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ACUM 기법에 의한 병원 임상영양사의 직무기술서 개발

        차진아 ( Jin A Cha ),김강은 ( Kang Eun Kim ),김은미 ( Eun Mi Kim ),박미선 ( Mi Sun Park ),박유경 ( Yoo Kyoung Park ),백희준 ( Hee Joon Baek ),이송미 ( Song Mi Lee ),최수경 ( Soo Kyong Choi ),서정숙 ( Jung Sook Seo ) 대한영양사협회 2013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Vol.19 No.3

        본 연구에서는 DACUM 기법을 통해 국내 병원 임상영양사의 직무를 조사 및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된 임상영양사의 직무기술서를 평가함으로써 병원 임상영양사를 위한 직무기술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2011년 7월초에 DACUM 워크숍을 통해 1차적으로 직무기술서를 도출하고 전문가 집단의 자문회의와 Delphi 조사 방법을 적용한 표적집단 면접을 통해 수정 및 보완 작업을 거쳐 직무기 술서를 도출하였다. DACUM 위원회의 패널로는 3차 의료기관에 종사하고 있는 현직 임상영양사 9인과 임상영양학을 전공하는 교수 4인, 직무분석을 담당하는 교수 1인 등 총 14명이 참여하였다. 전문가 자문단을 별도로 구성하였으며, 의사 1인, 간호사 1인, 임상영양분야 실무자 및 교수 5인이 포함된 전문가의 의견을 추가적으로 수렴하였다. 도출된 직무기술서는 2011년 7∼8월까지 전국 500병상 이상의 종합 병원 90개 중 설문조사에 응답한 46개 병원에서 각각 임상영양 실무책임자 1인으로부터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여 현장 적합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에서 DACUM 기법에 의해 처음 도출된 직무는 총 8개의 직무, 33개의 과업, 114개의 과업요소였으나 수정 보완작업을 거쳐 총 7개의 직무, 27개의 과업과 93개의 과업요소로 재분류되었다. 최종적으로 병원 임상영양사의 직무는 영양판정(A), 영양진단(B), 영양중재(C), 영양모니터링ㆍ평가(D), 자문ㆍ협력(E), 영양연구(F), 자기계발(G)로 도출되었다. 2. 각 직무영역별로 세부내용을 보면, (A) 영양판정은 A1. 영양 초기평가하기, A2. 식품영양관련 자료 수집·평가하기, A3. 의학적 자료 점검하기, A4. 신체계측 자료 수집·평가하기, A5. 신체증상 자료 점검하기, A6. 개인력 및 과거력 점검하기, A7. 영양 요구량 결정하기, A8. 영양판정 기록하기의 8개의 과업으로 구분하였다. (B) 영양진단은 B1. 영양진단 도출하기, B2. 우선순위 정하기, B3. 영양진단 기록하기로 나뉘었고, (C) 영양 중재는 C1. 영양중재 계획하기, C2. 영양처방 관리하기, C3. 영양상담하기, C4. 영양교육하기, C5. 영양집중지원하기, C6. 영양중재 기록하기로 구분 하였다. (D) 영양모니터링·평가는 4개의 과업으로 D1. 영양상태 모니터하기, D2. 영양중재과정 모니터하기, D3. 영양중재 결과 평가하기, D4. 영양모니터링·평가 기록하기로 구분하였다. (E) 자문·협력은 E1. 영양자문하기, E2. 협력관계 구축 및 유지하기로 (F) 영양연구는 F1. 질 향상 활동하기, F2. 연구 활동하기로 분류하였다. 마지막으로 (G) 자기계발은 G1. 전문성 향상, G2. 자기관리가 포함되었다. 3. 도출된 임상영양 직무기술서에 대한 평가를 위해 설문조사에 참여한 대상 병원의 유형은 상급종합 병원이 65.2%를 차지하였으며, 종합병원은 34.8%였다. 병원의 재원일수는 8.0±1.5일이었으며 병원 조직에서 영양부서는 6곳을 제외한 39개의 병원에서 진료부서 또는 진료지원부서에 속하였다. 또한 병원에서 영양부서가 단독으로 편제되어 있는 경우가 93%로 높은 비율을 보였다. 병원 임상 영양사의 성별은 여자가 100%로 나타났으며, 연령별 분포는 40∼49세가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근무경력은 10년 이상인 경우가 50% 이상을 차지하였고 최종학력은 석사졸업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전체 과업요소의 인지된 중요도를 비교하면 6개의 과업요소를 제외한 대부분의 과업요소들이 4.0점 이상이었고 총 7개 직무영역에 대한 중요도는 ‘영양중재’가 4.6±0.6점으로 가장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영양진단’과 ‘영양모니터링·평가’의 직무가 4.5점 이상으로 비교적 높게 조사 되었다. 전체 과업요소 중 수행도가 4.5점 이상으로 매우 자주 수행되는 과업요소가 13개, 4.0점 이상의 자주 수행되는 과업도 29개의 과업요소로 나타났으며, 직무영역 중 ‘영양중재’가 4.2±1.0점으로 높게 나타났다. 직무영역별 난이도를 조사한 결과에서는 ‘영양연구’ 업무가 4.1±0.9점으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영양진단’과 ‘자문·협력’은 각각 3.8±1.0점, 3.7±0.9점으로 비교적 어렵게 인식되는 직무로 나타났다. 직무영역별 과업요소 전체의 중요도, 수행도, 난이도의 평균은 각각 4.5±0.8점, 3.7±1.3점, 3.5±1.0점으로 나타났으며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P<0.001). 5. 임상영양사 업무의 중요도와 수행도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격자도 분석에서 영양 초기평가하기, 영양요구량 결정하기, 영양판정 기록하기, 영양진단 도출하기, 영양중재 계획하기, 영양처방 관리하기, 영양교육하기, 영양집중지원하기, 영양중재 기록하기, 영양상태 모니터하기, 영양중재 과정 모니터하기는 중요도와 수행도가 모두 높은 영역(doing great)에, 식품영양관련 자료수집·평가하기, 의학적 자료 점검하기, 신체계측 자료수집·평가하기, 신체증상 자료 점검하기, 개인력 및 과거력 자료 점검하기, 영양진단의 우선순위 정하기, 영양진단 기록하기, 영양상담하기, 영양 모니터링·평가 기록하기는 수행도는 높으나 중요도가 낮은 영역(overdone)에 속하였다. 중요도가 높으나 수행도가 낮은 영역(focus here)에는 협력관계 구축 및 유지하기, 질 향상 활동하기가 속하였고, 중요도와 수행도가 모두 낮은 영역(low priority)은 영양중재 평가하기, 영양 자문 활동하기, 연구 활동하기, 전문성 향상하기, 자기관리하기가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본 연구에서 DACUM 기법에 의해 개발된 병원 임상영양사의 직무기술서는 현장에서 임상영양서비스를 수행하는데 가이드라인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지며, 인지된 중요도가 평균 이상으로 높지만 그에 비해 수행도가 미흡한 과업들에 대하여는 임상영양사에 대한 교육 실시, 업무 분담, 적정인원 배치 등 제도적인 뒷받침을 마련하여 수행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 강구 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질병별 맞춤형 임상영양 업무에 관한 후속연구를 통하여 보다 전문적인 환자 영양치료가 가능할 것으로 여겨진다.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standardized job description for clinical dietitians working in hospitals. A developing curriculum (DACUM) method was used for the job analysis of clinical dietitians. Based on DACUM analysis with 14 members, including clinical dietitians and professors majoring in clinical nutrition and job analysis, information on the duties, tasks, and task elements of clinical dietitians was determined. To verify the job descriptions derived from DACUM analysis, a total of 46 tertiary and general hospitals with over 500 beds were recruited for the survey. The final developed job description for clinical dietitians included 7 duties, 27 tasks, and 93 task elements. The duties consisted of nutritional assessment, nutrition diagnosis, nutrition intervention, nutrition monitoring·evaluation, consultation·cooperation, nutrition research, and self-development. The mean scores of perceived importance, performance, and difficulty on the clinical dietitian`s task elements (out of a maximum score of 5.0) were 4.5, 3.7, and 3.5, respectively,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items (P<0.001). The perceived importance and performance grid of clinical dietitian`s tasks showed that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of collaboration” (E2) and “activity of quality improvement” (F1) received relatively low scores for performance despite their high importance scores; thus the performance of these tasks requires significant improvement. In conclusion, the job descriptions of clinical dietitians developed from this study are useful for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clinical nutrition services in hospitals.

      • SCOPUSKCI등재

        청가시덩굴 추출물의 기능성 원료 표준화를 위한 지표성분 Resveratrol, trans-Scirpusin A의 분석법 개발 및 검증

        권진관(Jin Gwan Kwon),정연우(Yeon Woo Jung),최윤혁(Yun-Hyeok Choi),이지은(Ji Eun Lee),정원식(Wonsik Jeong),이정아(Jung A Lee),최춘환(Chun Whan Choi),안은경(Eun-Kyung Ahn),최용문(Yongmun Choi),홍성수(Seong Su H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51 No.11

        본 연구는 HPLC를 이용하여 청가시덩굴 추출물을 개별인정형 건강기능식품의 기능성 원료로 개발하기 위한 원료 표준화의 일환으로, 청가시덩굴 추출물의 지표성분을 resveratrol과 trans-scirpusin A로 설정하고 이에 대한 HPLC 분석법을 확립하여 유효성의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법 유효성 검증은 특이성, 직선성, 정확도, 정밀도, 검출한계 및 정량한계 등을 통해 분석법의 신뢰성을 검증하였으며, 그 결과 표준용액과 청가시덩굴 추출물 간의 HPLC 크로마토그램 및 UV spectrum의 일치 여부 등의 비교를 통해 다른 물질과 간섭 없이 피크가 분리된 것으로 특이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표준용액 검량선의 상관계수(R²)는 0.9999로 매우 우수한 직선성으로 관찰되어 분석에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검량선의 기울기 및 표준편차를 이용한 검출한계는 resveratrol이 0.98 μg/mL, trans-scirpusin A는 0.49 μg/mL였고 정량한계는 resveratrol이 2.98 μg/mL, trans-scirpusin A는 1.48 μg/mL로 각각 확인되었다. 청가시덩굴 추출물에 표준물질을 3개 농도 첨가하고 분석한 회수율은 resveratrol이 98.77~99.24%, trans-scirpusin A는 98.45~99.45%로 나타나 정확성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청가시덩굴 추출물의 조제 농도 2.2, 4.4 및 6.6 mg/mL에서 반복성은 resveratrol이 0.99~1.22%, trans-scirpusin A는 1.12~1.32%를, 실험실 내 정밀성에서는 일내 정밀성은 resveratrol이 0.67~0.87%, trans-scirpusin A는 1.18~1.33%로 나타났고 일간 정밀성은 resveratrol이 0.93~1.22%, trans-scirpusin A는 1.33~2.27%로 확인되어 본 분석법은 정밀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통해 확립된 청가시덩굴 추출물의 지표성분인 resveratrol과 trans-scirpusin A의 HPLC 분석법은 적합한 시험법으로 검증되었으며, 본 시험법은 향후 청가시덩굴 추출물의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 개발과 표준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stablish an analytical method us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HPLC for the standard determination of resveratrol and trans-scirpusin A as functional ingredients in Smilax sieboldii extract. We evaluated the specificity, linearity, accuracy, precision, limit of detection (LOD), and limit of quantitation (LOQ) of various analytical methods for detecting resveratrol and trans-scirpusin A using HPLC. The specificity was confirmed by the chromatogram obtained using the HPLC analytical method. Also, the results of UV and the coefficient of correlation (R²) obtained was 0.999, which confirmed that this was a suitable analysis with high linearity. The LOD was 0.98, 0.49 μg/mL, and LOQ was 2.98, 1.48 μg/mL, which was confirmed as a suitable limit level for the analysis of resveratrol and trans-scirpusin A content in the S. sieboldii extract. The recovery of resveratrol and trans-scirpusin A content was determined to be 98.77±0.73∼99.24±1.47% and 98.45±1.18∼99.45±1.66%, respectively, indicating high accuracy. The intra-day repeatability and the intra-laboratory precision of the daily repetition were confirmed to be 0.67∼0.87%, 1.18∼1.33% and 0.93∼1.22%, 1.33∼2.27%, respectively, for trans-scirpusin A, for the relative standard devia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reported HPLC method is simple, reliable, and reproducible for the detection of resveratrol and trans-scirpusin A in S. sieboldii extract.

      • Phorbaketal A stimulates osteoblast differentiation through TAZ mediated Runx2 activation

        Byun, Mi Ran,Kim, A Rum,Hwang, Jun-Ha,Sung, Mi Kyung,Lee, Yeon Kyung,Hwang, Buyng Su,Rho, Jung-Rae,Hwang, Eun Sook,Hong, Jeong-Ho Elsevier 2012 FEBS letters Vol.586 No.8

        <P><B>Highlights</B></P><P>► Phorbaketal A stimulates osteogenesis. ► Phorbaketal A increases TAZ-mediated osteoblast marker gene expression. ► ERK is an important kinase for phorbaketal A induced osteogenic differentiation. ► Phorbaketal A is suggested as a potential compound for stimulating bone formation.</P> <P><B>Abstract</B></P><P>Osteoporosis arises from an imbalance between osteoblastic bone formation and osteoclastic bone resorption. In this study, we screened molecules from marine natural products that stimulate osteoblast differentiation. We found that phorbaketal A significantly stimulates osteoblast differentiation in mesenchymal cells. Increased interaction of TAZ and Runx2 stimulated phorbaketal A-induced expression of osteoblastic marker genes. The activation of ERK was important for the stimulation of differentiation because an inhibitor of ERK blocked phorbaketal A-induced osteogenic differentiation. Taken together, the results showed that phorbaketal A stimulates TAZ-mediated osteoblast differentiation through the activation of ERK.</P><P><B>Structured summary of protein interactions</B></P><P><B>TAZ</B> physically interacts with <B>RUNX2</B> by pull down (View interaction)</P>

      • Pheophorbide a-mediated photodynamic therapy induces autophagy and apoptosis via the activation of MAPKs in human skin cancer cells

        YOON, HYO-EUN,OH, SEONE-HEE,KIM, SOO-A,YOON, JUNG-HOON,AHN, SANG-GUN Spandidos Publications 2014 Oncology reports Vol.31 No.1

        Pheophorbide a (Pa), a chlorophyll derivative, is a photosensitizer that can induce significant antitumor effects in several types of tumor cells.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mechanism of Pa-mediated photodynamic therapy (Pa-PDT) in the human skin cancer cell lines A431 and G361. PDT significantly inhibited the cell growth in a Pa-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We observed increased expression of Beclin-1, LC3B and ATG5, which are markers of autophagy, after PDT treatment in A431 cells but not in G361 cells. In G361 cells, Pa-PDT strongly induced PARP cleavage and subsequent apoptosis, which was confirmed using Annexin V/Propidium iodide double staining. Pa-PDT predominantly exhibited its antitumor effects via activation of ERK1/2 and p38 in A431 and G361 cells, respectively. An in vivo study using the CAM xenograft model demonstrated that Pa-PDT strongly induced autophagy and apoptosis in A431-transplanted tumors and/or apoptosis in G361-transplanted tumors. These results may provide a basis for understanding the underlying mechanisms of Pa-PDT and for developing Pa-PDT as a therapy for skin cancer.

      • KCI등재

        3T3-L1 지방세포에서 초과 에탄올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

        이정아 ( Jung A Lee ),박영진 ( Young Jin Park ),정원식 ( Wonsik Jeong ),홍성수 ( Seong Su Hong ),안은경 ( Eun-kyung Ahn ) 한국응용생명화학회 2017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J. Appl. Vol.60 No.1

        본 연구에서는 초과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3T3-L1 지방전구세포에서 지방세포로의 분화 연구를 통해 항비만 활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초과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지방세포 분화 억제 활성 및 지방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3T3-L1지방전구세포에 분화를 유도하면서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하였고, 그 결과 초과 에탄올 추출물은 3T3-L1 지방전구세포에서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농도에 의존적으로 감소시켰다. 이 같은 활성에 대한 작용기전을 알아보기 위해 지방세포 분화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γ (PPARγ)와 CCAAT-enhancer-binding protein α (C/EBPα), 그리고 지방세포 분화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의 활성을 확인해 보았다. 실험 결과 초과 에탄올 추출물은 PPARγ와 C/EBPα의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고 지방세포 분화에 관여하는 adipogenesis marker 유전자들의 발현을 억제 시켰다. 따라서 초과 에탄올 추출물은 지방분화 및 adipogenesis 억제 활성을 통해 항비만 소재로의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momum tsao-ko used as a traditional oriental herbal medicine, is indigenous to several Asia countri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anti-obesity activity of the ethanol extract of Amomum Taso-ko (A. tsao-ko). The ethanol extract of A. tsao-ko inhibited adipocyte differentiation using Oil Red O assay in 3T3-L1 cells. Inhibitory effect of the ethanol extract of A. tsao-ko on adipogenesis was modulated by down-regulation adipogenic transcriptional factor such as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γ (PPARγ), CCAAT-enhancer-binding protein α (C/EBPα) and suppressed expression of fatty acid synthase, aP2, and resistin. We demonstrated that A. tsao-ko significantly inhibited adipogenesis and reduced PPARγ and C/EBPα express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tsao-ko has an anti-obesity effect by inhibition of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 and adipocyte-specific genes in 3T3-L1 cells.

      • KCI등재

        한국인에서 5,10-Methylenetetrahydrofolate Reductase 유전자 다형성 분석 및 임신의 결과에 미치는 영향

        김아리 ( Ari Kim ),강은지 ( Eun Ji Kang ),이경아 ( Kyung A Lee ),박세나 ( Se Na Park ),박종순 ( Jong Soon Park ),박보현 ( Bo Hyun Park ),박혜숙 ( Hyesook Park ),박미혜 ( Mi Hye Park ),전선희 ( Sun Hee Chun ),안정자 ( Jung Ja Ahn ) 대한주산의학회 2006 大韓周産醫學會雜誌 Vol.17 No.3

        목적: 본 연구는 한국인 임신 여성에서 MTHFR 유전자형 변이와 혈청내 호모시스테인 및 엽산의 농도와 이들이 임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임신부 600명에게서 혈액을 채취하여 얻어진 DNA로 MTHFR C677T와 A1298C 유전자의 다형성을 PCR-RELP로 분석하였고 혈청내 호모시스테인은 HPLC 방법으로, 엽산은 RIA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결과: 혈청내 호모시스테인은 MTHFR C677T 유전자형이 C/C형이나 C/T인 군에 비해 T/T인 군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 MTHFR A1298C 유전자형이 A/C형이나 C/C인 군에 비해 A/A인 군에서 역시 유의하게 높았다( p<0.05). 혈청 호모시스테인은 모든 MTHFR 유전자형에서 혈청 엽산농도와 역상관관계를 보였으나, 변이형 유전자형(T/T와 A/A유전자형)에서 더 큰 역 상관관계를 보였다. 15?mol/L 이상의 고호모시스테인혈증의 임신부에서 임신 주수와 출생체중이 36.1주, 3053.8 g으로 15 ?mol/L미만인 군의 38.3 주, 3215.3 g 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p<0.05). 결론: 혈청 호모시스테인의 농도는 MTHFR C677T와 A1298T 유전자의 다형성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MTHFR C677T와 A1298T 유전자의 다형성과 혈청 호모시스테인은 모두 임신주수와 신생아의 체중에 영향을 미친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MTHFR polymorphism among the Korean population an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rum levels of homocysteine and MTHFR polymorphism and also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pregnancy outcomes. Methods: DNA was extracted from whole blood of 600 pregnant women. All samples were genotyped for the C677T and A1298C polymorphisms in MTHFR gene by PCR-RELP assay. Serum levels of homocysteine and folate were measur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for homocysteine and radioassay for folate. Pregnancy outcomes were estimated by gestational weeks and birth weights of newborns. Results: Serum homocysteine was higher in women with the T/T genotype than those with the C/T or C/C genotype of the MTHFR C677T polymorphism (p<0.05). And also serum homocysteine was higher in women with the A/A genotype than those with the A/C or C/C genotype of the MTHFR A1298C polymorphism (p<0.05). Serum homocystein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erum folate in all MTHFR genotypes, especially prominent in T/T genotype of MTHFR C677T polymorphism and A/A genotype of MTHFR A1298C polymorphism. Gestational age and the birth weight of infant from hyperhomocysteinemic mothers whose homocysteine levels higher than 15 μmol/L were 36.1 weeks, 3053.8 g, respectively, which were significant lower than those from normohomocysteinemic mothers (38.3 weeks, 3,215.3 g) (p<0.05). Conclusion: Serum homocysteine was influenced significantly by MTHFR C677T polymorphism and MTHFR A1298C polymorphism. MTHFR C677T and A1298C polymorphism and serum homocysteine levels affect pregnancy outcomes, although not mainly by serum folate level.

      • KCI등재

        CMOS Transistors with a 70-nm Gate Length for 0.13-μm-Node High-Performance Applications

        Kyoung-Seok Rha,Dong-Hun Lee,Eun-Seung Jung,Hae-Kyung Kong,Hyae-Ryoung Lee,Jeong-Ho Lyu,Jeong-Hwan Yang,Jin-Suk Jung,Jung-A Choi,Kwang-Pyuk Suh,Young-Wug Kim 한국물리학회 2004 THE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Vol.44 No.1

        Conventional CMOS transistors for high performance with a 70-nm physical gate length were fabricated to evaluate the 130-nm-technology node. In this work, we enhanced the performance of transistors by using high-dose P+ implantation, a plasma-nitridation gas oxide, a hydrogen prebake (HPB), and a mechanical stress layer. We also reduced the overlap capacitances by using an oset spacer. The NMOS and PMOS have drive currents equal to 880 A/m and 420 A/m, respectively, with Ioff = 10 nA/m at Vdd = 1.2 V. The unit delay of the ring oscillator (1 fan-out) was 11.5 ps.

      • 한국인에서 혈소판 당단백 Ⅱb/Ⅲa 유전자 다형성과 관동맥 성형술 후 재 협착과의 관계

        이민수,이정우,김보영,임대승,강정아,김정희,김윤철,성보영,최성준,성인환,전은석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지역사회의학연구소 2000 충남의대잡지 Vol.27 No.2

        Platelet aggregation is the final pathway of acute coronary syndrome such as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nd unstable angina. Platelet glycoprotein IIb/IIIa is a membrane receptor for fibrinogen and yon Willebrand factor and it plays an important role in platelet aggregation and in the pathogenesis of acute coronary syndrome. It is known that polymorphism of the gene that encoding platelet glycoprotein IIb/IIIa(PI^A1/A2) is strongly related to acute coronary syndrome in Caucasian, but not in Koreans. We investigated relationship between platelet glycoprotein llb/Illa gene polymorphism and restenosis of coronary artery after angioplasty in Koreans. Total 371 patients(M=251. F=120) were enrolled. Angioplasty group comprised 143 patients who underwent coronary angioplasty, and in the angioplasty group, restenosis group comprised with the 65 patients who had restenotic lesion over 50% of luminal diameter in follow-up coronary angiography. Normal group comprised 153 patients who had no significant angiographic lesion and variant angina group comprised 75 patients who were positive in ergonovine test. Genomic DNA was extracted from peripheral arterial blood. To determine the frequency of P1^A1/A2 genotype, polymerase chain reaction(PCR) was done and the product was restricted with Mspl. 3%. agarrose gel electrophoresis showed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Clinical profile and risk factor were also reviewed. Among all 371 patients of study group, genotype of only one patients in restenosis group if is proven to be PI^A1/A2 heterozygote. All patients of normal study group, no restenosis group, and the other patients in restenosis group have an PI^A1 homozygote genotype. In our study, platelet glycoprotein IIb/Illa polymorphism has no relationship with restenosis of the coronary artery after angioplasty in Koreans. But the genotypic frequency of platelet glycoprotein IIb/IIIa gene polymorphism in Koreans is concordant with that of previous studies.

      • KCI등재후보

        요로 감염증 환아에서 배뇨성 요로조영술을 시행하는 적절한 시기에 대한 평가

        이정아,최제은,김성미,정진화,Lee Jung A,Choi Jae Eun,Kim Sung Mi,Jung Jin Hwa 대한소아신장학회 2001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5 No.2

        목 적 : 요의 감염증 환아에서 방광 요관 역류는 흔히 발견되는 이상으로 대부분의 연구에서 요로 감염 3-6주 후 VCUG를 시행하는 것을 권유하고 있다. 하지만 검사를 하기 위해 기다리는 동안 만성 신질환으로 진행할 가능성이 있으며 추적 관찰에 실패하여 검사자체를 하지 못 하는 환아가 발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요로 감염 후 VCUG를 시행하는 시기가 요관 방광 역류의 빈도와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7년 3월부터 2000년 12월까지 요로 감염으로 메리놀병원 소아과에 내원한 환아 213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이들 환아를 요로 감염 진단 후 1주일 이내에 VCUG를 시행한 군(A군, 142명)과 1주일 이후에 VCUG를 시행한 군(B군, 71명)으로 나누어 각각을 비교하였다. 결 과 : A군의 $19\%$(27/142명), B군의 $18\%$(6/71명)에서 역류가 발견되었으며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다(P=0.854). 하지만, 실제로 계획된 VCUG를 받은 환아는 A군 $100\%$, B군 $48\%$로 의미있은 차이가 있었으며(P<0.001), B군 환아에서 감염 후 VCUG를 받은 기간과 역류 정도에는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다(P=0.001). 결 론 :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요로 감염후 VCUG를 하는 기간과 역류의 빈도와 정도에는 차이가 없으므로 환아가 입원하고 있는 동안 VCUG를 시행하는 건이 더욱 바람직하며 이에 대한 보다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Purpose : Urinary tract infection is a common problem in children. To evaluate for reflux most authorities recommend a voiding cystourethrogram 3 to 6 weeks after the first urinary tract infection. But during the 3 to 6 weeks interval, patients may fail to show up for the scheduled VCUG and thus risk for loss of follow up. We analyzed patient's records to evaluate whether the timing of VCUG after UTI influenced the prevalence or severity of VUR. Methods : We retrospectively reviewed 213 children diagnosed with UTI from March 1997 to December 2000. These children were divided into 2 groups according to whether they had VCUG scheduled to be performed either within 1 weeks after the diagnosis of UTI (Group A) or later than 1 week after the diagnosis(Group B). We compared tile presence and severity of reflux in the 2 groups. Results : Reflux was present in $19\%$ of the patients studied within 1 week after UTI and in $18\%$ of those studied after 1 week. This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reas $100\%$ of the scheduled VCUGs in the Group A were performed, only $48\%$ of those scheduled in the Group B were performed. This differenc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 Becaus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resence or severity of reflux and timing of VCUG after UTI, we suggest that a hospitalized patient with UTI should have VCUG performed before discharge. (J. Korean Sor Pediatr Nephrol 2001 ;5 : 176-81)

      • KCI등재

        모 제약회사 근로자들의 직업성 천식 유병률과 약제 분말 노출수준

        오성수,최용휴,김은아,이영목,장재길,유장진,박승현,김태균,정수영,김규상,강성규 大韓産業醫學會 2006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8 No.2

        목적: 제약회사에서 직업상 천식의 유병 규모를 파악하고 작업공정에 대한 작업환경 측정을 통해 제약회사의 약제 분말에 대한 노출수준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제약회사에서 약제 분말에 노출되는 근로자를 대상으로 천식을 선별하기 위하여 설문조사 및 진찰, 혈액검사, 폐기능 검사 그리고 피부단자시험을 실시하였고, 각 부서별 공정에 따라서 총분진과 항생제 또는 효소제 분말에 대한 작업환경 측정을 실시하였다. 직업상 천식이 의심되는 근로자에 대하여 기관지과민성에 대한 검사(메타콜린을 이용한 비특이 기관지유발시험)와 약제 분말 기관지유발시험을 실시하여 확진하였다. 결과: 설문조사 및 진찰에서 작업 관련 천식 증상이 있는 근로자는 11명(34.4%)이었고, 약제 분말을 이용한 피부단자시험에서 1+ 이상 반응을 보인 근로자 10명(31.2%)이었다. 비특이 기관지유발시험 결과 8명(25.0%)이 양성(PC20 ≤16 mg/ml)이었다. 약제 분말 기관지유발시험을 통해 직업상 천식으로 확진된 근로자는 5명(15.6%)이었다. 작업환경 측정에서 원료를 충진하거나 투입하는 작업 그리고 정립작업에서 약제 분말에 대한 노출이 많았다. 결론: 제약회사에서 직업상 천식은 주로 제조공정 중 약제 분말에 노출된 근로자에서 발생하여, 증상 및 직업성 천식의 유병률이 높았다. 따라서 원료를 충진 또는 투입하는 작업과 정립작업 등 제조과적에서 약제 분말 노출을 줄이기 위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여, 약제 분말을 취급하는 근로자에 대해서는 천식 증상 조사뿐 아니라 정기적으로 피부단자시험, 비특이 기관지유발시험 등을 실시하여야 할 것이다. Objectives: After the investigation of one worker with occupational asthma, we surveyed the preva- lence of occupational asthma and the exposure level of pharmaceutical dust of 32 workers in a pharmaceutical company. Methods: Thirty-two of the 90 employees participated in the survey which consisted of questionnaire, blood sampling, spirometry and skin prick tests with 8 common allergens as well as 9 antibiotics and 2 enzymes. Various indices of the working environment were also measured. Subjects who had a symptom suggestive of work-related asthma or positive skin prick test were further investigated by PC20 methacholine. Nine subjects who had a PC20 result of 16 mg/ml or less (n=7) or had work-related symptoms and positive skin prick test (n=2) were referred to undergo a specific bronchial provocation test to phar- maceutical dust in an academic allergic disease center. Results: Eleven of 32 workers (34.4%) had a work-related symptom suggestive of occupational asthma. Ten (31.2%) showed positive skin prick test. 8 (25.0%) had a PC20 result of 16 mg/ml or less (indicative of significant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 and 5 (15.6%) had a positive result on the specific bronchial provocation test. Exposure levels of stuffing, input of raw materials and screening process were relatively high. Conclusions: This survey showed that pharmaceutical workers have an increased risk of occupational asthma. Although pharmaceutical factories maintain a relatively good working environment, careful control of respiratory tract exposures, especially during stuffing, input or raw materials and screening process, is important to prevent occupational asthma. Pharmaceutical workers need to undergo regular skin prick and methacholine bronchial provocation tests, as well as asthmatic symptom survey, to ensure the early detection and prevention of occupational asthm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