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염흥열(Heung-Youl YOUM) 한국정보보호학회 2013 정보보호학회지 Vol.23 No.4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PIMS: Personal Information/privacy Management System)는 개인정보에 특화해 기업이 고객들의 개인정보를 보호 활동을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체계를 지칭한다. 기업에 의해 다양한 개인정보가 수집되어 이용되고 있고 비즈니스 목적의 개인정보 국외 이전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글로벌 차원에서 합의된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의 국제 표준화된 지침 (관리 프로세스 요구사항과 리스크를 관리하기 위한 보호대책) 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국제표준에 근거한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를 위한 기준은 국경을 넘어선 개인정보의 이전을 가능케 하는 기반을 제공하며, 이 기준을 이용하면 국가별로 다르게 운영되고 있는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에 대한 국가간 상호 인정도 가능케 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정보보호관리체계와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의 주요 특성을 살펴보고, 두 체계 간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식별하며, 개인정보관리체계의 운영을 위한 국제 표준 구성 요소를 제시한다. 또한, 한국 주도로 추진 중인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 지침을 위해 2011년 8월 이후 ITU-T SG17과 ISO/IEC JTC 1/SC 27에 의해 추진되고 있는 지금까지 국제 표준화 추진 경과 사항을 살펴보고, 향후 표준화 전망을 제시한다.
정보보호담당자의 역할이 조직의 정보보호수준에 미치는 영향
최동근(Dong-Keun Choi),송미선(Mi-Sun Song),임종인(Jong In Im),이경호(Kyung-Ho Lee) 한국정보보호학회 2015 정보보호학회논문지 Vol.25 No.1
조직 내의 정보보호에 대한 이슈는 최근에 와서야 조직의 리스크로 인지되기 시작하였다. 정보보호 사고로 인하여 정보보호책임자 뿐만 아니라 대표, 임원 및 개인정보책임자까지 사임하거나, 기업에 커다란 금전적 피해와 회복하기 어려운 대고객 신뢰 등에 막대한 악영향을 초래하였다. 특히 개인정보 유출사고가 조직내 미치는 영향이 기업의 생존 문제로까지 인식되고 있는 이때에, 조직의 정보보호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여러 가지 방안 중 정보보호 담당자의 역할과 업무수행이 어느 때보다 크게 부각되고 있으며, 이들 정보보호 담당자가 조직의 정보보호 수준에 얼마나 영향을 끼치는지 본 연구를 통하여 파악코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내 정보보호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조직 내 정보보호 담당자의 보안전담 업무수행 비중과 조직의 정보보호 수준 등 현상을 파악하고 이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영향도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기업내 정보보호 담당자의 보안업무비중을 전담 또는 크게 비중을 높임으로써 조직의 정보보호 수준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The issue of information security within an organization began to be recognized as risk of the organization. Because of this, not only ISO(Information Security Officer) but an executive or CEO were forced to resign. In addition, it brought about heavy financial damage to the company and made the company difficult to restore trust to customers. At a time when inadvertent disclosure of personal information has become accepted as a matter of survival because of having a bad effect within an organization, how the information security specialist causes influence on information protection level of the organization. For these reasons, targeting the information security specialists of various industry sectors, we"ll analyse how task performance rate of the information security specialist within an organization cause influence to the information security level. The goal of this study is for the company to raise the task proportion of information security specialist and to improve the information protection level of the organization.
최명길(Choi Myeonggil),김세헌(Kim Sehun) 한국정보보호학회 2007 정보보호학회지 Vol.17 No.4
정보보호는 지난 세기에 걸쳐서 많은 발전을 이룩하여 왔다. 정보보호의 패러다임은 메임프레임을 기반으로 하는 제1세대, 정보보호관리를 중심으로 하는 제2세대, 제도화를 중심으로 하는 제3세대를 걸쳐 정보보호 가버넌스를 중심으로 하는 제4세대 이르러고 있다. 본 고는 정보보호의 패러다임의 변화를 살펴봄으로 향후에 전개될 정보보호 발전 양상을 고찰하고, 정보보호 패러다임의 혼재로 나타나고 있는 최근 정보보호 동향을 살펴본다.
정보통신망법 개정에 따른 기업 정보보호 제도 현황 및 정보보호 관리체계의 인증기준 비교
김환국(Kim Hwan Kuk),고규만(Ko Kym Man),이재일(Lee Jae Il) 한국정보보호학회 2013 정보보호학회지 Vol.23 No.4
최근 사이버공격은 지능화, 대규모화되고 있는 반면, 경기침체 등으로 인해 기업의 정보보호 투자가 저조하고 인터넷 침해사고 예방활동이 미흡한 실정이다. 정부는 취약한 기업의 정보보호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정보보호 안전진단 제도를 폐지하고 정보보호 관리체계(ISMS) 인증제도로 일원화하였으며, ISMS 인증기업을 대상으로 한 정보보호 관리등급제, 정보보호 사전점검, 임원급 정보보호 최고책임자(CISO) 지정 등 신설하였다. 본 고에서는 개정 정보통신망법에 따라 신설ㆍ보완된 기업 정보보호 관련 제도현황과 변경된 정보보호 관리체계 인증기준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 다.
박순태(Soon-Tai Park),박준형(Jun-Hyung Park),노봉남(Bong-Nam Noh) 한국정보보호학회 2009 정보보호학회지 Vol.19 No.1
증가하는 인터넷 해킹사고와 전자정부의 확산 등으로 정보보호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하고 있으며, 산업체 또는 정부에서 정보보호를 담당하는 인력의 수요가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정보보호 인력 양성의 방법으로 정보보호 관련 정규과정에 의한 방법이 아닌 정보보호 자격 검정에 의한 방안을 다룬다. 국외의 공인정보시스템보안전문가(CISSP), 공인정보시스템 감사사(CISA) 및 국내의 정보보호전문가(SIS) 등 국내외 3개의 정보보호 자격에 대한 비교연구를 통하여 정보보호전문가 자격제도의 발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국내 정보보호 교육 표준 프레임워크 개발; 연령 및 직무 맞춤의 이원화(Two-track)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박민정(Minjung Park),이기혁(GI Hyouk Lee),채상미(Sangmi Chai) 한국정보보호학회 2021 정보보호학회논문지 Vol.31 No.5
최근 사용자의 인터넷 의존성 증가와 각종 IT 디바이스의 보급과 확산에 따라, 과거에 비하여 개인 생활 전반에 정보보호가 미치는 영향력이 확대되었다. 이와 더불어 보안을 위협하는 침해 요인들이 지속적으로 복잡, 다양해지고 가짜뉴스 확산, 온라인 신분 도용, 사이버 불링 등을 비롯한 개인의 안전한 온라인 환경을 위협하는 요소들이 사회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정보보호 전문 인력 양성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나아가 기업의 정보보호 업무 종사자 이외에 사회의 모든 구성원이 정보보안의 위협에서 자유로울 수 없게 됨에 따라, 개인의 정보보호에 대한 인식 제고와 자발적인 정보보호 행동을 유도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보호 교육 과정의 마련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국내·외 정보보호 교육 과정의 현황과 특징에 대하여 분석한다. 이를 통하여 정보보호 교육필요성과 교육 체계 수립의 전략을 모색하여 본 연구에서는 국내 환경에 적용 가능한 정보보호 교육 표준 프레임워크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는 개인의 정보보호 인식과 지식 수준을 제고하여 국내 정보보호 전문 인력 양성과 더불어 개인과 조직, 사회 전반의 정보보안 수준을 향상시켜 국가 경쟁력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With the recent increase in users’ dependence on the Internet and the spread of various IT devices, the influence of information security on the users’ has expanded compared to the past. Therefore, it is expected to have an increased influence on information security in personal life. In addition, as the intrusion factors that threaten security continue to become more advanced and diversified (eg., fake news, cyberbullying, identity theft), the need for nurturing information security experts is increasing. Furthermore, not only corporate information security workers, but also all individuals, cannot be free from the threat of information secur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pare various information security education to improve information security awareness and induce proactive information security behaviors. In this study, characteristics of domestic and foreign information security education courses are analyzed and provide a standardized framework for information security education applicable to the domestic environment.
정보보호제품 품질평가를 위한 품질 모델 및 메트릭에 관한 연구
윤여웅(Yeo-Wung Yun),이상호(Sang-Ho Lee) 한국정보보호학회 2009 정보보호학회논문지 Vol.19 No.5
정보보호제품 사용자는 보안성과 성능을 포함한 좋은 품질의 정보보호제품을 요구하고 있으나 정보보호제품에 대한 품질평가는 물론 다양한 정보보호제품의 품질을 평가하기 위한 품질 모델과 정보보호제품별 메트릭에 대한 연구가 전무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정보보호제품을 3가지 제품군으로 분류하고, 다양한 정보보호제품이 가질 수 있는 보안성과 성능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정보보호제품의 보안성과 성능이 고려된 품질 모델을 새롭게 정의하였고 정의된 품질모델은 7개의 품질 특성과 24개의 품질 부특성을 가진다. 또한, 정보보호제품의 품질평가에 사용가능한 62개의 공통 메트릭과 45개의 확장 메트릭으로 구성하고 특정 정보보호제품의 품질평가 메트릭을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메트릭 생성 방법은 다양한 정보보호제품에 적용할 수 있도록 메트릭의 확장이 가능하며, 침입차단시스템, 침입탐지시스템 및 지문인식시스템에 대한 품질평가 메트릭을 생성하고 검증하여 다양한 정보보호제품에 적용가능함을 보였다. While users of information security products require high-quality products that are secure and have high performance, there are neither examples for evaluating the quality of information security products nor studies on the quality model and metrics for the quality evaluation. In this paper, information security products are categorized into three different types and the security and performance of various information security products are analyzed. Through this process and after consideration of information security products' security and performance, a new quality model that possesses 7 characteristics and 24 sub-characteristics has been defined. In addition, metrics consisting of 62 common and 45 extended metrics that can be used to evaluate the quality of information security products are introduced, and a proposition for a method of generating the quality evaluation metrics for specific information security products is included. The method of generating metrics proposed in this paper can be extended in order to be applied to a variety of information security products, and by generating and verifying the quality evaluation metrics for firewall, intrusion detection systems and fingerprint systems it is shown that it applicable on a variety of information security products.
COBIT 프레임워크를 활용한 정보보호 성숙도 측정에 관한 연구
조희준(Hee-Joon Cho),박성갑(Sung-Kap Park),민대환(Dae-Hwan Min) 한국정보보호학회 2013 정보보호학회지 Vol.23 No.4
정보보호의 중요성으로 공공기관이나 일반 기업은 정보보호관리체계를 수립, 운영하고 있거나 정보보호 활동을 하고 있다. 하지만 정보보호관리체계나 정보보호 활동에 대한 성과측정이 불명확한 기준을 가지고 있거나 명확한 기준이 없는 것이 현실적인 문제점이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적절한 성과측정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현재의 정보보호 수준을 올바르게 측정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성과개선을 하기에도 어려운 실정이다. COBIT 프레임워크의 정보보호 성숙도 모델을 활용하여 정보보호 거버넌스 관점과 연계함으로써 정보보호 성과에 대한 측정지표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정보보호 성과에 대한 측정지표를 활용함으로써 현재의 정보보호 수준을 파악하고 나아가서 정보보호 수준을 개선하고자 하는데 이 연구의 의미를 두고 있다.
박춘식(Park Choon-Sik) 한국정보보호학회 2010 정보보호학회지 Vol.20 No.1
정보화의 진전에 따라 기업의 정보화도 급속하게 추진되고 이에 따른 역기능인 정보보호 문제도 함께 고려해야 하는 실정이다. 특히 개인 정보 유출, 영업 영보 누설, 기업 내부 핵심 기술 유출 등은 현재 중소기업이 직면하고 있는 문제이며 대기업으로 부터의 위탁 업무를 수행하거나 자체 업무를 위해서도 정보보호 대책을 마련하지 않으면 안 되는 상황임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러나 많은 통계나 보고 자료에서 알려진 바와 같이 자금 면이나 인력 면 등에서 중소기업이 정보보호 대책을 수립하고 이를 구현하여 운영하는 것은 여러 면에서 어려운 것 또한 사실이다. 이러한 중소기업의 실정을 고려하여 우리나라에서는 2006년도 정보보호진흥원(현재 한국인터넷진흥원)에서 중소기업을 위한 정보보호 가이드라인을 발행하여 중소기업의 정보 보호 대책을 수립하는 등 중소기업의 정보보호 대책을 위한 많은 지원을 해 왔다. 우리나라와 유사한 환경에 있는 일본에서도 최근 중소기업 정보보호 대책 가이드라인을 발행하였다. 이에 본고에서는 국내 중소기업 정보보호 대책 수립과 지원에 참고하고자 2009년도에 발행한 일본 중소기업 정보보호 대책 가이드라인을 소개하고 시사점을 살펴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