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Length of inpatient stays and associated factors among middle-aged and older adults in Korea

        이성규,Hyunjoo Lee 한국사회복지학회 2019 Asian Social Work and Policy Review Vol.13 No.3

        Using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of middle-aged and older adults in Korea, this study examined the length of inpatient stays and associated factors. The pooled 2008–2012 data were obtained from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and study sample consisted of 7,805 individuals aged 50 and older. Guided by the Andersen's healthcare utilization model,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was con-ducted. Study results indicate that the average inpatient stay has slightly increased among middle-aged and older adults in Korea. Furthermore, the severity of func-tional disability, the number of chronic health conditions, and the level of depres-sive symptoms were found to be key factors associated with the length of inpatient stays. In particular, respondents who received federal welfare benefits had longer stays than those who did not receive welfare benefits. Being employed and having private insurance were also found to be predictors of increasing length of inpatient stays. However, marital status was not associated with the length of inpatient stays. By understanding the pattern of inpatient stays and associated factors, policymak-ers should make an effort to develop innovative cost-effective healthcare programs

      • KCI등재

        A study on antioxidative components and activity of fermented Cirsium Lineare (Thunb.) extract

        이성규,황진우,Dongsup Lee,강상문,전용승,강현 한국식물생명공학회 2022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Vol.49 No.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easure changes in polyphenol components and antioxidant effects of Cirsium Lineare (Thunb.) after fermentation by lactic acid bacteria. First, Cirsium Lineare (Thunb.) extract (CE, unfermented) and Cirsium Lineare (Thunb.) extract fermented with Lactobacillus paracasei (FCE) were prepared. Changes in components resulting from fermentation were confirmed through changes in polyphenol compound content and silymarin derivative pattern, and antioxidant activity was confirmed using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2,2’azino-bis(3-ethylbenz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analyses. As a result, polyphenol contents of CE and FCE were confirmed as 21.94 ± 1.15 and 67.90 ± 4.48 mg GAE/g, respectively. Both values were increased approximately three times by fermentation, and there was also a change in the silymarin derivative pattern. In the case of DPPH radical RC50 values in particular, CE and FCE were confirmed to inhibit DPPH radicals by 50% at concentrations of 129.44 ± 5.85 and 50.00 ± 3.47 μg/mL, respectively, with the FCE value approximately 2.5 times lower than that of CE. In addition, ABTS radical scavenging and FRAP activity were confirmed to share similar trends as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hen CE and FCE were compared, FCE showed a better antioxidant effect overall.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FCE prepared through lactic acid bacteria fermentation may be utilized as a powerful antioxidant material.

      • 효율적인 시공간 보간을 통한 움직임 기반의 디인터레이싱 기법

        이성규,이동호,Lee, Seong-Gyu,Lee, Dong-Ho 대한전자공학회 2001 電子工學會論文誌-SP (Signal processing) Vol.42 No.3

        본 논문에서는 EBMF(Edge Based Median Filter)와 3-Step AMPDF(Adaptive Minimum Pixel Difference Filter) 기반의 움직임 적응 디인터레이싱 알고리즘을 제안 한다. 움직임 적응 방법에서 중요한 요소인 motion missing에 의한 에러를 방지하기 위해 입력 영상을 4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각 영상에 따라 다른 임계 값을 사용하여 정확한 화소 값을 보간 하는 AMPDF를 사용하며 움직이는 대각선 에지의 효과적인 보간을 위하여 에지에 따라 가변적인 후보 픽셀을 선택하는 EBMF를 사용하여 성능을 향상시켰다. 또한 성능을 높이기 위해 입력되는 영상을 움직임 영역, 정지 영역, 경계 영역으로 나누어 적응적으로 보간 하였으며 모의 실험을 통해 기존의 방법들에 비해 성능이 우수함을 보였다. This paper proposes a motion-adaptive de-interlacing algorithm based on EBMF(Edge Based Median Filter) and AMPDF(Adaptive Minimum Pixel Difference Fillet). To compensate 'motion missing'error, which is an important factor in motion-adaptive methods, we used AMPDF which estimates an accurate value using different thresholds after classifying the input image to 4 classes. To efficiently interpolate the moving diagonal edge, we also used EBMF which selects a candidate pixel according to the edge information. Finally, we, to increase the performance, adopted an adaptive interpolation after classifying the input image to moving region, stationary region, and boundary region. Simulation results showed that the proposed method provides better performance than the existing methods.

      • KCI등재

        폐(廢)LCD에서 회수(回收)된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의 인장강도(引張强度)와 연신율(延伸率)에 미치는 PE(Polyethylene)와 유리섬유(纖維)(Glass Fiber) 첨가효과(添加效果)

        이성규,조성수,이수영,박재량,홍명환,홍현선,Lee, Sungkyu,Cho, Sung-Su,Lee, Soo-Young,Park, Jae Layng,Hong, Myung Hwan,Hong, Hyun Seon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13 資源 리싸이클링 Vol.22 No.3

        폐 디스플레이에서 발생하는 플라스틱을 재활용하여 실용적이고 경제성 있는 재생복합소재의 개발에 기여할 목적으로 ABS/PE(50/50과 20/80), ABS/GF (90/10) 복합 소재의 조성이 연신율에 미치는 효과를 연구하였다. PE 함량을 50%에서 80%로 증가시킨 폐플라스틱 재생복합소재의 인장시험 결과 전반적으로 연신율이 2.4%에서 13%로 증가하는 것이 관찰되었으나 유리섬유 첨가 시 인장강도와 연신율 모두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이러한 사실에 비추어 볼 때 PE의 함량에 따라 인장강도 등 다양한 기계적 특성의 조절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고 무엇보다도 플라스틱 사출성형에 투입되는 재생복합소재의 특성 중 아주 중요한 연신율을 향상시키는데 PE의 효과가 현저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ABS 자체의 우세한 비정질성이 결정성을 띈 PE의 첨가로 인해서 광범위하게 결정화된 결과 폐플라스틱 입자들 사이의 전단 응력이 감소하기 때문인 것으로 간주된다. Recycled plastic composites of ABS/PE (50/50 and 20/80) and ABS/GF (90/10) were fabricated from plastic components of waste LCDs and effects of PE composition on elongation of ABS/PE composites were investigated. Increased PE contents improved elongation of the composite from 2.4% to 13%, which was attributed to increased crystalline behavior of the ABS/PE composite afforded by ductile PE fraction: SEM fractographs showed some sign of plastic deformation of PE matrix before ductile fracture of the composites.

      • KCI등재

        폐(廢) 디스플레이의 해체(解體) 및 성분조사(成分調査)

        이성규,강승,이찬기,홍명환,조성수,홍현선,Lee, Sungkyu,Kang, Leeseung,Lee, Chan Gi,Hong, Myung Hwan,Cho, Sung-Su,Hong, Hyun Seon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13 資源 리싸이클링 Vol.22 No.2

        국내의 디스플레이 산업규모는 2007년 기준으로 48조원, 판매대수로는 324만대 이상으로 세계 최대 임에도 불구하고 폐 디스플레이 대부분은 소각 및 매립되어 처리되는 실정이다. 평판 디스플레이의 제품 순환 주기가 매우 짧은 것을 감안하면 대략 5년 사용 후 폐기 시 2015년부터는 약 400~500만대의 폐 디스플레이가 국내에 발생할 것으로 예측된다. 2003년부터 EU의 WEEE 재활용 관련 입법의 영향으로 폐 제품의 재활용 및 재자원화는 어느 때 보다 국가적으로 절실한 경제 사회적 이슈가 되었다. 폐 디스플레이에는 금, 은 등의 귀금속이 함유되어 있어 재활용의 경제적 부가가치도 크다. 이와는 별도로 최근 중국의 희소 금속과 희토류의 수출 제한으로 대두된 자원 확보의 측면에서도 폐 디스플레이의 재활용을 통한 인듐 등의 희소금속 소재화는 필수 불가결하다. 그러므로 우리나라에서도 환경적, 사회 경제적, 국가 전략적 측면에서의 파급효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통합 재활용 기술관련 연구 개발 및 이의 상용화가 시급하게 이루어져야만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특별히 LCD의 해체, 분리 공정의 최적화를 통한 해체/분해 절차서 작성, 모듈/부품의 유가 소재 비율 조사를 체계적으로 실시하였다. 이러한 해체/분리 공정 최적화 연구를 통하여 최종적으로 폐 디스플레이 통합 재활용 전체 공정도를 제안하였다. Although Korean domestic production of flat panel displays totalled more than 48 trillion KRW in 2007, most of the flat panel display wastes have been land-filled or incinerated, which greatly overshadows Korean national prestige as a world leading producer and developer of flat panel display devices. Countries such as Japan or EU possess quite limited land-fill capability and have sought ways to dispose of WEEEs from environment-friendly perspective rather than recovery of valuable materials from the wastes. Considering relatively short cycle of about 5 years for flat panel display devices, it is estimated that more than 5 million units will be accumulated as wastes by 2015. Urban mining is a most suitable countermeasures against China's monopoly of rare and rare earth metals, which are contained in flat panel display wastes. Therefore, materials recycling of waste LCD units has to be developed and commercialized soon enough for economic and environment-friendly recovery of valuable resources hidden in LCD wastes.

      • KCI등재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한 웹서비스 시스템 모델링

        이성규,진찬욱,김태석,Lee, Seong-Kyu,Jin, Chan-Uk,Kim, Tai-Suk 한국시뮬레이션학회 2007 한국시뮬레이션학회 논문지 Vol.16 No.1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SOA)는 최근 IT환경에서 급격한 성장을 하고 있다. 거대하고 복잡한 분산 환경에서 재빠른 변화에 적용하기위해 SOA를 기반으로 한 인프라 구축을 기업에서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기 때문이다. SOA는 인터페이스와 서비스간의 계약을 통하여 서로 다른 기능을 단위로 하는 응용프로그램이 상호 연관성을 가지는 컴포넌트 모델이다. 본 논문에서는 SOA와 핵심 웹서비스 표준에 관계된 개념을 웹서비스에 적용하기 위한 아키텍처를 설계하고, 그 내용에 따라 SOA를 기본으로 한 웹 서비스 시스템을 모델링 한다. 웹서비스는 XML과 SOAP를 기본으로 도입하여, 응용프로그램과 비즈니스 서비스의 설계를 구현한다. 이렇게 설계된 SOA기반의 웹서비스를 통하여 상호 운영성, 재 사용성, 확장성 및 유연한 비즈니스 프로세스 처리와 같은 SOA의 각 특징이 어떻게 적용되는지 확인하고, 서비스 모델 프로세스에 대한 방법과 SOA기반의 웹서비스의 아키텍처 설계방법을 통하여, 서비스 간의 느슨한 결합(Loose Coupling)으로 중립성을 유지하는 웹 서비스 모델링을 제시한다. Service-Oriented Architecture(SOA) is improving rapidly in IT Environment. Enterprise companies interest in implementation infrastructure based on SOA to adapt quick changes of large and complex distributed environment. SOA is a component model that inter-relates the different functional units of an application, called services, through interfaces and contacts between theses services. In this paper, we studied the concep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OA and standard web service core and therefore, we model the web service based on SOA. We implemented the application and business service architecture using web service that include the XML and SOAP. We confirmed that how the each SOA characters like interoperability, reusability, scalability and flexible business process adapted to web service and present a web service modeling that is maintained the neutrality using loose service coupling through the method of service model process and web service architecture designing methodology based on SOA.

      • SCOPUSKCI등재

        국내 유용식물의 항산화 효과

        이성규,이은,최무영,임태진,박희준,차배천,Lee, Sung-Ku,Lee, Eun,Choi, Moo-Young,Rhim, Tae-Jin,Park, Hee-Jun,Cha, Bae-Cheon 한국생약학회 1997 생약학회지 Vol.28 No.1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domestic plants grown in the area of Kangwon-do province. Through the examination of methanol extracts from 15 plants for radical scavenging effects using DPPH method, the extracts from Pinus densiflora Sieb. et Zucc. And Euphorbia humifusa Willd. Showed strong antioxidative activity. Because of its highest antioxidative activity among 15 domestic plants, radical scavenging effects of four different extract compartments from leaves of P.densiflora, n-Hexane, EtOAc, BuOH and $H_2O$ extracts. Were examined by DPPH metho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EtOAc and BuOH extracts were similar or even higher than that of natural (tocopherol) or synthetic antioBfdants (BHA) , suggesting that major fraction for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P. densiflora was the EtOAc and BuOH extract compartments.

      • KCI등재

        The Tobacco Industry's Abuse of Scientific Evidence and Activities to Recruit Scientists During Tobacco Litigation

        이성규,Lee, Sungkyu The Korean Society for Preventive Medicine 2016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Vol.49 No.1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담배회사를 상대로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진행 중에 있다. 담배회사는 전통적으로 소송 진행 과정에서 과학적 근거를 오용하거나 과학자를 포섭하여 소송을 유리한 방향으로 이끌어 가기 위한 노력을 해왔다. 본 연구는 전 세계적으로 주목 받고 있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소송 과정 중 담배회사의 전략을 분석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이미 밝혀진 담배회사의 담배소송 전략을 이해한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소송 중 법원에 제출된 소장, 준비서면, 증거자료 등에 대한 내용분석을 통해 담배회사의 소송 전략을 파악한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소장 내용 중 첨가물 사용과 관련된 쟁점에 대해 담배회사는 세계보건기구의 "Tobacco: deadly in any form or disguise(2006)" 보고서 중 'American spirit'과 같은 천연담배로 광고하는 담배제품에 대한 의견을 마치 첨가물이 들어간 제품과 천연담뱃잎을 사용하는 담배제품 간 위험성이나 중독성에 차이가 없다는 내용으로 준비서면을 작성하였다. 하지만 원래 보고서 내용은 첨가제가 들어가지 않았다고 광고하는 천연담배의 위험성을 경고하는 내용이었다. 즉, 보고서의 작성 의도를 무시하고 정반대의 해석으로 과학적 근거를 오용하였다. 또한 준비서면 내 다른 해외자료들은 영문 그 자체로 참고문헌에 수록하였지만 세계보건기구 보고서는 한글로 번역하였고, 그 이유는 아마도 보고서 제목의 "deadly"가 부담스러웠던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국민건강보험공단 소송 이전에 제기되었던 개인소송 중 담배회사가 법원에 제출한 증거자료의 일부를 분석한 결과 담배회사의 컨설턴트로 활동한 과학자의 연구결과를 증거자료로 제출한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국내 담배소송에서도 해외사례와 마찬가지로 담배회사의 소송전략은 유사했다. 담배소송 결과는 담배규제정책에 막대한 영향을 미친다. 성공적인 소송을 위해 보건의료분야 전문가들은 담배회사가 제출하는 방대한 분량의 의견서와 증거자료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을 가져야 한다. 또한 담배회사의 과학자 포섭활동을 인지하고 세계보건기구 담배규제기본협약(Framework Convention on Tobacco Control) 제5조3항의 권고사항처럼 담배업계와의 협력을 거절해야 할 것이다. South Korea's state health insurer,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NHIS), is in the process of a compensation suit against tobacco industry. The tobacco companies have habitually endeavored to ensure favorable outcomes in litigation by misusing scientific evidence or recruiting scientists to support its interests. This study analyzed strategies that tobacco companies have used during the NHIS litigation, which has been receiving world-wide attention. To understand the litigation strategies of tobacco companies, the present study reviewed the existing literature and carried out content analysis of petitions, preparatory documents, and supporting evidence submitted to the court by the NHIS and the tobacco companies during the suit. Tobacco companies misrepresented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report's argument and misused scientific evidence, and removed the word "deadly" from the title of the citation. Tobacco companies submitted the research results of scientists who had worked as a consultant for the tobacco industry as evidence. Such litigation strategies employed by the tobacco companies internationally were applied similarly in Korean lawsuits. Results of tobacco litigation have a huge influence on tobacco control policies. For desirable outcomes of the suits, healthcare professionals need to pay a great deal of attention to the enormous volume of written opinions and supporting evidence that tobacco companies submit. They also need to face the fact that the companies engage in recruitment of scientists. Healthcare professionals should refuse to partner with tobacco industry, as recommended by Article 5.3 of the WHO Framework Convention on Tobacco Control.

      • 능동형 임플란터블 디바이스 기술동향: BCI 응용 중심

        이성규,변춘원,김이경,박형일,Lee, S.Q.,Byun, C.W.,Kim, Y.G.,Park, H.I.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17 전자통신동향분석 Vol.32 No.6

        A variety of medical devices are utilized to repair or help injured body functions after accidental injury(such as a traffic accident), population aging, or disease. Such medical devices are being actively researched and developed in portable form, skin patchable type, and further, implantable form. In the future, active implantable medical devices for neuro and brain sciences are expected to be developed. Active implantable medical devices that detect brain signals and control neurology for a wider understanding of human cognition and nerve functions, and for an understanding and treatment of various diseases, are being actively pursued for future use. In this paper, the core elements of implantable devices that can be applied to neuro and brain sciences are classified into electrode technologies for bio-signal acquisition and stimulation, analog/digital circuit technologies for signal processing, human body communication technologies, wireless power transmission technologies for continuous device use, and device integration technologies to integrate them. In each chapter, the latest technology development trends for each detailed technology field are reviewed.

      • SCOPUSKCI등재

        WO<sub>3</sub>가 첨가된 TiO<sub>2</sub>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에너지 전환 효율

        이성규,이영석,Lee, Sung Kyu,Lee, Young-Seak 한국공업화학회 2011 공업화학 Vol.22 No.1

        염료 감응형 태양전지의 에너지 전환 효율을 향상시키고자 $TiO_2$에 $WO_3$을 첨가하여 광전극을 제조하고 그 전기화학적 특성 평가를 하였다. 또한 $WO_3$가 첨가된 $TiO_2$를 회쇄함으로써 회쇄 효과가 전지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I-V 곡선을 통하여 측정된 염료 감응형 태양전지의 효율은 $WO_3$ 첨가 및 회쇄 효과에 의하여 2.8에서 6.0%로 크게 증가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TiO_2$의 전도대에서 전달되는 전자가 염료 및 전해질과 재결합되기 전에 $TiO_2$의 전도대보다 낮은 $WO_3$의 전도대를 통해 전달되기 때문에 전체 전류의 양이 증가되어 효율이 증가한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임피던스 결과로부터 $TiO_2$/염료/전해질 계면의 저항 값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In order to improve the energy conversion efficiency of dye-sensitized solar cell (DSSC), the photoelectrode was manufactured by using $TiO_2$ and $WO_3$ on combination effects of two conduction bands. The smash procedure of $TiO_2$ and $WO_3$ was carried out by using a paint shaker to enlarge the contact area of semiconductor with dye and electrolyte. The energy conversion efficiency of prepared DSSC was improved about two times from current-voltage curve based on effects of $WO_3$ and smash. The mechanism was suggested that the conduction band of $WO_3$ worked for prohibiting the trapping effects of electrons in conduction band of $TiO_2$. This result is attributed to the prevention of electron recombination between electron in conduction band of $TiO_2$ with dye and electrolyte. Impedance results indicate the improved electron transport at interface of $TiO_2$/dye/electroly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