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갈파래(Ulva lactuca) 추출분획의 암 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 및 면역활성 효과

        장민경,김남영,이동근,이재화,하종명,하배진,김미향,배송자,장정수,이상현,Jang, Min-Kyung,Kim, Nam-Young,Lee, Dong-Geun,Lee, Jae-Hwa,Ha, Jong-Myung,Ha, Bae-Jin,Kim, Mi-Hyang,Bae, Song-Ja,Jang, Jeong-Su,Lee, Sang-Hyeon 한국생명과학회 2006 생명과학회지 Vol.16 No.7

        본 연구는 갈파래(Ulva lactuca) 추출분획의 암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 및 면역활성 효과를 조사하였다. 갈파래의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분획물의 제조는 hexane, ethyl ether, methanol, butanol, $H_2O$의 용매를 이용하여 행하였다. 인간 백혈암세포주(U937), 생쥐 신경아종세포주(NB41A3), 인체간암세포주(HepG2),큰지 신경교세포주(C6) 등에 대한 갈파래 분획물의 세포독성을 측정하였다. 갈파래의 Ethyl ether 층은 4종류의 세포 모두에서 가장 높은 세포독성을 나타냈다. 또한 수층 역시 비교적 높은 세포독성을 나타냈다. 4종류의 세포 모두에서 농도의존적 경향을 나타냈다. 갈파래 분획물의 큰쥐 대식세포주(RAW 264.7)에 대한 면역활성 효과도 조사하였다. 갈파래 추출물의 5가지 분획물 모두에서 농도의존적으로 NO 생산을 활성화시켰다. 이러한 결과들로 잔파래가 항암 덴 면역활성을 나타내는 천연 소재개발에 있어 유용한 후보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Extracted fractions of the green seaweed Ulva lactuca were studied to verify the cytotoxicity and immunostimulating activity. The fractions from the ethanol extract of U. lactuca were prepared by the systematic extraction procedure with solvents such as hexane, ethyl ether, methanol, butanol and $H_2O$. The cytotoxic effects of U. lactuca fractions against human leukemia cell line U937, mouse neuroblastoma cell line (NB41A3), human hepatoma cell line (HepG2) and rat glioma cell line (C6) were investigated. Ethyl ether fraction showed the highest cytotoxicity against all four cell lines tested. In addition, $H_2O$ fraction also showed relatively high cytotoxicity. Dose dependent patterns were observed on all four cell lines. The immune-stimulating effects of U. lactuca fractions on rat macrophage cell line (RAW 264.7) were also investigated. All five fractions of U. lactuca extract stimulated NO production with concentration dependant mann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U. lactuca may be a useful candidate for a natural cancer preventing and immune-stimulating agents.

      • KCI등재

        교사 인플루언서에 관한 질적 연구

        장민경(Jang, Min kyung),이승호(Lee, Seung Ho) 한국교육행정학회 2021 敎育行政學硏究 Vol.39 No.3

        본 연구는 ‘교사 인플루언서(influencer)’의 활동 사례를 통해 그들의 SNS 활동 실제를 살펴본 후, 이와 관련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면담조사 대상으로 교사 인플루언서 15인을 선정하였고, 그들의 활동 공간 및 콘텐츠 제작, 활동 계기, 활동 장애요인 등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활동 공간 및 콘텐츠 제작은 다음과 같다. 교사 인플루언서들은 복수의 플랫폼을 활용하고 있었고, 트렌드 변화를 반영하여 여러 플랫폼을 활용하고 있었다. 콘텐츠 내용은 교육과정자료, 수요자 중심 자료, 개인 생활, 교육에 대한 고민, 교직 관련자료 등이다. 콘텐츠 제작시간은 본업을 우선시하여 장시간에 걸쳐 완성하고, 자투리 시간을 이용하며, 노하우를 활용하여 시간을 압축하고 있었다. 둘째, 활동 계기는 다음과 같다. 교사 인플루언서의 개인적인 인정 욕구로 시작하였는데, 구체적으로 교사로서 영향력이 확대되는 것을 바라고 있었다. 또한 본인이 속한 공동체에 기여하고자 하는 의지가 있었다. 그리고 SNS로 소통하는 것이 대세이므로 이 흐름에 따라 참여하고 있었다. 일부는 경제적인 이득이 동인이라고 하였으나, 콘텐츠 제작에 드는 비용이 수익에 비해 훨씬 크다고 생각하였다. 셋째, 장애요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동료교사들의 공격과 비난, 팔로워의 기대에 따라 항상 새로운 콘텐츠를 업데이트해야 하는 압박, 유명세에 따라 주위의 눈치를 봐야 하는 점 등을 장애요인으로 꼽았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교사 리더십, 교직문화 및 교직관에 대한 새로운 논의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ctual SNS activities of teacher influencers. Fifteen teacher influencers were selected as the subject of the interview, and their activity space and content production, motivation of activity, and activity obstacles were presented. As a result, firstly, the activity space and content production are as follows. Teacher influencers were using multiple platforms. Contents include curriculum materials, consumer-oriented materials, personal life, concerns about education, and teaching related materials. The content production time is as follows, and because they prioritize their main job, they completed it over a long period of time, used scrap time, and compressed the time by using their know-how. Secondly, the motivation for the activity is as follows. It started with the personal recognition desire of a teacher influencer, and specifically, they was hoping to expand their influence as a teacher. They also had a will to contribute to the community to which they belonged. And since communication through SNS is the trend, they were participating in this flow. Some said that economic gain was the driving force, but they thought that the cost of content production was much larger than the profit. Thirdly, the obstacles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it was an attack from the periphery, which was mainly attacked and criticized by fellow teachers with the same job. In addition, teacher influencers were under pressure to always update new content according to the expectations of their followers. They also cited the fact that they had to keep an eye out for people around them according to their popularity as obstacles. These findings are believed to contribute to new discussions on teacher leadership, teaching culture, and teaching profession.

      • 중고거래플랫폼에서 나타나는 개인정보 유출 현황 및 제안

        장민경 ( Min-kyung Jang ),김지원 ( Ji-won Kim ),박혜원 ( Hye-won Park ),임수진 ( Su-jin Lim ),김명주 ( Myuhng-joo Ki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2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9 No.1

        중고 거래 플랫폼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각 중고 거래 플랫폼에 많은 사진과 글이 업로드되고 있다. 플랫폼에 올린 사진과 글을 통해 일차적으로 해당 이용자의 나이대, 사는 동네, 가족 관계, 신체 사이즈, 특정 제품 취향을 알 수 있다. 중고 거래 플랫폼에서 전화번호를 얻게 될 경우, 이차적으로 카카오톡을 통해 이용자의 얼굴 사진, 연동된 계정을 알 수 있다. 이때 얻은 얼굴 정보와 이름, 계정을 통해 인스타그램, 카카오스토리, 페이스북 등 SNS 를 통한 해당 이용자의 추가적인 개인정보들을 얻을 수 있다. 이처럼 이용자가 작성한 글을 통해 사적인 정보가 드러남으로써 심각한 개인정보 유출로 이어질 수 있다. 중고 거래 플랫폼 이용자의 직접적인 입력으로 인한 개인정보 노출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이용자에게 게시물에 포함된 개인정보와 개인정보 유출의 위험성을 인지시켜 유출 위험성이 높은 개인정보는 게시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중고 거래 판매 게시물기반 개인정보 유출 워크플로우를 작성하여 중고 거래 플랫폼에서 나타나는 개인정보 유출의 현황을 분석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했다.

      • KCI등재

        영어 학습 동기 및 초인지 학습책략과 학습주도성과의 관계 연구

        장민경 ( Min Gueng Jang ),김태영 ( Tae Young Kim ) 한국현대영어영문학회 2014 현대영어영문학 Vol.58 No.3

        This paper examines the influence of English learning motivation, metacognitive strategies, and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on Korean EFL students’ English proficiency. Also, this paper endeavors to figure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hree constructs by u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to draw implications for English education in Korea. A set of questionnaires with 17 items for English learning motivation, 12 items of metacognitive strategies, and 12 items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was administered to 451 Korean junior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Incheon, Pohang, and Uljin in Gyeongsangbuk-do. The findings are as follows: Intrinsic motivation, identified regulation, three specific metacognitive strategies, and all of the sub-factors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exerte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students`` English proficiency. In term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 three constructs,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dicated that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s divided into the constructs of English learning motivation and metacognitive strategies. This study implies that there exists an ambiguity in the construct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hich needs thorough further investigations in the future.

      • Model Accumulation을 이용한 SAT Hard Instance의 해결 방법 연구

        장민경(Min-Kyoung Jang),최진영(Jin-Young Choi),곽희환(Hee Hwan Kwak) 한국정보과학회 2003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2Ⅰ

        SAT 문제는 하드웨어/소프트웨어 검증과 모델 체킹 등 다양한 분야에서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으나 복잡도가 NP-complete 라는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다양한 알고리즘과 휴리스틱, 도구들이 개발 되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결할 수 없는 hard instance 들이 존재한다. 이 논문에서는 그러한 hard instance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model accumulation을 제안한다.

      • KCI등재

        여성의 범죄두려움

        장민경(Min-Kyoung Jang),심희섭(Hee-Sub Shim)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10

        범죄에 대한 두려움(fear of crime)은 개인의 삶의 질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신체적·정신적으로도 영향을 미치는 사회문제로 간주되고 있다. 한국 여성들에게도 예외일 수 없다. 본 연구는 여성의 높은 범죄두려움에 대한 원인을 탐색하기 위하여 “성폭력의 그림자 명제(the shadow of sexual assault thesis)”를 검증하였다.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관련 연구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변수 간 인과관계를 분석모형에 고려하지 않았던 이유로 세심한 결과 도출에 어려움이 있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헌의 공백을 메우기 위하여, 여성의 범죄두려움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다양한 변인들 사이의 구조를 Ferraro(1995)가 제안한 위험해석모형을 토대로 구조방정식을 설계하였다. 분석 결과, 성폭력범죄두려움 변수가 재산범죄두려움과 폭력범죄두려움에 각각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음을 2010년 전국범죄피해조사 데이터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관련 결과 및 함의는 한국적 맥락에서 논의되었다. Fear of crime is regarded as a social problem that undermines the quality of life of individuals, as well as that has a bad influence on them both physically and mentally. There is no exception for women in South Korea. Drawing on Ferraro’s (1995) risk interpretation model, the current study aims to explore Korean women’s fear of crime with ‘the shadow of sexual assault thesis’ being focused. Due to several methodological limitations, to date, it has been difficult to draw a nuanced conclusion from the review of related literature.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fill the research gap by designing and estimat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various correlates of women’s fear of crime. A serie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pproaches indicate that ‘the shadow of sexual assault thesis’ is well supported within data from 2010 Korean Crime Victim Survey (KCVS). Both findings and implications are discussed in the context of South Korea.

      • KCI등재

        Bacillus subtilis에서 β-agarase의 분비형 과발현 및 효소분해산물의 항균활성

        장민경(Min-Kyung Jang),이옥희(OK Hee Lee),류기환(Ki Hwan Yoo),이동근(Dong-Geun Lee),이상현(Sang-Hyeon Lee) 한국생명과학회 2007 생명과학회지 Vol.17 No.11

        Agarivorans sp. JA-1 유래의 내열성 β-agarase 유전자의 분비형 과발현과 재조합효소분해산물의 항균효과를 확인하였다. B. subtilis 168, DB104, ISW1214의 3가지 재조합발현 숙주를 비교하여 ISW1214 균주가 LB배지에서 배양 9시간에 총 효소활성 52,460 U과 비활성 201 U/mg의 최대 발현량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E. coli BL21 균주에 비해 총 효소활성은 약 90배, 비활성은 약 100배 증가한 결과이다. 재조합 β-agarase의 기질로 저가의 한천을 사용하여 neoagarobiose, neoagarotetraose 등의 neoagarooligosaccharide를 생산하였으며, 생산된 neoagarooligosaccharides는 그람 양성 세균인 B. subtilis와 그람음성 세균인 E. coli 모두의 성장을 저해하는 항균활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생산된 재조합 β-agarase와 재조합 효소의 한천분해 산물은 식품산업 등에 사용가능한 천연 항균제 생산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gene for β-agarase of an Agarivorans sp. JA-1 was expressed in Bacillus subtilis DB104, 168 and ISW1214 strains for mass-production. Among 3 host strains, B. subtilis ISW1214 secreted the highest amount of recombinant β-agarase with a specific activity of 201 U/㎎ and 360 ㎎ of protein into culture broth. This was approximately 130-fold higher than the production in E. coli as an expression host. Recombinant enzyme produced neoagarooligosaccharides such as neoagarohexaose, neoagarotetraose, and neoagarobiose from agar. Produced neoagarooligosaccharides showed antibacterial activities against gram-negative E. coli and gram-positive B. subtilis at a concentration of 1.5%. These data suggest that neoagarooligosaccharides could be an useful preservative for food industry.

      • KCI등재

        이러닝 환경에서 디지털 휴먼 교수자의 유형이 학습자의 교수실재감 인식 및 학습에 미치는 영향

        장민경 ( Min Gyeong Jang ),이현우 ( Hyeon Woo Lee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24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30 No.2

        이러닝 환경에서의 상호작용 설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실제 인간과 매우 흡사한 디지털 휴먼이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효과적인 디지털 휴먼 설계원리와 적용방안 탐색에 목적을 두고, 디지털 휴먼 교수자 유형에 따른 교수실재감 인식과 학습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실제 교수자, 교수자 디지털 더블, 일반 디지털 휴먼 세 유형으로 집단을 나누어 실험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은 이러닝을 경험해 본 20대 학습자 63명이었으며, 교수자 유형별로 21명씩 무선 배치되었다. 강의는 각 5분씩 3차시로 구성되었으며, 학습자들은 자신의 집단에 해당하는 유형의 강의를 학습한 후 설문조사에 참여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통해 다변량 분산분석과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진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자 유형에 따라 교수실재감에 차이가 있었다. 학습자는 실제 교수자의 교수실재감을 일반 디지털 휴먼보다 더 높게 인식하였으며, 교수자 디지털 더블과 실제 교수자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았다. 둘째, 실제 교수자 영상이 교수자 디지털 더블과 일반 디지털 휴먼보다 더 높은 학습효과를 보였으며, 디지털 더블과 디지털 휴먼 간에는 학습효과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학습자는 교수자 디지털 더블에 대해 일반 디지털 휴먼 보다 실재감과 호기심을 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디지털 더블을 교수자로서 인식하고 신뢰할 수 있는 긍정적인 요소가 있음을 밝힘으로써 학습 촉진을 지원하는 디지털 휴먼 기반 에이전트의 활용 가능성과 설계 방안을 제언했다. 이는 디지털 휴먼의 특성 탐색 및 콘텐츠 설계에 대한 구체적인 방향성을 제시하는 기초로서, 향후 디지털 휴먼의 교육적 활용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use of digital humans that closely resemble real humans is increasingly popular in e-learning interaction design.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design principles of effective digital humans, examining their teaching presence and the impact on learning when used as tutors. For this purpose, an experimental study was conducted, dividing participants into three groups: those taught by real instructors, those taught by digital doubles of instructors, and those taught by generic digital humans. The participants were 63 learners in their twenties who had experienced e-learning, with 21 participants in each instructor type group. Learners attended three five-minute lecture segments, followed by a survey. The collected data underwent multivariate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eaching presence based on instructor type. Real instructors had higher perceptions than generic digital human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instructor digital doubles and real instructors. Secondly, real instructors were found to have higher learning effectiveness compared to that of both digital doubles and generic digital humans. Thirdly, learners perceived higher levels of presence and curiosity for digital doubles than for generic digital humans. These findings demonstrate positive factors for perceiving and trusting digital doubles as instructors. They provide a valuable foundation for exploring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humans and designing content, laying the groundwork for future educational use of digital humans.

      • KCI등재

        계획적 행동이론을 적용한 미혼여성의 모유수유 의도와 관련된 신념요인

        장민경(Jang, Min Kyung),이승민(Lee, Seung-Min),길진모(Khil Jin Mo) 한국영양학회 2017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50 No.3

        본 연구는 미혼여성 316명을 대상으로 계획적 행동이론에 근거하여 ‘모유수유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인지된 행동통제력’ 요인이 미혼여성의 장래 모유수유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평균연령은 만26세였으며 대학 졸업 이상의 학력수준이 60.8%로 높은 편이었고 다양한 직업군에 종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모유수유에 대한 태도는 25점 만점에 16.77 ± 3.07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모유수유 행동에 대한 결과신념보다 모유수유 행동에 대한 결과평가가 더욱 높게 나타났으며 ‘엄마와 아기가 더 친밀해질 것이다’가 가장 높은 점수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들은 주변 사람들에게서 특히 어머니와 모유수유 경험이 있는 주변인들의 영향을 많이 받으며 모유수유 권유에 적극적으로 따를 의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유수유 행동의 인지된 행동통제력은 25점 만점에 6.81 ± 3.73으로 상당히 저조하게 나타났다. 공공장소에서 모유수유를 하는 것을 가장 어려운 통제신념으로 응답하였고 인지된 능력도 가장 낮게 나타났다. 반면, 모유수유 행동의 인지된 행동통제력에서 ‘커피, 술, 담배 등 아기에게 해로운 기호품을 삼가는 것’이 가장 높은 통제신념과 인지된 능력으로 조사되었다. 조사대상자들의 모유수유 행동의도는 5점 만점에 평균 4.40 ± 0.87로 매우 높은 행동의도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모유수유 행동의도는 모유수유에 대한 태도 (r = 0.321, p < 0.0001), 주변사람들의 영향 (r = 0.434, p < 0.0001), 인지된 통제력 (r = 0.307, p < 0.0001) 등 세 변수와 모두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25세 미만의 조사대상자 그룹에서 모유수유 행동의도는 주변사람들의 영향이 클수록 (p < 0.0001), 인지된 행동통제력이 클수록 (p < 0.001) 높았다. 반면 모유수유에 대한 태도는 모유수유 행동의도와 관련성이 없었다. 그러나 25세 이상의 조사대상자에서는 모유수유 행동의도가 모유수유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p < 0.003), 주변사람들의 영향이 클수록 (0.002) 높았으며 인지된 통제력은 p < 0.070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 모유수유 행동의도는 모유수유에 대한 긍정적 태도, 주변사람들의 영향, 인지된 행동통제력이 연령대에 따라 다르게 작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25세 이상의 여성에서 모유수유 실천의도를 예측하는데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모유수유에 대한 태도와 주변사람들의 영향력이었으며 25세 미만의 여성에서는 주변사람들의 영향력과 통제신념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미혼여성을 대상으로 모유수유 행동의도를 파악하여 실제 모유수유 의도가 결혼과 출산 후 모유수유로의 행동으로까지 실천이 되었는지는 파악하지 못하였고, 또한, 모유수유의 실시기간에 따른 행동의도를 분리하여 분석하지 않아 미래에 모유수유의 시작은 하였으나 6개월간의 완전한 모유수유에 도달하는 모유수유의 지속적 행동의도는 파악하지 못하였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추후 계획적 행동이론을 적용한 모유수유의 영양교육 자료개발에서 모유수유에 대한 태도, 주변사람들의 영향, 인지된 행동통제력 등 구성요인을 고려하여 연령별로 다양한 관점에서 접근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모유수유율을 증가시키기위해 꾸준한 모유수유 영양교육이 필요하며 육아휴직제도, 직장내 모유수유실 설치 등과 같은 사회 전반적인 제도적 지원이 더욱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behavioral intentions of breastfeeding in single women us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Methods: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350 single women in her 20~30s, and 316 respondents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Spearma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subjects showed strong intentions and favorable attitudes toward breastfeeding. The subjects were more favorably influenced by their mothers, siblings, friends, and coworkers who previously experienced breastfeeding than ones with no breastfeeding experiences.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breastfeeding intention and attitudes (r = 0.321, p < 0.0001), subjective norms (r = 0.434, p < 0.0001), and perceived control (r = 0.307, p < 0.0001). However, regression analysis with two different age groups revealed that subjective norms (p < 0.0001) and perceived control (p < 0.001) contributed to the model of explaining breastfeeding intentions in subjects who were 25 years old or younger, whereas attitudes did not. In addition, subjects who were more than 25 years old showed that attitudes (p < 0.003) and subjective norms (p = 0.002) contributed to the model of explaining breastfeeding intentions while perceived control (p < 0.070) showed less contributio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can be a useful tool to increase the rate of breastfeeding intentions in single women when designing educational materials, which requires consideration of age differences.

      • KCI등재

        유기산을 이용한 오징어 어유의 어취 개선

        장민경(Min-Kyung Jang),이옥희(Ok Hee Lee),김남영(Nam-Young Kim),유기환(Ki Hwan Yu),장혜지(Hye Ji Jang),이승우(Seung Woo Lee),박미라(Mi Ra Park),박정현(Joung- Hyun Park),김미향(Mihyang Kim),하종명(Jong-Myung Ha),배송자(Song-Ja Bae),이상 한국생명과학회 2009 생명과학회지 Vol.19 No.9

        오징어 정제어유에 대한 부가적인 탈취과정을 통해 고품질의 제품을 생산하기 위하여 유기산의 일종인 citric acid 및 gluconic acid를 이용한 칼럼을 제작하고 여기에 오징어 정제어유를 통과시키는 방법으로 어취제거 실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 citric acid 및 gluconic acid 칼럼 모두에서 우수한 어취 제거 효과가 나타났으며, 유기산 1 g과 2 g을 사용한 경우보다 3 g을 사용한 경우에 더 우수한 어취제거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citric acid를 사용한 칼럼에서 보다 gluconic acid를 사용한 칼럼에서 더 높은 어취제거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한편, 과산화물가(POV) 및 산가(AV)를 측정한 결과, gluconic acid 칼럼을 통과한 시료는 미처리 대조군에 비해 약간 높은 수치를 나타냈으며, citric acid 칼럼을 통과한 시료는 미처리 대조군과 비슷한 수치를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gluconic acid 칼럼을 이용한 탈취실험의 경우는 탈취효과는 뛰어난 반면 과산화물가와 산가가 약간 증가하는 결과가 나타났고, citric acid 칼럼을 이용한 탈취실험의 경우는 탈취효과는 약간 떨어졌지만 과산화물가와 산가는 미처리 대조군과 비슷한 수치를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 유기산 칼럼을 이용하여 성공적인 어취제거효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어유의 주요 성분 변화는 거의 관찰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o produce high quality fish oil products, additional deodorization experiments on purified fish oil from squid using columns filled with citric acid or gluconic acid were performed. A deodorization effect on the fish oil was observed on both the citric acid and gluconic acid columns. These effects were more efficient on the columns packed with 3 g of organic acid than those with 1 g or 2 g of organic acid. In addition, a better effect was observed in the column packed with gluconic acid than that with citric acid. Peroxide value (POV) and acid value (AV) of the sample treated with citric acid was the as same as the non-treated sample. However, POV and AV of the sample treated with gluconic acid were about 10% higher than the non-treated sample. Contents of eicosapentaenoic acid (EPA) and docosahexaenoic acid (DHA) of the samples treated with citric acid or gluconic acid columns were about 0.5% higher than the non-treated sample. In conclusion, deodorization of squid fish oil by organic acid could be an efficient method to produce high quality fish oil produ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