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조기진통 임신부의 경질초음파에 의한 자궁경부 평가

        이권해,이임순,이해혁,이정재,신정옥,이명환,구도형,이항재,양회경,전섭,최경훈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4

        목적: 경질초음파에 의해 평가된 자궁경부의 특징이 조기진통과 조기분만에 관련이 있다는 가설을 검증하는데 우리의 목적이 있었다. 방법: 조기진통이 있는 단태아 임신으로 입원한 51명의 임신부를 대상으로 치료를 시작하기 전 경질초음파를 시행하였다. 조기분만은 37주 이전에 분만된 경우로 정의하였다. 초음파 계수로 자궁경부 길이, 쇄기형[wedging]의 존재가 평가되었다. 자료분석은 student t test와 카이제곱검정법[chi-square test]을 이용하였다. P value가 0.05 미만일 때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하였다. 결과: 자궁경부에 쇄기형[wedging]이 존재하는 경우와 자궁경부 길이가 짧아져 있는 경우 조기분만과 상당히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lt;0.001]. 조기분만을 예측하는데 있어서 자궁경부 쇄기형[wedging]이 있는 경우 100%의 민감도, 81.6%의 특이도, 65%의 양성 예측도, 100%의 음성 예측도를 보였다. 조기분만을 예측하는데 있어서 자궁경부 길이가 29 mm 이하인 경우 100%의 민감도, 89.5%의 특이도, 76.2%의 양성 예측도, 100%의 음성 예측도를 보였다. 결론: 조기진통이 있는 산모에서 경질초음파에 의해 측정된 자궁경부의 쇄기형[wedging]의 존재와 짧아진 자궁경부 길이는 조기분만의 예측자로서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Our purpose was to test the hypothesis that characteristics of the cervix evaluated by transvaginal ultrasonography are associated with preterm labor and preterm delivery. Methods: Fifty-one patients with preterm labor of singleton pregnancy admitted to the hospital were evaluated by transvaginal ultrasonography before institution of treatment. Preterm delivery was defined as any delivery before 37 weeks of gestation. The ultrasonographic parameters evaluated were cervical length and presence of wedging. Data analysis was performed by the student t test and chi-square test. The p value $lt; 0.05 was considered significant. Results: The presence of cervical wedging and shorter cervical length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reterm delivery[p$lt;0.001]. The presence of cervical wedging in the prediction of preterm delivery in this data set yielded a sensitivity of 100%, a specificity of 81.6%, a positive predictive value of 65%, and a negative predictive value of 100%. The cervical length ≤ 29mm in the prediction of preterm delivery in this data set yielded a sensitivity of 100%, a specificity of 89.5%, a positive predictive value of 76.2%, and a negative predictive value of 100%. Conclusion: The presence of cervical wedging and shorter cervical length in patients with preterm labor measured by transvaginal ultrasonography are useful as a predictor of preterm delivery.

      • KCI등재

        폐경기 전후 여성의 임상적 특징에 관한 연구

        이권해,이해혁,문원실,김상엽,이석민,이명환,김진수,구도형,이효환 대한산부인과학회 199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1 No.8

        본 연구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평균 폐경 연령은 만 48.3±4.1세였다. 2. 갱년기 증상 빈도는 Ⅰ군에서는 열성 홍조, 요통, 관절통 순, Ⅱ군에서는 요통, 관절통, 열성 홍조, 빈뇨 순, Ⅲ군에서는 요통, 빈뇨, 관절통, 열성 홍조 순이었으며, Ⅳ군에서는 요통, 관절통, 빈뇨, 불면증, 열성 홍조 순으 로 나타났다. 연령에 관계없이 전체 환자의 증상 빈도 순으로 보면 요통, 관절통, 열성 홍조, 빈뇨 등의 순서로 증 상이 나타났다. 3. 골밀도 측정의 결과는 요추 전후, 요추 측면, 대퇴 경부, 대퇴 Ward`s 삼각의 골밀도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4. 골대사의 생화학적 지표는 혈청 오스테오칼신치와 요중 디옥시피리디놀린 배설량은 연령의 증가에 따른 일관된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며,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지만, 혈청 총 알칼라인포스파타제치는 연령이 증가함 에 따라 오히려 계속 증가되어, 폐경이 경과된 후에도 여 전히 골교체율이 증가되어 있는 경우가 많았다. 5. 혈청 지질의 변화에서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지 만, 혈청 총콜레스테롤치, 저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치와 중성지방치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양상이었으며,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치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6. 혈청 총 칼슘치와 혈청 요산치는 연령에 따른 변화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상당히 많은 폐경기 전후 여성이 폐경 기 증상으로 고통받고 골밀도가 감소하므로 호르몬 대 치요법을 적절한 시기에 시작한다면 갱년기의 불편한 증상을 줄이게 되고, 골밀도 및 혈청 지질 변화를 호전시 켜 폐경기 이후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Purpose: We have evaluated the characteristics of perimenopausal women in Korea, by the age of menopause, climacteric symptoms, bone mineral density, biochemical bone markers and lipid profiles. Methods: There is 233 perimenopausal women who are divided into four groups (Group Ⅰ, Group Ⅱ, Group Ⅲ, Group Ⅳ) by age. The age distributions of Group Ⅰare below 50 years old. Those of Group Ⅱ, Ⅲ, Ⅳ are 51∼55 years old, 56∼60 years old and above 61 years old. We asked them for their climacteric symptoms and we checked them for the bone mineral density, biochemical bone markers and lipid profiles. Results : 1) The mean age of menopause is 48.3±4.1 years old. 2) The common symptoms of the Korean perimenopausal women were backache, arthralgia, hot flashing and urinary frequency in order of frequency. 3) The bone mineral densities of climacteric women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by increasing age. 4) The serum alkaline phosphatase among biochemical markers of bone turnover was significantly increasing state by increasing age. 5) The levels of serum total cholesterol, LDL-cholesterol and triglycerides were increasing tendency, but HDL-cholesterol was decreasing tendency by increasing age. 6) There are no variation by increasing age in the serum total calcium and serum uric acid. Conclusions: Increasing age had a great effect on bone mineral loss and lipid profiles in the climacteric women.

      • KCI등재

        최근 11 년간 (1983-1993) 서울 성애병원에서 출생한 신생아 출생성비에 관한 통계보고와 향 후 문제점의 재조명

        이의진,김정욱,김상용,이도훈,이승기,오도산 대한산부인과학회 1995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8 No.11

        상기에 기술된 성적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본원의 11년간 총성비는 107.0이 었으며 인구증가는 두자녀갖기(98.76%)로 억제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두 번째 경 산부의 경우 첫출생아가 여아인 경우 평균성비는 116.0 세 번째 경산부의 경우 평균성비는 174.0으로 남아선호사상이 뚜렷히 나타났다. 셋째, 두 번째 경산부의 경우 첫 출생아가 남아 인 경우 평균성비는 106.0으로 선택적 출산이 없는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반복제왕절개술의 경우 두자녀만을 낳으려고 하는 의지로 인해 두 번째 출산의 경우와 거의 유사한 결과를초 래하여 수술여부는 남녀성비에 큰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자의 사회적노출을 고려함에 있어서 향후 어떤 문제를 야기시킬것인가에 대해서 많은 연 구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본원에서는 첫 출생아 성비가 103:100으로 나타나므로서 첫 출산의 경우 정상적인 출생성비(106:100) 에 비교하여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조사에 참가한 대상산모들의 경제수 준이 저소득층이 많아 다른 지역 그리고 고소득층을 대상으로한 통계보고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Depend upon the hundred years of Korean tradition in preference of baby boy and accureate technique in differentiation of babys sex during pregnancy secondary to up most developed sonogram machine and chorionic villus biopsy. This paper was analysed in last 11 years period in nulligravida and multigravida and multigravida and repeat cesarian section. The result were as follows. 1. The total sex ratio in last 11 years were 107 : 100 (male:female) 2. 1st baby was 59.135% 2nd baby was 38.41% 3rd baby was 2.38%. 3. 1st babys sex ratio was 103 : 100 (male:female) 2nd babys sex ratio was 111 : 100 3rd babys sex ratio was 148 : 100 Repeat C/S sex ratio was 110 : 100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unbalance of sex ratio in multigravida is extremely serious trend in this country and is expected a tremendous social problem in early 21 th centry.

      • KCI등재

        Thanatophoric Dwarfism의 1 례

        이의진,김영찬,김정욱,김상용,이도훈,이달경 대한산부인과학회 199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7 No.9

        저자들은 34세 임신부에서 산전진찰시 Thanatophoric dwarfism이라고 사료되는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Thanatophoric dwarfism was described by Maroteaux, Lamy and Robert in 1967, who differentiated it from achondroplasia. It is a short limb dwarfism with characteristic X-ray features and usually results in death shortly after birth. We present a case of thanatophoric dwarfism which has been diagnosed during antenatal period with review of literatures.

      • KCI등재

        정상 임신부에서 혈청내 Interleukin-2와 Tumor Necrosis Factor-α 값의 변화

        이임순,이순곤,이해혁,김동희,이슬기,양회경,최경훈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7

        목적: 태아는 면역학적으로 반동종이식(semiallograft)이고, 일부의 반복유산이 숙주와 이식편 사 이의 반응때문이라면, 숙주와 이식편 관계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는 interleukin-2[IL-2]와 tumor necrosis factor-α(TNF-α)의 측정이 흥미롭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임신중 일어나는 면역학적 변화에 대한 예비연구로 임신부의 혈청내의 IL-2와 TNF-α 값을 측정하였다. 연구방법: 혈청 TNF-α와 IL-2는 효소 결합 면역흡착검사[ELISA kit: R&D system, Mineapolis, MN]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대상은 50명의 합병증 없는 임신부, 30명의 건강한 비임신부, 적어도 2번 이상의 유산경력이 있는 5명의 임신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 5명의 임신부는 임신 6-14주였고, 채혈당시 질출혈과 절박유산 증상으로 세번째 결국 유산 하였다. 통계적 처리는 student t test를 사용하였다. 결과: 혈청 IL-2값은 비임신부와 정상임신부에서 각각 11.0 22.5pg/mL 와 66.2 47.5pg/mL로 검출되어 임신부에서 증가하였으며, 임신 초기에 증가하여 임신 기간중 일정하였다. 혈청 TNF-α 값은 비임신부와 정상임신부에서 각각 11.6 28.1pg/mL와 11.4 21.8pg/mL로 검출되어 차이가 없었다. 숫자는 적으나 원인불명의 반복유산환자에서 혈청 IL-2값은 어떤 규칙을 찾을 수가 없어 의미가 없었으나, 혈청 TNF-α값은 29-34pg/mL로 정상임신부에 비하여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 비임신부와 정상임신부의 IL-2값에 차이가 있으며, 임신부에서 IL-2값이 증가하였다. 비임신부와 정상임신부의 TNF-α값은 차이가 없었다. 수는 적으나 원인불명의 반복유산 환자에서 정상임신부에 비하여 TNF-α값이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Objective: Because the fetus exists immunologically as a semiallograft, pregnancy loss may be a manifestation of host versus graft rejection in some cases. So we undertook a preliminary study to determine IL-2 and TNF-α levels in serum during normal pregnancy. Methods: Samples were taken for serum TNF-α and IL-2 enzyme linked immunosolvent assays (ELISA: R&D systems, Minneapolis, MN) from 50 pregnant women without any complications, 30 healthy non pregnant women and 5 women with at least two previous abortions between 6-14 weeks. 5 women had symptoms of an threatened abortions as evidenced by a vaginal bleeding and ultimately had a third abortion. Statistical analysis was used student t test. Results: Serum IL-2 levels were determined respectively 11.0 22.5pg/mL and 66.2 47.5pg/mL in control and normal pregnant women. The peak IL-2 level was reached as early as the first month and was stable during pregnancy. Serum TNF-α levels were determined respectively 11.6 28.1pg/mL and 11.4 21.8pg/mL in control and normal pregnant women. Serum TNF-α levels in women with unexplained recurrent abortion were 29-34pg/mL. Conclusions: In normal pregnant women we found an increase in serum levels of IL-2 compared to the non-pregnant women. As regards serum levels of TNF-α, no differences could be observed between normal pregnant and non-pregnant women. In women with URA an increase in serum levels of TNF-α were found compared to the normal pregnant women.

      • KCI등재

        신생아 쇄골 골절에 대한 임상적 고찰

        이권해,이순곤,김도형,이정재,김보연 대한산부인과학회 199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7 No.8

        쇄골골절은 분만시 골절이 가장 잘 일어나는 뼈로서, 질식분만시 두정분만이 어렵거나 둔위시 팔분만이 어려울 때 잘 일어난다. 저자들은 1991년 1월부터 8월까지 분만한 총 6138예를 대상으로 신생아를 쇄골골절에 관한 분석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쇄골골절의 빈도는 총 분만 6158예중 17예로 0.28%이었으며, 16예가 정상분만시 발생하였으며 1예만이 제왕절개술에 의해 발생하였다. 2. 태위에 따른 쇄골골절의 빈도는 정상분만시 두정위가 15예였으며, 제왕절개시에는 두정위 1예에서 만 쇄골골절을 보였다. 3. 쇄골골절의 좌우측 빈도는 좌측이 7예(41.2%), 우측이 10예(58.2%)였다. 4. 쇄골골절이 위치에 따른 발생빈도는 중간 1/3이 10예(58.8%), 내측 1/3이 5예(29.4%), 외측 1/3이 2예(11.8%)로 중간 1/3부위에서 가장 높은 발생율을 보였다. 5. 분만시 체중과의 관계는 질식분만시 쇄골골절이 있었던 16예중 3,000 gm이하는 1,147예중 3예(0.26%), 3,000-3500 gm이 1,803예중 5예(0.28%)였고, 3,500-4,000 gm이 758예중 7예(0.92%)였으며, 4,000 gm이상이 68예중 1예(1.47%)로 신생아의 몸무게가 증가할수록 쇄골골절의 빈도가 증가함을 볼 수 있었고 이들의 평균체중은 3,480 gm이었다(p$lt;0.05). 6. 분만시 쇄골골절로 인한 합병증으로 혈관 및 신경손상, 가골의 과도형성으로 인한 잔여변형, 부정유합, 불유합, 외상성 관절염은 한 예에서도 발견되지 않았다. The clavicle is the most frequently fractured bone in the full-term newborn during vaginal delivery. In the new-born, the breaking force may arise from compression of the shoulders during a difficult delivery at virth. An asymptomatic fracture in the neonate may be ignored. It will unite without external immobilization and any malalignment will correct itself with growth. The typical clinical signs of the clavicle fractures are diminished movement of the affected side arm. On palpation, there is local swelling, tenderness, crecipatation over the fracture site. Fracture in the middle third of the clavicle will be clearly depectied in the anterior posterior radiogram. To demonstrate fractures of the medial and lateral end of the clavicle, however, special oblique, lateral, or lordotic 40-degee cephalic tilt views may be required. This study was analized 6,158 live births, who were delivered at the Soonchunhyang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1991 to August 1993.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incidence of clavicle fracture was 0.28%(17cases), and 16 cases were in normal spontaneous vaginal delivery, only one case was occured in cesarean section. 2. The incidence of clavicle fracture by presentation was following; 15 cases of vertex presentation and 1 case of breech presentation in the vaginal delivery, 1 case of vertex presentation in secarean section. 3. The incidence of site(riht or left) of clavicle fracture was left with in 41.2%(7 cases), right site in 58.2%(10 cases),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incidence of fracture site(right or left). 4. The incident site of clavicle fracture was at mid 1/3 in 58.8%(10 cases), inner 1/3 in 29.4%(5cases), outer 1/3 in 11.8%(2cases). 5. During vaginal deliver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cidence of clavicle fracture and body weight are as follows: below 3000 gm in 0.26% (3 out of 1147 cases), 3000-3500 gm in 0.28% (5 out of 1803 cases). 3500-4000 gm in 0.92%(7 out of 758 cases), above 4000 gm in 1.47%(1 out of 68 cases), the mean body weight was 3480 gm. The clavicle fracture incidence was increased as fetal body weight was increased(p$lt;0.05). 6. In our study, we did not find any fetal complications vessel, nervel injury remnant deformity, non-union and traumatic arthritis in clavicular fractured infa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