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국내 소아의 표준 식도 길이; 내시경으로 측정한 식도 길이와 신장의 상관관계

        조강호,류일,홍희주,손동우,차한,Cho, Kang Ho,Ryoo, Eeell,Hong, Hee Ju,Son, Dong Woo,Tchah, Han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05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8 No.2

        목 적: 소아에서 식도의 길이를 예측하는 방법은 많지 않으며 연령을 기준으로 한 이전의 공식은 같은 나이라도 신장과 체중이 다양하여 식도 길이를 예측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저자들은 소아에서 식도의 길이를 예측할 수 있는 기준치를 찾고자 하였다. 방 법: 2001년 3월부터 2005년 5월까지 가천의대 길병원에서 내시경 검사로 내절치부터 위식도 점막 이행부까지의 길이와 신장, 체중을 측정했던 환아 중 식도 열공탈장, 발육 부전, 골격계의 이상, 선천적 기형, 수술을 시행했던 환아를 제외한 262명을 결 과: 1) 전체 262명 소아의 평균 연령은 $9.0{\pm}3.6$세로 생후 2일부터 16세까지였으며, 남아는 130명, 여아는 132명이었다. 2) 대상 소아의 평균 신장은 $132.89{\pm}23.49cm$였고, 내절치부터 위식도 점막 이행부까지의 길이는 평균 $33.34{\pm}5.42cm$였다. 위식도 점막 이행부까지의 길이와 연령, 신장, 체중과의 상관관계 중 신장이 가장 상관관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Pearson correlation=0.944). 3) 이를 바탕으로 식도 길이의 예측 공식으로 [식도 길이=4.419+($0.218{\times}$신장)]을 산출하였다(p=0.000, $R^2=0.891$). 결 론: 소아에서 식도의 길이는 신장과의 상관관계를 이용한 예측치가 가장 정확한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 There have been a few data about esophageal length in children and previous data are improper for application to various procedures. Because of the variability in height and weight of each the individuals especially in children, measurable external parameters are needed. Methods: We measured distance from upper incisor to esophago-gastric junction using a flexible endoscope and compared these data with age, height and weight in 262 children who underwent upper gastrointestinal endoscopy. Results: The mean age was $9.0{\pm}3.6year$ (from 2 days to 16 year of age), mean height was $132.89{\pm}23.49cm$ and mean length from upper incisor to esophago-gastric junction was $33.34{\pm}5.42cm$. Correlation between distance from upper incisor to esophago-gastric junction and height was the mostly predictable indicator of the esophageal length (Pearson correlation=0.944). We propose a formula [Esophageal length=4.419+($0.218{\times}height$)] as a indicator of the esophageal length (p=0.000, $R^2=0.891$). Conclusion: The esophageal length in children and for application to various procedures can be reliably predicted by using the height.

      • KCI등재후보

        A Case of Symptomatic Neurocutaneous Melanosis Associated with the Dandy Walker Complex and Excellent Response of Seizures to Topiramate

        조강호,선용한,류일,차한 대한소아신경학회 2008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16 No.2

        Neurocutaneous melanosis is a rare non-familial congenital neurocutaneous syndrome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large or multiple congenital melanocytic nevi in association with benign or malignant proliferation of melanocytes in the leptomeninges. It is believed to be an embryonic neuroectodermal dysplasia. The Dandy Walker complex is an uncommon disorder of the CNS, also. refers to a condition with a broad posterior fossa and high tentorium insertion, hypoplasia or aplasia of the cerebellar vermis and cystic dilation of the fourth ventricle communication with the posterior fossa. We report a patient with NCM associated with the DWC that was diagnosed by MRI. The patient had multiple, small to medium-sized melanocytic nevi on the scalp and back, presenting at birth. At 6 months of age, frequent daily attacks of partial seizures were noted. T1 weighted MR images showed multiple high signal lesions in the amygdala, cerebellar folia, deep nuclei, and basis pontis, compatible with intraparenchymal melanin deposits. In addition, hypoplasia of the inferior vermis and a broad posterior fossa were identified. The patient failed to respond to oxcarbazepine. The seizure frequency did not decrease for the first three months. Vomiting and mild elevation of the liver enzymes were observed after adding valproic acid. However, after topiramate was started the frequency of the seizures decreased, and the oxcarbazepine and valproic acid were discontinued. With 5 mg/kg of topiramate treatment, the patient became seizure free for 20 months; however, infrequent seizures recurred thereafter. The dosage of topiramate was increased to 13 mg/kg, and for the following 15 months, there have been no seizures. Seizures were well controlled by topiramate for four years.

      • KCI등재후보

        소아에서 중심 측두부에 간질양파를 보인 환아에서의 임상양상 및 뇌파소견

        조강호(Kang Ho Cho) 대한소아신경학회 2000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8 No.2

        목적 : 소아 연령에서의 이상 뇌파소견 중 중심 측두부의 극파는 흔한 소견으로 여러 연구결과에서 많이 보고되었으나 아직 우리 나라에서의 연구 결과는 많지 않은 편이다. 이에 저자들은 중심 측두부에 간질양파를 보이는 환아에서의 임상 양상이나 뇌파 소견 등을 조사해 보기 위해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방법 : 가천의대 중앙 길병원에서 1996년 2월에서 1999년 7월까지 시행한 뇌파검사상 중심 측두부에 간질양파를 보인 환아 중 소아 신경과에서 추적관찰이 6개월 이상 가능하였던 38례를 대상으로 후향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뇌파 소견에 따라 중심 측두부에 만 간질양파를 보인 군과 중심 측두부의 간질양파 외에 다른 이상이 동반된 군으로 나누었다. 결과 : 병원 방문시 주소는 수면 중 발작 30례, 각성시 발작 4례였으며, 두통 2례, 열성경련, 자기손상적 행동(self mutilation) 각 1례였다. 발작의 증후는 단순부분 발작이 3례, 복잡부분 발작이 17례였으며, 전신발작이 14례였다. 뇌파 소견상 중심측두부의 간질양파만 보인 환아가 20례였고, 다른 이상이 동반된 경우가 18명이었다. 임상적 발작이 있는 환아 34명 중 약물 치료 전 발작횟수가 1회 이상 3회 이하인 경우가 23례였으며 4회에서 10회 사이인 경우가 8례, 10회 이상인 경우가 3명이었다. 약물 복용 중 전혀 발작이 없는 환아가 19명이었고 1회에서 3회 사이가 11명이었으며 10회 이상 발작이 있는 경우도 3명 있었으나 2명은 부적절한 치료로 인한 것이었다. 결론 : 중심 측두부에 간질양파를 보인 환아의 예후는 양호한 것으로 생각되나 좀 더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리라고 생각된다.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clinical manifestations and EEG findings of children with centro-temporal spikes. Methods: We reviewed the clinical records of 38 patients showed epileptiform discharges on centro-temporal area and followed over 6 months at the Pediatric Neurology Clinic, Ghil hospital from February 1996 to July 1999. According to the EEG findings, they were classified into 2 groups : One was the group with epileptiform discharges on centro-temporal area only and the second was the group with other abnormal EEG findings besides centro-temporal epileptiform discharges. Results: 1) The chief complaints included nocturnal convulsions in 30, diurnal convulsions in 4, headache in 2, febrile convulsion in 1 and self-mutilation in 1 patient. 2) According to seizure types, 3 patients had simple partial seizure, 17 had complex partial seizure and 14 had generalized seizure. 3) According to EEG findings, 20 showed centro-temporal spikes only, 18 revealed centro-temporal spikes and other abnormality. 4) The clinical seizure attacks prior to medication were observed in 34 patients, with 1 to 3 seizure attacks in 23, 4 to 10 attacks in 8 and over 10 attacks in 3 cases. 5) After medication 19 patients had no seizure attack and 11 had 1 to 3 attacks. Three patients had more than 10 attacks, but 2 of them were not adequately treated. Conclusion: It seems that the prognosis of the patients with centro-temporal spikes is good, but more rigorous studies based on more comprehensive data will be needed.

      • KCI등재후보

        A Case of Symptomatic Neurocutaneous Melanosis Associated with the Dandy Walker Complex and Excellent Response of Seizures to Topiramate

        Kang Ho Cho(조강호),Yong Han Sun(선용한),Eel Ryoo(류일),Han Tchah(차한) 대한소아신경학회 2008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16 No.2

        신경피부멜라닌증은 피부와 중추신경계를 침범하는 드문 비가족적인 선천성 증후군으로 연수막에 멜라닌세포의 양성이나 악성 증식이 피부에 거대 또는 다수의 멜라닌세포모반과 같이 존재하는 피부 신경증후군으로 배아의 신경외배엽의 형성이상으로 생각된다. Dandy Walker 증후군도 드문 신경 질환이다. 은 두개강의 넓은 뒤오목과 천막이 높아지고 소뇌중 앙이 무형성되거나 형성이 저하되며 제4뇌실이 낭성 확장하는 소뇌의 형성 이상이다. 저자들은 자기공명영상상 이 두 가지가 동반된 아주 드문 경우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환자는 두피와 등에 많은 검은색 모반이 출생 시부터 있었으며 생후 6개월에 하루 수회의 잦은 부분 발작으로 자기공명영상을 촬영하였고 T1 강조 영상상 멜라닌 침착에 해당하는 고신호 강도가 편도, 깊은핵, 소뇌 잎새, 교뇌에 보였고, 소뇌중심의 아래가 형성이 부전하며 넓은 뒤오목을 보였다. 환자는 oxcarbazepine에 반응하지않았고 Valproic acid 투여 후 구토와 혈액검사 상 간기능 검사의 약간의 이상 소견을 보였다. 경련은 계속되었다. Topiramate 투여 후 경련횟수가 줄고 다른 항경련제는 중단하였다. Topiramate 를 체중 당 5 mg사용 후 20개월간 경련이 없었으나 이후 드문 경련이 있어 체중 당 13 mg까지 증량하였으며 이후 15개월간 더 이상의 사용 후 경련은 4년간 잘 조절되었다. Neurocutaneous melanosis is a rare non-familial congenital neurocutaneous syndrome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large or multiple congenital melanocytic nevi in association with benign or malignant proliferation of melanocytes in the leptomeninges. It is believed to be an embryonic neuroectodermal dysplasia. The Dandy Walker complex is an uncommon disorder of the CNS, also. refers to a condition with a broad posterior fossa and high tentorium insertion, hypoplasia or aplasia of the cerebellar vermis and cystic dilation of the fourth ventricle communication with the posterior fossa. We report a patient with NCM associated with the DWC that was diagnosed by MRI. The patient had multiple, small to medium-sized melanocytic nevi on the scalp and back, presenting at birth. At 6 months of age, frequent daily attacks of partial seizures were noted. T1 weighted MR images showed multiple high signal lesions in the amygdala, cerebellar folia, deep nuclei, and basis pontis, compatible with intraparenchymal melanin deposits. In addition, hypoplasia of the inferior vermis and a broad posterior fossa were identified. The patient failed to respond to oxcarbazepine. The seizure frequency did not decrease for the first three months. Vomiting and mild elevation of the liver enzymes were observed after adding valproic acid. However, after topiramate was started the frequency of the seizures decreased, and the oxcarbazepine and valproic acid were discontinued. With 5 mg/kg of topiramate treatment, the patient became seizure free for 20 months; however, infrequent seizures recurred thereafter. The dosage of topiramate was increased to 13 mg/kg, and for the following 15 months, there have been no seizures. Seizures were well controlled by topiramate for four years.

      • KCI등재후보

        부적절하게 조절되는 소아 간질 환자에서 Topiramate의 병용투여 효과

        이문향,조강호,황경태,이인구,은백린,김준식,권순학,정사준,황규근,남상욱,김영창,서은숙,황용승,김기중,문한구,고태성,황태규,김홍동,이건수,김원섭,정희정,김선우 대한소아신경학회 2001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9 No.1

        목적: 현재까지 문헌에 보고된 topiramate의 임상연구의 결과는 대부분 성인에서 이루어졌으며, 소아에서의 topiramate의 광범위한 연구는 매우 적으며 국내에서는 아직도 소아를 대상으로 한 광범위한 임상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이에 저자들은 우리 나라의 소아간질환자에서 topiramate의 효능과 안전성을 입증하기 위해서 전국적인 규모로 다기관에서 실시되는 4상 임상연구를 시행하게 되었다. 방법: 1999년 4월부터 2000년 2월까지 10개월 동안 국내 20개의 대학 및 종합병원에 내원한 소아간질환자를 대상으로 4주간의 관찰기, 12주간의 약물용량조정기와 12주간의 유지기로 나누어 topiramate 투여 후 최소한 4주마다 외래방문을 하도록 하였다. 시험약제의 유효성을 평가하는 주결과 변수로는 발작회수감소율의 중앙값(median seizure frequency reduction rate)을, 보조결과변수로는 유지기 동안의 발작빈도가 관찰기 동안의 발작빈도보다 50% 이상 감소한 환자들의 비율(≥50% seizure frequency reduction rate, responder rate), 발작의 완전 관해율 및 마지막 방문시 이루어지는 전반적 개선도를 사용하였다. 안전성의 평가로는 부작용과 탈락율을 산출하고 descriptive analysis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의 통계분석은 student t-test, paired t-test, Wilcoxon test, ANOVA 등의 분석방법을 이용하였다. 결과: 1) 연구기간 동안 등록된 환아는 192명이었으며 이중 8명은 포함기준에 맞지 않아 본 연구에서 제외되었다. 관찰기의 대상에 포함된 184명의 평균연령은 9.4세이었고, 발작 횟수(baseline seizure frequency) 는 평균 73.9회, 4주, 중앙값은 10회, 4주이었다. 병용항경련제의 수는 2가지 이상인 경우가 전체 환자의 85.9% 이었고, 발작유형은 부분발작환자 148명(80.4%), Lennox-Gastaut syndrome 환자 36명(19.6%)이었다. 유병기간은 2년 이상인 경우가 151명(82.1%)이었고, 6개월에서 2년인 경우가 33명(17.9%)이었다. 2) 발작회수감소율의 중앙값은 약물용량조절기 및 유지기를 포함한 전체기간 동안에 62.2%를 보였으며, 유지기 동안만 포함한 경우 67.1%이었다. 50%이상 발작감소율인 반응율은 유지기 동안에 60.9%(112명)이었고, 이중 100% 발작소실을 보인 경우는 약물용량조절기 및 유지기를 포함한 전체기간 동안에 6.5%(12명), 유지기 동안에 16.3%(30명)이었다. 전반적 평가 결과는 연구자의 43%와 보호자의 44%가 전반적인 상태가 중등도 이상 호전된 것으로 평가하였다. 3) 전체기간 동안 한가지 이상의 부작용이 보고된 환아는 184명 중 51명(44%)이었으며 103명(56%)의 환아에서는 부작용이 보고되지 않았다. 발생한 부작용의 유형은 식욕감퇴가 전체의 27.1%, 졸음이 21.7%, 사고장애와 소화기 장애가 각각 7%이었고, 그밖에 집중장애, 체중감소, 피로 발진, 언어장애, 신경과민 등이었다. 전체기간 동안의 체중 감소는 체중비만도가 높을수록 많았다. 발생한 부작용의 64.3%는 연구기간 동안에 호전된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부작용으로 연구 대상에서 탈락된 경우는 8명(4.3%)이었다. 결론: Topiramate는 부적절하게 조절되는 부분발작 및 Lennox-Gastaut syndrome 환아의 치료에 효과가 우수하고 안전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어 향후 이들의 치료에 중요한 역학을 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성장 및 발달의 변화가 빠른 소아 환자의 식욕감퇴, 체중감소 및 중추신경계 관련 부작용은 보다 장기간에 걸친 비교 연구가 시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topiramate up to 9㎎, ㎏, day in children as adjunctive therapy for inadequately controlled partial seizures with or without secondary generalization and Lennox-Gastaut syndrome. Methods: This study was a prospective, multicenter, add-on, and open-label study. Patients between age 2 to 16 years with previous 4 weeks seizure record were treated with topiramate for 24 weeks. Study design consisted of a 4 weeks baseline phase, a 12 weeks of titration phase, and a 12 weeks stabilization period. Efficacy was primarily assessed by measuring median seizure frequency reduction rate and other efficacy variables included responder rate, seizure free rate, and global evaluation by investigators and parents. Treatment emergent adverse events were also investigated. Results: Among 192 patients screened, 184 patients were included for efficacy measurement by intention-to-treat analysis. Median seizure frequency reduction rate were 62.2% during the entire period and 67.1% during the stabilization period. Responder rate were 59.2% during the entire period and 60.9% during the stabilization period. Seizure free rate were 6.5% during the entire period and 16.3% during the stabilization period. The incidence of treatment emergent adverse events was 44% with anorexia and somnolence being the most frequent. 64.3% of patients with adverse events reported resolution of adverse effects during the trial. Conclusion: Results in this cohort of 184 patients with refractory seizures show topiramate to be highly effective and sage and add-on therapy in medically refractory partial seizures and Lennox-Gastaut syndrome in pediatric population.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영아 발열성 요로감염 환자의 항생제 연관 설사

        원종복,김민채,은병욱,선용한,조강호,차한,전인상,Won, Chong Bock,Kim, Min Chae,Eun, Byung Wook,Sun, Yong Han,Cho, Kang Ho,Tcha, Hann,Jeon, In Sang 대한소아감염학회 2012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Vol.19 No.1

        목 적 : 본 연구는 발열성 요로감염으로 입원한 영아에서 항생제 연관 설사(Antibiotic-associated Diarrhea, 이하 AAD)의 양상 및 연관인자를 조사하였다. 이 연구는 영아 AAD의 예방과 치료에 사용되는 생균제에 대한 기초 연구이다. 방 법 : 가천의대길병원에서 2008년 1월부터 2010년 9월 사이에 급성 발열성 요로감염으로 입원한 생후 3-6개월의 영아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AAD를 보인 환자(AAD군)와 보이지 않은 환자(non-AAD군)를 비교하였다. AAD군 내에서 사용한 항생제 요법과 용량, 설사의 양상을 비교하였다. 결 과 : 총 147명 중 AAD군은 54명(36.7%)이었고, 이 중 3세대 세팔로스포린($3^{rd}$ CS) 단일요법군, $3^{rd}$ CS과 비세팔로스포린 혼합요법군, 비세팔로스포린 혼합요법군 간의 설사의 발현 시점, 지속기간 및 횟수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AAD군과 non-AAD군과의 cefotaxime 사용량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 론 : 생후 3-6개월 영아의 발열성 요로감염 환자에서 AAD는 항생제의 요법과 평상적 투여량 범위내에서 용량에 관계없이 흔하게 발생하였다. 영아 AAD의 예방과 치료에 사용되는 생균제의 효과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Purpose :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frequency, duration, and risk factors of antibiotic-associated diarrhea (AAD) in infants hospitalized due to febrile urinary tract infection (UTI). This is a basic research on the probiotics used i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AAD in infants. Methods : Medical records of the infants aged 3-6 months hospitalized in Gachon University Gil Hospital from January 2008 to September 2010 due to the febrile UTI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episodes of loose or watery stool were investigated for frequency, onset, and duration. Those who had AAD and those who did not (non-AAD) were compared. The antibiotic regimens and the episodes of diarrhea were investigated in AAD group. Result : Total 147 infants were included. Fifty-four (36.7%) showed AAD. Intravenous third-generation cephalosporin ($3^{rd}$ CS) single therapy was used for 102 patients (69.4%), the $3^{rd}$ CS and non-$3^{rd}$ CS combination therapy for 24 (16.3%), and non-$3^{rd}$ CS combination therapy for 21 (14.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ose of cefotaxime between AAD and non-AAD group (P=0.601). According to the antibiotic therapies above, in AAD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nset and duration of diarrhea respectively (P=0.717, P=0.830). Although the frequency of diarrhea was higher for the $3^{rd}$ CS and non-$3^{rd}$ CS combination therapy subgroup with $9.25{\pm}5.30$ times/day than the other two subgroups ($7.58{\pm}2.97$ times/day in $3^{rd}$ CS single therapy subgroup, $6.75{\pm}4.40$ times/day in non-$3^{rd}$ CS combination therapy subgroup),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P=0.078). Conclusion : AAD seems common to the infants aged 3-6 months with febrile UTI, regardless of regimen and amount of antibiotics in usual dosage. Further research on the effects of probiotics used i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AAD in infants is warranted.

      • KCI등재

        기능성 소화불량 소아청소년에서 위 운동에 대한 Helicobater pylori 감염의 영향

        류일,남유니,권창규,강성길,조강호,손동우,차한,Ryoo, Eell,Nam, Yoo-Nee,Kweon, Chang-Kyu,Kang, Sung-Kil,Cho, Kang-Ho,Son, Dong-Woo,Tcha, Hann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09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12 No.2

        목 적: H. pylori는 만성 위염의 중요한 원인균으로서 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이와 관련된 기능성 소화불량과의 관계나 위 운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특히 소아에서 많지 않다. 이에 본 연구자들은 소아 및 청소년의 기능성 소화불량 환자에서 H. pylori 감염이 위전도 검사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 법: 2006년 8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복통을 주소로 가천의대 길병원과 인하대병원 소아청소년과에 소화불량을 주소로 내원한 소아 및 청소년 중 상부 위장관 내시경 검사와 함께 조직검사 혹은 요소호기 검사를 시행한 환아 중 기능성 소화불량 환자를 대상으로 위전도 검사를 시행하였다. 이 중 조직검사를 통해 만성 위염이 확인되고 만성 질환자를 제외한 63예를 대상으로 H. pylori 양성군과 음성군으로 나누어 위전도 검사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H. pylori 양성군은 25명(40%)이었으며 음성군은 38명(60%)이었다. H. pylori 양성군에서 음성군보다 식, 전후 정상리듬의 비율이 비교적 낮았다(80% vs. 65%, 80% vs. 68%). 또한 주 힘은 식후 검사상 H. pylori 양성군에서 유의하게 낮았으며(8.18${\pm}$22.36 dB, 32.20${\pm}$24.18 dB, p<0.01), 식후 주 힘의 변화(${\delta}P$)도 유의하게 적었다(-1.28${\pm}$6.18 vs. +4.62${\pm}$5.93, p<0.01). 그러나 다른 변수들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 론: H. pylori 감염은 위의 운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되며, 따라서 H. pylori 감염과 함께 위 운동 이상이 있을 경우 H. pylori 감염률이 낮은 지역에서는 H. pylori 제균 치료를 고려할 수도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In spite of many reports about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in children with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there are few reports about the influence of H. pylori infection to functional dyspepsia and gastric motility. Therefore, we studied the influence of H. pylori infection on gastric myoelectrical activity in children with functional dyspepsia. Methods: Between August 2006 and December 2008 upper gastrointestinal endoscopies with biopsies, the rapid urease test and/or $^{13}C$ urea breath test, and electrogastrography (EGG) were performed on 63 patients with histologic chronic gastritis; patients with chronic disorders were excluded. Comparisons about gastric myoelectrical activities were made between H. pylori-positive children (n=25) and H. pylorinegative children (n=38). Results: The percentage of pre- and post-prandial normogastria was relatively lower in H. pylori-positive children than H. pylori-negative children (80% vs. 65%, and 80% vs. 68%, respectively). Compared to H. pylori-negative children, H. pylori-positive children had lower postprandial predominant power (8.18${\pm}$22.36 dB and 32.20${\pm}$24.18 dB, respectively; p<0.01) and a lower power ratio (${\delta}P$; -1.28${\pm}$6.18 vs. +4.62${\pm}$5.93, respectively; p<0.01). Conclusion: It was suggested that the gastric myoelectrical activity in children with chronic gastritis can be influenced by H. pylori infection. Thus, this study indicates that H. pylori infection may be predictable in children with functional dyspepsia through analyzing the EGG parameters, and treatment may be considered in H. pylori-positive children with impaired gastric activity, especially in the lower prevalence a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