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and survival of patients with double primary malignancies: breast and colorectal cancer

        이현도,이해원,박은정,강정현,백승혁 대한대장항문학회 2022 Annals of Coloproctolgy Vol.38 No.3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linicopathologic features and survival in patients with both breast cancer (BrC) and colorectal cancer (CRC). Methods: Between 1996 and 2019,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both BrC and CRC were evaluated retrospectively. Patients with distant metastasis, palliative resection, and previous cancer histories except for BrCs or CRCs were excluded. Altogether, 105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e B=C group (n=21), B-first group (n=40), and C-first group (n=44) according to the definition of synchronous and metachronous cancers. The clinicopathologic features and overall survival were evaluated. Results: TNM stages and histologic types were comparable among the 3 groups (P=0.434). The interval of diagnosis was 67.1±40.4 and 59.3±47.2 months in the B- and C-first groups, respectively. The incidence of adjuvant chemotherapy in the B-first group was 57.5%, which was higher than the B=C and C-first groups (P<0.001). The estrogen receptor, progesterone receptor, Ki-67, and HER-2 molecular marker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groups. The overall survival of the B-first group showed lower survival rates than the C-first group (P=0.039). In the logistic regression, HER-2 status (hazard ratio [HR], 11.9; P=0.032) and lymph node metastasis of CRC (HR, 5.8; P=0.036) were prognostic factors affecting overall survival. Conclusion: B-first group had poorer survival outcomes than the C-first group in patients with the metachronous BrC and CRC. HER2 positivity and CRC lymph node metastasis may be prognostic factors that affect overall survival in these patients. The findings support that a colorectal cancer screening program should be included during BrC surveillance.

      • KCI등재

        Rheological Characteristics of Waxy Rice Starch Modified by Carboxymethyl Cellulose

        이현도,유병승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9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Vol.24 No.4

        The effects of carboxymethyl cellulose (CMC) at different concentrations (0, 0.2, 0.4, and 0.6% w/w) on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waxy rice starch (WRS) pastes were evaluated under both steady and dynamic shear conditions. The flow properties of WRS-CMC mixtures were determined from the rheological parameters of power law and Casson models. All samples demonstrated a clear trend of shear-thinning behavior (n=0.33∼0.34), with a marginal difference shown between n values. The addition of CMC to WRS increased the apparent viscosity (ha,100), consistency index, and Casson yield stress values. The dynamic moduli [storage modulus (G’), loss modulus (G”), and dynamic viscosity (η*)] and ratio of G”/G’ values of WRS-CMC mixtures also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CMC concentration; the higher dynamic rheological properties observed at higher CMC concentrations may be attributed to an increase in the viscoelasticity of the continuous phase in the starch-gum mixture system. Dependence of ha,100 on temperature followed the Arrhenius model for all samples. The Cox-Merz rule was not applicable to WRS-CMC pastes with different CMC concentrations, demonstrating that there was a deviation between η* and steady shear viscosities for all samples. Therefore, the synergistic effect of CMC on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WRS pastes appeared to be the result of coacervation.

      • KCI등재후보

        글루포시네이트 암모늄 중독환자에서 경련 예측인자로서의 혈중 지질 농도의 유용성

        이현도,선경훈,김성중 대한임상독성학회 2017 대한임상독성학회지 Vol.15 No.1

        Purpose: Glufosinate ammonium (GA; phosphinothricin) can induce neurological complications such as altered mental status, amnesia, and convulsion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whether blood lipid profiles can help predict convulsions in patients with GA poisoning. Methods: This study was a retrospective review of data acquired at a tertiary academic university hospital from March 2014 to July 2016. Independent t-test, Mann-Whitney test and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of demographic and laboratory findings of 50 patients with GA poisoning were performed to identify correlations of general characteristics and laboratory findings, including blood lipid profiles of GA-poisoned patients between with and without convulsions. Results: Convulsion as a GA complication showed a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poison volume, age, white blood cell count, and creatine phosphokinase (CK), albumin, lactate dehydrogenase (LDH), low-density lipoprotein (LDL), and high-density lipoprotein (HDL) content in blood according to an independent t-test and Mann-Whitney test. However, ANCOVA demonstrated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LDL and triglyceride. Conclusion: Blood lipid profiles, especially serum LDL and triglyceride, were useful in predicting convulsions in patients with GA poisoning.

      • KCI등재

        질소비료수준과 재식밀도가 벼 품종의 엽형질에 미치는 영향

        李賢度,賓榮鎬 韓國作物學會 1988 한국작물학회지 Vol.33 No.4

        본 연구는 해양성 기후의 영향권인 경남 통영에서 재식밀도와 질소수준이 물질생산과 수용형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으며 225kg ha1, 150 kg ha1 두 질소수준을 주구, 삼강벼와 동양벼 두 품종을 세구 30cm 15cm, 30cm 12cm, 30cm 9cm 등 세 재식밀도를 세세구로 Strip split plot design으로 3반복 처리하여 엽위별 형태적 특성과 건물중, 생육후기 잔존 생엽수와 수량과의 관계를 구명하였던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가. 동진벼의 엽장은 질소수준에 관계 없이 4, 3, 2, 1엽의 순으로 삼강벼는 질소수준 150 kg ha1구에서는 3, 4, 2, 1엽, 225 kg ha-1 구에서는 4, 3, 2, 1엽의 순으로 길었다. 나. 150 kg ha1. N. 구에서 삼강벼의 제 1엽장은 동진벼에 비해 길었으나 2, 3, 4엽장은 짧았으며 225 kg ha1. N. 구에서는 1엽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2엽은 길고 3, 4엽은 짧았다. 다. 동진벼의 엽폭은 150 kg ha1. N. 구에서는 1, 2, 3, 4엽의 순으로 225 kg ha1구에서는 1, 2, 4, 3엽의 순으로 넓었으며 삼강벼는 질소수준에 관계없이 상위엽폭이 넓었고, 재식밀도간에는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라. 동진벼의 엽초장은 1, 4, 3, 2엽초, 삼강벼는 1, 2 ,3, 4엽초의 순으로 길었고, 동진벼는 다비구에서 재식밀도가 낮을 수록 상위엽초장이 길어졌으나 삼강벼는 유의적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마. 다비, 밀식됨에 따라 두 품종의 엽신, 엽초중이 증가되었으며, 삼가여의 1, 2엽신중은 동진벼 보다 높았으나 3, 4엽신중은 낮았다. 삼강벼는 2, 1, 3, 4엽, 동진벼는 3, 2, 1, 4엽 순으로 엽신중이 높았다. 다비구에서 두 품종의 상위엽초중이, 또 재식밀도의 증가에 따라서는 두 품종의 엽초중이 증가되었다. 바. 재식밀도가 증가할수록 잔존 생엽수는 감소되었다. 삼강벼의 잔존 청엽수는 동진벼에 비하여 제 5엽은 20%, 4엽은 20% 증대되었다. 잔존 청엽수는 질소수준 보다 재식밀도의 영향을 크게 받는것으로 나타났다. 사. 재식밀도와 질소수준이 증가할수록 증수되는 경향을 보였고 삼강벼는 동진벼 보다 30% 증수되었다. 단엽, 직립엽, 엽폭의 증대 그리고 잔존 생엽의 증가는 증수요인임이 확인되었아. 다비와 밀식은 미질에 다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였다. In order to find out the effects of nitrogen fertilizer and planting density on the leaf characteristics of high yielding cultivars of rice, Dongjin (Japonica type) and Samkang (Tongil type) were .grown under two nitrogen levels (150 and 250 kg N/ha) and three planting densities (30 ~times 15 cm, 30 ~times 12 cm, 30 ~times 9 cm. Leaf blade, sheath and dry weight of individual leaf. the number of green leaves after flowering were measured. Samkang was characterized as longer and wider leaf blade and sheath than Dongjin, less sensitive to nitrogen fertilizer and planting density, and higher proportions of green leaves after flowering. Thes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amkang caused an increase of grain yield by 30 per cent.

      • KCI등재

        보안관제 업무에 대한 평가지표 개발 연구

        이현도,이상진 한국정보보호학회 2012 정보보호학회논문지 Vol.22 No.5

        Currently, Many Cyber Security Centers(CSC) are established and being operated in our country. But, in the absence of indicators to evaluate activities of the Managed Security Service(MSS), We can't identify the CSC's level of overall job performance. Therefore, we can't derive strengths and weaknesses from the CSC. From these reason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n objective indicator to evaluate activities of the MSS. I studied both international and domestic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System(ISMS) as related standards(ISO/IEC 27001, G-ISMS). Moreover, I analysed the NIST Computer Security Incident Handing Guide and the Incident Management Capability Metrics(IMCM) of Carnegie Mellon Software Engineering Institute(SEI). The implications for this analysis and domestic hands-on experience are reflected in the research. So I developed 10 evaluation domains and 62 detail evaluation items.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our understanding the level of the CSC's job performance. 현재 많은 중앙행정기관, 지방자차단체 및 공공기관, 포탈 및 일반기업, 금융권 등은 사이버안전센터를 구축하여운영하고 있다. 기관 입장에서 보안관제 업무는 이제 구축 보다는 효과적인 운영이 중요시되고 있다. 하지만 보안관제업무를 평가할 수 있는 지표 및 제도가 없는 상황에서 사이버안전센터의 전체적 업무수행 수준을 파악할 수 없고 사이버안전센터별 강점과 약점을 도출하기도 어렵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보안관제 업무평가를 위한 지표를 개발함으로서 사이버안전센터의 업무수행 수준파악 및 향후 발전 방향 모색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기관의 정보보안 관리실태 평가를 수행함에 있어 보안관제 업무평가를 반영한다면 기관의 보안수준을 정확히 측정하여 체계적인 보안대책을 수립할 수 있다.

      • 탈수한 $Ag_{12-x}Na_x-A$(x :4, 6, 및 8)를 세슘 증기로 처리한 세가지 결정구조

        이현도,김은식,박종렬,김양,Lee, Hyun-Do,Kim, Un-Sik,Park, Jong-Yul,Kim, Yang 한국결정학회 1993 韓國結晶學會誌 Vol.4 No.2

        Ag+ 이온이 부분적으로 치환된 3가지 제올라이트 A(Ag4Na8-A, Ag6Na6-A 및 Ag8Na4-A)를 완전히 탈수한 후 280℃에서 24시간동안 약 0.1 Torr의 Cs중기로 처리하 였다. 이들의 결정구조는 22(1)℃ 노에서 입방공간군 Pm3m (단위세포상수 a가 각각 12.321(3) A, 12.295(1) A 및 12.380(7) A임)을 사용하여 단결정 X-선회절법으로 해석 하였다. 이들 세가지 구조에서 Cs+이온은 각각 서로 다른 4개의 결정학적 위치에서 발견되었다. 단위세포당 3개의 Cs+이온은 8-링 중심에 위치하고, 약 6.9-7.3개의 Cs+이온 은 큰 동공의 6-링과 마주보는 위치에 있는 3회 회전축상에서 발견되었다. 그리고 약 2.17-2.74개의 Cs+이온은 소다 라이트 동공내에서 발견되며 약 0.5-1.0개의 Cs+'이온은 4링과 마주보는 곳에 위치한다. 또한 이들 구조에서 단위세포당 각각 1.88(5),2.30(3) 및 5.28(10)개의 Ag종이 존재하며 이들은 큰동공의 중심에서 헥사실버 클러스트를 형성한다. 8-링위치가 Cs+이온으로 모두 차있어서 Ag0가 골조밖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각각의 헥사실버 클러스터는 서로 다른 좌표에 위치하는 14개의 Cs+이온에 의해 안정화된다. 이들 구조에서 발견되는 약 12.35-13.49개의 Cs+이온들은 Cso의 흡착이 일어나 제올라이트 기본 골 격에 있는 음이온 전하와 균형을 맞출 수 있는 12개의 Cs+ 이온 이상의 이온 또는 원자로 존재하고 있다. Cs+의 배열 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배열로 쉽게 설명할 수 있다. 일부는 2개의 Cs+이온이 소다이트 동공내에 있는 6-링과 마주보는 곳에 위치하고 큰동공내에는 6개의 Cs+이온이 6링 근처에 위치하며 1개는 4-링 근처에 위치한다. 그 나머지는 소다라이트 동공내에 위치하는 3개의 Cs+이온과 한변의 길이를 3.52 A로 갖는 삼각형을 형성한 후 6-링을 통 하여 큰 동공 내에 위치한 3개의 Cs원자와 결합하게 되므로 3m (C3v)의 대칭구조를 갖는 (CS6)4+클러스터를 형성한다. 그 밖의 5개 Cs+이온은 비어있는 큰동공의 6-링에 위치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