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직구성원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이 흡수능력과 정서적 몰입 및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장태원 ( Tae Won Chang ),홍아정 ( Ah Jeong Hong ) 한국지식경영학회 2011 지식경영연구 Vol.12 No.2

        As organization`s success depends on how much employees are active in recognizing new knowledge and transform into organization`s value,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employees` self-directed learning capacity on organizational absorptive capacity,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involvement. The study has shown that managerial level employees have high level of self-directed learning capacity, and employees who have such high level capacity also shown to have high level of absorptive capacity and organizational affective commitment and job involvement. There were static correlations between all the variables, and absorptive capacity has a complete meditated effect on each variables. Hence, in order to enhance absorptive capacity, organizations should put their effort to develop employees` self-directed learning capacity, which will not only improve individual competency but also lead to organization`s success in this competitive global market.

      • 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차세대 MIMO 이동통신에서 적응변조시스템의 성능분석

        강성진 ( Sung-jin Kang ),장태원 ( Tae-won Jang ),유영환 ( Young-whan You ),황인태 ( In-tae Whang ),강민구 ( Min-goo Kang ),강창언 ( Chang-eon Kang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03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4 No.5

        본 논문에서는 CDMA 시스템에서 적응 변조 및 부호화 (AMC) 기법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서 기지국과 단말기 간에 개루프 및 폐루프 전송 다이버시티를 적용하였다. 이는 전송 다이버시티를 적용하여 수신 단의 신호 대 잡음비 (SNR)를 개선함으로써, 보다 높은 전송률을 지원하는 변조 및 부호화 레벨이 선택될 확률을 증가시키고 이에 따른 평균 전송률의 이득을 얻고자 하는 것이다. 개루프 전송 다이버시티로는 시공간 블록 부호화 기반 전송 다이버시티 (STTD) 기법을, 폐루프 전송 다이버시티로는 선택적 전송 다이버시티 (STD) 기법을 적용하였다. 모의 실험 결과, AMC 기법과 전송 다이버시티를 결합함으로써 기존 시스템에 비하여 향상된 전송률을 얻을 수 있었다. 단일 경로 레일리 페이딩 채널 환경에서 두 개의 전송 안테나를 사용한 AMC-STTD는 9dB 신호 대 잡음비에 대하여 기존의 AMC 기법보다 약 250kbps의 전송률 이득을 보였다. 또한 두 개의 전송 안테나를 사용한 AMC-STD의 경우는 역시 9dB 신호 대 잡음비에서 약 420kbps의 전송률 이득이 얻어짐을 확인하였다. In this paper, we combine AMC (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with MIMO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ultiplexing to improve the throughput performance of AMC in Next Generation Communication Mobile Systems. In addition, we propose a system that adopts STD (Selection Transmit Diversity) in the combined system. The received SNR (Signal to Noise Ratio) is improved by adopting STD techniques and an improved SNR increases a probability of selecting MCS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level that supports higher data rate. The computer simulation is performed in flat Rayleigh fading channel. The results show that higher throughput is achieved by AMC-TD schemes. AMC-STTD scheme shows about 250kbps increase in throughput. And AMC-STD with 2 transmit antennas achieves about 420 kbps throughput improvement over the conventional AMC at 9dB SNR .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양식장 배출수 퇴적층에서 분리된 미생물의 다당분해효소 활성 및 특성

        김만철(Man-Chul Kim),장태원(Tae-Won Jang),Ramasamy Harikrishnan,문영건(Young-Gun Moon),송창영(Chang-Young Song),김기영(Gi-Young Kim),허문수(Moon-Soo Heo) 한국생명과학회 2009 생명과학회지 Vol.19 No.3

        제주도 양식장 배출수 퇴적층에서 다당 분해효소를 생산하는 세균을 분리되었으며, 각각 ST-63, ST-140라고 명명하였다. 분리균주 ST-63의 16S rDNA의 염기서열 분석 결과 Bacillus amyloliquefaciens와 Bacillus velezensis의 염기서열과 99%의 상동성을 보였으며, BIOLOG를 이용한 생화학적 분석에서도 Bacillus amyloliquefaciens와 가장 유사한 특성을 보여 최종적으로 분리균주 ST-63을 Bacillus sp. ST-63으로 명명하였다. 또한 분리균주 ST-140의 16S rDNA의 염기서열 분석 결과 Pseudoalteromonas marina와 Pseudoalteromonas agarivorans의 염기서열과 99%의 상동성을 보였으며, BIOLOG를 이용한 생화학적 분석에서도 Pseudoalteromonas 종과 유사한 특성을 보여 최종적으로 분리균주 ST-140을 Pseudoalteromonas sp. ST-140이라고 명명하였다. 다당 분해효소 생산 균주인 Bacillus sp. ST-63과 Pseudoalteromonas sp. ST-140의 증식을 위한 최적배양온도를 확인하고 증식온도에 따른 다당 분해효소 활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균주 Bacillus sp. ST-63는 20℃ 및 40℃ 배양실험구 보다 30℃ 배양실험구에서 가장 높은 균생육도를 보였으며, 효소활성에 대한 영향을 확인해본 결과 20~40℃ 모든 실험구에서 24시간 이후 매우 높은 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서 본 균주는 효소활성의 생산에 있어서 온도에 매우 민감하게 작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Pseudoalteromonas sp. ST-140 균주는 20℃ 및 40℃ 배양실험구보다 30℃ 배양실험구에서 가장 높은 균 생육도를 보였으며, 효소활성에 대한 영향을 확인해본 결과 20~40℃ 배양실험구 모두에서 24시간을 기준으로 효소활성이 계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30℃와 40℃ 배양 실험구에서는 배양 시간 96시간에도 높은 효소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분리균주가 배지의 초기 pH에 따른 효소활성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pH 4~10 범위의 배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 Bacillus sp. ST-63과 Pseudoalteromonas sp. ST-140 균주 모두다 비슷한 결과를 보였으며, pH 6을 기준으로 효소활성이 급격히 증가하다가 7~8에서 최고 활성을 보였다. 차후 분리균주의 효소생산을 위한 최적배양조건 및 물질분리 방법을 통하여 미생물 유래의 효과적인 효소를 생산하는 기술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In the course of screening of useful enzyme-producing microorganisms from marine sedimentary layers, we isolated 2 amylase producing strains and tested their amylase producing activities. Analyses of 16S rDNA sequences and biochemical methods (BIOLOG) of two isolates showed that they were confirmed to be a gram positive Bacillus sp. and gram negative Pseudoalteromonas sp., respectively. Excellent amylase producing strains were termed Bacillus sp. ST-63 and Pseudoalteromonas sp. ST-140, and further studies were conducted on their amylase producing characteristics. Optimum conditions for cell growth in amylase activity were obtained when the isolate (Bacillus sp. ST-63 and Pseudoalteromonas sp. ST-140) was cultured at 30℃ and pH 7~8.

      • SCOPUSKCI등재
      • 장기간 고염 섭취한 SHR 고혈압쥐에서 Nifedipine이 Nerepinephrine과 Angiotensin Ⅱ의 승압반응에 미치는 영향

        장태원,박윤엽,박재식,이원정,주영은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89 慶北醫大誌 Vol.30 No.3

        생후 5개월 이상 성숙한 SHR에서 장기간의 고염 섭취가 칼슘 통로 차단제인 nifedipine의 혈압강하 작용과 norepinephrine(NE)이나 angiotensinⅡ(Ang Ⅱ)의 승압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험하였다. 저염이나 고염식이(1.5 또는 30mmolNa/100g diet)를 6주간 먹였다. 그후, 실험 당일날 아침에는 약한 ether 마취하에서 좌측 대퇴 동맥에 관을 삽입하여 동맥 혈압과 심박수를 기록하고, 대퇴 정맥에 삽입한 관으로는 NE(0.25와 1.0㎍/㎏ BW), Ang Ⅱ(62.5dhk 250ng/㎏) 또는 nifedipine을 주입하였다. 수술후 마취가 깨고 혈압이 안정된 후, 우선 NE와 Ang Ⅱ 용량에 따른 혈압과 심박수의 반응을 기록하였다. 그 다음 nifedipine을 2㎍/㎏/min의 속도로 30분간 주입하여 반응을 기록한 후, nifedipine을 계속 주입하는 상태에서 NE와 Ang Ⅱ의 반응을 시험하였다. SHR 저염군과 고염군 사이에서 안정시 평균 동맥압과 맥박수에 차이가 없었으며, NE이나 Ang Ⅱ에 대한 승압 반응에도 차이가 없었다. Nifedipine 주입 용량이 클수록 혈압 강하 반응도 컸으며, 고염군이 저염군보다 혈압 강하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다. 또한 nifedipine은 NE나 Ang Ⅱ의 승압 반응을 감소시켰는데, 고염군이나 저염군 간의 반응도에는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압감수성 반사 작용은 고염군에서 더 예민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성숙된 고혈압 단계에서의 장기적 고염 섭취가 고혈압을 악화시키지는 않지만, 혈관 평활근 칼슘 투과도나 압감수성 반사에는 영향을 미치는 것을 시사해 주고 있다. Effects of calcium channel blocker, nifedipine, on pressor responses to norepinephrine (NE) and angiotensin Ⅱ(Ang Ⅱ) was compared in SHR (5 month old) fed low or high sodium diet (1.5 or 30 mmol/100 diet) for over 6 weeks. On the morning of the experiment, catheters were inserted under ether anesthesia in femoral artery for recordings of pressure and heart rate, femoral vein for drug administration. After the rats got conscious and the arterial pressure became stabilized, pressor responses to NE(0.25 & 1.0 ㎍/㎏ BW) and Ang Ⅱ (62.5 & 250 ng/㎏) were tested. Then, other pressor responses to NE and Ang Ⅱ were tested while nifedipine was infused at doses of 2 or 16 ㎍/㎏/min. SHR fed low or high sodium diet showed similar responses of mean arterial pressure, and heart rate to NE and Ang Ⅱ. The higher dose of nifedipine produced a greater decrease in arterial pressure. Hypotensive response to nifedipine was greater in high sodium-than in low sodium-SHR. Nifedipine also decreased the pressor responses to NE and Ang Ⅱ,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sodium groups. However, the heart rate responses to NE and Ang Ⅱ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high sodium-than in low sodium-SHR. The above results suggest that chronic high sodium loading may affect the calcium permeability of the vascular smooth muscle membrane and the baroreflex sensitivity in SHR.

      • KCI등재후보

        한랭노출과 고혈압의 연관성

        장태원,김윤규,윤동영,이창희,홍영습,신해림,정갑열,김준연 大韓産業醫學會 2001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3 No.4

        Objectives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uggest preventive methods for hypertension in cold-exposed workers. Methods : In 11 refs·iteration industries, 68 workers working in refrigerated areas more than one time per day were selected as the exposed group, and 68 workers not exposed to cold were selected as the control group. We interviewed the subjects with a questionnaire covering occupational history, and conducted clinical and laboratory tests including measurements of blood pressure and core temperature. Results : The systolic blood pressure in the exposed group(130.0±13.3 mmHg)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recorded In the control group(118.3±12.1 mmHg), as was the diastolic blood pressure in the exposed group(82.7±8.5 mmHg) versus the control group(77.4±8.7 mmHg). The core temperature in the exposed group(36.1±0.7℃)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experienced in the control group (36.4±0.5℃). In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ge, cold exposure severity and milk intake were significant variables, with odds ratios of 5.204(95 % CI 1.440∼18.812), 2.674(95 % CI 1.080∼6.618), and 0.364(95 % Cl 0.141∼0.942) , respectively. Conclusions : Our study suggests that cold-exposed workers have higher a higher risk of hypertension, and that their core temperature is lower. Risk factors affecting hyper-tension of cold-exposed workers include age, cold exposure severity and milk intake. For the prevention of hypertension, cold-exposed workers should minimize cold-exposure time as much as possible.

      • 기관지 방선균증의 임상 1례

        이은영,장태원,정만홍,옥철호,이규원,손창배,이지숙,신은경,서정아,백종현,김영옥 고신대학교의과대학 2007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학술지 Vol.22 No.2

        Actinomycosis is a chronic suppurative infection, whitch infiltrates mucosa-associated tissues. Thoracic, pelvic and cervicofacial infections of actinomyces are not uncommon, but endobronchial actinomycosis is rarely reported. We report a case of a 29 year old man who presented with a recurrent pneumonia and chronic cough. Fiberoptic bronchoscopy revealed occlusion of the right. lower medio-basal segment bronchus with exophytic endobronchial mass. The diagnosis was confirmed histologically by demonstration of sulfur granules in the bronchoscopic biopsy of the mass. Intravenous administration of amoxacillin and clindamycin followed by oral amoxacillin and clindamycin therapy resulted in complete recove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