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慶州淨惠寺址十三層石塔의 樣式과 特徵

        이순영 동악미술사학회 2012 東岳美術史學 Vol.0 No.13

        The stone stupa of Jeonghyesa temple site is a representative deformed stupa of the Unified Silla period which set the height of the underpinning high and piled up 13-story in density type. This is the unique style in Korea. Though it takes attraction for its unique style, no review on style and foundation period were studied. This study attempted to review style origin, feature and founding period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speculated the artistic significance of the stone stupa. As to style, it reflects wooden structural character in the underpinning in the 1st story with dense piling style of 13-story. Such looks to be originated from the multi-story wooden stupa in China and the style origin can be found in the 13-story wooden stupa in Danjanjinja of Japan, an existing dense piling type wooden stupa. And Mangdeoksa Temple, a temple related to Tang once had 13-story wooden stupa, which indicates that the stone stupa of Jeonghyesa temple site was made in the process of receiving dense piling type multi-story wooden stupa. The character of Jeonghyesa temple was indirectly figured outs ‘Jeonghyesa’ is an important concept to get awareness in Seonjeong and Wisdeom. And the 13-story is not a simple number, but an important concept indicating Sakyamuni. Meanwhile, it is thought that the stone stupa of Jeonghyesa temple site was recognized as the stupa style of Tang like the wooden stupa of Mangdeoksa temple site and it is estimated that the stupa style of Tang seemed to be received by people from Tang according to the record of 『Donggyeongtongji』and the stupa was found by artisans of Silla. Currently, the stylobate of the stone stupa was not recognized for its original form but it is estimated that it must have narrow single-story stone stylobate compared with the stupa in Japan or China. And the founding period was known to be 8~9 centuries but it is estimated to be found in the late 8century considering the foundation record of Jeonghyesa in Donggyeongtongji』, the structural method of 1st story underpinning with separate stone, an ancient style of applying wooden stupa, an abbreviation of Guimaru and edge of Guimaru, tidy pile up of subsidiary material etc. Finally, it is significant that it is the only stone stupa showing direct relation of arts in Silla with arts in Tang. And, considering it has common style with three-story stone stupa in Guisinsa temple in Gimje which is a Baikje style stupa, it gives a clue to review the founding period of Baikje style stone stupa. 통일신라시대의 대표적인 이형석탑으로 잘 알려진 정혜사지 석탑은 1층 탑신의 높이를 크게 설정하고 밀첨식으로 13층의 탑신을 올린 양식으로 국내에서는 유일한 양식이다. 이처럼 특이한 조형으로 인해 그 동안 주목받아 왔지만, 양식고찰 및 건립시기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검토된 적이 없다. 이에 현재까지의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정혜사지 석탑의 양식 연원과 특징, 건립시기 등을 살펴보고 정혜사지 석탑의 미술사적 의의에 대하여 고찰해 보았다. 정혜사지 석탑의 양식적 특징은 1층 탑신부는 목조건축적 특징이 강하게 반영되어 있으며 1층이 강조되고 13층의 밀첨식 양식을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양식의 연원은 중국의 다층 밀첨식 목탑을 따른 것으로 생각되며 현존하는 밀첨식 고층 목탑인 일본 단잔진자 13층 목탑을 통해서 양식 연원의 흔적을 찾을 수 있었다. 그리고 당과 연관있는 사찰인 신라의 망덕사에도 13층 목탑이 건립되었던 것으로 미루어 정혜사지 석탑은 밀첨식 다층 목탑을 석탑으로 번안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定慧’의 사명 역시 불교에서 禪定과 智慧를 어우르며 개달음을 얻기 위해 반드시 갖춰야 할 중요한 개념임을 통해 정혜사의 성격을 간접적으로 파악해 보았다. 그리고 13층의 층수 역시 단순한 다층의 개념이 아니라 여래를 상징하는 숫자로서 중요한 개념이다. 한편, 정혜사지 석탑이 망덕사지 목탑과 같이 당의 탑파 양식으로 인식되었을 것으로 생각하였으며『동경통지』의 기록을 통해 정혜사지 석탑 역시 당에서 건너온 사람들에 의해 당의 탑파 양식이 전해졌으며 자생적으로 신라의 장인에 의해 건립되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현재 정혜사지 석탑의 기단부는 원형을 알 수 없는 상태이나, 동일 양식을 보이는 중국과 일본의 탑파와 비교하여 옥개석보다 폭이 좁은 단층의 석조기단부가 존재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그리고 정혜사지 석탑의건립시기는그동안8~9세기무렵으로알려져왔으나『, 동경통지』의정혜사창건기록과1층탑신부에서 별석으로 결구하는 방식, 목탑을 충실히 번안한 고식을 보이는 점, 귀마루 표현 및 귀마루 끝부분이 생략된 점, 부재의 정연한 치석 상태 등을 통해 8세기 후반 경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정혜사지 석탑은 신라의 불교미술이 당의 불교미술과 연관관계가 있었음을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현존하는 유일한 석탑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또한 백제양식석탑으로 알려진 김제 귀신사 삼층석탑과 공통된 양식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볼 때, 백제양식석탑의 건립연대를 재검토해 볼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해 준다는 점에서 미술사적 의의가 있다고 생각된다.

      • KCI등재후보

        사출성형 중 달무리 현상에 의한 불량에 대한 분석

        이순영,박은민,김도훈,김용철,양철승,진경민,김선경 한국금형공학회 2019 한국금형공학회지 Vol.13 No.4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halo surface defection of various phenomenon occurred during the injection molding process which is caused by the thinning of the product thickness and the importance of the appearance. Surface analysis was performed to observe the difference between the surface where defects appeared and the surface which did not appear. Based on these results, we analyzed the phenomenon of halo surface defects was caused by unstable flow of resin generated in injection molding and velocity change of flow front. Furthermore, we will conduct a clear analysis of halo surface defects through observations through optical microscopy and subsequent observations with atomic force microscope. It has been analyzed that halo in PP is due to the rheological difference between the crystalline and amorphous regions while that in PC/ABS is due to shear separation of PC and ABS.

      • SCOPUSKCI등재

        국민건강진단조사(National Health Examination Survey) 내용선정에 관한 연구

        이순영,김혜경,박주원,신승수,Lee, Soon-Young,Kim, Hae-Kyung,Park, Ju-Won,Shin, Seung-Soo 대한예방의학회 1998 예방의학회지 Vol.3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ajor health components and measurements to be conducted in National Health Examination Survey(KNHES). The prevalence and severity of disease, acceptability of population and the possibility of standardization of measurement were considered as guideline for selecting the components. On the base of magnitude and severity of disease, chronic liver disease, hepatic cancer, gastric ulcer, stomach cancer, essential hypertension, cerebrovascular disease, ischemic heart disease, pulmonary tuberculosis, lung cancer, DM, breast cancer, cervical cancer, arthritis and intervertebral disc disorder were selected as the preliminary target diseases. Questionnaire survey for 648 persons in 'K' city and medical specialists in five clinical societies were conducted for evaluation the acceptability of general population for the measurements and the possibility of standardization for the procedures. In conclusion, the major target diseases were chronic liver disease, hypertension and DM and the total cholesterol, high density lipoprotein, triglyceride, total protein, albumin, hemoglobulin, hematocrit, platlet count, anti-HBs, HBsAg, height and weight were selected for basic physical components.

      • KCI등재
      • KCI등재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초등 저학년생의 쓰기 능력 발달에 대한 종단 분석

        이순영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19 리터러시 연구 Vol.10 No.5

        본고는 초등 저학년생의 쓰기 발달 양상을 종단적으로 분석한 실증 연구이다. 이 연구에는 서울과 전주의 초등학생 349명이 참여하였고, 2015년부터 2017년까지 총 6학기 동안 학생들이 작성한 설명글을 분석하여 기초 통계치를 추출하고 잠재성장모형을 검증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네 가지이다. 첫째, 초등 저학년의 6학기 동안 학생글의 쓰기 유창성, 표기 정확도, 질 점수는 모두 지속해서 향상되었으며, 특히 2학년 2학기(4학기)의 변화가 가장 컸다. 둘째, 학생들의 쓰기 능력에 대한 잠재성장모형을 분석하여 선형 모형을 도출하였다. 초등 첫 학기의 쓰기 능력은 4.054점(초기값)이었고, 학기별로 0.718점의 변화량이 예측되었다. 셋째, 초등 첫 학기의 쓰기 능력은 읽기 능력, 읽기 태도, 쓰기 태도, 받아쓰기 능력의 영향을 두루 받으나, 이후 쓰기 능력의 변화에는 읽기 능력만이 유의한 영향 요인이었다. 넷째, 초등 저학년의 쓰기 능력에서 가장 비중이 큰 요인은 글의 질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study examined the longitudinal changes in elementary lower graders’ writing abilities. Expository writings written by 349 students in Seoul and Jeonju were collected for 6 semesters. This study first found that fluency, accuracy, and the quality of students’ writing were all improved continuously, and especially the change of 4th semester was the greatest. Second, the trace of students’ writing development was a linear model with 4.054(the intercept) and 0.718(the slope value). Third, writing ability in the first semester was influenced by reading ability, reading attitude, writing attitude, and dictation ability, but only reading ability was a significant influence factor in subsequent changes in writing ability. Finally, the quality of writing was the most powerful factor in writing abilities of elementary lower grad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