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제강점기 불교회화 인식과 우현 고유섭

        최엽 동악미술사학회 2022 東岳美術史學 Vol.- No.32

        As the first and only aesthetics and art history major at Gyeongseong Imperial Universit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Woo-hyun Go Yoo Seob had already decided to study Buddhist art history during his college years and had been steadily striving toward that goal ever since graduation. It is very meaningful that his first paper published after his undergraduate studies was “A Study on the Gilt Bronze Maitreya”, a Buddha statue represent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Since then, he studied with interest in various fields such as architecture, painting, and crafts but he achieved particularly remarkable results in his study of Buddhist pagodas.『The Study on the Joseon Pagodas』remains an important work until this day, outlining the various pagodas scattered across the country by era, deriving the style and formativeness of each era, and discussing those in a historical context. Furthermore, even after Go Yoo Seob had been appointed director of the Kaesong City Museum, he spent a long time thoroughly exploring ancient literature to fill the gaps in Korean art history, where few relics have been preserved. Based on this, he gradually restored the history of art in each field. He constantly tried to find a methodology for studying Korean art history with a critical awareness about Joseon art history written by foreigners. Before modern times, Buddhist cultural properties were created and recognized as objects of worship or for religious splendor. However, as they began to be re-considered as works of "art" in the modern era, Buddhist artworks such as Buddha statues were exhibited in museums and art galleries, and they were also subject to appreciation, collection, or sale. Go Yoo Seob particularly devoted himself to this field of Buddhist art, seeking a distinct methodology for Joseon's art history and trying to derive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Joseon art, rather than simply adopting Western methodologies for his new field of study. It is very significant that he thoroughly explored Korea’s old literature, examined and restored Buddhist artworks that were mentioned only in fragments in a historical context, and emphasized their importance in the history of Korean art. 우현 고유섭은 일제강점기 경성제국대학 최초이며 유일한 미학·미술사 전공생으로서 대학시절 이미 불교미술사의 연구를 결심하였고, 졸업 이후 꾸준히 그 목표를 향해 정진하였다. 그가 학부 졸업 후 쓴 첫 논문이 삼국시대를 대표하는 불상을 주제로 한 「금동미륵반가상의 고찰」이라는점은 매우 의미 깊다. 이후 그는 건축, 회화, 공예 등 다양한 분야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였고, 특히 불교 탑파의 연구에 있어서는 기념비적 성과를 남겼다. 전국에 산재한 탑들을 시대별로 개관하고 시대별 양식과 조형성을 도출하여 史的 맥락에서 논의한 『조선탑파의 연구』는 현재에도 중요한저술이다. 또한 고유섭은 개성 박물관장으로 부임하고 나서도 연구를 위해 꼼꼼한 현장 답사는 물론이고 현전하는 유물이 적은 우리 미술사의 공백을 채우기 위해 오랜 시간 동안 철저하게 고문헌들을탐독하여 이에 근거하여 차근차근 각 분야의 미술사를 복원해나갔다. 그는 외국인들이 쓴 조선미술사에 대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우리 미술사를 연구하기 위한 방법론을 모색하고자 끊임없이 시도하였다. 고유섭의 연구 중 불교회화 분야는 매우 희소하다. 단독으로 불교회화를 주제로 한 글은 조선후기의 선묘불화인 「거조암 불탱」이 유일하다. 그러나 그가 고려시대의 회화 흔적을 논한 글인 「고려 화적에 대하여」에서 종교화를 따로 언급하며 당시로서는 거의 알려지지 않고 실물도 영세한 고려불화에 대해 중요한 문헌자료들을 소개하며 나름의 개관을 하고자 하였고 이는 역시 지금도 유효하고 귀중한 내용이다. 현전하는 유물들만을 중심으로 서술한 외국인이 쓴 조선미술사와 달리, 고유섭은 문헌 기록들을 통해 고려 불교회화의 미술사적 복원을 시도한 것이다. 물론 당시 그의불교회화를 다룬 글은 일제강점기라는 당시의 시대 상황과 역사관점의 영향이 엿보이기도 한다. 근대 이전에는 불교문화재들이 예배대상으로, 혹은 종교적 장엄을 위한 것으로 제작되고 인식되었지만, 근대기로 들어서면서 새롭게 ‘미술’의 영역으로 재인식되기 시작하면서 박물관·미술관에서 불상 등 불교미술품이 전시되기도 하였고, 감상의 대상이 되거나 수집과 매매의 대상이 되기도 하였다. 고유섭은 특히 이러한 불교미술 분야에 매진하며 신생 학문의 서구적 방법론에만 매몰되지 않고 조선의 미술사를 위한 방법론을 모색하였고 조선미술의 특징을 도출하려 하였다. 그가우리 옛 문헌 자료들을 철저히 탐독하여 단편적으로만 언급되었던 불교미술품들을 역사적 맥락하에 총체적으로 살펴보고, 복원하고, 한국미술사에 있어서 그 중요성을 부각시킨 점은 큰 의미가있다.

      • KCI등재

        후백제와 태봉 불교석조미술품의 특징과 영향

        진정환 동악미술사학회 2020 東岳美術史學 Vol.0 No.27

        후백제와 태봉이 각각의 국체를 가지고 있었던 만큼 이것이 문화에도 영향을 끼쳐 각국의 독 특한 문화 특질을 형성하였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그러함에도 지금까지의 연구는 이 시기를 ‘羅末麗初’ 곧 ‘신라 말~고려 초’라는 모호한 시기로 부르면서 불러왔다. 후삼국기의 문화적 독자 성을 부정하고 단순히 통일신라 문화의 연속으로 치부하려는 경향이 짙었다. 다만, 최근 들어서 불교미술 연구 분야에서 후백제와 태봉을 구분하여 그 특징을 살펴보려는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어 상당히 고무적이다. 본 논문은 불교석조미술 관련 연구 성과를 바탕으 로 후삼국기 후백제와 태봉의 문화의 특징이 무엇이었는지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우선 후백제와 태봉으로 나누어 정권과 밀접한 대표적인 불교석조미술품들이 무엇들이 있으며, 그 특 징은 무엇인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아울러, 후백제와 태봉의 불교석조미술품이 후대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가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후삼국기의 이 두 국가는 각각 백제와 고구려의 계승을 내걸었음에도, 時空의 한계로 신라 하 대 불교미술을 기반으로 할 수밖에 없는 한계를 보인다. 그러함에도 두 나라는 나름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불교석조미술품을 만들었다. 두 나라의 이러한 불교석조미술품은 고려시대에도 영향을 끼치는데, 후백제지역에서는 견훤에 의해 자각한 백제귀소의식의 발현으로 백제 복고양식 석탑과 석불이 조성되었다. 반면, 태봉지역에서는 미륵불로서 궁예가 각인되어, 몽골 침입과 같은 어려움 을 겪었을 때 소위 ‘궁예미륵’이 등장한다. Hubaekje and Taebong each had a state system, thereby presumably creating cultural influences so as to help various states form their own unique cultures. Nonetheless, the period of these two states was classified as the late Silla to early Goryeo period, making it an ambiguous period. Such viewpoint tends to deny the unique culture of the Later Three Kingdoms period and regard it as an extension of the Unified Silla culture. In recent years, however, attempts have been made in the research field of Buddhist art to separate Hubaekje and Taebong from the defined period to examine their characteristics. Such effort is very encouraging.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Hubaekje and Taebong in the Later Three Kingdoms perio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of Buddhist stone art works. To that end, first, Hubaekje and Taebong were each examined to determine their respective Buddhist stone art works crafted in close relationship with the prevailing political powers at the time as well as their characteristics. How Hubaekje and Taebong Buddhist stone art works influenced the subsequent generations was examined as well. The two states in the Later Kingdoms period each claimed to inherit Baekje and Goguryeo; due to time and space limitations, however, they only limited their Buddhist art base to the Buddhist art of the second-half period of Silla. Nonetheless, the two states crafted Buddhist stone art works representing their own identity. Their Buddhist stone art works influenced the Goryeo period such that, in the Hubaekje region, an awareness of returning to Baekje -- initiated by Gyeonhwon -- was raised; thus resulting in crafting Baekje retro-style stone pagodas and stone Buddhas. On the other hand, in the Taebong region, Gungye was believed to be Maitreya Buddha. Thus, when the state underwent difficulties such as Mongolian invasions, the so-called Gungye Maitreya emerged.

      • KCI등재

        羅庵 張忠植의 불교미술 연구

        정우택 동악미술사학회 2015 東岳美術史學 Vol.0 No.17

        장충식 선생은 그다지 길지 않은 연구기간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불교미술사전반에 걸친 많 은 글들을 남기었다. 장충식 선생은 기본적으로 미술 작품이란 단순한 물질이아니라 종교, 사회, 경제, 정치 등 당시의 모든 상황이 만들어낸 시대적 산물이라 인식하였다. 장충식 선생은 불교미술 전 분야에 걸쳐 관심을 가졌고 개별 작품의 고찰은 물론 교리적 배경과 영향 그리고 도상과 양식의 변화에 대하여도 구체적으로 언급하였다. 특히 그는 석탑 또는 사찰의 구조처럼 현장을 직접 확인하여야하는 힘겨운 작업에 적극적이었으며 무엇보다 도 삼국유사, 비문 등 문헌과 문자 자료의 탐색과 복원 노력이 놀라웁다. 즉, 장충식 선생 은 끊임없이 현장을 찾아 실물을 확인하는 실증적 연구 방법론의 필요성을 이미 실천하고 있었다. 이는 불교미술 연구의 기본은 양식변천의 외적 탐구에만 머물 수 없다는 인식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장충식 선생은 불교미술은 교리를 바탕으로 형상화되는 것으로 도상학적 탐구가 필요하며 나아가 예술적 가치 즉, 양식의 규명 또한 미술사의 기본임을 지적하였다. 그러나 장충식 선생은 도상이란 국가, 시기, 민족의 미적 감각과 신앙의 형태에 따라 변용을 가져오기 때문에 자칫 본래의 의미가 잘못 전달되거나 이해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다고 하였다. 장충식 선생은 실물자료의 부족으로 인한 미술사연구의 어려움을 특히 금석문자료를 통하 여 해결하고자 노력하였다. 그의 해박한 한문 해독 능력과 난해한 불교적 어의의 해석과 정확 성만큼은 지금도 어느 누구도 흉내조차 낼 수 없을 만큼 탁월하였다. Professor Jang Chung-sik wrote many articles on the history of Buddhist art in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research. Essentially, he viewed Buddhist artworks as the products of a given period created by the prevailing religious, social, economic, and political circumstances, rather than as mere objects. Professor Jang had an interest in every area of Buddhist art. He studied individual artworks, delved into the religious background and its influence, and further examined changes in iconography and style. Especially, he did not shy away from arduous work such as ascertaining the structure of stone pagodas or temple buildings firsthand. He also made amazing efforts in exploring written materials such as Samguk yusa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1281) and epitaphs. He applied the method of demonstrative research into practice, incessantly ascertaining objects firsthand. Such an approach was based on the idea that research on Buddhist art cannot be limited to the level formal analysis and stylistic changes. According to Professor Jang, Buddhist art is based on religious belief, and as such requires iconographic exploration. He further argued that defining artistic value of objects, and stylistic investigation are basic tasks for scholars engaged in the study of art history. On the other hand, he pointed out that iconography can be misunderstood or incomprehensible since it is transformed by factors such as government, aesthetic sensibility, or form of religion of a given time. Professor Jang Chung-sik strived to solve the problems related to research in art history due to a lack of real objects by examining epigraphs. He displayed a wonderful ability in interpreting Chinese classics and inscrutable Buddhist thoughts in an inimitable way.

      • KCI등재

        後百濟 佛敎美術의 特徵과 性格

        진정환 동악미술사학회 2010 東岳美術史學 Vol.0 No.11

        지금까지의 後百濟佛敎美術에 대한 논의는 王宮里五層石塔出土品, 後三國期地方化된 佛像, 百濟系 石塔에만 머물렀다. 이러한 논의의 대부분은 후백제 불교미술품의 土俗的性格을 부각시키는데 중점을 두었다고 할 수 있다. 이번 고찰은 후백제 불교미술을 대표할 만한 왕실 발원의 불사가 어떠한 것들이 있었는지를 살펴보고, 왕실 발원 불교미술품의 분석을 통하여 종국에는 후백제 불교미술의 성격을 도출해내고자 하였다. 이와 더불어 그러한 후백제 불교미술의 성격 형성에 어떤 배경이 있는지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후백제 甄萱정권은 金山寺와 彌勒寺를 근거로 한 彌勒信仰과 결탁하였으며, 王權强化를 위해 華嚴 宗, 그리고 禪宗과도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 그 만큼 왕실 주도의 많은 불사가 있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고려의 예로 미루어 볼 때, 정권에서 주도적으로 불교미술품을 조성한 예는 첫째, 왕경 내 佛敎儀式을 위한 사찰의 佛事, 둘째, 왕경 인근의 주요 방어 및 교통 거점의 裨補寺刹을 위한 불사, 셋째 정치적 목적을 위한 불사가 있을 수 있다. 후백제에서 불교의식은 금산사나 미륵사 같은 기존 사찰을 이용하였고, 방어와 교통로의 비보를 위해서 南固寺와 鳳林寺같은 사찰을 창건하였던 것으로 여겨지며, 정치적 목적을 위해 백제의 옛 宮城址에 王宮里五層石塔을 보수하기도 하였다. 후백제 왕실 발원 불교미술품 가운데 石塔은 華嚴寺東五層石塔, 鳳林寺址五層石塔등이 있는데, 대 체로 통일신라 석탑을 바탕으로 일부 형식에서 백제 석탑의 요소가 보인다. 石燈은 鳳林寺址石燈이 있 는데, 형태에서는 통일신라 석등과 고려 석등의 과도기적 특징을 보이기는 하지만, 火舍石에 조각된 四 天王像의 형식과 양식은 雲門寺四天王像과 유사한 것이 특징이다. 佛像은 王宮里五層石塔出土金銅佛 立像, 鳳林寺址三尊佛이 있는데, 두 상은 모두 통일신라 9세기 후반의 불상 양식을 충실히 따르고 있다. 특히 봉림사지 삼존불은 불상 조성 유파를 추정할 수 있는 특정 형식이 安東, 聞慶, 八公山地域과 연관된것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후백제 불교미술의 특징은 두 가지로 집약된다고 하겠다. 첫째, 통일신라시대 이 지역에 광범위 하게 유입되었던 통일신라 양식을 바탕으로 하였으며, 이와 아울러 경북 북부지역 특히 문경지역의 불교 미술의 특정 형식이 후백제 불교미술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고 할 수 있다. 둘째, 백제적 요소는 일부에서만 찾아볼 수 있는데, 이는 통일신라시대 백제의 불교미술 양식이 잠재되었다가 표출되었다기보다는 후백제 견훤에 의해 촉발된 백제 계승 의지를 표출하기 위해 특정 형식만 차용하였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특징의 이면에는 후백제 견훤 정권의 출신 배경과 대신라관에 기인한 견훤의 내재된 신라에 대한 향수와 신라 문화에 대한 동경, 그리고 백제 계승을 표방한 정치적 입장이 相應하였기 때문일 것이다. So far, discussions about the buddhist art of the Late Baekje have focused on artifacts excavated from the Five-story Stone Pagoda of Wanggung-ri, localized Buddha images dating back to the Late Three Kingdoms Period, and Baekje stone pagodas. Such discussions have mostly shed light on the local characteristics of the buddhist art of the Late Baekje Period.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Buddhist temples sponsored by the royal family, which include representative works ofthe buddhist art of the Late Baekje Period, and to shed light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buddhist art of the Late Baekje Period and the background to the formation of those characteristics. The Gyeon Hwon government of the Late Baekje Dynasty based its philosophy on the Maitreya Buddhist faith and adopted Geumsansa Temple and Mireuksa Temple as its spiritual guiding lights. It also maintained close relations with the Hwaeom (Huayan) and Seon (Zen) Orders of Buddism to reinforce its regime. Thus, it is presumed that many temples were directly controlled by the royal family. Based on examples dating back to the Goryeo Period, the instances of the government playing a leading role in the production of works of buddhist art include a Buddhist-style rite in the capital; a rite for temples (located in major defense and traffic strongholds near the capital) supposed to support the country; a rite for particular political purposes. During the Late Baekje Dynasty, rites were mostly held at temples, such as Geumsansa Temple or Mireuksa Temple. It is thought that Namgosa Temple and Bongnimsa Temple were built to offer prayers for the national defense and the protection of roads. The Five-story Stone Pagoda of Wanggung-ri was restored on the site of the royal palace of the preceding Baekje Period for a political purpose. Examples of buddhist art from Buddhist temples controlled by the royal family of the Late Baekje Dynasty include the East Five-story Stone Pagoda of Hwaeomsa Temple and the Five-story Stone Pagoda at the Bongnimsa Temple site. Generally speaking, they appear to be based on the style of Unified Silla pagodas, with some forms showing the characteristics of stone pagodas dating back to the Baekje Period. Concerning stone lantern structures, the Stone Lantern at the Bongnimsa Temple site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iod of transition from Unified Silla to Goryeo in appearance, but the style and form of the sacheonwang (four heavenly kings) images sculpted there are similar to those of the sacheonwang statues in Unmunsa Temple. Both Buddha statues, such as the Standing Bronze Buddha excavated from the Five-story Stone Pagoda in Wanggung-ri and the Buddha Triad at Bongnimsa Temple, follow the style of Buddha statues made in the late 9th century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The Buddha Triad at Bongnimsa Temple Site shows its association with Andong, Mungyeong and the area near Palgongsan Mountain concerning the background of its formation. The characteristics displayed in buddhist art of the Late Baekje Dynasty can be divided into mainly two principles: first, it was based on the style of the Unified Silla period, which was widespread in the area. It also appears that the specific styles of the buddhist art developed in Mungyeong in Gyeongsangbuk-do exerted considerable influence on that of the Late Baekje Dynasty second, elements associated with the Baekje period were found in only a few pieces, because Gyeon Hwon of the Late Baekje Dynasty used specific styles to express his commitment to the continuation of Baekje styles rather than to the reappearance of the styles of the Baekje area of the Unified Silla Period. It can be said that the foregoing shows the background of the Gyeon Hwon government of the Late Baekje Dynasty, the king’s longing for the culture of Silla and his political position inheriting Baekje.

      • KCI등재

        중화민국 시기 민족주의 미술사학의 전개와 성격 - 傅抱石와 黃賓虹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보연 동악미술사학회 2021 東岳美術史學 Vol.- No.29

        본고는 중화민국 시기 민족주의 미술사학의 전개와 성격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중국 근대 민 족주의가 정치적 보편성을 강조한 정치중심적 민족주의와 문화적 특수성을 강조한 문화중심적 민족주의로 대별된다고 할 때, 푸바오스(傅抱石)와 황빈훙(黃賓虹)은 각각 전후 양자에 속하는 사례였다. 전자는 일본 동양미술사학과 민국 후기 애국주의 항전사학을 토대로 확대-절충의 논 리와 정치화 된 통속주의가 반영된 외향적 민족주의 미술사학을 연구한 반면, 후자는 국수학파 의 재야적 학술관과 금석학에 기초한 필묵 연구를 토대로 자기 개혁을 통한 중흥을 도모하는 내 향적 민족주의 미술사학을 제시했다. 결과적으로 푸바오스의 민족주의 미술사학은 민족적 특수 성과 학술적 논리 등이 희석 동요될 수밖에 없었으나, 비록 통속적 방식이라 하더라도 시대적 보편 성과 소통하는 가운데 민족미술의 존속을 위한 현실적 고민을 제시했다. 또한 황빈훙의 민족주의 미술사학은 상대적으로 학술문화적 입장을 견지해 민족적 개성과 이론적 통일성을 확립할 수 있 었으며, 비록 더 이상 도달하기 어려운 이상적 경지라 하더라도 이후 중화민족이 경계와 긍지로 삼 을 만한 정신적 유산을 제공했다. This paper examined the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of nationalist art history during the period of the Republic of China. Fu Baoshi, according to his argument, nationalist art history, influenced by Oriental art history in Japan and patriotic history theory of anti-Japanese war in the late Republic of China, was an externalized nationalist art history reflecting the expansion-oriented logic and politicized exotericism of imperialism. In contrast to Fu Baoshi, Huang Binhong’s views were based on the concept of Chinese studies of the nationalistic school in the late Qing dynasty, as well as the comprehensive academic system of hua xue in conjunction with jing, epigraphy, poetics and the study of calligraphy. It can also be regarded as an internalized nationalist art history that contains mutual intelligibility and reducibility of scholarship, and introspective reflection on tradition. Externalized nationalist art history has given priority to political logic and consequently has followed the universality of the time rather than national individuality. Whereas internalized nationalist art history, which maintained a relatively academic stance, was able to secure a balance that could communicate with the universality of the time based on national individuality.

      • KCI등재

        현대 한국미술과 도시문화 - 1980 · 90년대 미술에 표현된 서울의 도시풍경을 중심으로

        최태만 동악미술사학회 2010 東岳美術史學 Vol.0 No.11

        이 논문은 서울의 도시문화가 문학예술에서 표현되기 시작한 것은 근대도시의 면모를 보여준 1930년대이지만, 이 시대 미술에서 그 맹아를 찾기가 쉽지 않으며, 전후 경제개발과정에서도 서울은 단지 관조 대상으로만 재현되었으나 1980년대에 이르러 비로소 도시문화의 팽창과 함께 미술에서도 이를 표현하는 현상이 나타났다는 가설에서 출발하고 있다. 이 가설을 논증하기 위해 1980년대 도시문화의 팽창을 가능하게 했던 도시개발의 과정과 특징을 검토하고 서울의 급속한 성장과 팽창이 미술가들로 하여금 도 시 자체는 물론 그 속에서 이루어지는 삶의 방식인 도시문화에 대해 주목하도록 만들었음을 밝히고자 했다. 1980년대에 발표된 작품에서 도시에서의 일상과 개인적 삶, 백화점 진열장으로서의 도시공간을 해석하고자 한 단초를 발견할 수 있었다. 공간적으로 서울을 대상으로 했으나 서울이 한국의 도시화현상의 진원지이자 도시문화를 압축적으로 보여주고 있으므로 그 영향권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는 한국의 대도시에서 발견할 수 있는 특징이라고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논문을 통해 서울의 이미지를 재현한 미술 작품 모두를 대상으로 삼을 의도는 없었으나 도시가 팽창하면서 나타난 변두리 도시빈민의 삶을 표현한 손상기, 1990년대 이후 서울을 대상으로 많은 작품을 발표해온 오치균, 최진욱 등의 작품은 논지의 흐름에 따라 제외했을지라도 후속연구를 통해 이들이 서울이란 도시를 어떻게 읽고, 해석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분석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특히 1990년대 미술에서 서울이 어떤 방식으로 재현되고 있는가를 규명하는 것이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의 현대미술에서 서울이란 도시공간을 대상으로 한 사례가 많지 않다는 점도 연구를 어렵게 만드는 부분이었으므로 문학 속에 표현된 서울의 이미지와 그 도시적 삶을 많이 참고하였으나 문학작품의 해석방법론으로 포착할 수없는 한계가 분명한 만큼 수평적인 대입보다 교차비교의 방법을 적용하고자 했다. 논문의 학문적 엄밀성을 위해 독창적이고 특정한 주제에 대한 집요한 천착이 전제되어야 하지만 미술작품에 나타난 서울의 이미지는 물론 그 속에 내재한 도시문화 전반을 연대기적으로 조명하되 비평적 분석을 시도한 것에서 이 논문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attempts to provide an critical analysis of the emergence and expansion of urban culture in Seoul. The main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prove the reality of urban culture focused on not only the comparative approach to artworks which described cityscape as well as dairy life in the city but also based on the method of cultural studies. According to Japanese colonial policy in 1930s, urban culture has took place in modernized phenomenon such as cafeteria, department store, bank, and modern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means, then modern Korean literature and journal represented those particular scenes. However, strong moder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project driven by government of South Korea in 196·70s drawn up rapid urbanization in Seoul. In the results of this urbanization, Seoul became one of the biggest cities in the globe and expansion of urban culture has coincidentally promoting in several aspect. Since the beginning of 1980s, some artists present these urban culture instead of landscape as a contemplated object. After 88 Seoul Olympic game, subcultures led by ‘New Generation’provided an opportunity to expand postmodern phenomena at Gangnam and Sinchon area. In conclusion, artists presented urban culture in their artworks since 1980s and it continued 1990s by followed young artists.

      • KCI등재

        都市文化의 해석과 미술

        윤범모 동악미술사학회 2010 東岳美術史學 Vol.0 No.11

        조물주는 인간을 낳고 인간은 도시를 낳았다는 표현은 그만큼 도시(문화)에 대한 상징성을 강력하게 한 표현이다. 지구촌 시대의 도시화 현상은 날로 가속도를 보여 농촌의 空洞化현상까지 대두될 정도로 사회문제가 되었다. 근대성은 도시문화와 더불어 위력을 발휘하기 시작했고, 도시라는 새로운 시각현실 은 그대로 미술과 건축분야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다. 현대미술은 도시에서 형성되고 성장하면서 존재감 을 각인시키고 있다. 한국에서 도시문화가 본격적으로 형성되기 시작한 때는 1920-30년대이다. 일제 강점기의 식민지 도시 로 출발했기 때문에 나름대로의 문제점을 간과할 수 없다. 도시는 소비문화를 낳았고, 소비문화의 총체 는 백화점으로 상징되었다. 당대 문학에서 백화점 풍경이 즐겨 다뤄진 것은 시각현실의 변화와 맞물리는현상이다. 도시는 곡선의 자연을 직선으로 바꾸기 시작했다. 직선의 구체적인 산물은 바로 도로였다. 일제는 식민통치의 편리성 때문에 도로망 건설에 열중했다. 신작로라고 일컬어졌던 도로 건설은 새로운 풍경이었고, 도시는 도로를 중심으로 변화의 모습을 보였다. 1920-30년대의 도로망 건설은 곧 교통망으로 연결되었고, 이는 관광산업의 진흥을 불러왔다. 여행문화는 절경과 같은 자연이나 문화유산의 현장을 인파로 붐비게 했다. 명승지 중심의 관광문화는 미술 소재의 개발이라는 점에서도 새로운 경지를 안게 했다. 1920-30년대의 관광문화는 풍경에 대한 새로운 주목을 갖게 했지만 도시문화를 미술에 본격적으로 반영하기에는 아직 시기상조였다. 관점과 해석이란 개념은 매우 중요하다. 도시문화의 활발한 전개와 미술적 해석은 별개의 문제이다. 이는 마치 역사를 특정한 史觀에 의해 해석하고 기술하는 것과 맥락을 함께 하는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도시문화의 미술적 해석은 매우 중요하다. 도시(문화)라는 소재의 해석 혹은 비판적 접근은 1980년대에 이르러서야 본격화되었다. 현실과 발언 동인 중심의 본격적‘도시 탐구’는 도시문화의 실체를 새로운 각도에서 해석하게 하는 촉매역할을 했다. 한마디로 요약하면, 한국의 경우 도시문화의 형성은 1920-30년대에 비롯되었으나, 도시문화를 미술가들 이 본격적으로 해석하여 작품화하기 시작한 것은 현실과 발언 동인이 활동하던 1980년대부터라고 할 수 있다. 이같은 時差의 결과는 당대 현실과 거리를 두고 미술작업을 하던 전통시대의 보수적 시각과 연결 된다. 달리 표현하여 리얼리즘 미술의 부진함은 곧 도시문화를 적극적으로 미술에 수용하지 않았다는 것과 맥락을 같이한다. 하지만 1980년대의 사회환경은 변했고, 특히 미술계 환경도 변화를 촉구했다. 도시는 이제 욕망의 집산지이면서 피할 수 없는 하나의 자연으로 위치지어졌다. 미술은 이같은 새로운 변화에 즉자적으로 반응하면서 시각현실의 조형화에 다양한 양상을 보였다. 현대 사회에서 도시는 또 하나의 자연이었던 것이다. The expression that God created man and man made a city is a significant symbolic articulation as to city (culture). In the age of global village, urbanization gathered speed every day to the extent that it became a social issue coming to the fore as deposition phenomenon in a farm village. Modernity started to held sway along with city culture and the city as new visual reality had huge influence on art and architecture as it is. Contemporary art imprints a sense of existence as it forms and grows in the city. Not until 1920s-30s that the city culture began to shape in Korea. Given that it started as a colonial cit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there were problems in its way. A city generated consumerism and a department store was a collective symbol of consumption culture. The fact that department store scene was frequently appeared in the literature of that time is interlinked to the transformation of visual reality. The city began to change curve lines of nature into straight ones. The road is a concrete product of that straight line. Due to the convenience in colonial ruling, Japan was impassioned in constructing network of roads. So-called newly constructed road was new scenery and the city started to show the look of transformation centering on roads. The construction of network of roads in 1920s-30s was tied to a traffic network bringing promotion of tourism. The sites of magnificent view or cultural heritage were crowded as a result of traveling culture. Focused on scenic spots, tourist culture opened up a new realm of development of subject matter for art. Although the tourist culture of 1920s-30s made pay new attention to scenery, it was too early to reflect city culture onto art. A critical approach to the subject matter of city (culture) was formed only in 1980s. Earnest ‘city exploration’by the member of Hyunsil and Baleon was a catalyst in understanding the truth of city culture from various points of view. To come to the point, the formation of city culture in the case of Korea has started in 1920s -30s but it was not until 1980s that artists began to investigate and employ city culture in their works, same period when Hyunsil and Baleon was active. The result of time difference like this is related to the conservative perspectives of traditional age when people worked at a distance from the reality. In other words, weakness of realist art is in keeping with the fact that it did not take an active part in conveying city culture on a picture plane. But the conditions of society have changed and especially the art world urged to change. Now the city is positioned as a trading center of desire and a certain nature which is inevitable. Reacting immediately to the new transformation as such, the art demonstrated different aspects of figuration of visual reality. After all, the city is another form of nature in modern society.

      • KCI등재

        오사카시립동양도자미술관소장 이병창컬렉션 <白磁靑畵龍樽>에 관하여

        최건 동악미술사학회 2013 東岳美術史學 Vol.0 No.14

        The Museum of Oriental Ceramics in Osaka, Japan, opened a permanent exhibition hall for the Yi Byeong- chang Collection of Korean Pottery, a collection of 301 Korean and 50 Chinese ceramic works donated by a Korean collector Yi Byeong-chang. None of these 351 ceramic works of the Yi Byeong-chang Collection lacks significance regarding art history. The collection seems to be guided by The Selected Works of Korean Art (韓國美術蒐選, 1978) of which the White Porcelain Wine cup with Iron Design (白磁鐵彩樽) features a fantastic design marked by the red ochre painted upon the vessel's lower part representing the artistic characteristics of Joseon art in the 16th century, revealing the multiple aesthetic traits of the white porcelain ware of Joseon. The two Blue-and-White Porcelain Dragon Wine Cups (白磁靑畵龍樽), one large and the other small, also exhibit unique elements that make them different from other ritual vessels of the same category used for wine offering. The Blue-and-White Dragon Wine Cup I, for instance, features a dragon with a small, elegant body (27cm in height) with a majestic face and a fine complex of subordinate decorative designs while the larger vessel, the Blue-and-White Dragon Wine Cup II, has a tall body (60㎝) decorated with the “seven treasures” and “longevity stones”, exhibiting unique features that a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ritual vessels of the royal court of Joseon. These two ritual vessels surely retain the elements shared by other blue-and-white porcelain dragon vessels made during the 17th and 18th century which are largely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according to their shape and the cloud and dragon design. These particular ceramic vessels display unique features that make them belong to the First and Second Categories, representing the new elements of the blue-and-white porcelain dragon wine cups made in the 17th and 18th century. The two dragon vessels contained in the Yi Byeong-chang Collection are generally believed to have come from some Japanese private collections. There is only one dragon wine cup known so far among the vessels made before the Imjin Waeran, a seven-year war between Korea and Japan started with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it is highly unlikely that there would appear any one. If the two dragon cups donated by Yi Byeong-chang can be profitably exploited with respect to the effort to find the genealogy and development of white porcelain dragon wine cups of Joseon and change people's awareness of the ritual vessels, they can lead to the discovery of new dragon vessels. 1999년 3월 오사카시립동양도자미술관은 한국도자 301점과 중국도자 50점을 기증한 이병창박사의 컬렉션을 중심으로 ‘이병창컬렉션 한국도자실’ 상설전시의 문을 열었다. 이병창박사의 수집품 350여점 가운데 어느 것 하나 의미 없는 것은 없다. 아마도 수집 과정에 기획, 출판한 『韓國美術蒐選(1978년)』이 수집의 좌표로 작용하였고 그대로 실천했을 것이다. 그 가운데 <白磁鐵彩樽>은 조선전기 16세기의 조형적 특징을 나타내는 <白樽>의 하반신에 석간주를 일정하게 바른 기상천외한 발상으로 조선백자의 다중적인 조형정신을 보여주는 작품으로 생각된다. <白磁靑畵龍樽> 대형, 소형 두 점 역시 기존에 국내외에서 알려진 용준들과 비교할 때 특별한 점들이 눈에 띠고 있다. 높이 27㎝에 이르는 소형 <백자청화용준Ⅰ>은 크기는 작지만 준수한 몸매와 위엄 있는 용의 얼굴 모습, 주변 문양 요소의 결합 상태 등에서 다른 용준과 분명한 차이점을 볼 수 있으며, 높이 60㎝에 육박하는 대형 <백자청화용준Ⅱ>도 기존에 알려져 있는 용준에서 볼 수 없던 七寶와 壽石을 그려 넣은 유일한 예로서 보수성이 강한 王室 儀器의 전통에서 벗어난 새로운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이 두 점 용준은 조선후기 17·18세기의 청화백자 용준의 큰 흐름 안에서 포함되고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용준 가운데 특히 해당시대 용준제작의 기준으로 작용했을 대형의 쌍용준은 십 수 점에 달하고 있으며 樽의 형태와 雲龍圖의 특징을 기준으로 크게 네 가지 계통으로 분류되는데 이 두 점의 용준들은 제1형식과 제2형식에 포함되면서 각각 독자적 특징을 나타내고 있어서 17~18세기 전기 청화백자 용준의 새로운 면모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이병창박사 컬렉션의 용준 두 점은 일본 개인소장품에서 나왔을 가능성이 높다. 조선전기, 임진란 이전에 제작된 용준은 일본에 있는 공개된 한 점 외에 새로운 것은 없으며 국내에서 공개될 가능성도 거의 없다고 할 수 있다. 이병창박사가 기증한 용준 두 점이 조선백자용준의 계보와 전개를 규명하는데 일익을 담당할 자료로 활용되고 용준에 대한 인식에 변화가 온다면 새로운 용준의 발굴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믿는다.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불교미술에 수용된 범자의 특징 고찰(2) - 조선시대 범종을 중심으로 -

        이선용 동악미술사학회 2023 東岳美術史學 Vol.- No.33

        Buddhist temple bells are crucial for studying Sanskrit characters in Buddhist art for the following reasons. First, they make up largest proportion among Buddhist items bearing Sanskrit characters and span a wide range of time from the Goryeo Dynasty through the modern era. Second, since the inscriptions on the bells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periods, regions, temple names, and artisans related to their creation, they can help establish clear criteria for examining changes in Sanskrit characters in Korea over time. Third, the artisans who created the bells also produced various other metal objects, including Buddhist gongs, alms bowls, and bullanggipo cannons, thus impacting the entire field of metal crafting. Accordingly, this paper has analyzed the Sanskrit characters on 178 Buddhist temple bells produced before 1950 by examining both surviving examples and dry plate photographs. It discusses aspects of the incorporation and development of Sanskrit characters by period and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of Sanskrit characters on Korean Buddhist temple bells. Other than the six Goryeo-era Buddhist temple bells, most Buddhist temple bells bearing Sanskrit characters date to the Joseon Dynasty. They most notably differ before and after the seventeenth century, a time when the number of Buddhist temple bells expanded dramatically. This paper examines changes in the Sanskrit characters on Buddhist temple bells from the Goryeo, early Joseon, and late Joseon periods in relation to the artisans who crafted them. In doing so, it specifies their periodic characteristics. Moreover, it argues that the Sanskrit characters on Buddhist temple bells embody the omni-cultural and universal characteristics of Sanskrit characters as embraced in Buddhist art. It also points out their distinct characteristics that intensify the meanings attributed to religious objects, which are differentiated from wooden architecture, Buddhist painting, and stone art. 불교미술 중 범자의 수용이 가장 두드러지는 범종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불교미술의 범자를연구하는데 있어 범종이 중요한 것은 첫째 고려시대부터 근대까지 시대 범위가 광범위한 만큼 양적으로도 가장 방대하고, 둘째 명문을 통해 시기·지역·사찰명, 그리고 장인을 확인할 수 있어 시대 변화를 파악하는데 기준을 제시할 수 있으며, 셋째 범종 장인들의 활동 범위가 금고, 향완, 발우, 佛狼機砲 등 다양하게 이루어진 만큼 금속공예 전 분야에 포괄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이에 1950년을 하한으로 현존 유물과 유리건판 사진을 포함한 범종 178점의 범자를 분석하였다. 조선시대를 중심으로 범자의 수용과 전개 양상을 제시하였으며, 한국 범종에 나타난 범자의특징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범종의 범자는 고려시대 6점을 제외하고 모두 조선시대, 그중에서도 폭발적으로 증가한 17세기를 기점으로 전·후 시기의 범종에서 서로 다른 양상을 확인할 수 있다. 고려시대, 조선전기, 조선후기로 구분하여 범종 범자의 변화 양상을 장인들과의 관계 속에서 서술하였으며, 이를 통해 시대별 특징을 구체화하였다. 또한 범종 범자는 불교미술에 수용된 범자의 범문화적인 보편적 성격, 그리고 종교적 器物로써 지닌 의미를 증폭시키는 특수성이 공존하며, 이는 목조건축·불교회화· 석조미술과 차별화되는 성격임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