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라산 아고산대 구상나무군락의 물질생산과 탄소수지

        장래하 ( Rae Ha Jang ),최재윤 ( Jae Yun Choi ),유영한 ( Young Han You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4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4 No.2

        본 연구는 우리나라 한라산 아고산대에서 구상나무림의 물질생산, 탄소분포와 탄소수지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구상나무림의 현존량은 2009, 2010, 2011, 2012 와 2013에 각각 98. 88, 106. 42, 107. 67, 108. 31와 91. 48ton/ha 유기탄소량은 44. 5, 47. 89, 48. 45, 48. 74와 41. 17 ton C/ha 이었다. 순생산량은 2009, 2010, 2011, 2012 년에 각각 11. 40, 7. 41, 0. 05 와 -9. 46 ton ha-1yr-1 이었고, 유기탄소 순생산량은 5. 13, 3. 33, 0. 02와 -4. 25 ton C ha-1yr-1 이었다. 2009~2013년 연간 낙엽생산량은 각각 2. 42, 4. 02, 2. 94, 5. 47, 2. 67 ton ha-1yr-1이었고, 낙엽생산량의 유기탄소량은 1. 09, 1. 80, 1. 32, 2. 46, 1. 20 ton C ha-1yr-1. 연간 임상낙엽량 6. 09, 5. 40, 4. 45, 2. 57 ton/ha 임상냑엽량의 유기탄소량은 2. 74, 2. 43, 2. 00, 1. 16 ton C/ha. 토양 20cm까지의 유기탄소축척량은 각각 55. 77, 54. 90, 50. 69, 44. 42, 41. 87 ton C ha-120cm-1. 2012년 토양호흡을 통해 배출된 유기탄소량은 2011, 2012년에 각각 4. 42, 4. 14 ton Cha-1yr-1 이었다. 한라산 구상나무림에서는 2011년에 총 0. 01 ton C ha-1yr-1의 유기탄소를 대기로 방출하였고 2012년에 -8. 39 ton C ha-1yr-1의 유기탄소를 대기로 배출하였다.

      • 맥주박 바이오차 처리가 암모니아 배출량에 미치는 영향 평가

        이재한(Jae-Han Lee),최하연(Ha-Yeon Choi),박성용(Seong-yong Park),천진혁(Jin-Hyuk Chun),강윤구(Yun-Gu Kang),윤여욱(Yeo-Uk Yun),이기범(Gibum Yi),오택근(Taek-Keun Oh) 한국토양비료학회 2021 한국토양비료학회 학술발표회 초록집 Vol.2021 No.11

        암모니아(NH₃)는 대기 중 황산화물(SOx), 질소산화물(NOx) 등과 반응하여 황산암모늄, 질산암모늄과 같은 2차 미세먼지를 생성하는 주요 미세먼지 원인물질이다. 2017년 기준 국내에서 NH₃는 총 308,298 ton year<SUP>-1</SUP> 배출되었으며, 농업부문에서 약 79.3%의 비율로 가장 많이 배출되었다. 토양에 질소질 비료의 시용 시 발생되는 NH₃의 대기로 배출은 토양 내 질소 손실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바이오차는 넓은 표면적과 표면의 작용기를 가지고 있어 토양 내에서 중금속이나 오염물질 등을 제거하는 특징이 있다. 본 연구는 다양한 온도에서 열분해된 맥주박 바이오차 처리가 NH₃ 배출량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바이오차는 충분히 건조된 맥주박을 300, 500, 700°C에서 각각 1시간 동안 열분해하여 제조하였다. 각 바이오차를 토양에 3% (w w<SUP>-1</SUP>)씩 혼합 후 NH₃ 포집을 위해 자체 제작한 아크릴컬럼에 작토층 높이인 20 cm 까지 토양을 채웠으며, 토양 수분함량은 20%로 조절하였다. 질소질 비료는 작물별 시비처방기준의 배추를 기준으로 요소를 각 처리구에 320 kg ha<SUP>-1</SUP>로 처리하였다. NH₃의 포집은 요소 처리 후부터 약 30일간 실험실 내에서 실시하였다. 배출되는 NH₃는 0.05 N H₂SO₄으로 포집하여, Indophenol blue method로 비색정량하였다. 그 결과, 시험 기간 중 총 NH₃ 배출량은 BB<SUB>700</SUB>처리구가 약 11.83 kg ha<SUP>-1</SUP>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BB<SUB>300</SUB>처리구의 총배출량은 약 7.34 kg ha<SUP>-1</SUP>로 가장 낮았으며, N처리구에 비해 약 30.5% 저감 되었다. BB<SUB>700</SUB>처리구는 N처리구에 비해 NH₃ 총배출량이 약 12% 증가하였는데, 이는 바이오차의 높은 pH에 의한 alkali effect로 판단된다. 실험 후 토양 분석 결과, 모든 바이오차 처리구에서 pH, EC, Av. P₂O<SUB>5</SUB>, T-C, T-N 등이 증가하였다. 특히, BB<SUB>700</SUB>처리구는 처리된 바이오차의 높은 탄소 함량으로 인하여, 토양 내 탄소 함량이 약 3.44%로 가장 높았다. 따라서,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열분해한 BB<SUB>300</SUB>의 토양 처리가 농경지에서 배출되는 NH₃를 감축할 수 있으며, 본 연구 결과는 실제 농경지에서 배출되는 NH₃를 감축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열공형과 비열공형 피질하 혈관성 치매에서 위험인자의 차이에 관한 비교 연구

        배희준,정지향,유경호,나덕렬,김상윤,최경규,양동원,손의주,이상도,김재우,박경원,김응규,이재홍,박미영,한일우,함동석,최문성,하충건,최성혜,이애영,이병철,한설희 대한치매학회 2003 Dementia and Neurocognitive Disorders Vol.2 No.2

        Backgrounds and Objectives: Vascular dementia is a group of dementing disoders arising from various stroke syndrome. Among these. subcortical ischemic vascular dementia (SIVD) is regarded as a relatively distinct clinical entity. However, MRI patterns of SIVD are not homogenous. In some patients, lacunes are dominant, and in others, subcortical white matter changes are.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risk factor profiles between SIVD with and without multiple lacunes. Methods: We divided 47 subjects (22 males, mean age. 68 years) recruited from VADAPET (Multicenter Trial For Evaluation Of The Changes In the PET Images Of Subcortical Vascular Dementia Patient) study into two groups one with more than 5 lacunes in deep gray matter (lacune group) and the other with 5 or less(non-lacune group)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laboratory findings of two groups were compared. Results: Nineteen of 47 patients (40%) belonged to the lacune group. The lacune and non-lacune groups d d not differ in the following variables: age, hypertension, diabetes mellitus, hyperlipidemia heart disease, history of stroke or TIA, history of trauma or major surgery, family history of hypertension stroke, or dementia, age at diagnosis of dementia, body mass index, white blood cell count, ESR, CRP, fibrinogen, hemoglobin A1C, total cholesterol. LDL cholesterol creatinine, proteinuria, glucosuria, and microhematuria. However, male sex, smoking alcohol. hemoglobin, and HDL cholesterol were possibly associated more with lacune group SIVD than with non-lacune group (p<0 1) Multivariate analyses revealed that smoking, hemoglobin, and HDL cholesterol were independent predictors of SIVD with multiple lacunes Conclusion: Our study suggests that SIVD with multiple lacunes may be significantly different in smoking habits hemoglobin, and HDL cholesterol from SIVD without multiple lacunes.

      • KCI등재

        수피 돈분 부산물 비료의 부숙단계별 분광학적 특성 변화

        박창진,김정규,김정제,박용하,신명교,양재의,최문헌 한국환경농학회 1999 한국환경농학회지 Vol.18 No.4

        본 연구는 수피 부산물 비료의 돈분 부산물 비료의 부숙단계별 시료의 유기물 분획의 함량 변화, Δlog K값과 RF값 등의 분광학적 특성 변화, 원형여지 chromatograp의 변화를 측정하여, 부숙도의 판정 기준 설정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수피와 돈분 부산물빌 중 HA-C와 FA-C의 함량은 대체로 부숙이 진행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HA-C/FA-C 비는 증가하였다. 수피와 돈분 부산물 비료의 Δlog K값은 부숙이 진행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RF값은 증가하였다. 생수피의 부식산 형태는 R_p 형태였으나, B형태를 거쳐 120일경과 후 A형태로 변화하여 거의 완숙상태에 도달하였으며, 돈분 부산물 비료의 경우 40일경과 후에도 B형태로 나타나 유기물질의 부숙이 진행중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수피부산물 비료의 원형여지 chromatograph는 120일경과 후에 규칙적인 톱니 모양을 하고 있어 완숙단계에 이른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으나, 돈분 부산물의 경우는 40일이 경과한 후에도 부분적으로 불규칙적인 모양을 하고 있어 부숙이 진행되고 있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Changes of the spectroscopic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c matter fractions and circular filter paper chromatograph were assessed for the bark and piggery manure composts during the composting. as an approach to base the criteria of the compost maturity evaluation. Contents of humic acid-C (HA-C) and fulvic acid-C (FA-C) in both bark and piggery manure composts were decreased as the composting got closer to maturity, but the ratios of HA-C/FA-C were increased. During the composting. Δlog K values were decreased, but RF values were increased. Humic acid of the mature bark compost after 120 days of composting was A-type, as compared to Rp-type for the raw bark and B-type for the immature compost. However. humic acid of the mature piggery manure composts after 40 days of composting was B-type, indicating the humification of the organic matter fractions continued at this stage. Circular filter paper chromatograph of the mature bark compost exhibited the regular sawteeth pattern at the edge, but that of the mature piggery manure showed an irregular sawteeth pattern. Results demonstrated that spectroscopic characteristics and circular filter paper chromatograph of the organic by-product composts might be employed for the compost stability assessment.

      • SCOPUSKCI등재

        인체 혈장에서 염산시프로플록사신(시프로플록사신으로서 250㎎) 정량을 위한 HPLC 분석법의 유효성검토

        하용화,조성희,천성국,서성훈,류재환,최영욱,이경태 한국약제학회 2004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Vol.34 No.4

        A simple HPLC method with ultraviolet detection of ciprofloxacin in human plasma was developed and validated. After protein precipitation with trichloroacetic acid, chromatographic separation of ciprofloxacin in plasma was achieved at 50℃ with a C_18 column and methanol-phosphate mixture (pH 2.5), as mobile phase. Quantitative determination was performed by ultraviolet detection at 278 nm. The method was specific and validated with a limit of quantification of 100 ng/ml. The infra- and inter-day coefficients of variation were between 1.67% and 10.55% and accuracy between 92.01% and 106.09%. The method has been successfully applied in a bioavailability study of 250 ㎎ ciprofloxacin hydrochloride tablet.

      • SCISCIESCOPUS

        Sodium–Metal Halide and Sodium–Air Batteries

        Ha,, Seongmin,Kim ,, Jae,Kwang,Choi, Aram,Kim, Youngsik,Lee, Kyu Tae WILEY‐VCH Verlag 2014 ChemPhysChem Vol.15 No.10

        <P>Impressive developments have been made in the past a few years toward the establishment of Na-ion batteries as next-generation energy-storage devices and replacements for Li-ion batteries. Na-based cells have attracted increasing attention owing to low production costs due to abundant sodium resources. However, applications of Na-ion batteries are limited to large-scale energy-storage systems because of their lower energy density compared to Li-ion batteries and their potential safety problems. Recently, Na-metal cells such as Na-metal halide and Na-air batteries have been considered to be promising for use in electric vehicles owing to good safety and high energy density, although less attention is focused on Na-metal cells than on Na-ion cells. This Minireview provides an overview of the fundamentals and recent progress in the fields of Na-metal halide and Na-air batteries, with the aim of providing a better understanding of new electrochemical systems.</P>

      • 부분 활성 신경망 분류기의 설계

        최원호,최재하 울산대학교 1991 공학연구논문집 Vol.22 No.1

        본 논문에서는 무리의 위치에 적응적으로 동작하고 높은 분류율, 자기조직적 기능을 유지하면서 내부노드 중 분류에 기여할 가능성이 있는 것 들 만을 활성화하는 PA-AEDC(Partially Activated-Adaptive Euclidean Distance Classifier) 신경망을 설계하였다. 이 신경망은 주신경망과 부신경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신경망은 분류의 일을, 부 신경만은 주신경망 중 일부분을 선택하여 활성화해 주는 역할을 한다. 성능을 파악하기 위하여 분류 실험을 해본 결과, 분류율은 AMDC나 AEDC와 비슷하게 나왔으나, 분류 시연산에 참여하는 노드 수는 PA-AEDC의 경우가 대폭 감소되었으며, 따라서 효과적인 동작이 가능하였다. In this paper, PA-AEDC(Partially Activated-adaptive Euclidean Distance Classifier) neural network is designed. This one can adaptively operate for the position of clusters and can self-organize the internal nodes and their connections. PA-AEDC consists of two networks:the primary net and the secondary net. The primary net mainly acts as a feature vector classifier, while the secondary net selects and activates the output and internal nodes of the primary net which are supposed to contribute in the classification. As a result of experiments of classification, we got the expected classifying rates as high as that of AMDC of AEDC. But the number of nodes of PA-AEDC that participate in the arithmetic operation was much reduced.

      • 비균질매질에서 지수형 전송선로를 이용한 방향성결합기의 산란파라미터

        최재하 울산대학교 1987 연구논문집 Vol.18 No.1

        균일한 선로를 사용한 결합기 보다 더욱 평탄한 주파수 응답을 얻기 위하여 비균질매질에서 결합지수형 방향성결합기에 관한 해석을 다루었으며, S-파라미터를 구했다. 이들 해석은 마이크로파 방향성 결합기를 설계하는데 사용된다. 이에 따라 설계된 결합기는 균일한 선로를 이용한 다른 결합기들과 비교하여 매우 개선된 특성을 나타내었다. 실제로 측정한 결과치는 이론치와 상당히 일치하는 결과를 얻었다. In order to obtain a much flatter frequency response than uniform lines coupler, coupled exponential transmission lines in inhomogeneous media a analyzed and scattering parameters are obtained. This analysis is used to design microwave directional couplers. The designed couplers have much improved coupling characteristics compared with other couplers using uniform lines. Practical measurements show very good agreement with theoritical results.

      • 직접메탄을 연료전지용 귀금속 산화극 대체촉매의 개발

        최재식,윤봉국,하승백,정원섭,이호인 한국공업화학회 2003 응용화학 Vol.7 No.2

        Direct Methanol Fuel Cell (DMFC) is based on the technology of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DMFC has several features of environmentally benign generation of electricity and high mobility for portable electronics etc., but its main problem to overcome for commercialization is the high cost of noble metal catalysts.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Pt/C catalyst supported on carbon nano fiber had the highest catalytic activity among the catalysts supported on several carbons. The newly developed Pt/C alternative catalyst had higher catalytic activity for methanol oxidation than the Pt/C catalyst supported on Vulcan XC-72.

      • KCI등재

        Hydroxy Propyl Methyl Cellulose의 자연발화에 관한 연구

        최재욱,목연수,하동명 한국화재소방학회 2001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15 No.4

        HPM의 자연발화는 일정한 주위온도에서 자연발화의 연구와 Godbret-Greenwald가 고안한 전기로에서 운상상태의 최소발화온도를 구하였으며, 시료를 용기에 충전했을 경우 용기의 크기가 클수록 발화한계온도는 낮아졌으며, 겉보기활성화에너지는 Frank-Kamenetskii의 열발화이론으로부터 계산하였고, 운상상태의 발화온도는 21%의 산소농도하에서 최소발화온도를 구하였으며, 산소농도 변화의 실험결과 산소농도 10%에서 발화되지 않았으며 한계산소농도를 구할 수 있었다. The spontaneous ignition of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HPMC) was investigated at constant ambient temperature in the oven and minimum ignition temperature of dust clouds with Godbret-Creenwald Furnace respectively, In the experiments of the vessel filled with sample, the larger the vessel was the lower the spontaneous ignition temperature and ambient temperature was calculated from the Frank-Kamenetskii thermal ignition theory, The minimum ignition temperature for the dust cloud state was found under 21% oxygen concentration. At the experiment with the change of oxygen concentration, HPMC was not ignite at 10% O2 and so the limiting oxygen concentration was obtained at 10%. Keywords : Spontaneous ignition, Ambient temperature, Minimum ignition temperature Frank-Kamenetskii thermal ignition the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