를 통해 산과적 합병증 및 신체미세기형 연구가 정신분열병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유용한 방법임이 시사되었지만, 가족력, 산과적 합병증 및 신체미세기형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분명한 결론을 내리지 못하였다. The authors hypothesized that sporadic schizophrenic patients had more chances of receiving environmental insults during the fetal neural development compared with familial schizophrenics. We tested our hypothesis by comparing obstetric complications(OCs), minor physical anomalies(MPAs) and other clinical features, and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OCs and MPAs in schizophrenic patients who had one or more sibling with schizophrenia(sibling group) and sporadic schizophrenics(sporadic group) and normal controls. OCs were evaluated by the scale of Lewis, and MPAs were measured by the Waldrop scal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Cs and MPAs between schizophrenic and control groups. Sporadic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fetal distress, total Waldrop score and Waldrop score for mouth than sibling group. And there was a tendency that the number of subjects having the Waldrop score over 4 points was greater in the sporadic group. No significant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CCs and MPAs. The scores of initial psychopathology and post-treatment functioning were much higher in the sporadic group, but the other clinical feature showed no difference. Although male patients had more OCs than female patients in sibling group, no sex difference were observed as a whole. Our results suggest that, if the methodological weakness were complemented, OCs and MPAs would be useful tools in the search for the cause of schizophrenia.

      • 정신분열병 및 정신분열형 장애에 대한 올란자핀의 효과와 안전성

        안용민,강대엽,권준수,김창윤,김철응,반건호,신영민,이기철,이동우,이중서,조현상,채정호,김용식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1 신경정신의학 Vol.40 No.4

        연구목적 : 본 다기관 공동임상연구는 국내 환자를 대상으로 새로운 항정신병약물인 올라자핀의 치료 효과와 안전성을 확인하고자 시행되었다. 방 법 : 1999년 7월부터 2000년 3월까지 국내 10개 병원에 방문한 정신분열병 및 정신분열형 장애 105명을 대상으로 비대조 개방 임상연구를 시행하였다. 중등도 이상의 정신병 증상을 지니거나, 부작용으로 약물교체가 필요한 경우 또는 기분장애 증상의 치료가 필요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2∼7일간의 약물 배설기간 후에 1일 10mg의 올란자핀을 투여하였고, 이후로 3∼7일 간격으로 용량을 조절하여 총 8주간 투여하였다. 치료 효과는 PANSS(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BPRS(Brief Psychiatric Rating Scale), CGI(Clinical Global Impression-Severity), MADRS(Montgomery-Asberg Depression Rating Scale), HAM-A(Hamilton Rating Scale for Anxiety)로 판정하였다. 안전성 평가는 자발적인 이상반응 보고, 활력징후와 혈액 검사 및 SAS(Simpson-Angus Scale), BARS(Barnes Akathisia Rating Scale), AIMS(Abnormal Involuntary Movement Scale)척도를 이용하였다. 결 과 : 105명중에서 85.7%인 90명이 8주간의 치료를 완료하였다. 평균 최빈 용량은 일일 16.1(±4.7)mg이었고, 종료시점에서의 BPRS전체 점수가 기저 상태에 비해 40%이상 감소된 반응군은 69.5%이었다. PANSS의 양성 증후군과 일반정신병리 뿐만 아니라 음성 증후군 소척도에서도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며, 이 감소들은 치료 초기부터 나타나서 8주간 지속되었다. 43.8%의 피험자가 중등도 이상의 우울증상을 같이 지니고 있었으며, 올란자핀에 의해 MADRS와 HAM-A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치료 기간 동안에 활력징후에는 뚜렷한 변화가 없었으나 체중은 8주간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SAS와 AIMS는 감소하였으며, 정좌불능증을 제외한 나머지 추체외로 증상의 발생비율도 낮았다. 임상적인 증상이나 징후를 동반하지 않는 ALT/SGPT의 상승을 보였지만 프로락틴을 포함하는 대부분의 혈액 검사상 뚜렷한 이상 변화는 없었다. 결 론 ; 비록 본 임상연구가 비대조 개방 임상연구로서 많은 제한점을 가지고 있지만, 올란자핀이 기존 약물에 내약성을 보이거나 기분증상을 동반하는 정신병에 치료 효과가 있었다. 그리고 기존 항정신병약물 치료시에 문제가 되었던 추체외로 증상과 고프르로락틴 혈증을 포함하는 대부분의 부작용면에서 안전성을 보여 주었다. Objective : This multicenter clinical trial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icacy and the safety of olanzpine for the treatment of Korean patients. Mothod : 105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nd schizophreniform disorder, visited at 10 mental or university hospitals, had received an open and non-comparative treatment with olanzapine for 8 weeks. Patients had psychotic or depressive symptoms with the severity above moderate degree or intolerable side effects to previous antipsychotics. After a wash-out period of 2-7 days, 10mg olanzapine was prescribed initially to all the patients, and then the dosage could be adjusted within the range of 5-20mg/day of olanzapine by 3-7 days. Results : 90(85.7%) of 105 patients completed the 8-weeks trial and the mean modal dose of olanzapine was 16.1(±4.7%)mg/day. At the end of the trial, 73 patients(69.5%) were classified as responder, which was defined as 40% or more improvement in BPRS(Brief Psychiatric Rating Scale) score comparing to baseline. There was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scores of PANSS(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and subscales including negative symptom scores and CGI. Also weekly analysis showed that the reductions in scores were kept on for the whole period of the trial. 43.8% of all the patients had depressive symptoms at the baseline and total scores of MADRS(Montgomery-Asberg Depression Rating Scale) and HAM-A(Hamilton Rating Scale for Anxiety) were also reduced after the trials. Vital signs revealed no clinically significant changes but continuous weight gain was observed during the treatment with olanzapine. The scores of SAS(Simpson-Angus Scale) and AIMS(Abnormal Involuntary Movement Scale) for assessing the EPS(extrapyramidal symptoms)and tardive dyskinesia respectively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nd only a few patients reported EPS as adverse events. Although mild and clinically non-significant of ALT/SGPT was observed, most laboratory parameters including plasma prolactin level showed to significant changes during the trial. Conclusions : Although this trial had many limitations because it was a non-comparative and open study, olanzapine showed high efficacy on the positive, negative and depressive symptoms in schizophrenia and schizophreniform disorder.In addition to that, olanzapine showed a substantially favorable safety profile, such as low incidence of EPS and hyperprolactinemia.

      • KCI등재

        身體 微細畸形 및 産科的 合倂症과 精神分裂症의 家族歷

        홍경수,주연호,김용식,신철진,강웅구,이중서,정희연,주은정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6 신경정신의학 Vol.35 No.4

        저자들은 정신분열병의 일부에서는 태생기 동안 유전 외적인 환경적 요인이 크게 작용할 것이라는 가정 하에 형제 정신분열병 환자군(남 15. 여 7)과 산발성 정신분열병 환자군(남 16, 여 7) 및 정상 대조군(남 16, 여 7)을 대상으로 가족력에 따른 산과적 합병증과 신체 미세 기형을 비교하였다. 산과적 합병증은 Lewis 척도를 이용하여 연구 대상의 어머니와 면담하여 평가하였고 신체미세기형은 Waldrop 척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산과적 합병증 및 신체 미세기형과 가족력에에 따라 발병 연령 등의 임상 양상들이 차이를 보이는지 비교함으로써 정신분열병을 좀 더 동질적인 아형으로 나눌 수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1) 형제 환자군, 산발성 환자군 및 정상 대조군의 세균에서 산과적 합병증의 개개의 항목 및 전체 점수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신체 미세기형의 경우 입의 미세기 형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그 외에 각 부위별 점수 및 전체 점수에서는 세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신체 미세기형 세부 항목 및 전체점수에서 산발성 환자군이 형제 환자군에 비해 높은 신체 미세기형의 점수를 보이는 경향이 있었다. 2) 산과적 합병증의 전체 점수와 신체 미세기형의 전체 점수 사이에 상호 연관성을 찾아볼 수 없었다. 3) 발병연령·정신병리·약물에 대한 반응·병전 기능수준·지연성 운동장애 유무 등의 임상 양상들을 비교하였을때 산발성 환자군과 형제 환자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산과적 합병증 및 신체 미세기형과 임상 양상들을 비교하였을 때, 형제 환자군에서 분만시간과 회복시 전반적 기능수준간에, 산발성 환자군에서 산과적 합병증의 전체 점수와 발병 연령간에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전체적으로 일관된 결과가 도출되지는 못하였다. 위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산과적 합병증이나 신체 미세기형이 정신분열병의 원인을 밝히는데 유익한 도구가 될 수는 있지만, 가족력 유무에 따라 정신분열병을 보다 동질적인 아형으로 구분하기 힘들다고 생각되었다. In order to test the hypothesis that familial schizophrenics have fewer chances of receiving organic insults during the fetal neural development than sporadic schizophrenics, the authors compared obstetric complications, minor physical anomalies, and other clinical features in sibling schizophrenics, sporadic schizophrenics and controls. Obstetric complications were evaluated by the scale of Lewis, and minor physical anomalies were measured by the Waldrop scale. Sporadic schizophrenics had a significantly higher Waldrop score for mouth than sibling schizophrenics. Although there was some tendency of higher total scores for minor physical anomalies in sporadic schizophrenics,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obstetric complications and the other minor physical anomalies among three groups.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obstetric complications and minor physical anomalies. The clinical features such as age of onset, psychopathology, response to drugs, premorbid functioning, and tardive dyskinesia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sibling and sporadic scizophrenics. In conclusion, while the obstetric complications and minor physical anomalies were suggested to be useful in the search for the cause of schizophrenia, it was difficult to categorize schizophrenics into more homogeneous groups according to family history of schizophrenia using the parameter of obstetric complications and/ or minor physical anomalies.

      • SCIE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