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효과적인 아동용 WBI를 위한 한글 타이포그래피의 가해성 분석과 활용

        한정혜,김용대,Han, Jeong-Hye,Kim, Yong-Dae 한국정보교육학회 2002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6 No.3

        Looking at multimedia education contents from a design point of view, the instructor's design model may differ from the child's understanding model due to gap of the instructor's and child's knowledge. This fact implies it impacts the effectiveness of the education contents. The learning efficiency of Korean typography in WBI for children depends on the font-family, line space, font-size, the age of user, the output device such as the monitor, and other various factors. In this paper, we measured and analyzed on readability of Korean typography in WBI for children by reading speed method. The results of experiments show that readability depends on the font-family of typography, age(grade), and sex of children. In detail, "Goolymche" has the shortest time to be read, and girl and the highest 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have shorter time than boy and the lower grade students. Moreover, we consider the elegance of typography in WBI for holding children's interests because they prefer "Yopseoche". We provide some CSSs in WBI for children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to used in school fields. 멀티미디어 교육용 컨텐츠의 디자인적 측면에서 아동과 교사간에는 지식과 감성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교사의 설계모델이 아동의 인지모델과 다를 수 있고 이는 곧 교육용 컨텐츠의 효과에 영향을 미친다. 한글 타이포그래피가 위주인 교육용 컨텐츠의 학습효과는 글꼴, 줄 간격, 글꼴크기, 사용자 나이뿐만 아니라, 웹기반 컨텐츠의 경우에는 모니터라는 출력장치 등 여러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육용 컨텐츠의 중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는 타이포그래피의 정보 전달속도에 대한 가해성을 중심으로, 효과적인 아동용 WBI를 위한 타이포그래피에 대하여 독서속도 측정법을 이용하여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아동용 WBI 타이포그래피의 가해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글꼴, 나이(학년), 성별이었는데, 산세리프체 종류와 고학년, 여자아동이 높은 가해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다 아동에게 효과적인 WBI를 위하여, 산세리프체 중 "굴림체"외에도 아동에게 좋은 가해성과 심미적으로도 선호되는 탈네모틀 글꼴 "엽서체"를 고려한 타이포그래피를 CSS로 제시함으로써 초등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 KCI등재

        교사 보조 로봇의 교육적 활용

        한정혜,김동호,Han, Jeong-Hye,Kim, Dong-Ho 한국정보교육학회 2006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0 No.1

        Robots evolve from tools to information media since they generates information by interacting with human. As studies on robot-aided education are still in a starting phase, attempts need to be made to use robots for educational purpose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use. It was showed that robot-aided learning was friendlier than other media assisted learning, and especially effective for motivating children. We developed the prototype robot Jenny that can help teachers as a educational media in class(i.e. as a T.A. robot, it can present robot contents on its chest to screen and explain about it when teacher asks). is a schoolmate for 5th or 6th grade children or an elder schoolmate for the rest. We performed the field trial at an elementary school. We carried out 9 classes for three subjects(english, korean, music) with -students in $4th{\sim}5th$ grade. They thought Jenny who was 13 years old as an elder schoolmate in 6th grade.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interest and concentration of experimental groups from controlled groups.

      • KCI등재
      • KCI등재

        초등 컴퓨터 교육과정 국제 비교 연구

        한정혜,김동호,Han, Jeong-Hye,Kim, Dong-Ho 한국정보교육학회 2004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8 No.4

        In this paper, we studied the elementary computer education curriculum comparatively with some of OECD countries. We have found some problems in our curriculum and suggested the effective elementary computer education curriculum.

      • KCI등재

        초등정규교육과정에서 STEAM을 위한 로봇활용교육

        한정혜,박주현,조미헌,박일우,김진오,Han, Jeong-Hye,Park, Ju-Hyun,Jo, Mi-Heon,Park, Ill-Woo,Kim, Jin-Oh 한국정보교육학회 2011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5 No.3

        최근 과학예술융합교육(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 and Mathematics; STEAM)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으며, 로봇활용교육도 좋은 대안으로 고려되고 있다. 현재 대부분의 초등 로봇활용교육은 방과후교실로 운영되고 있는데, 주로 과학과 로봇에 관심이 많은 남학생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초등학생들이 로봇을 활용하여 STEAM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게 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로봇활용의 범주를 5가지(추상적 이해형, 구조중심형, 운동중심형, 지능중심형, 가치지향형)로 나눈 후, 초등정규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적용 가능한 모든 교과와 단원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추출된 단원에 대하여 정규수업시간 내에 수행이 가능한 로봇을 활용하는 교안을 개발하고, 5개월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로봇활용교육이 STEAM에 대한 흥미를 유의미하게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여학생의 경우가 더 두드러졌다. 이와 더불어서, 정규 수업에서 로봇활용교육을 운영하는 데 있어서 당면하게 되는 문제점들에 대해 논하고, 향후 STEAM을 위한 로봇활용교육과 관련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Learning with a robot' is now considered as one of the best candidates for STEAM education, which is recently growing its importance. Most of the 'learning with a robot' programs in elementary schools serve as afterschool classes. The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afterschool classes are mostly boys who are interested in science and robots. This paper mainly concerns that a robot can be helpful for improving students' interest in STEAM education. We divided the robot utilizable aspects into 5 areas with educational points of view; abstract concept understanding type, structure-oriented type, athletics-oriented type, intelligence-oriented type and value-orientated type. We extracted all robot utilizable subjects and units from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nd developed lesson plans which can be applicable to regular classes. And we also verified them by applying into an elementary school for 5 months.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we can conclude that 'learning with a robot' can encourage students' interest in STEAM, and it is more effective for girls than boys. Finally, we discuss problems that teachers may face in using a robot for regular classes, and make suggestions about the use of a robot for STEAM education.

      • KCI등재

        트래픽 관리를 위한 부본서버 성능평가 및 분배 알고리즘

        한정혜,이경희,Han, Jeoong-Hye,Lee, Kyung-Hee 한국정보처리학회 2003 정보처리학회논문지 C : 정보통신,정보보안 Vol.10 No.1

        최근 들어 다수의 클라이언트에게 컨텐츠를 안정적으로 서비스하기 위하여 여러 부본서버를 운영한다. 이 부본서버 중 시공간적으로 다양한 환경으로부터 요청된 클라이언트의 요구를 가장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서버를 선택하기 위한 서버 선택 알고리즘이 여러 분야에서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은 비교적 큰 용량의 컨텐츠를 서비스하는 부본서버 간의 하드웨어 성능 차이가 큰 경우에 QoS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또, 부본서버의 하드웨어 성능평가 알고리즘과 HTTP 응답시간의 평균과 편차를 동시에 고려한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일반적인 경우에 가장 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HTTP 반응시간 평균과 편차에 근거한 부본선택 알고리즘이 비교적 큰 사이즈의 컨텐츠 서비스할 경우와 부본 서버들간의 하드웨어 성능 차가 큰 경우에 더 나은 성능을 보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Most of the existing algorithms try to disseminate the multimedia contents of internet service provider (ISP), without taking into account characteristics and capacities of duplicated servers. However, they are less reliable without prior information on capacities of duplicated servers. In this paper we propose two algorithms, performance rating algorithm of hardware and capacity algorithm, inspired by the need of improving QoS of delivering multimedia contents without incurring long access delays when the capacities of duplicated server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nd clients locate in a fixed geographical domain Our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y are better than HTTP response time algorithm when the multimedia contents are large and quite different from performances between duplicated servers.

      • KCI등재

        췌장의 신경내분비 종양 122예의 임상양상 및 악성 예측인자

        한정혜 ( Jeung Hye Han ),김명환 ( Myung Hwan Kim ),문성훈 ( Sung Hoon Moon ),박수정 ( Soo Jung Park ),박도현 ( Do Hyun Park ),이상수 ( Sang Soo Lee ),서동완 ( Dong Wan Seo ),이성구 ( Sung Koo Lee ),김송철 ( Song Cheol Kim ),한덕종 대한소화기학회 2009 대한소화기학회지 Vol.53 No.2

        목적: 췌장의 신경내분비 종양은 매우 드문 종양이나, 진행속도가 늦어 췌장선암종에 비해서는 예후가 좋다. 그러나 악성 신경내분비 종양은 양성에 비해 예후가 불량하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 췌장의 신경내분비 종양의 임상 특징과 악성 예측인자 및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해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0년 11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조직검사에서 췌장의 신경내분비 종양으로 진단받은 12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임상기록, 방사선 소견, 수술기록, 병리기록 등을 후향 검토하였다. 결과: 122명의 췌장 신경내분비 종양 환자 중 75명(61.5%)은 비기능 종양이었고 평균 관측기간은 45.0±38.0개월이었다. 환자의 평균 연령은 48.9±14.0세였으며,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가장 흔한 임상증상은 비기능 종양에서는 복통(44.0%), 인슐린종에서는 저혈당성 신경증상(100%), 가스트린종에서는 설사(60%)였다. 종양의 크기는 4-140 mm로 평균 29.8±23.2 mm였다. 조직학적으로는 32명(26.2%)이 악성 소견을 보였다. 일변량 분석에서는 종양의 크기가 클수록(>20 mm), 비기능성 종양일수록 악성 소견을 나타내었으나(p<0.001, p=0.002), 다변량 분석에서는 종양의 크기만이 유일한 악성 예측인자였다(p=0.001). 복부 전산화단층촬영에서 종괴 내에 석회화가 보인 환자 8명 중 5명이 악성 소견을 보여 의미가 있었다(p=0.015). 수술 절제는 114명에서 이루어졌고, 양성의 췌장신경내분비 종양 환자는 수술 후 재발 없이 모두 생존하였다. 32명의 악성 종양 환자 중 6명이 수술 후 또는 진단 후 평균 40.3개월 만에 사망하였다. 전체 환자의 질병특이 5년 생존율은 92%였고, 종양의 크기가 작을수록, 원발 병소를 수술 절제할수록, 림프절 침윤이나 원격 전이가 없을수록 생존율이 의미 있게 높았다. 결론: 췌장의 신경내분비 종양은 기능 여부와 관련 없이 크기가 클수록 악성화의 가능성이 높으며 또한 질병특이 생존율도 의미 있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Background/Aims: Neuroendocrine tumors (NET) of the pancreas are rare. Its prognosis is better than pancreas adenocarcinoma due to the slow growth, however, malignant NET of the pancreas are observed.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to find the predictive factors of NET which are associated with malignancy and survival. Methods: We retrospectively evaluated the clinical outcomes of 122 patients with NET of the pancreas who were pathologically diagnosed at Asan Medical Center between 1990 and 2006. Results: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48.9±14.0 years and there was no gender predilection. The major clinical manifestations were abdominal pain (44.0%) in non-functional tumor, neuroglycopenic symptoms (100%) in insulinoma and diarrhea (60%) in gastrinoma. Tumor size ranged from 4 to 140 mm (average 29.8±23.22). Ninety cases (73.8%) were classified as benign tumors and 32 cases (26.2%) as malignant. In multivariate analysis of clinical characteristics, large sized tumor (>20 mm, p=0.001) was confirmed as sole independent factor to predict malignant NET. Surgical resection was performed in 114 patients. All patients with benign NET are still alive without recurrence. Six out of 32 patients with malignant NET died at an average 40.3 months after diagnosis. The factors indicating favorable outcome were small size of tumors (p=0.046), resection of primary tumor (p=0.000), absence of lymph node invasion (p=0.0116) and distant metastasis (p=0.0005). Conclusions: Large NET of the pancreas, regardless of their functioning status, were more likely to be associated with malignancy and predictor of worse survival. (Korean J Gastroenterol 2009;53:98-105)

      • KCI등재
      • KCI등재

        항공사 승무원 가치제안이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정혜(Jung Hyea Han),정규엽(Kyoo Yup Chung),이규태(Gyu Tae Lee) 한국관광연구학회 2014 관광연구저널 Vol.2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based on theories and previous studies, are to analyze the effects employee valueproposition(EVP) has on flight attendants, how they influence their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Theresults of this study, through are as follows. Firstly, subordinate elements of EVP, interesting matters, wealth andcompensation, self-development had meaningful effects on promotion and interesting matters, wealth andcompensation had meaningful effects on work environment. Secondly, promotion, work environment hadmeaningful effects on turnover intention. Finally, it has shown that there was moderating effect on job satisfactionand turnover intention derived from EVP according to airline type. In conclusion, in order to secure and maintainoutstanding flight attendants of airlines, employee value proposition can be clearly used as an effective tool. When itcomes to creating results for the airlines, flight attendants` performance plays a critical role. Above all, it is importantthat the airlines secure, maintain, and nurture their employees to secure a long-term competitive edge overcompetitors.

      • SCIE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