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청소년의 대사증후군 위험 요인들에 대한 체형지수와 체질량지수의 연관성: 제5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분석

        조강 한국운동생리학회(구 한국운동과학회) 2014 운동과학 Vol.23 No.1

        조강옥. 한국 청소년의 대사증후군 위험요인들에 대한 체 질량지수와 체형지수와의 연관성: 제5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분석. 운동과학, 제23권 제1호, 33-40, 2014. 본 연구는 질병관리본부로부터 2010년과 2011년의 제5기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원시자료를 제공받아 청소년 1,386명(남아 746명, 여아 640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대사증후군 위험인자들에 대한 체 질량지수(=체중(kg)/신장 (m)2)와 체형지수(=허리둘레(m)/(체 질량지수2/3×신장(m)1/2))의 연관성을 분석하고자 수행하였다. 대사증후군 위험인자의 수준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남아들에서는 허리둘레(p<.001)와 혈압(p<.001)의 수준이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여아들에게서는 허리둘레(p<.001)와 중성지질(p<.01)의 수준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남아(p<.001)와 여아(p<.01)의 체 질량지수는 연령이 증감함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체형지수는 연령수준의 증가에 따른 유의한 수준별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대사증후군 위험인자들에 대한 체 질량지수와 체형지수와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남아에서는 12~14세 그룹과 15~18세 그룹 모두에서 체 질량지수와 모든 대사증후군 위험인자들과의 유의한 상관성을 나타내었으나, 체형지수는 12~14세 그룹에서는 허리둘레와 중성지질과의 상관관계에서 유의함을 보였으나, 15~18세 그룹에서는 허리둘레와의 상관관계에서만 유의함을 보였다. 한편, 여아에서는 체 질량지수는 12~14세 그룹에서는 허리둘레, 고밀도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질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15~18세 그룹에서는 허리둘레, 공복혈당, 고밀도콜레스테롤 및 중성지질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러나 ABSI는 모든 여아 그룹에서 허리둘레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허리둘레를 제외한 모든 대사증후군 위험인자들과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한국 청소년들은 대사증후군 위험 예견인자로서 체형지수보다 체 질량지수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보여 진다. Cho, Kang-Ok. Associations of Body Shape Index and Body Mass Index with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in Korean Adolescents: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Exercise Science, 23(1): 33-40. 2014.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associations of body mass index(BMI, weight(kg)/height(m)2) and a body shape index(ABSI, waist circumference(m)/(BMI2/3×height(m)1/2)) with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waist circumference(WC), blood pressure(BP), fasting glucose(FGC),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HDL-C), and triglycerides(TG)) in 12~14 and 15~18 age groups using 1,386 adolescents(746 males and 640 females) data of The Fif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in 2010 and 2011. In the results, while levels of WC(p<.001) and blood pressure(p<.001) in mal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age, levels of WC(p<.001) and TG(p<.01) in femal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addition, levels of BMI in males(p<.001) and females(p<.01)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age, whereas the levels of ABSI in males and females indicated no significant change with age. We performed the Pearson correlation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BMI or ABSI and metabolic syndrome risks. In males, while BMI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all metabolic risk factors in 12~14 and 15~18 age groups, ABSI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WC and TG in 12~14 age group and with WC in 15~18 age group. On the other hand, in females, while BMI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WC, HDL-C, and TG in 12~14 age group and with WC, FGC, HDL-C, and TG in 15~18 age group, ABSI had no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metabolic risk factors except WC in all female groups. These results showed that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were more affected by BMI than ABSI in Korean adolescents.

      • KCI등재

        태극권이 노인 여성의 보행과 균형능력 및 족관절 운동범위에 미치는 영향

        조강,김종휴,조현철,홍지영,강설중 대한운동학회 2014 아시아 운동학 학술지 Vol.16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ai chi on gait, balance ability, and ankle range of motion in elderly women. [METHODS]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tai chi (n=14, 69.8±3.4 years) or control group(n=14, 69.4±3.2 years). Individuals in the tai chi group participated the 24-form simplified tai chi session for 50 minutes a day, 3 days a week for 12 weeks. The control group remained in a sedentary lifestyles and refrained from any type of regular physical activity. The measures, including gait velocity, step length, stride width, Berg 's balance scale, one leg standing with closed eyes, Get-up & Go test, and ankle range of motion were performed before and after the 12-week study period. Two-way repeated measured ANOVA was used to test the effect of tai chi practice on each variable.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set at α = .05. [RESULTS] First, gait velocity(p<.001) and step length(p<.001) were increased, and stride width(p<.001) was decreased after the tai chi exercise program. Second, Berg 's balance scale(p<.001) and one leg standing with closed eyes(p<.01) were increased, and Get-up & Go test(p<.001) was decreased after the tai chi exercise program. Third, left dorsi flexion(p<.001), right dorsi flexion(p<.001), left plantar flexion(p<.001) and right plantar flexion(p<.001)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he tai chi exercise program. [CONCLUSIONS] Our data suggest that tai chi program has positive effects on gait, balance ability, and ankle range of motion in elderly women. [목적] 본 연구는 태극권이 노인 여성의 보행과 균형능력 및 족관절 운동범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고 노인의 낙상 예방을 위한 운동 프로그램으로 제시하고자 시행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자는 65세 이상으로 낙상 경험이 없으며 독립적인 일상생활이 가능한 노인 여성 28명이며, 이들 중 태극권 집단(n=14, 69.8±3.4세)과 통제 집단(n=14, 69.4±3.2세)으로 구분하여 사전과 사후 동일한 방법으로 보행능력 검사(보행속도, 보장 및 보폭), 균형능력 검사(버그 균형 척도, 동적 균형 및 정적 균형) 및 족관절 운동범위 검사(배측굴곡과 족저굴곡)를 실시하였다. 태극권 집단은 12주간, 주 3회, 50분간 간화태극권 24식을 실시하였다. 반면 통제 집단은 실험기간 동안 규칙적인 운동을 참여하지 않았다. 결과는 반복측정에 의한 이원변량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유의적 수준은 α = .05로 설정하였다. [결과] 첫째, 보행능력의 보행속도(p<.001)와 보장(p<.001)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보폭(p<.001)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둘째, 균형능력의 버그 균형 척도(p<.001)와 정적 균형의 눈감고 한발서기(p<.01)는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동적균형의 의자에서 일어나 3m 걸어갔다 돌아오기(p<.001)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셋째, 족관절 운동범위의 좌측 배측굴곡(p<.001)과 우측 배측굴곡(p<.001) 및 좌측 족저굴곡(p<.001)과 우측 족저굴곡(p<.001)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론] 태극권은 낙상 위험과 연관이 있는 노인 여성의 보행과 균형능력 및 족관절 운동범위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노인의 신체적 기능 증진을 목적으로 권장되고 있는 태극권은 낙상 예방에도 효과적인 중재전략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 본다.

      • KCI등재

        ‘오인’의 탈 벗기와 소외/분리의 윤리―최인훈의 「가면고」 연구

        조강 한국비평문학회 2011 批評文學 Vol.- No.40

        This study examines three different narratives presented in Choi In―hoon’s novel, Gamyeongo. Many researchers argue those three narratives converge into one theme of ‘self―completion’. However, by close reading we can tell the different themes of three narratives. In the first narrative, Min’s story, we can figure out the ‘return of the repressed’. The second narrative, the story of the ballet which is written by Min, expresses Min’s wish to overcome the psychological adversity derived from the ‘return of the repressed’ by the way of artistic sublimation. So, superficially viewed, Min’s psychological turbulance seems to be settled. However, Damungo’ narrative unveils Min’s psychological reality. Damungo’s story is closely related to, so called, ethics of separation. Damungo’s story shows how hard it is to unveil the masks of identity. Consequently, Whereas Min’s story shows the ethics of alienation at the level of consciousness, Damungo’s story shows the ethics of separation at the level of unconsciousness. 「가면고」는 사랑을 통한 ‘자아 완성’의 길을 모색하는 작품이라기보다는 표면적으로 예술적 승화를 통해 봉합된 균열의 양상이 그 이면에 얼마나 집요하게 남는가와 그것이 주체의 숨겨진 욕망을 어떻게 드러내는가를 보여주는 작품이다. 민의 서사에서는 주체가 억압된 것의 회귀로 촉발된 위기 상황을 예술적 승화로 다스려 보고자 하는 ‘윤리적’ 해결책을 보여준다. 이때의 ‘윤리적’ 해결은 지젝의 논의를 빌리자면, ‘소외의 윤리’에 기초한 것이라고 할 수 있으며 ‘오인’의 구조에 대한 승인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무의식의 차원에서 주체는 ‘자아 완성’의 길에서 ‘윤리적’으로는 해결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해 보고 싶은 은근한 소망을 보여준다. 발레의 각본인 변형된 신데렐라 이야기는, 민의 이와 같은 은근한 소망이 꿈 작업을 거치며 가공처리된 것이다. 그리고 이 소망의 보다 상세한 면모는 다문고의 이야기를 통해 드러난다. 다문고의 이야기를 통해 주체는 자신의 욕망을 끝까지 밀고 감으로써 자신의 결여와 그것을 낳은 오인의 구조를 인식하고, 결여 이전, ‘호명’ 이전의 ‘얼굴’을 회복하고자 하는 무의식을 드러낸다. 그런 의미에서 볼 때, 이 소설의 외형적 서사를 이루는 민의 이야기가 현실과 의식의 차원에서 ‘소외의 윤리’를 보여준다면 신데렐라 이야기와 다문고 이야기는 ‘탈’ 이면으로, 혹은 ‘탈’ 이전으로의 환상 가로지르기를 통해 ‘분리의 윤리’의 가능성을 타진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전라남도 고흥지역 몇 지명의 유래와 어원 연구

        조강 한국지명학회 2023 지명학 Vol.38 No.-

        본고는 전라남도 고흥(高興) 지역의 몇 지명의 유래와 어원에 관한 연구다. 고흥(高興)은 고이부곡(高伊部曲)에서 유래된 지명인데 『고려사』에 고이(高伊)는 고양이의 방언이라 했으나 고흥지역은 전국에서 고인돌이 가장 많은 고장임을 감안할 때 고인돌의 개석을 떠받치는 ‘고이다’의 어간 ‘고이’를 ‘高伊’로 표기한 데서 유래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과역(過驛)은 양강역(楊江驛)을 지난 곳이라는 의미에서 불린 지명으로 보았고, 점암(占巖)은 이 지역에 고인돌이 점점이 놓여 있음을 소재로 點岩으로 표기할 것을 占岩으로 표기한 지명으로 보았다. 두원(豆原)은 백제(百濟) 시대의 두힐현(豆肹縣)이 시대에 따라 개칭된 지명 중 조선시대의 지명인데 ‘豆肹’이 ‘*두흘·둘ㅎ’의 음차표기라면 ‘豆原’의 ‘豆’도 수사 ‘둘·두’를 음차 표기로 보았다. 포두면(浦頭面)은 ‘개머리’의 훈차표기로 보았으며, 상백(上栢), 하백(下栢)의 ‘栢’은 성(城)의 옛말 ‘잣’에 어원을 둔 어사로 보았으며, 발포(鉢浦)의 ‘鉢’은 벽(壁), 성(城)으로 대역되었던 ‘ᄇᆞᄅᆞᆷ’의 어근 ‘*ᄇᆞᆯ’의 음차 표기로 보았다.

      • KCI등재

        고층 건축물의 수평진동에 대한 사용자의 지각임계가속도

        조강,신성우,정승환,조수연,Cho, Kang-Pyo,Shin, Sung-Woo,Jeong, Seung-Hwan,Cho, Soo-Youn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07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Vol.20 No.3

        본 논문에서는 진동대를 이용하여 고층 건축물의 수평진동에 대한 지각임계가속도를 측정하였다. 바람에 의한 초고층 건축물의 과도한 진동은 거주자들에게 시각차와 현기증 같은 불쾌감을 줄 수 있다. 초고층 건축물 거주자들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가속도를 제한할 필요가 있다. 초고층 건축물은 1차 고유주기에 지배적이다 본 연구진은 1차 고유주기를 재연하기 위해 진동대를 사용하여 사인파진동에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은 진동하우스를 제작하고, 건장한 40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40명의 피험자를 8명씩 5개조로 나누고, 특정주파수범위$(0.2Hz{\sim}1.2Hz)$에서 가속도를 증가시키면서 수평진동에 대한 인지도를 측정하였다. 수평진동실험으로 피험자들의 진동에 대한 인지도를 누적분포표로 만들고, $0{\sim}20%,\;21{\sim}40%,\;41{\sim}60%,\;61{\sim}80%,\;81{\sim}100%$의 누적분포에 대해 추세선을 그려서 성능평가곡선을 작성하였다. In this paper, acceleration threshold of perception for the horizontal vibration of tall buildings was estimated. Excessive vibration of tall buildings by wind can give displeasure, such as giddiness and visual insecurity. To provide comfortable environment to residents of tall buildings, acceleration needs to be limited. For tall buildings the first mode of vibration is dominant. To reproduce the first mode of vibration, experiments were performed by generating sine waves by a shaking table. A nitration house was made and forty persons were employed for experiments. The forty persons were organized into five experimental groups, each of which was composed of eight persons, and the threshold of perception for horizontal vibration was measured by increasing acceleration in the range of 0.2Hz through 1.2Hz of frequency, Performance curves were obtained by dividing the distribution of perception for horizontal vibration into the range of $0{\sim}20%,\;21{\sim}40%,\;41{\sim}60%,\;61{\sim}80%\;and\;81{\sim}100%$ and by fitting curv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