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래동화 인형극 활동에서 나타난 2세반 영아의 반응 탐색

        장선혜,박선희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9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2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2세반 영아를 위한 전래동화 인형극 활동에서 나타난 2세 영아의 반응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세 영아를 위한 전래동화 6권을 선정하고, 전래동화 인형극 활동을 구성하였다. 구성된 활동을 G시에 소재하는 N어린이집 2세반 영아 6명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활동 중에 나타난 반응을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2세 영아를 위한 전래동화 인형극 활동에서 나타난 영아의 반응은 첫째, 이야기 속 옛말의 발화, 이야기 줄거리의 재현 등의 ‘전래동화 인형극의 표현’, 둘째, 천연소재 인형에 대한 애착, 동적이고 특징적 모습의 인형에 대한 감각적 탐색, 자연물 소품에 대한 호기심의 표현 등의 ‘천연소재 인형과 특징적 소품에 대한 호감의 표현’, 셋째, 또래 모방하기, 소유권에 대한 강한 주장, 또래의 정서전환 시도 등의 ‘또래관계에서 모방과 정서표출 및 정서 전환 시도’, 넷째, 인형의 특성에 따른 목소리 표현, 일상적 경험이 통합된 인형극 놀이의 즉흥성과 빠른 전환 등의 ‘전래동화 인형극 놀이에서 파생된 독창적인 놀이’, 다섯째, ‘가족 구성원의 이미지 표현’ 등이다. 연구결과는 영아를 위한 전래동화 인형극 활동의 활용가능성을 시사하고, 2세 영아를 위한 전래동화 인형극의 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sponses of two-year-old toddlers to a puppetry with traditional fairy tal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traditional fairy tale puppetry programs for infants and toddler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6 two-year-old toddlers attending a N child care center in G city. The puppetry activities with 6 traditional fairy tales were implemented three times a week for total of 18 sessions to study toddlers’ responses to puppetry. Each session of the puppetry activities was recorded for audio and video data. The transcripts from the video recording, the reflective journal of the researcher recorded daily, and the on-site observation record were used as data in the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toddlers’ responses to the traditional fairy tale puppetry activities were ‘representation of the puppet play’, ‘expression of good feelings toward the puppets made of natural materials and characteristic props’, ‘imitation and attempts of emotional expression and shifting in peer relations’, ‘unique representations derived from traditional fairy tale puppetry activities', and ‘expression of images of family members’. The study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for teachers to have more interest in puppetry activities that sustain play with peers and make efforts to incorporate them in daily activities.

      • KCI등재

        교육훈련프로그램 특성이 학습전이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장선혜,김도근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2

        In order to make effects on educational training programs for SME's employees as investment, not as cost, we should apply the acquired knowledge, technology and attitudes to business practice. Therefore, we can make a conclusion that how to apply the acquired learning achievements to practical affairs of SME's employees is critical to make their companies successful and competitive. On the basis of successful applications of the educational training program's outputs, SMEs and the nation can make further progresses in the future. Considering this situation, this study examin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educational training program's characteristics on learning transfer performance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aimed at the employees of SMEs located in Busan and Gyeongsangnam-do. First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training programs(job relativeness, characteristics of educators and goal setting) and learning-transfer, the hypothesis that the job relativeness and goal setting would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learning transfer achievements was supported, whereas the hypothesi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ors would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learning-transfer performance was not supported in this study. Second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training programs(job relativeness, characteristics of educators and goal setting) and self-efficacy(confidence, self-control ability), some hypotheses were statistically meaningful. But, some of them were not supported statistically. In sum, we can make a conclusion that the hypotheses were supported in part. Though this study shows the implication mentioned above, it has several regrets and limits. Firstly, there exists some limitation in the generalization of the study results a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limited only to the employees of the SMEs located in Busan and Gyeongsangnam-do. Secondly, because all of the variables set up in this study were drawn up as the self-evaluation data of the questionnaire respondents, it was likely that the data were highly affected by individuals' values based on the subjective judgment of the learners. Finally, there is also some limitation that the single-source error can occur by applying all the variables such as independent variables, dependent variables, control variables, etc. to all of the respondents through one questionnaire. As the single-source error is a problematic issue frequently pointed out, it seems a very important task to design survey methods which can minimize this problem in future studies. 중소기업 종사자들에게 교육훈련프로그램 특성이 비용이 아닌 투자로써 그 효과가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교육훈련을 통해 획득한 지식, 기술 및 태도 등이 실무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러므로 중소기업 종사자에게 교육훈련프로그램을 통해 획득한 학습 성과를 실무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기업의 경쟁력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고 그것을 바탕으로 중소기업의 발전과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부산과 경남에 소재한 중소기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하여 교육훈련프로그램 특성이 학습전이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검증을 위하여 실증분석 하였다. 첫째, 교육훈련프로그램 특성(직무관련성, 교육자특성, 목표설정)과 학습전이성과의 관계에 있어서 직무관련성과 목표설정은 학습전이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지지되었으나, 교육자특성은 학습전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지지되지 않았다. 둘째, 교육훈련프로그램 특성(직무관련성, 교육자특성, 목표설정)과 학습전이성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자신감, 자기조절능력)의 조절효과 관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지지된 가설이 있는 반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는 것도 나타나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위에서 기술한 것과 같은 시사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몇 가지 아쉬움과 한계점을 지니고 있는데 첫째, 부산과 경남지역에 소재한 중소기업 종사자들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기에 연구결과의 일반화에 한계가 있다는 점과 둘째, 본 연구에서 설정한 모든 변인들은 설문 응답자의 자기평가자료로 작성되었기 때문에, 학습자 주관적 판단에 따른 개인의 가치에 따라 작성되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끝으로 독립변수, 종속변수, 조절변수 등 모든 변수를 한 가지 설문지를 통하여 모두 응답자에게 함으로써 단일출처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는 한계점이 있다. 단일출처오류는 설문조사방법을 사용할 때 자주 언급되는 문제로서 향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조사방법을 설계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 도시부도로 설계시간교통량 추정을 위한 보정계수 산정에 관한 연구

        장선혜,이상수,정광복(Jeong, Gwang-Bok),김균조(Kim, Gyun-Jo) 대한교통학회 2006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51 No.-

        장래 교통량은 그 도로의 장래 예상되는 서비스 수준을 판단하고 새로 건설하거나 개선할 도로의 설계기준과 등급을 결정하는 기본 자료라 할 수 있다. 효율적으로 도로의 계획 및 설계를 하기 위해서는 장래 교통량을 예측하여 그 교통수요를 충분히 만족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설계시간 교통량을 정확히 추정하여 도로 이용의 효율을 높이고 도로에 대한 투자가 적절히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설계시간교통량(DHV: Design Hour Volume) 산정은 도로의 확장이나 신설을 계획할 때 직접 산출할 수 없으므로 24시간, 48시간, 72시간의 교통량을 관측하여 이를 평균한 교통량을 얻은 후 월별보정계수나 요일별보정계수를 곱하여 계획하고자 하는 도로의 연평균일교통량(AADT: Annual Average Daily Traffic)을 산정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렇게 산정된 연평균일교통량에 일 년 동안의 시간당 교통량을 높은 교통량부터 낮은 교통량 순으로 나열한 뒤 보통 30번째 순위의 교통량을 연평균일교통량으로 나누어 구한 설계시간계수를 추정하고 연평균일교통량에 설계시간계수를 곱하여 산정하는 방법으로 설계시간교통량을 구한다.

      • KCI등재

        엣지 디바이스에서의 딥러닝 기반 차량 인식 및 속도 추정을 통한 스마트 횡단보도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장선혜,조희은,정진우,Jang, Sun-Hye,Cho, Hee-Eun,Jeong, Jin-Woo 한국정보통신학회 2020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4 No.4

        최근 우리나라의 자동차 보급률이 증가함에 따라 교통사고 발생 건수 또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차량간 사고뿐만 아니라 횡단보도 근처에서의 인명 사고 또한 증가하고 있어 횡단보도 교통안전에 대한 주의가 더욱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NVIDIA Jetson Nano급의 엣지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횡단보도에 접근하는 차량을 인식하고 속도를 추정함으로써 횡단보도 주위 안전 상태를 예측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딥러닝 기반 차량 위치 인식을 통하여 얻은 정보들을 바탕으로 다양한 기계 학습 기법을 학습시켜 차량 속도에 따른 위험 정도를 예측한다. 마지막으로, 실제 주행 영상을 이용한 실험 및 웹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하는 시스템의 성능과 활용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Recently, the number of traffic accidents has also increased with the increase in the penetration rate of cars in Korea. In particular, not only inter-vehicle accidents but also human accidents near crosswalks are increasing, so that more attention to traffic safety around crosswalks are required. In this paper, we propose a system for predicting the safety level around the crosswalk by recognizing an approaching vehicle and estimating the speed of the vehicle using NVIDIA Jetson Nano-class edge devices. To this end, various machine learning models are trained with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deep learning-based vehicle detection to predict the degree of risk according to the speed of an approaching vehicle. Finally, based on experiments using actual driving images and web simulation, the performance and the feasibility of the proposed system are valid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