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완골 간부 분쇄 골절의 최소 절개를 통한 관혈적 정복 및 교합성 골수강내 금속정 고정술 : 금속판 내고정술을 이용한 상완골 간부 분쇄 골절 치료와의 비교 Comparison between Plate Internal Fixation

        한경진,어수익,김태영,강신영 대한골절학회 2002 대한골절학회지 Vol.15 No.4

        목 적 : 상완골 간부 분쇄 골절의 치료에서 최소 절개를 통한 관혈적 정복 및 교합성 골수강내 금속정 고정술의 치료 결과를 금속판 내고정술과 비교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1997년 3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상완골 간부 골절로 금속판 내고정술을 시행한 14례와 상완골 간부 분쇄골절에 대해 최소 절개를 통한 관혈적 정복 및 교합성 골수강내 금속정 고정술을 이용하여 수술을 시행한 18례이고, 최고 9개월 이상 추시하였으며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결과를 분석하였다.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urgeon's (ASES) shoulder score를 기준으로 기능적 평가를 하였고, visual analous scales에 따라 통증의 정도 (zero : no pain ~ 10 : extreme pain) 를 평가하였다. 결 과 : 골절 유합은, 금속판 내고정술의 경우 14례중 12례(85.7%)에서 골유합을 얻었고 골유합 시기는 평균 13.2주 이었다. 최소 절개를 통한 관혈적 정복 및 교합성 골수강내 금속정 고정술을 이용하여 수술을 시행한 18례중 17례(94.4%)에서 골유합을 얻었고 평균 골유합 시기는 평균 12.4주 이었다. ASES shoulder score에 따른 기능적 점수는 금속판 내고정술의 경우 평균 44점, 최소 절개를 통한 관혈적 정복 및 교합성 골수강내 금속정 고정술을 시행한 경우 평균 47점 이었다. 통증의 정도는 금속판 내고정술의 경우 평균 1.8, 최소 절개를 통한 관혈적 정복 및 교합성 골수강내 금속정 고정술을 시행한 경우 평균 1.4 이었다. 결 론 : 상완골 간부 분쇄골절에 대한 최소 절개를 통한 관혈적 정복 및 교합성 골수강내 금속정 고정술은 견고하고 정확한 골절의 정복이 가능하고 술후 방사선학적 및 기능적 결과가 다른 수술방법에 비해 결과가 좋은 것으로 사료되었다. Purpose : We compared the functional and radiological results after the minimal open reduction and interlocking IM nailing and LC-DCP plate internal fixation for the comminuted humeral shaft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 Fourteen plates(LC-DCP) and eighteen interlocking IM nail (AO unreamed IM nail) were applied after open reduction for 21 comminuted fractures of the humeral shaft between March 1997 and December 2001. They were followed up for a minimum 9 months after surgery and the radiological and functional results were evaluated. Results : The average fracture healing time was 13.2 weeks and union rate was 85.7% for plate internal fixation. The average fracture healing time was 12.4 weeks and union rate was 94,4% for interlocking IM nail. The average functional scores according to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urgeon's (ASES) shoulder score(Total 52 points_ was 44 points for plate internal fixation and 47 point for interlocking IM nailing respectively. Conclusion : Minimal open reduction and interlocking IM nailing is better method with good functional and radiological results than plate internal fixation for the comminuted humeral shaft fractures.

      • KCI등재

        전위된 소아 상완골 과상부 골절의 치료 : 도수정복 되지 않는 골절의 최소 절개를 통한 정복술 Open Reduction with Minimal Incision of the Manually Irreducible Fracture

        한경진,어수익,박응석,강신영 대한골절학회 2002 대한골절학회지 Vol.15 No.4

        목 적 : 전위된 소아 상완골 과상부 골절의 치료에서 도수 정복 후 석고 고정술 또는 경피적 K-강선 고정술을 시행하거나 도수 정복이 되지 않은 경우 최소 피부절개를 통한 관혈적 정복 및 경피적 K-강선 고정술을 시행한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전위된 상완골 과상부 골절(Gartland 제 Ⅱ, Ⅲ형)로 치료한 8세 이하의 환아중 1년 이상 추시가 되었던 총 74명 (74 골절) 을 대상으로 하였다. Gartland분류에 의한 제 Ⅱ형이 19차례, 제Ⅲ형이 52차례 이었고 정복의 기준은 건측의 주관절 Bauman 각으로 하였다. 안정적인Gartland 제 Ⅱ형, 6례에서 석고 고정을 시행하였고 불안정한 Gartland 제 Ⅱ형 13례와 Gartland 제Ⅲ형 52 례는 경피적 K-강선 고정술을 시행하였다. 도수 정복이 되지 않은 20례 (제 Ⅱ 형 1례, 제 Ⅲ 형 19례)의 경우, mini C-arm 영상하에 주관절 후면에 최소절개를 가하고 소절골도를 이용하여 정복하였다. 결과의 분석에는 주관절 운반각과 기능적인 운동범위의 소실 정도에 따른 Flynn의 분류를 사용하였다. 결과 : 저자들의 결과를Flynn의 분류에 따라 분석하면, 운반각의 경우 excellent는 52 례 (73.2%). good은 13례(18.3%) 로 만족할 만한 결과는 91.5% 이고 운동 범위의 경우 excellent는 49례 (69.0%), good은 20례(28.2%) 로 만족할 만한 결과는 97.2% 로서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도수 정복 및 경피적 K-강선 고정술이 운동 범위 요소(Functional factor)에서 더 많은 excellent, 그리고 최소 절개를 이용한 관혈적 정복 및 경피적 K-강선 고정술은 운반각 요소(Cosmetic factor)에서 더 많은 excellent를 나타내었다. 결 론 : 소아의 상완골 과상부 골절의 치료는 소아 골단의 성장판의 손상과 향후 발생할 수 있는 각변형을 고려하여 되도록 정확하고 세심한 정복과 안정적인 고정을 요한다. 또한, 도수 정복이 불가능할 경우 무리한 도수 정복 조작을 계속하지 말고 관혈적 정복을 시행하며 연부조직 손상을 줄이기 위해 가능한 최소 절개를 통한 정복 및 경피적 K-강선 고정을 하는 것이 좋은 결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We evaluated the results of the displaced supracondylar fractures in children treated by closed reduction and cast immobilization, closed reduction and crossed K-wires fixation. Materials and Method :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results after 1 years of the treatment of 71 extension-type fractures (Gartland type Ⅱ-19 cases, type Ⅲ-52 cases) of supracondylar humeral fractures in children under age of 8 years. Closed reduction was impossible in 20 cases (1 type Ⅱ, 19 type Ⅲ) and we performed open reduction with minimal incision and cross percutaneous pinning. We measured Baumanns angle and range of motion of elbow and evaluated the results by Flynns criteria. Result : By Flynns criteria, 91.5 % of satisfactory (excellent, good) resuts in cosmetic factor and 97.2 % in more excellent in functional factor and that of the minimal open reduction and percutaneous pinning in cosmetic factor but over all satisfactory results were similar. Conclusion : The treatment of the displaced supracondylar humeral fractures in children need accurate and delicate reduction and firm fixation to prevent deformity and to preserve function of the elbow. Open reduction with minimal incision instead of general incision for the manually irreducible supracondylar humeral fracture would be a reliable and convenient method for the treatment of supracondylar humeral fractures in children.

      • KCI등재

        감염된 인공 슬관절에서 관절형 항생제 함입 시멘트 삽입물을 이용한 재치환술

        하철원(Chul-Won Ha),어수익(Soo-Ik Awe) 대한정형외과학회 200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0 No.4

        목적: 저자들은 감염된 인공 슬관절의 2단계 재치환술 시 감염 치료 기간 동안 관절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항생제 함입 시멘트 삽입물을 수술실 내에서 맞춤형으로 제작(custom mold)하는 수기를 개발하였기에, 그 자세한 수기와 임상 성적을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저자들의 수기를 이용한 2단계 재치환술을 시행 받은 환자 12예를 대상으로 수술 전ㆍ후 운동범위, 재치환술 시 수술부위의 노출을 위하여 필요했던 추가적 술식, KS 점수 및 합병증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 관절형 시멘트 삽입물을 만드는 수기와 관련한 수술 중 합병증은 없었다. 슬관절 최대 굴곡은 수술 전 평균 85° (40-130)에서 재치환술 직전 100° (70-110), 수술 후 1개월에 112° (90-140), 3개월에 108° (70-140), 1년에 110° (75-140)로 개선되었다. 재치환술 시에 rectus snip이 12예 중 8예에서 시행되었으며, 4예에서는 특이한 추가 술식 없이 재치환술이 가능하였다. KS 점수는 수술 전 30/24에서 87/80으로 개선되었다. 최종 추시 시까지 본 수기와 관련한 합병증은 없었으며, 슬관절 감염이 재발한 예는 없었다. 결론: 저자들의 수기는 과다한 수술비용의 증가나 특이한 장비의 필요 없이 임상 적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고, 1차 수술 직후부터 슬관절에 우수한 안정성 및 가동성을 제공하여, 환자의 생활 편이성과 관절 운동 범위의 유지 및 증가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감염 치유 기간 중 연부조직 구축을 방지할수 있어 재치환술 시 수술이 용이하며, 수술 중 및 수술 후 합병증 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우수한 수기로 사료된다. Purpose: This paper reports a novel technique to create an antibiotic spacer for the treatment of infected total knee replacements (TKA) with surface contours similar to that of the original TKA. Materials and Methods: This new technique involved the intra-operative construction of a custom mold made from bone cement along with the removed implant. Twelve consecutive patients treated with this technique were reviewed in the aspect of the degree of flexion, difficulty in exposure at the 2nd stage reimplantation, and complications related to the technique. The functional status was evaluated using the Knee Society score. Results: The degree of flexion was 85 (40-130) preoperatively and 100 (70-110) prior to reimplantation. The postoperative flexion was 112 (90-140) at 6 weeks, 108 (70-140) at 3 months, and 110 (75-140) at 1 year postoperatively. A rectus snip was required in 8 out of 12 cases. Other extensile approaches were not needed. The knee society score was significantly improved from 30/24 to 87/80. No specific complications were noted at the final follow-up. Conclusion: This technique allows the immediate stability and mobility after the first stage of reimplantation. This technique offers ease and convenience of surgical technique without considerable increase in surgical cost or time. In addition, it eliminates the requirement for costly commercial mold or special pre-manufactured implants.

      • 전방십자인대의 전내측 다발 및 후외측 다발을 각각 재건하는 새로운 수술 수기

        하철원,어수익,Ha Chul-Won,Awe Soo-Ik 대한관절경학회 2002 대한관절경학회지 Vol.6 No.2

        목적 :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시에 수술 수기가 크게 어려워지지 않으면서 전내측 및 후외측 다발을 각각 재건하고 별도로 긴장시켜 고정할 수 있는 수술 수기를 고안하여 재건슬을 시행한 결과, 해부학적 및 기능적으로 보다 정상에 가까운 전내측 및 후외측 다발의 긴장도를 갖는 전방십자인대 재건이 가능하였기에 그 수술 수기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고식적인 관절 내시경적 전방십자인대 재건술과 동일한 기구를 사용하여 경골 및 대퇴골에 골터널을 만든다. 이때 경골부위의 골 터널이 일반적인 경우보다 약간 타원형이 되면서 약 $5\~7$ mm 정도 앞뒤 족으로 확장되도록 한다. 이식을 위한 동종 아킬레스건을 다듬을 때, 대퇴골 터널 내에 들어갈 골 부위는 고식적인 경우와 같도록 하고, 경골부 터널에 들어갈 건 부위는 가능한 한 두껍게 준비하고, Y자로 두 개의 다발로 만들어 각각 봉합사를 이용하여 마무리, 준비한다. 두 개의 다발을 함께 준비용 수술용 탁자의 터널 내로 통과시켜보면서 두께를 확인하고 대퇴골 터널 내에 동종 아킬레스건의 골 부위를 관절경 시야에 삽입시킨 후 고정한 다음, 경골 터널의 원위부 바깥쪽에서 두 개의 다발을 봉합사와 함께 당기면서 슬관절을 굴곡-신전을 반복하여 신장시킨다. 슬관절을 약 90도 굴곡한 상태에서 전내측 다발을 최대한 긴장시켜 post-tie 방법으로 고정한 후 다시 슬관절을 신전시킨 상태에서 후외측 다발을 최대한 긴장시켜 post-tie 방법으로 고정한다. 이후 2개의 다발사이로 끝이 둥근 유도핀을 삽입하여 관절경 시야에서 경골 터널 근위 입구에서 2개의 다발사이에 위치한 것을 최종 확인한 후, 흡수성 간섭나사를 이 핀을 따라 삽입하여 경골 터널 근위부 입구 직하부까지 전진시켜 좀더 견고한 고정을 얻으면서 전내측 및 후외 측 다발을 더욱 해부학적 위치에 자리잡을 수 있도록 한다. 연골 손상이 발생될 수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할 것으로 생각된다.있는 골 미성숙 환자의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은 하지부동이나 슬관절 정열이상이 없는 좋은 치료방법으로 생각된다.측에 발생하여 내측에 비해 많았으며 17례$(89.5\%)$에서 반월상연골 파열이 동반되었고 파열의 형태는 수평 파열이 15례$(79\%)$로 가장 많았다. 때, 이 두 집단 사이의 진단당시의 임상양상의 차이를 보면 고혈압, 단백뇨 및 부종의 빈도가 Group I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으며, 임상병리검사 소견에서는 혈중 총단백량, 알부민, creatinine 청소율이 Group I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고, BUN, creatinine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결 론 : Alport 증후군 환아에서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예후와 관련된 위험요인으로는 진단시의 고혈압, 부종, 단백뇨 유무 여부와 혈중 총단백량, 알부민, BUN, creatinine, 사구체 여과율이 중요하며, 이런 가능한 위험요인의 분석과 관찰이 Alport 증후군 환아의 치료와 예후 인지에 많은 도움이 되리라 사료된다. 상승은 주로 간에서 생성의 증가의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지단백중 스테로이드를 사용하기전의 HDL cholesterol, apoB, apoB/HDL cholesterol등은 관해 유도기간과 의미 있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서 신증후군 환아의 재발을 예측 할 수 있는 지표로서 임상적인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세포독성물질로도 스테로이드 의존성을 없애거나 재발율을 낮출 수 없었던 스테로이드 의존성 This article is to report a new technique for reconstruction of the anteromedial and posterolateral bundles of anterior cruciate ligament by separate tensioning and fixation of the each bundle. Method : Tibial and femoral tunnels were made with conventional technique of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Tibial tunnel was enlarged $5\~7$ mm in anterior-posterior direction to make oval it in cross section. When preparing the Achilles tendon allograft, bone plug portion was trimmed as the conventional technique. The tendinous portion was trimmed as two separate bundles by dividing the tendinous portion longitudinally, so the graft is shaped like 'Y'. The bone plug portion of allograft was inserted into the femoral tunnel and fixed with absorbable cross pins. Two ligamentous portionss of the distal part of the grafts were tensioned separately at the external orifice. Anteromedial bundle was fastened under maximum tension with the knee flexed 90 degrees by post-tie method. The posterolateral bundle was fixed by the same technique with the knee in full extension. Then, an absorbable interference screw was inserted between the two bundles upto the upper end of the tibial tunnel, to get more initial rigidity of the reconstructed graft as well as to locate the two bundles in more anatomic position.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척추 분리증과 협부형 척추 전방 전위증에서 후방 관절면에 대한 형태학적 연구

        전창훈,김우식,조재현,김병석,어수익,강신영 대한척추외과학회 2000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7 No.1

        연구계획 : 척추 분리증 및 협부형 척추 전방 전위증 환자들에서 후방 관절면의 방사선적 형태학적 차이를 보고자 하였다. 연구목적 : 척추 분리증 또는 협부형 척추 전방 전위증에서 척추궁 및 후방 관절면이 포함된 표본(specimen)으로, 후방 관절면의 형태학적 연구를 통해서 두 환자군 사이의 차이점 및 증상과의 연관 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척추 분리증 및 협부형 척추 전방 전위증으로 수술치료 받은 25명에서 채취한 척추궁 및 후방 관절면이 포함된 표본(specimen) 27기를 대상으로 하였다. 각 각의 표본을 1㎜간격으로 전산화 단층 촬영을 시행하였다. 삼차원적 재구성 영상(3-dimensional reconstruction image) 및 영상 분석 프로그램(software)을 이용하여 좌측과 우측의 후방 관절면의 넓이와 각도를 측정하였다. 요통이 있는 쪽이 관절면과 없는 쪽의 관절면, 전방 전위증의 유무, 분절 불안정성의 유무에 따라 각 각 두 군으로 분류하여 후방 관절면의 형태학적 계측치와의 상관 관계를 연구 하였다. 결과 : 우측 및 좌즉 후방 관절면의 넓이는 평균 162.7/155.6㎣(L3), 167.0/159.2㎣(L4), 195.2/188.1㎣(L5)였고, 관절면의 우측 및 좌측 각도는 평균 56.2˚/55.3˚(L3), 47.6˚/50.2˚(L4), 44.1˚/449˚(L5)로 측정되었다. 분리증만 있었던 군의 면적은 158.4/159.3㎣, 각도는 49.8˚/54.0˚이었고, 전방 전위증이 동반된 군에서 면적은 172.3/189.6㎣, 각도는 44.3˚/44.8˚이었다. 분절 불안정성이 있었던 군에서 면적은 155.9/161.8㎣, 각도는 48.1˚/50.4˚이었고, 불안정성이 없었던 군에서는 면적은 173.4/185.2㎣, 각도는 46.2˚/38.5˚이었다. 결론 : L3에서 L5로 갈수록 관절면의 평균 넓이는 증가하였으며, 관절면의 각도는 감소되어 시상면에 더욱 더 평행한 양상을 보었다. 동통이 있는 쪽과 없는 쪽의 후방 관절면의 형태학적 계측치의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의미가 없었다(p>0.05). 전방 전위증이 있는 군이 전방전위증이 없는 군보다 관절면의 평균 넓이가 더 큰 수치를 보었으며, 관절면의 평균 각도는 더 작은 수치를 보여 시상면에 더욱 더 평행한 양상을 보였으나, 통계학적으로는 의미가 없었다(P>0.05). 분절 불안정성이 없었던 군과 있었던 군 사이의 후방 관절면의 형태학적 계측치의 차이에서도 통계학적 의미는 없었더(p>0.05). Study Design : Radiological investigation to study the morphoogic difference of posterior facet joint in spondylolysis and isthmic spondylolisthesis. Objectives : To study the correlation of the clinical differences between the one with spondylolysis and another with isthmic spondylolisthesis with morphological analysis of posterior facets of lumbar spine in low back pain, anterior displacement and segmental instability. Summary of Literature Reveiw : There are many studies for the lumbar facet in back pain, disc degeneration, degenerative spondylolisthesis.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correlation of facet joint between the spondylolysis and isthmic spondylolisthesis. Methods : This study is done with 27 specimens which contain posterior facet and lamina from 25 patients due to spondylolysis or isthmic spondylolisthesis. We took the computed tomograms in each specimen and obtained the areas and angles of posterior facets of lumbar spine. Results : The group with spondylolysis has mean area(Rt/Lt) of 158.4/259.3㎣ and angle(Rt/Lt) of 49.8˚/54.0˚. The group with isthmic spondylosisthesis has mean area(Rt/Lt) of 172.3/189.6㎣ and angle(Rt/Lt) of 443˚/44.8˚. The group without instability has mean area(Rt/Lt) of 173.4/185.2㎣ and angle(Rt/Lt) of 46.2˚/48.5˚. Conclusion :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morphologic difference of facets with back pain and without back pain. The group with isthmic spondylolisthesis has greater mean area and less mean angle of facet than the group with spondylolysis, but, there are no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s(p>0.05). There are no significant morphologic differences of facet between the group with segmental instability and without segmental instability.

      • KCI등재

        고위 고관절 탈구에서 대퇴골 단축을 시행하지 않은 고관절 전치환술

        박종석 ( Jong Seok Park ),최상욱 ( Sang Wook Choi ),어수익 ( Soo Ik Awe ),서유성 ( You Sung Suh ) 대한고관절학회 2009 Hip and Pelvis Vol.21 No.3

        Purpose: This study evaluated the results of total hip arthroplasty (THA) without a femoral shortening procedure for the treatment of a highly dislocated hip.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11 hips of 11 patients who underwent THA between April 1996 and February 2001 were clinically and radiologically evaluated. Among these 11 hips, 5 hips were sequelae of developmental dysplasia of the hip and 6 hips were sequelae of pyogenic or tuberculous infection.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98 months (range: 88~121 months). Results: In all cases, the hip center was restored to the anatomic hip center. The mean Harris hip score increased from 56.2 preoperatively to 86.3 at the end of follow-up and the mean difference of the spino-malleolar distance decreased from 5.6 cm preoperatively to 1.4cm postoperatively. Non-union in the greater trochanter osteotomy site was encountered in two patients. Two cases of sciatic nerve palsy and one cases of heterotopic ossification occurred, but one case of sciatic nerve palsy recovered within 6 months. Conclusion: After enough soft tissue release, if reduction to the original hip center is difficult, then performing femoral osteotomy or shortening osteotomy should be considered during the THA for a highly dislocated hip.

      • KCI등재후보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 후 비구 삽입물 전향각의 방사선학적 계측법의 효용성

        김근우(Keun Woo Kim),한계영(Kye Young Haan),어수익(Soo Ik Awe),이상현(Sang Hyun Lee),남우동(Woo Dong Nam),유기형(Kee Hyung Rhyu) 대한정형외과학회 200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39 No.4

        목적: 고관절 전치환술 후 비구 삽입물의 전향각을 측정하는 몇 가지 방법들의 효용성과 신뢰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고관절 전치환술을 시행받은 10 고관절에서 촬영된 각각 3매의 단순 전후면과 횡측 사진을 대상으로 하였다. 세 명의 정형외과 의사가 전후방 사진을 사용한 세 가지 방법과 횡측 사진을 사용한 측정을 이용하여 비구 삽입물의 전향각을 3회씩 측정하였다. 이 값을 방사선과 의사가 컴퓨터 단층촬영을 이용하여 측정 후 평균한 축상 및 평면 전향각 과 통계적으로 비교하였다. 결과: 전후면 사진을 이용한 평면 전향각 측정법은 모두 낮은 관찰자내, 관찰자간 오차를 보였다. 이 측정치들은 단층 촬영을 이용한 평면 전향각과는 통일한 값이었고 축상 전향각 보다는 작게 측정되었으나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횡측 사진을 이용한 측정법은 다른 방법들이나 단층 촬영을 이용한 방법과 상관관계가 없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단순 전후면 방사선 사진을 이용한 전향각의 측정은 공식을 이용한 방법이나 단순한 측정법 모두 높은 신뢰도와 재현성을 보여 임상적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횡측 사진에서의 측정치는 낮은 신뢰도를 보여 각도 측정에는 그 사용이 제한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icacies and the reliabilities of methods used to measure acetabular anteversion in plain radiographs. Materials and Methods: Three orthopedic surgeons measured prosthetic acetabular anteversions in three plain AP and three translateral radiographs of ten patients who underwent total hip arthroplasty. In each film, we measured anteversions three times using three methods in AP and a direct method in trans-lateral radiographs.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statistically with CT axial and planar anteversion measured by a radiologist. Results: All methods with plain AP film showed very low inter and intraobserver variances and correlated well with CT planar and axial anteversions. Although the data obtained from translateral radiographs were showed low variances, they did not correlate with those of the other methods. Conclusion: Simple estimation alone or mathematical methods can be reliably and reproducibly used to assess planar anteversion in a clinical setting. Data from translateral radiographs were unreliable and did not correlated well with the other methods, and they are not recommended for clinical use.

      • KCI등재후보

        증례 : 저분자량 헤파린 사용 중 구획증후군을 동반하며 발생한 근육내 혈종 1예

        최대희 ( Dae Hee Choi ),최동욱 ( Dong Wook Choi ),어수익 ( Soo Ik Awe ),유기형 ( Kee Hyung Rhyu ),김우진 ( Wook Jin Kim ),김용훈 ( Yong Hoon Kim ),조병렬 ( Byung Ryul Cho ) 대한내과학회 2005 대한내과학회지 Vol.69 No.-

        본 예는 신기능이 정상인 환자에서 외상 등의 위험이 없었으나 자발적으로 구획증후군을 동반한 근육내 혈종이 발생한 1예로 뚜렷한 위험인자가 없이 구획증후군을 동반한 경우는 국내에서 보고가 없었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Low-molecular-weight heparin (LMWH) has been considered theoretically superior to unfractionated heparin in several facts such as more effective anticoagulant, more predictable bioavailability, and less bleeding complications. In rare cases, LMWH is associated with spontaneous major bleeding complications. We report a case of LMWH, enoxaparin-induced spontaneous intramuscular hematoma with compartment syndrome in the left lower leg in a 79-year-old woman with atrial fibrillation. We used enoxaparin (1 mg/kg per 12 hours) as bridging anticoagulation before use of warfarin in patient with atrial fibrillation. At 3 days of used for enoxaparin, large and painful subcutaneous mass was noticed in the mid portion of left thigh in condition that had not intrmuscular injection or trauma. It was associated with pulseless in the left dorsalis pedis artery and pale and tingling sense in the left lower leg. We diagnosed large intramuscular hematoma by computer tomography and immediately and successfully treated patient with surgical removal of hematoma. (Korean J Med 69:S948-S951, 2005)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