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

        다차원 도시시설물 관리를 위한 멀티 텍스처 기법과 다중 스레드 기법의 적용에 관한 연구

        최근,강병준,조홍,김원철 대한공간정보학회 2010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Vol.18 No.1

        Recently, 2D GIS technology is applied for urban facility management. However, urban facilities are located in 3D space and the information loss is occurring during data abstraction from 3D urban facility to 2D object. Also, the number of urban facilities is increasing steadily and most of urban facilities are located in underground space in the city. Therefore 2D urban facility management system has a limitation on visualization and management for a large number of urban facilities. In this paper, a multi- dimensions urban facility management system based on multi-texture technology is proposed. The proposed system reduces the information loss and improves the readability of information by visualizing urban facilities on 3D virtual space. A multi-texturing technology is applied for integrating of 2D vector data and 3D raster data, and a multi-thread technology is used for improving speed and performance of the system. The proposed technology can be used as a guideline for urban facility monitoring as providing visual information of a facility status with 3D image and facility data. 최근까지 도시시설물 관리를 위해 활용된 GIS 기술은 주로 2차원 기반의 GIS 기술이었다. 하지만 도시시설물은 3차원 공간상에 존재하며 이를 2차원으로 추상화시키면 정보의 손실이 일어나게 된다. 또한 도시 공간 내에 점차 시설물의 수가 증가하고 있고 대부분의 도시시설물이 지하공간에 위치하기 때문에 2차원 기반의 시스템에서 도시 내 모든 시설물의 정보를 동시에 파악하고 관리하는 것이 어려워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멀티 텍스처 기법을 이용한 다차원 도시시설물 관리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3차원 상에서 도시시설물을 가시화하여 데이터의 손실을 줄이고 정보의 가독성을 높이며, 2차원 벡터 데이터의 3차원 라스터 변환을 통한 가시화 기법을 개발하여 다양한 2차원 GIS의 공간분석 결과를 3차원 데이터와 동시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3차원 데이터를 처리하는 경우에 시스템의 속도 및 성능이 저하되어 활용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중 스레드 프로세스를 적용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기술은 기존에 텍스처를 통해 보여주던 센서의 상태정보를 3차원 영상, 시설물 데이터와 함께 시각정보로 표출함으로써 직관적인 시설물 모니터링이 가능해졌다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Four-Week Repeated Intravenous Dose Toxicity and Toxicokinetic Study of TS-DP2, a Novel Human Granulocyte Colony Stimulating Factor in Rats

        이주,이경선,최근범,정현섭,조현석,최기석,김태곤,김서진,이형석,차미진,송시환,이철규,전계택 한국독성학회 2015 Toxicological Research Vol.31 No.4

        TS-DP2 is a recombinant human granulocyte colony stimulating factor (rhG-CSF) manufactured by TS Corporation. We conducted a four-week study of TS-DP2 (test article) in repeated intravenous doses in male and female Sprague-Dawley (SD) rats. Lenograstim was used as a reference article and was administered intravenously at a dose of 1000 μg/kg/day. Rats received TS-DP2 intravenously at doses of 250, 500, and 1000 μg/kg/day once daily for 4 weeks, and evaluated following a 2-week recovery period. Edema in the hind limbs and loss of mean body weight and body weight gain were observed in both the highest dose group of TS-DP2 and the lenograstim group in male rats. Fibro-osseous lesions were observed in the lenograstim group in both sexes, and at all groups of TS-DP2 in males, and at doses of TS-DP2 500 μg/kg/ day and higher in females. The lesion was considered a toxicological change. Therefore, bone is the primary toxicological target of TS-DP2. The lowest observed adverse effect level (LOAEL) in males was 250 μg/kg/day, and no observed adverse effect level (NOAEL) in females was 250 μg/kg/day in this study. In the toxicokinetic study, the serum concentrations of G-CSF were maintained until 8 hr after administration. The systemic exposures (AUC0-24h and C0) were not markedly different between male and female rats, between the administration periods, or between TS-DP2 and lenograstim. In conclusion, TS-DP2 shows toxicological similarity to lenograstim over 4-weeks of repeated doses in rats.

      • 다차원 도시시설물 관리를 위한 멀티 텍스처 기법과 다중 스레드 기법의 적용에 관한 연구

        최근,강병준,조홍,김원철,Choi, Keun-Ho,Kang, Byoung-Jun,Cho, Hong-Beom,Kim, Won-Cheol 한국공간정보학회 2010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18 No.1

        최근까지 도시시설물 관리를 위해 활용된 GIS 기술은 주로 2차원 기반의 GIS 기술이었다. 하지만 도시시설물은 3차원 공간상에 존재하며 이를 2차원으로 추상화시키면 정보의 손실이 일어나게 된다. 또한 도시 공간 내에 점차 시설물의 수가 증가하고 있고 대부분의 도시시설물이 지하공간에 위치하기 때문에 2차원 기반의 시스템에서 도시 내 모든 시설물의 정보를 통시에 파악하고 관리하는 것이 어려워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멀티 텍스처 기법을 이용한 다차원 도시시설물 관리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3차원 상에서 도시시설물을 가시화하여 데이터의 손실을 줄이고 정보의 가독성을 높이며, 2차원 벡터 데이터의 3차원 라스터 변환을 통한 가시화 기법을 개발하여 다양한 2차원 GIS 의 공간분석 결과를 3차원 데이터와 동시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3차원 데이터를 처리하는 경우에 시스템의 속도 및 성능이 저하되어 활용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중 스레드 프로세스를 적용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기술은 기존에 텍스처를 통해 보여주던 센서의 상태정보를 3차원 영상, 시설물 데이터와 함께 시각정보로 표출함으로써 직관적인 시설물 모니터링이 가능해졌다는데 의의가 있다. Recently, 2D GIS technology is applied for urban facility management. However, urban facilities are located in 3D space and the information loss is occurring during data abstraction from 3D urban facility to 2D object. Also, the number of urban facilities is increasing steadily and most of urban facilities are located in underground space in the city. Therefore 2D urban facility management system has a limitation on visualization and management for a large number of urban facilities. In this paper, a multi-dimensions urban facility management system based on multi-texture technology is proposed. The proposed system reduces the information loss and improves the readability of information by visualizing urban facilities on 3D virtual space. A multi-texturing technology is applied for integrating of 2D vector data and 3D raster data, and a multi-thread technology is used for improving speed and performance of the system. The proposed technology can be used as a guideline for urban facility monitoring as providing visual information of a facility status with 3D image and facility data.

      • KCI등재

        디지털포렌식 기반 디지털 시청각기록물 인수·인계 절차 및 장기보존포맷 설계

        최근,성기,김상국 한국IT정책경영학회 2017 한국IT정책경영학회 논문지 Vol.9 No.6

        National Archives of Korea is an agency that systematically collects and preserves records for the purpose of availability in future. Therefore, the authenticity and integrity of records need to be maintained. However, the procedures are not made out to keep those attributes in audio-visual records. lThis study is to design a long term preservation format and record takeover procedure based on digital forensics and to propose a long term preservation method that secures the authenticity and integrity of records.

      • KCI등재

        단기간의 에리스리톨 소금 섭취가 흰쥐의 요 중 전해질 배출에 미치는 영향

        경명옥,임지예,이경선,정상원,최근범,양창근,김유리 한국영양학회 2014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7 No.2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iuretic effects of Erythritol (ET) salt on urinary electrolyte excretion in Sprague-Dawley Rats. Methods: Animal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Salt group (n = 7) and Salt + ET fed group (n = 7). Animals were provided food and water ad libitum. Supplements were administered orally to animals for one week. Results: Body weights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between groups either on Day 1 or Day 7. However, water consumption of the Salt + ET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Salt group on Day 1 and Day 7. Urine volume of the Salt + ET group was approximately 27% and 38% higher than that of the Salt group on Day 1 and Day 7. In addition, we found that the total amounts of urinary electrolytes, such as sodium and potassium, of the Salt + ET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Salt group on Day 7. We also found that serum electrolyte concentrations did not differ between two groups.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salt intake with ET was effective in increasing urinary electrolyte excretion, which might be caused by higher water intake and diuretic effect inhibiting reabsorption of water, sodium, and potassium in renal tubules.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short-term supplementation of ET salt can be a potential diuretic agent by inhibiting sodium and potassium reabsorption and inducing loss of water. 본 연구는 ET가 함유된 소금의 섭취가 요를 통한 나트륨배출에 미치는 단기간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험기간 동안 일반소금을 섭취한 대조군, ET가함유된 소금을 섭취한 실험군 Salt + ET에서 식이섭취 및 체중증가는 Day 7에는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물 섭취량은 Day 1과 Day 7에서 모두 Salt + ET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 요량을 측정한 결과 Salt와 비교하여 ET를 섭취한 Salt + ET에서 약 27% 높았으며 Day 1과 Day 7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증가가 관찰되었다 (p < 0.05). 시험기간 동안 요를 통해 배출된 총 나트륨과 칼륨의 양을 산출한 결과 ET를 섭취한 Salt + ET에서 1일차와 7일차에 모두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7일차에 ET를 섭취한 Salt + ET에서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 < 0.01). 혈중 나트륨 농도와 칼륨농도에서는 두 그룹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하여 볼 때 단기간의 ET 섭취에도ET의 이뇨작용으로 인한 요량의 증가를 통해 전해질 배출에도움을 줄 수 있으며 부작용이 많은 이뇨제들 대신으로 쓰일수 있는 이뇨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더많은 연구와 분석들을 통해 혈압 강하제의 잠재적인 효과도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Three-Level 컨버터와 Full-Bridge 컨버터의 손실분석을 위한 모델링 및 특성비교에 관한 연구

        배진용,김용,이은영,최근,계상,이택기,Bae, Jin-Yong,Kim, Yong,Lee, Eun-Young,Choi, Geun-Soo,Gye, Sang-Bum,Lee, Taek-Ki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4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Vol.18 No.2

        본 논문에서는 Three-Level 컨버터와 Full-Bridge 컨버터의 손실 및 특성비교에 관하여 논하였다. 기존의 연구로부터 Three-Level 컨버터는 Full-Bridge 컨버터에 비하여 스위치 전압 스트레스가 저감되어 고전압 시스템의 경우 좀더 적합하다는 결론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Three-Level 컨버터와 Full-Bridge 컨버터의 손실분석 비교에 관한 구체적인 연구가 미비하고 동시에 소프트 스위칭 범위와 효율 특성에 관한 분석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5[㎾]급 시작품을 대상으로 고전압ㆍ대용량 응용 분야에 적합한 Three-Level 컨버터와 Full-Bridge 컨버터의 효율 감소에 대한 주요 원인을 비교ㆍ분석하고, 각 소자 및 부품의 손실을 수학적으로 모델링하여 시뮬레이션 한 결과를 바탕으로 각각의 컨버터의 대하여 출력에 따른 각 소자 및 부품의 손실과 특성비교를 하였다. This paper presents the loss and characteristic comparison with Three-Level Converter and Full-Bridge Converter. In previous paper, Three-Level Converter was more suitable than Full-Bridge Converter for high voltage application because switch voltage stress was decreased. The comparative study of loss analyses, soft-switching range and efficiency-characteristic of Three-Level Converter and full-Bridge Converter are rare. This paper shows the main reason of efficiency-diminution compares Three-Level Converter with and Full-Bridge Converter. Also, the loss analysis of each component and the various losses in the circuit are assessed in this paper. The result of the analysis is verified with 2.5[㎾] prototype.

      • KCI등재

        동기정류기를 이용한 Two Transistor Forward 컨버터의 효율 개선에 관한 연구

        배진용,김용,이은영,최근,계상,이택기,Bae, Jin-Yong,Kim, Yong,Lee, Eun-Young,Choi, Geun-Soo,Gye, Sang-Bum,Lee, Taek-Ki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4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Vol.18 No.2

        본 논문에서는 저전압ㆍ대전류 시스템에 적합한 동기정류기를 이용한 TTFC(Two Transistor Forward Converter)를 제안한다. 입ㆍ출력 전압 차가 큰 강압형 컨버터의 경우, 1차측 회로의 전압 스트레스가 크며, 2차측회로의 전류 스트레스가 증가하므로 전체 시스템 효율이 급격히 저하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책으로 1차측 회로에 Two Transistor 회로를 적용하며, 2차측 회로에 동기정류 방식을 이용하는 TTFC를 제안하였다. 또한 제안된 컨버터의 동작원리, 해석 및 특성에 대해서 논하였으며, MOSFET를 사용하여 입력 DC 400[V], 출력 DC 5[V]/40[A], 200[W]급 시작품을 제작, 100[KHz]에서 실험하였다. This paper presents the TTFC(Two Transistor Forward Converter) using Synchronous Rectifier. The two transistor forward circuit is used to decrease voltage stress of primary side and the synchronous rectifier is used to reduce current stress of secondary side. This paper compared with diode rectifier and synchronous rectifier of two transistor forward converter. The principle of operation, feature and design considerations are illustrated and verified through the experiment with a 200W 100KHz MOSFET based experimental circuit.

      • KCI등재

        자일로올리고당을 함유한 설탕이 건강한 성인의 Glycemic Index (GI)와 혈당에 미치는 효과

        경명옥,최한샘,정상원,이경선,조성은,서승우,최근범,양창근,유상호,김유리 한국영양학회 2014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7 No.4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xyloologosaccharide (XOS)-sugar mixture on glyce-mic index (GI) and blood glucose in human subjects. Methods: Randomized double-blind cross-over studie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sucrose with 14% xyloologosaccharide powder (Xylo 14) and sucrose with 20% xylooligo-saccharide powder (Xylo 20) on GI and postprandial glucose response at 15, 30, 45, 60, 90, and 120 min. Results: GIs of Xylo 14 and Xylo 20 were 60.0 ± 23.5 classified within medium GI range, and 54.3 ± 17.7 within low GI range, respectively. Xylo 14 and Xylo 20 showed significantly lower area under the glucose curve (AUC) for 0-15 min (p = 0.0113), 0-30 min (p = 0.0004), 0-45 min (p < 0.0001), 0-60 min (p < 0.0001), 0-90 min (p < 0.0001), and 0-120 min (p = 0.0001). In particular, compared with glucose, the blood glucose levels of Xylo 14 and Xylo 20 were significantly lower at every time point between 15 and 120 m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Xylo 14 and Xylo 20 had an acute suppressive effect on GI and the postprandial glucose surge. 본 연구는 자일로올리고당을 설탕에 적용하여 임상시험을통해 자일로올리고당 첨가량에 따른 설탕의 GI 저감효과와 혈당저감효과를 확인하였다. 건강한 성인 남녀 11명를 대상으로표준식품인 포도당과 비교하여 분말 자일로올리고당을 14% 함유한 Xylo 14과 분말 자일로올리고당을 20% 함유한 Xylo 20을 섭취 후 표준식품과 비교식품의 IAUC를 통해 GI를 산출한 결과 Xylo 14는 60.0 ± 23.5로 Medium GI 식품으로 나타났으며, Xylo 20은 54.3 ± 17.7로 Low GI 식품으로 나타났다. 순수한 설탕의 GI 68과 비교하면 각각 11.8%와 20.1% 혈당상승 저감효과를 나타낼 수 있었다. AUC는 15~90분까지 모든 구간에서 유의적인 차이 (p < 0.05)를 나타내었다. 따라서Xylo 14와 Xylo 20은 혈당 저감효과를 나타냄과 동시에 7~10 g 이상 섭취하면 자일로올리고당의 1일 유효섭취량도 만족시킬 수 있으므로 기능성 설탕으로서의 활용이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