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체와 사고를 고려한 신호교차로 서비스수준 산정에 관한 연구

        박제진,박성용,하태준 대한교통학회 2008 대한교통학회지 Vol.26 No.3

        서비스수준은 통행속도, 통행시간, 통행자유도, 안락감 그리고 교통안전 등 도로의 운행상태를 설명하는 개념으로 도로시설별로 효과척도에 따른 서비스수준이 등급화되어 있고, 이를 이용하여 도로시설의 수행능력을 평가하고 있다. 그러나 도로시설의 안전성에 대한 문제가 대두되어지면서 신호교차로의 비와 교통사고율은 기존 연구에서 자형의 2차함수 형태로 나타남을 제시하고 있다. 이는 교통소통에 의한 서비스수준이 우수하다고 하여 교통사고의 위험 측면에서도 안전하다고 말할 수 없음을 시사해 주고 있는 것이다. 즉, 현재 신호교차로 평가는 도로용량과 관련한 효과척도인 서비스수준 개념에 교통안전은 내포되어 있지 않음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호교차로를 대상으로 교통소통(지체)과 교통안전(사고)을 동시에 고려한 서비스수준을 개발하여 신호교차로에 대한 새로운 평가과정 및 평가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광주광역시 신호교차로 50개 지점을 대상으로 2002~2004년에 발생한 교통사고와 교통사고관련 자료를 수집하여 평균제어지체시간-와 평균제어지체시간-사고율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지체시간이 클수록 와 사고율은 음지수함수 형태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현 신호교차로 수행평가 기준인 서비스수준에 교통안전 측면을 포함시켜 새로운 서비스수준을 개발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증명하였다. 둘째, 교통류에 따른 사고유형별 사고건수가 음이항분포로 추론됨에 따라 교통사고예측모형으로 차대차의 경우 16개, 차대사람의 경우 4개의 음이항회귀모형을 개발하였다. 셋째, 지점별 연간지체비용과 연간사고비용을 이용하여 운영비용에 대한 확률밀도함수를 추정한 후, 서비스수준 등급에 대한 백분율을 적용시켜 서비스수준 기준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도출된 교통사고예측모형과 새로운 서비스수준을 활용하여 임의의 신호교차로에 대한 평가과정을 분석표로 제시하였다. Level of Service () is one of ways to evaluate operational conditions. It is very important factor in evaluation especially for the facility of highways. However, some studies proved that ratio and accident rate is appeared like a second function which has a -form. It means there is a gap between and safety of highway facilities. Therefore, this study presents a method for evaluation of a signalized intersection which is considered both smooth traffic operation (delay) and traffic safety (accident). Firstly, as a result of our research, accident rates and are decreased when it has a big delay. In that reason, it is necessary to make a new Level of Service included traffic safety. Secondly, this study has developed a negative binominal regression model which is based on the relation between accident patterns and stream. Thirdly, standards of are presented which is originated from calculation between annual delay costs and annual accident cost at each intersection. Lastly, worksheet form is presented as an expression to an estimation step of a signalized intersection with traffic accident prediction model and new .

      • 시공간적 관점에서 차로별 고속도로 합류구간 전이교통류 특성 분석

        김상구(Kim, Sang-Gu),김영춘(Kim, Yeong-Chun) 대한교통학회 2006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53 No.-

        고속도로 합류부는 대표적인 반복정체구간으로서 본선 교통류와 연결로 교통류가 서로 공간 확보를 위하여 상충되는 지점이므로 이 구간에 대한 집중적인 교통류 관리와 제어가 필요한 구간이다. 현재까지 연구는 간격수락모형을 이용한 연결로 교통류와 본선 교통류간의 상호관계에 대한 수학적 이론연구와 지점검지기 자료를 바탕으로 교통류 분석에 대한 연구가 주로 이루어져 왔다. 본 연구는 개별차량에 대한 미시적 분석이 가능한 고속도로의 실제 항공사진자료를 분석함으로써 고속도로-연결로 접속부를 포함한 합류구간의 교통류 특성을 차로별로 미시적분석하여 기존 연구결과에서 찾아내지 못한 차로별 상호영향에 대한 기초연구를 수행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3개의 서로 다른 고속도로-연결로 합류부에서 수집한 항공사진 원시 자료를 Matlab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합류전, 합류, 합류후 구간으로 구분하여 차로별 30초 단위의 교통량, 속도, 밀도자료를 생성하고, 미시적 분석을 위하여 개별차량 차두시간(headway) 데이터를 차로별로 생성한다. 또한 합류구간의 교통와해 형성과정과 교통류 전이과정에 대한 세밀한 분석을 위하여 합류구간을 50ft 간격으로 교통량, 속도, 밀도, 차두시간 데이터를 생성한다.

      • 순서형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이용한 무상교통 만족도 영향요인 분석

        배범규,유정훈,허겸,김민영 대한교통학회 2022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87 No.-

        인구절벽 및 고령화 등 급격한 사회구조적 변화로 인해 복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교통기본권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고, 화석연료 사용으로 인한 탄소배출량 증가로 기후변화에 대한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이처럼 교통기본권 보장과 탄소배출량 저감 등을 목적으로 우리나라의 버스 무상교통 정책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나, 대부분의 무상교통 연구는 지하철 무임승차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고 있으며 버스 무상교통 관련 연구는 미비하다. 본 연구에서는 ‘화성시 무상교통사업 성과평가 용역(2021)’에서 수집된 무상교통 2차 설문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순서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무상교통 정책 대상자와 비대상자 간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무상교통 대상자, 무상교통 비대상자, 두 집단의 합으로 설문 집단을 분류하여 총 3개의 모델을 구성하였다. 이를 통해 무상교통 정책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 분석했으며, 모델 1에서는 ‘가구소득’, ‘무상교통 필요성에 대한 인식’, ‘버스로의 전환 및 유발’, ‘버스 수단 선택 이유’, ‘버스 이용 목적’, ‘외부활동 변화여부’, ‘소비 변화’, ‘절약된 통행비용’이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도출되었고, 모델 2에서는 ‘무상교통 필요성에 대한 인식’, ‘주 교통수단’이, 모델 3에서는 ‘가구소득’, ‘무상교통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도출한 무상교통 정책 만족도 영향요인을 토대로 이용자 관점에서 무상교통 정책을 파악하고, 무상교통 정책이 보다 효과적으로 시행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복합대중교통망의 링크표지갱신 다목적 경로탐색

        이미영,김형철,박동주,신성일 대한교통학회 2008 대한교통학회지 Vol.26 No.1

        Generally, optimum shortest path algorithms adopt single attribute objective among several attributes such as travel time, travel cost, travel fare and travel distance. On the other hand, multi-objective shortest path algorithms find the shortest paths in consideration with multi-objectives. Up to recently, the most of all researches about multi-objective shortest paths are proceeded only in single transportation mode networks. Although, there are some papers about multi-objective shortest paths with multi-modal transportation networks, they did not consider transfer problems in the optimal solution level. In particular, dynamic programming method was not dealt in multi-objective shortest path problems in multi-modal transportation networks. In this study, we propose a multi-objective shortest path algorithm including dynamic programming in order to find optimal solution in multi-modal transportation networks. That algorithm is based on two-objective node-based label correcting algorithm proposed by Skriver and Andersen in 2000 and transfer can be reflected without network expansion in this paper. In addition, we use non-dominated paths and tree sets as labels in order to improve effectiveness of searching non-dominated paths. We also classifies path finding attributes into transfer and link travel attribute in limited transit networks. Lastly, the calculation process of proposed algorithm is checked by computer programming in a small-scaled multi-modal transportation network. 교통망에서 출발지와 도착지를 연결하는 최적경로탐색(Optimum Shortest Path)의 기준은 통행시간, 통행비용, 통행요금, 통행거리 등 복수의 기준에서 단일기준(Single Attribute Objective)을 선정하여 선정된 기준에 대하여 최소화되는 경로를 탐색하는 것을 의미하며 최적경로 탐색기법으로 탐색이 가능하다. 다목적 경로탐색(Multi-Objective Shortest Paths)에서는 이들 복수의 기준(Multi-Objective)을 고려하여 경로를 탐색한다. 최근까지 다목적경로탐색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단일의 교통수단만으로 구성된 교통망에 대한 가정을 기반으로 이루어졌으며, 다수의 교통수단이 혼재된 교통망(Multi-Modal Transportation Network)에서 다목적경로탐색에 대한 연구는 환승에 대한 문제를 최적해법 차원에서 고려하지 않았으며, 교통정보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동적계획법(Dynamic Programming)에 기반한 알고리즘에 대한 연구는 다수단교통망에서 다목적경로탐색 문제에서 검토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다수단교통망에서 다목적경로탐색 문제에서 최적 해를 도출하기 위한 동적계획법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Skriver & Andersen (2000)이 제시한 2기준 노드표지갱신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네트워크의 확장 없이 수단 간의 환승이 반영되도록 2기준 이상의 다기준 링크표지갱신 알고리즘으로 개발하는 방안으로 확대한다. 본 연구는 다기준 링크표지가 다수단 교통망에 적용했다는 점 이외에, 출발지에서 모든 링크까지 비지배경로를 탐색하는 과정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출발지에서 개별 링크까지의 비지배경로/트리(Path/Tree) 집합을 표지처럼 활용하였다. 다수단교통망에서 다목적경로탐색문제에 적합한 도시부의 대중교통망에 한정하여 경로탐색속성을 환승과 링크주행속성으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알고리즘의 계산과정을 소규모 복합대중교통망을 통해 검증하였다.

      • Graph Multi-Attention 알고리즘을 활용한 Asymmetric 장시간 교통 속도 예측

        황지영,노병준,여화수 대한교통학회 2021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85 No.-

        정확한 교통 예측은 교통 운영 및 관리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최근에는 교통의 비선형적, 시공간적 특성을 반영하기 위하여, 딥러닝 기반 교통 예측 모델이 발달해왔다. 그러나 기존 모델들은 1 시간 이내의 교통 상황을 예측하는 단기간 교통 예측에 중점을 두고 있다. 장기간 교통 예측은 교통 운영 및 관리뿐만 아니라 운전자 개인이 이동 시에도 사전에 교통 상황을 파악하고 효율적인 결정을 내릴 수 있게 한다. Graph Neural Network (GNN) 은 딥러닝 모델의 일종으로 실제 도로 상황의 연결성 및 관계성을 설명하기에 적합하다. 본 연구에서는 GNN 기반의 multi-attention 알고리즘과 실제 도로의 asymmetry 특성을 반영한 Asymmetric Long-Term Graph Multi-Attention Network(ALT-GMAN) 모델을 제안한다. 기존 모델인 GMAN 모델의 확장으로서, 본 모델은 단기간과 장기간 교통 속도예측이 모두 가능하다. 새로운 Spatial-Temporal Embedding을 적용하여 back propagation과 같은 교통 이론 및 교통 상황을 반영한다. ALT-GMAN를 적용하였을 때, 6개월 기간의 PeMS-Bay 고속도로 데이터로부터 3시간 6시간 예측에서 각각 3.79%, 4.05%의 MAPE 값이 도출되었다. 본 모델은 위의 결과와 같이 단기간, 장기간 교통 속도 예측에서 기존 모델 보다 정확한 결과를 보여준다.

      • KCI등재

        고속도로 교통데이터(FTMS, TCS)를 이용한 경로전환율 분석: 서해안고속도로 매송∼발안 구간을 중심으로

        고한검,최윤혁,오영태,최기주 대한교통학회 2012 대한교통학회지 Vol.30 No.3

        VMS, 교통방송(라디오), SNS 등 교통정보제공을 통한 교통량 분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교통정보에 대한 운전자의 반응행태 및 효과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FTMS 및 TCS 데이터가 구축되어 있는 전국 고속도로 본선부를 분석 대상으로, FTMS 데이터와 TCS 데이터를 이용하여 경로전환 교통량과 그에 따른 경로전환율을 추정하는 방법론을 제시하고, 실제 대상구간의 경로전환율을 산출하여 시간 및 공간적 경로전환율 변동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교통정보 제공 이후, 해당 시간대의 평균 유출교통량에 비해 유출교통량이 일시적으로 증가한 경우 이 편차(도로교통상황의 동적인 특성으로 인한 편차 고려)는 교통정보 제공으로 인한 경로전환 교통량이라 정의하고, 본선 교통량과의 비율을 경로전환율로 계산하였다. 시간흐름에 따른 경로전환율 변화를 분석한 결과, 혼잡상황에 대한 교통정보를 먼저 얻게 되는 상류부 IC에서의 초기 경로전환율(유출교통량) 변화는 일시적으로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후 공간적․시간적 흐름에 따라 상류부 IC에서의 경로전환율의 변화는 하류부 IC에서의 경로전환에 영향을 미치고, 이는 다시 상류부 IC에서의 변화를 유도하는 등의 경로전환 순환체계(feedback control loop)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Due to growing interests in the distribution of traffic volume through information dissemination such as VMS and traffic broadcasting system, the research on the driver’s reaction and effect of the traffic report has continued. In this study, we propose a methodology, which estimates the traffic volume of diversion and the consequential diversion rate using FTMS data and TCS data, and the estimation i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national highway and IC, in which real-time FTMS and TCS data are established. We also calculate the diversion rate of actual targeted sections and analyze the changes in time and spatial diversion rate. In this study, we define a deviation(considering a deviation due to dynamic properties of traffic conditions) found when the outflow traffic volume is temporarily higher than the average outflow traffic volume on a relevant time slot after providing traffic information. The diverting volume is considered to be caused by the traffic information, and the study determines the ratio of traffic volume on highways to that of route diversion as the diversion rate. The analysis on changes in the diversion rate in accordance with the time flow, the initial change in the diversion rate on upstream IC that first acquires the report on the traffic congestion is significant. After that, the change in the diversion rate on upstream IC affects the route diversion on downstream IC with spatial and time flow, and this again leads the change in upstream IC. Thereby, we confirmed that there is a feedback-control circulation system in the route diversion.

      • KCI등재

        협력적 게임을 이용한 다수단 연속형 교통망 설계 모형

        김병관,이영인,임용택,임강원 대한교통학회 2011 大韓交通學會誌 Vol.29 No.1

        This research deals with the multi-modal continuous network design problem to resolve the transportation policy problems for constructing and operating transportation facilities with considering the mutual decision-making process between transportation operator and user in the multi-modal network. Particularly, in the consideration of changes in travel pattern between transport modes due to the changes in transportation policy, road network for passenger car and transit network for public transportation are considered together. In the development of network design model, more rational Stackelberg equilibrium(cooperative game) rather than more general Nash equilibrium(non-cooperative game) approach is used and sensitivity analysis considering transport mode is used. A multi-modal continuous network design model in this study is developed for the arbitrary continuous network design parameters() of transportation policy decisions. As examples of application and evaluation for these design parameters, the developed model is applied to calculate 1)the optimal capacity of road link in the road transport policy, 2)the optimal frequency of transit line in public transport policy and 3)the optimal modal split in transport modal share policy. 본 연구는 다수단 교통망에서 교통시설 운영자와 이용자의 상호 의사결정과정을 고려하여 교통시설의 건설 및 운영 정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수단 연속형 교통망 설계문제를 다룬다. 특히, 교통시설에 대한 정책변화에 따라 교통수단간 통행이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고려하기 위하여 승용차 교통망과 대중교통 교통망을 함께 고려하고자한다. 이러한 교통망 설계 모형을 개발함에 있어서 일반적인 Nash 균형(비협력 게임)의 접근법이 아닌 좀 더 합리적이라고 연구되어진 Stackelberg 균형(협력적 게임)의 접근법을 이용하고 그러한 방법으로 다수단 교통망의 교통수단 선택을 고려한 민감도 분석 방법을 적용한다. 본 연구의 다수단 연속형 교통망 설계 모형은 교통정책 결정에 대한 임의의 연속형 교통망 설계변수()에 대해서 개발되어진다. 또한 모형의 적용 및 평가를 위하여 1)도로 정책에 대한 최적 도로용량 산정과 2)대중교통 정책에 대한 최적 대중교통 노선빈도 산정 그리고 3)교통체계의 수단분담 정책에 대한 현 교통체계의 최적 목표 수단분담율 산정 문제에 모형을 적용하여 본다.

      • KCI우수등재

        대중교통 이용특성과 코로나19 감염 위험 인식에 미치는 요인 분석

        이경재(LEE, Gyeongjae),추상호(CHOO, Sangho),김기용(KIM, Ki Yong),정준영(JOUNG, Junyoung) 대한교통학회 2021 대한교통학회지 Vol.39 No.5

        코로나19의 급격한 확산으로 전 세계가 전례 없는 전염병 위기를 겪고 있다. 코로나19 발생 초기, 백신 등의 약물적인 예방수단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개인 및 집단 간의 접촉을 줄임으로써 바이러스 노출을 최소화하여 코로나19의 전파를 막기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가 많은 나라에서 시행되고 있다.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에 따라 사람들의 활동이 감소하였고, 이는 이동의 감소로 나타났다. 특히 다른 교통수단에 비해 대중교통을 이용한 이동이 크게 감소하였다. 다만, 국내의 연구는 주로 수단별 이용량의 변화에 초점이 맞춰져 있으며, 개인의 인식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개인이 느끼는 대중교통 수단에서의 코로나19 감염 가능성 인식을 조사하였으며, 이와 함께 대중교통 수단의 방역조치에 대한 만족도, 코로나19 발생으로 인한 대중교통 통행행태의 변화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대중교통 수단과 공간(차량/정류장)별로 방역조치에 대한 만족도의 차이를 비교하였으며, 코로나19 발생 이후 대중교통 이용 빈도, 이용 시간 등의 통행행태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또한, 통행행태 개인 속성, 대중교통 이용 특성, 지역에 따른 개인이 느끼는 인식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기술통계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나아가 대중교통에서의 코로나19 감염 가능성 인식에 대한 순서형 로짓 모형을 구축하였다. 그 결과 개인 속성, 대중교통 이용특성, 대중교통에 대한 인식, 지역적 요인이 대중교통에서의 코로나19 감염 가능성 인식에 영향을 주었으며, 응답자가 거주하는 지역의 지하철 서비스 제공 여부에 따라 결과가 다소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서 요구되는 대중교통 정책을 수립하고,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world is experiencing an unprecedented pandemic crisis of COVID-19. In the absence of any pharmaceutical intervention, social distancing measure has been implemented in many countries to prevent the spread of Corona 19 by minimizing the exposure of the virus by reducing contact between individuals and groups. People’s activity decreased according to social distancing measures, which resulted in a decrease of travel demand. In particular, compared to other means of transportation, the public transportation ridership decreased significantly. However, the focus is mainly on the change in the amount of use by means, and few studies have analyzed individual perceptions in COVID-19.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the possibility of COVID-19 infection in public transportation, along with this, to understand the satisfaction with the disinfection measures of public transportation, and changes in public transportation traffic behavior due to the outbreak of COVID-19. Satisfaction with the disinfection measures divided into public transportation means and space (vehicle/stop) and changes in travel behavior before and after COVID-19 outbreak are compared. In addition, we conduct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to compare differences in personal perceptions caused by travel behavior, personal chracteristics, trip attributes, and regional factors, and further, ordered logit model is estimated to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 factors and perceived risk of COVID-19 infection in public transportat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personal chracteristics, trip attributes, perception of public transportation, and regional factors affect perception of the risk of COVID-19 infection in public transportation. The influence differs depending on whether or not subway service is provided in the area where the respondent resides. This study can be used to establish and prioritize public transport policies required in the post-corona era in the future.

      • KCI등재

        차로별 교통류 상호영향에 따른 고속도로 합류부 교통와해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김상구,김영춘 대한교통학회 2007 대한교통학회지 Vol.25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erform a basic study on the interaction between lanes, which can be achieved through analyzing traffic breakdown at the microscopic level. Using aerial photographic data for the microscopic analysis,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raffic flow at a merging area. This research produced aggregated traffic data such as flows, speeds, and densities in 30 second intervals by lane for the macroscopic analysis and individual headway data by lane for the microscopic analysis. The paper contains an analysis of lane characteristics through flows, speeds, densities, and headway variations and also investigates the influence of ramp flows on mainline flows with space-time diagrams. Firstly, the merging area in this study is divided into three sections: before-merging, during-merging, and after-merging. The transition process was analyzed at each lane. Secondly, the breakdown was observed in detail with data divided in 50-foot units. The breakdown was checked through the relationships between ramp and freeway mainline flows, various techniques were proposed to analyze the breakdown, and the formation of breakdown was introduced as three stages in this study. In the near futu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uld contribute to determining the dynamic capacity on freeways by easily understanding changeable traffic breakdown patterns over time and space. 본 연구는 개별차량에 대한 미시적 분석이 가능한 고속도로의 실제 항공사진자료를 분석함으로써 고속도로-연결로 접속부를 포함한 합류구간의 교통류 특성을 차로별로 미시적으로 분석하여 기존 연구결과에서 찾아내지 못한 차로별 상호영향에 대한 기초연구를 수행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고속도로-연결로 접속부에서 수집한 항공사진 원시 자료를 Matlab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차로별 30초 단위의 교통량, 속도, 밀도자료를 생성하였고, 또한, 미시적 분석을 위하여 개별차량 차두시간(headway) 데이터를 차로별로 생성하였다. 연구수행 내용으로는 개별차로에 따른 속도, 점유율, 교통량, 차두시간 변화추이를 각각의 차로별로 비교하여 차로특성을 분석하였고 연결로 진입교통량으로 인한 본선 교통류의 정체과정을 분석하였고, 시간과 거리에 따른 시공간도를 작성하여 합류구간 교통류 특성에 대해 해석해보았다. 전체구간을 3개의 지점(합류전, 합류, 합류후)으로 구분하여 차로별 교통류 전이과정을 분석하였으며, 합류구간을 50ft 지점으로 세분화하여 교통와해(breakdown)가 발생되는 정확한 위치를 찾아내어 교통류 전파과정을 면밀히 관찰하였다. 본 연구는 혼잡교통류 상태의 연결로 교통류와 본선 교통류간의 관계에 대한 미시적 분석을 수행하여 교통와해현상에 대한 정밀한 분석과 합류구간의 교통와해에 대한 다양한 분석방법을 제시하였으며, 이는 교통와해의 동적변화로 인한 고속도로 동적용량 결정을 할 수 있는 기초이론을 제공한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거시-미시 순차적 교통시뮬레이션 방법과 부분상세지구의 동적 O/D추정

        이진학,김익기,김대현 대한교통학회 2014 대한교통학회지 Vol.32 No.6

        The study suggested a method to improve analysis accuracy such that the interactive effects of transportation changes between outside and inside of sub-areas were sequentially considered in the analysis by linking a macroscopic network analysis and a microscopic traffic simulation. A dynamic O/D estimation method was developed for practical implement of sub-area microscopic simulation analysis by using the results of macroscopic network analysis, the results of selected link analysis at the cordon line of the sub-area, departure time data of household travel survey, timely observed traffic volume data at the cordon. This estimated dynamic O/D for the sub-area made it possible to analyze traffic phenomena in details. Various detailed phenomena such as traffic queues, delay at intersection, and conflicts between vehicles, which is impossible to be grasped through a macroscopic analysis, can be analyzed with the dynamic microscopic traffic analysis. Through implementing an empirical study and validation, the study provided a reference result about accuracy of a microscopic traffic simulation of a sub-area to help its application for real transportation policy analysis. 본 연구에서는 거시적 넓은 지역에 대한 교통 분석과 부분상세지구(sub-area)의 교통 분석을 서로 단계적으로 연계하며 상호 교통 환경 변화에 대한 영향을 동시적으로 함께 반영하여 방법을 제안했다. 이와 같은 거시적-미시적 연계 분석을 위해 거시적 네트워크 분석, sub-area analysis, 가구통행실태의 출발시각 자료, 부분상세지구의 경계지점에서 시간대별 관측 링크 교통량 자료를 융합 분석함으로써 부분지구에 대한 동적 O/D 교통량을 추정하는 실무적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렇게 추정된 동적 O/D 교통량을 입력 자료로 하여 부분상세지구에 대해 미시 교통류 시뮬레이션 분석을 실행함으로써 다양한 국소적 지구의 교통정책 분석을 가능하게 하였다. 이와 같은 미시적 동적 분석은 거시적 네트워크 분석으로는 파악할 수가 없었던 대기행렬, 교차로 지체, 차량 간 상충 등의 분석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교통정책의 효과를 미세한 교통현상 변화까지 분석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실제 사례연구를 통해 거시적-미시적 연계 분석에 의한 부분상세지구 미시 교통류 시뮬레이션 결과의 현실 설명력에 대한 검증 분석도 수행하여 미시적 동적 분석의 정책 활용 가능성에 대한 참고적 자료를 제공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