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Spark Plasma Sintering으로 제조한 Li<sub>2</sub>O-2SiO<sub>2</sub> 유리 소결체의 전기적 특성

        윤혜원,송철호,양용석,윤수종,Yoon, Hae-Won,Song, Chul-Ho,Yang, Yong-Seok,Yoon, Su-Jong 한국재료학회 2012 한국재료학회지 Vol.22 No.2

        A $Li_2O-2SiO_2$ ($LS_2$) glass was investigated as a lithium-ion conducting oxide glass, which is applicable to a fast ionic conductor even at low temperature due to its high mechanical strength and chemical stability. The $Li_2O-2SiO_2$ glass is likely to be broken into small pieces when quenched; thus, it is difficult to fabricate a specifically sized sample. The production of properly sized glass samples is necessary for device applications. In this study, we applied spark plasma sintering (SPS) to fabricate $LS_2$ glass samples which have a particular size as well as high transparency. The sintered samples, $15mm\phi{\times}2mmT$ in size, ($LS_2$-s) were produced by SPS between $480^{\circ}C$ and $500^{\circ}C$ at 45MPa for 3~5mim, after which the thermal and dielectric properties of the $LS_2$-s sample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quenched glass ($LS_2$-q) samples. Thermal behavior, crystalline structure, and electrical conductivity of both samples were analyzed by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X-ray diffraction (XRD) and an impedance/gain-phase analyzer, respectivel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S_2$-s had an amorphous structure, like the $LS_2$-q sample, and that both samples took on the lithium disilicate structure after the heat treatment at $800^{\circ}C$. We observed similar dielectric peaks in both of the samples between room temperature and $700^{\circ}C$. The DC activation energies of the $LS_2$-q and $LS_2$-s samples were $0.48{\pm}0.05eV$ and $0.66{\pm}0.04eV$, while the AC activation energies were $0.48{\pm}0.05eV$ and $0.68{\pm}0.04eV$, respectively.

      • InSAR Signature 시계열 분석을 통한 토지피복분류

        윤혜원,최윤수,윤하수,고종식,조성길,Yun, Hye Won,Choi, Yun Soo,Yoon, Ha Su,Ko, Jong Sik,Cho, Seong Kil 한국공간정보학회 2014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22 No.1

        SAR 영상은 관측시간과 기상현상 등의 외부 환경 영향을 받지 않고 수시로 데이터 취득이 가능하며 광학영상보다 광범위한 관측 영역을 포함하기 때문에 레이더간섭기법 (InSAR)을 이용한 토지피복분류 기법은 큰 이점을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L밴드 ALOS PALSAR의 후방산란계수와 긴밀도를 이용한 새로운 토지피복분류 기법을 개발하고 최근 화산 폭발 가능성으로 인해 주목받고 있는 백두산 지역에 시험 적용하였다. 새로운 토지피복분류 체계는 ALOS PALSAR의 HH, HV편광 모드의 영상을 InSAR 시계열 상에서 패킷의 형태로 재구성하고 주성분 분석을 도입하여 분류의 신뢰도 향상을 시도하였다. 또한 MODIS 등 광학 영상 기반 분류와 상호 검증하여 정확도를 확인하였다. Considering the wide coverage, the transparency from climate condition, Interferometric Synthetic Aperture Radar (InSAR) possesses a great potential for the landcover classification as shown in many precedent researches. In addition to the merits of InSAR products for the landcover classification, the time series analysis of InSAR pairs can provide a highly reliable basis to interpret landcover. We applied such idea with the test site in Mountain Baekdu located on the border between North Korea and China. Since it is recently noted as the potential volcanic activation site, the landcover especially the vegetation distribution information is highly essential to validate the reliability of Differential Interferometric Synthetic Aperture Radar (DInSAR) over Mt. Baekdu. The algorithms combining the auxiliary information from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MODIS) to analyze the phase coherence and backscatter coefficient of Observing Satellite (ALOS) Phased Array type L-band Synthetic Aperture Radar (PALSAR) was established. The results using InSAR signatures from two polarization modes of ALOS PALSAR showed high reliability for mining landcover and spatial distribution.

      • KCI등재

        스마트폰 기반 쇼핑 브랜드앱 UI의 기능적요인, 광고효과, 만족 관계에 관한 연구

        윤혜원,Yoon, Hyewon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20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20 No.5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이용의 보편화와 비대면소비활동이 맞물리면서 새로운 소비환경이 도래하고 있다. 본 연구는 스마트폰 쇼핑 브랜드 앱의 UI 기능적요인 경험을 통하여 광고효과로서 선호도와 브랜드신뢰를 측정하고 만족에 미치는 인과구조적 관계 규명에 목적을 두고 진행되었다. 이론적 연구를 토대로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설문조사로 수집된 223명의 자료를 SPS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앱 UI 기능적요인은 광고효과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침이 확인되었고, 광고효과는 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브랜드 쇼핑 앱의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기초 연구자료를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다. As smartphone app use and untact consumption activities become more common, a new consumption environment is start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preference and brand trust as an advertising effect through experience of UI functional factors of shopping brand app and to establish causal structural relationship to satisfaction.Based on theoretical research, the research model was set and the data of 223 people collected in the survey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5.0 program.App UI functional factors partially affect advertising effects, and advertising effects have been found to affect satisfaction. This could provide basic research on marketing communications for brand shopping apps.

      • 한국 전래 자장가에 관한 연구

        윤혜원(Yoon, Hye-Won) 한국한부모가정학회 2011 한국한부모가정학 Vol.4 No.1

        본 연구는 세계화, 국제화시대에 있어서 한국의 전래 자장가에 관한 개관을 통하여 영유아기 성장과 발달에 필수적인 한국 고유의 전래 자장가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추후 한국의 전통 자장가를 활성화하고 보급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한국 고유의 전래 자장가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지역별 전래 자장가 분석을 통하여 한국 전래 자장가에 관한 연구의 기초로서 영유아기 성장과 발달에 필수적인 전래 자장가에 대한 한국 고유의 전래 자장가에 대하여 살펴봄으로써 전통 자장가를 활성화하고 보급하는 기초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세계화, 국제화 시대에 우리 전래 자장가라는 가장 한국적인 것을 자연스럽게 육아에 접목하여 활용함으로써 가장 세계적인 것이 될 수 있다는 자부심과 더불어 우리 전통문화를 지키고 사랑하는 마음을 실천하는 것은 부모에게도 아기에게도 매우 중요하고 의미 있는 상황이 될 것이다. 또한 일종의 전승동요인 전래 자장가라는 전통문화를 지키고 이어가는 것은 자아정체감과 민족적 자긍심을 회복하는 데에도 많은 기여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전래 자장가에 대한 개괄적인 문헌연구를 진행하였다. 추후 이상에서 전개한 문헌조사에 더하여 실제로 한국 전래 자장가를 영유아에게 불러주고 있는지, 불러준다면 영유아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하여 상세하게 관찰하고 실험하여 고찰함으로써 이론적으로 연구한 결과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 작업이 이루어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of globalization and internationalization in the era of Korea's traditional lullaby on the opening through the Infants growth and development is essential to Korea's own traditional nursery rhyme about specifically by looking at the future Korea's traditional lullaby, activate and dissemination provide the basic data was designed to want to. To this end, Korea's own folk lullaby overall understanding of the traditional nursery rhymes through the analysis of Korea traditional nursery rhymes on the study as a basis infants growth and development are essential to traditional nursery rhymes for the Korea-specific traditional nursery rhyme about by looking at a traditional lullabynursery rhyme active and to propose a basis for dissemination. Globalization, in this globalization era, we nursery rhyme called the culture of Korea that the natural parenting by grafting by utilizing the world that can be a proud addition to our traditional culture to keep their love to practice it for parents in babies is very important and meaningful context. will be. In addition, factors such folk tradition, a sort of nursery rhyme to keep the tradition and culture that lead to self-identity and national pride will make a substantial contribution used to recover. In this study, an overview of Korea traditional nursery rhyme literature was conducted. In addition to the above literature survey deployed in the future actually bring to Korea and that infants nursery rhyme, just call if the impacts to infants in detail about the observed and theoretically studied by considering the experimental results made for specific analysis tasks should expect that.

      • 유아영어교육에서 컨텐츠 기반과 문법번역식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윤혜원(Yoon, Hye-Won) 한국한부모가정학회 2012 한국한부모가정학 Vol.5 No.1

        본 연구는 국제화, 세계화, 개방화 시대라는 특징을 보이는 현대사회에서 유아들이 이 시대에 보다 잘 적응해 나가기 위한 방법 중의 하나인 언어를 잘 익힐 수 있도록 돕기 위하여 국제공용어인 영어에 되도록 일찍 노출시킴으로써 영어를 익히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나가도록 하고, 유아영어교육의 교수방법 중에서 대표적으로 많이 활용되는 컨텐츠기반 유아영어교육 프로그램과 문법번역식 유아영어교육 프로그램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유아영어 교수법을 제안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유아영어교육에 있어서 대표적인 교수방법으로 볼 수 있는 컨텐츠기반 프로그램과 문법번역식 프로그램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즉, 유아를 위한 영어교육의 의의, 컨텐츠기반 유아영어교육 프로그램의 수업원리 및 문법번역식 유아영어교육 프로그램의 수업원리에 대하여 언어의 중요성, 영어능력의 역할, 조기 외국어교육의 특성, 영어교육기관의 특성 등을 상세하게 살펴봄으로써 유아영어교육의 대표적인 교수법이라고 볼 수 있는 컨텐츠기반 유아영어교육 프로그램과 문법번역식 유아영어교육 프로그램을 구체적으로 살피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국제화, 세계화, 개방화 시대라는 현대사회의 아이콘에 걸맞는 언어능력을 갖추기 위하여 국제어인 영어에 어린 시기부터 노출되는 것의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이를 위하여 유아영어교육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는 교수법 중에서 컨텐츠기반 및 문법번역식 프로그램에 대하여 살펴봄으로써 유아교육현장에 보다 적합하고 효과적인 유아영어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후속연구가 계속되어지기를 기대한다. The present study, internationalization, globalization, liberalization era characterized by modern society seems to infants at this age can learn the language the way for one of the better adapted Exit to be the international language of English to help learn English by early exposure to suggested that the basis of how a professor of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typically utilized content-based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program, and the grammar translation english education program specifically looking for a more efficient infants go, and bolstering the ability to utilize teaching English aims to provide material to To this end, in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grammar translation program that you can see the typical teaching methods and content-based program specifically examined. In other words, the significance of English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e grammar translation equation principles of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program of classes and content-based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program of classes on the principles and the importance of language, the role of English language proficiency, the characteristics of early foreign language education, English language training institutions by examining in detail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ammar translation of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teaching methods that can be viewed as content-based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programs and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program specifically. In this study, noted the need to equip icon worthy of internationalization, globalization and the liberalization era of modern society, language skills, what is exposed from an early age in English, Interlingua, Follow-up study of pedagogy, content-based, and grammar-translation program being used in English education from early childhood to look for the appropriate and effective than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program should expect to be continued.

      • KCI등재

        가상적 갈등상황 인성 그림자료 개발 연구

        윤혜원(Yoon, Hye-Won)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6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100

        본 연구는 실제 갈등상황을 그림으로 구성하여 교사들이 교실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상적 갈등상황 인성 그림자료를 개발한 것이다. 어린이들은 이 그림자료를 가지고 토의하고 자신의 감정을 표현할 수 있게 되며, 어린이 간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문제해결의 정보도 얻을 수 있어 간접교육으로서 인성교육의 목표 달성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학자들의 관점, 교육과학기술부, 그리고 만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에서 인성교육의 목표, 내용 및 방법을 살펴보며, 가상적 갈등상황 인성 그림자료 개발의 기준을 유출하였다. 이 기준에 의거하여 일상생활의 갈등상황을 간접 경험할 수 있도록 10가지 주제를 정하고 천연색 그림자료 20가지를 프로그램 개발의 순서에 따라 개발하였다. 개발된 자료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첫째, 본 연구에서 개발된 가상적 갈등상황 인성 그림자료는 만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생활주제와 연계되도록 구성한 천연색의 자료이므로 교사가 재구성하지 않고도 있는 그대로 인성교육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 개발된 가상적 갈등상황 인성 그림자료는 만 4~5세 어린이들이 가상적 갈등상황의 짧은 스토리를 듣고 개방적 질문을 함으로써 이야기나누기나 토의가 잘 일어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셋째, 가상적 갈등상황 인성 그림자료를 가지고 토의하는 동안에 어린이는 스토리를 듣고 다른 사람의 입장을 이해할 수 있게 되어 경청하기 및 자기 입장, 기분, 느낌을 말로 표현함으로서 융합적 접근의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그리고 어린이들이 토의하는 과정에서 갈등상황의 전략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This study is developed character picture materials in virtually conflict situations which are configured to resemble picture materials for actual conflict situations that teachers can be used in the classroom. Children are able to express and discuss their feelings using this pictorial data. The information that can also be obtained through the children"s problem-solving interactions can help achieve the goals of character education as an indirect training. In this study, the goals, contents, and methods for character education were reviewed from researchers, other scholars view points,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aged 3-5 years Nuri Curriculum. And then the basis of character picture materials in virtual conflict situations were drawn by the researcher. Twenty multi-colored materials of indirect experiences based on the conflict situation of everyday life were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virtually conflict situations the order of program development with 10 life topics of aged 3-5 years Nuri Curriculum. The developed materials ha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because the character picture materials in virtually conflict situations were configured to be associated with the outflow from Nuri life topics, the course materials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used for discussions without having to reconfigure the teacher. Second, the character picture materials in virtually conflict situations developed in this study, contains open-ended questions that can lead feature discussions could well happen by only children aged 4-5 years. That means children hear a short story of the virtually conflict situations can had discussions. Third, children can listen to stories with data from others to listen and to be able to understand the person"s position and self-admission can be used for integrated approaches, and also verbalize their feelings while discussing with character picture materials in virtually conflict situations. And there are features that allow children to form strategies in conflict situations in the course of discussions.

      • KCI등재

        코로나-19 원격수업에서 온라인 협력학습 메시지 분석을 통한 의사소통 유형 탐색

        윤혜원 ( Hyewon Yoon ),김선영 ( Sunyoung K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6

        본 연구는 코로나-19에 따른 원격수업 상황에서 다양한 온라인 학습활동의 가능성에 초점을 두고 공동 작업이 가능한 온라인 협력학습 환경에서의 메시지 분석을 통해 의사소통 행태를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1학년도 1학기 B예술대학교 음악교수학습방법 과목의 3개 분반 대상의 팀 활동을 통해 도출된 메시지를 작성자와 유형에 따라 구분하고, 군집분석에 따른 유형의 조합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집단 구성과 관계없이 공통적으로 도출되는 의사소통 행태인지 확인하기 위하여 χ<sup>2</sup>검정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전반적으로 2분반이 다른 분반과 분석항목에 있어 차이를 보였으며, 분반 내 팀 간 차이 역시 2분반에서 크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분반 및 팀 간 의사소통 유형이 다름을 확인하였고, 온라인 협력학습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운영과 평가 방식에 대한 추후 연구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communication types through message analysis in an online cooperative learning environment by focusing on the possibility of various online learning activities in the remote classes due to COVID-19. For this purpose, the messages were classified by writer and type, and analyzed based on the combination of types through cluster analysis. The messages derived through the team activities of the three classes of ‘music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courses at B Arts University in the spring 2021. In addition, the χ<sup>2</sup> test was performed to confirm whether the communication types are commonly derived regardless of group composition. As a result, as a whole, the second group showed differences in analysis items from other groups,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eams were also large in the second group. Based on this, it was confirmed that the communication types between classes and teams are different, and further research on operation and evaluation methods to maximize the effect of online cooperative learning was suggested.

      • KCI등재

        방과 후 요리활동으로서 유아 영어교육 프로그램의 개념적 모형

        윤혜원(Yoon Hye-Won)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04 어린이미디어연구 Vol.3 No.-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육과정과 연계되는 방과후 요리활동을 컨텐츠기반에 의거하여 영어교육 프로그램을 고안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연구문제를 크게 다음과 같이 2가지로 설정하였다. 1. 방과후 유아 영어교육 프로그램으로서 요리활동 개발을 위한 틀을 어떠한가? 2. 영어 요리활동 개발의 틀에 의거한 방과후 유아 요리활동의 개념적 모형은 어떠한가?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EFL 환경인 우리나라에서 의사소통으로서 영어교육은 컨텐츠기반에서 이루어져야 함을 피력하면서 방과후 영어교육 프로그램으로서 요리활동의 방향을 제시하려고 하였다. 특히 우리나라는 출판사에 의해서 개발된 자료가 주로 문법번역식과 청화식 교육방법으로 이루어져서 비교육적인데 비하여 컨텐츠기반 영어교육의 자료는 교육인적자원부의 교육과정을 영어로 배우면서 영어도 습득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먼저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틀에 의거하여 방과후 요리활동의 개념적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는 사회 및 개인의 요구→프로그램의 목적→프로그램의 내용→교수 학습 전략 및 활동계획→프로그램 실시→프로그램 평가→프로그램 수정 개발로 전개하였다. 다음으로 요리활동 개발의 틀에 의거한 방과후 요리활동의 개념적 모형은 섞는, 열을 가하는, 얼리는, 꾸미는 요리활동으로 구성하였다. 이를 영어활동으로 BICS와 CALP의 영어능력 발달에 초점을 맞추도록 하였다. 즉, BICS에서는 요리순서 등 의사소통에 대하여, CALP에서는 요리의 이름, 재료의 이름, 재료의 이름, 도구의 이름 등 개념과 단어에 초점을 두도록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the after school cooking activity that is connected to kindergarten curriculum and based on content-based. To meet The study purpose,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set up two big study questions were set as follows: 1. What is The framework for the after school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of cooking program? 2. What is the conceptual early childhood after school English education model based on the framework? This study, then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content-based after school program for EFL society like and recommended cooking activity for the after school program. The author of this study mentioned that most English texts by publishers are grammar-translation and audio-lingual methods which will hinder communicative English ability. Compared to these, the content-based program will do the job of acquisition of contents sugges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and English ability both in BICS(Basic Interpersonal Communicative Skill) and CALP(Cognitive Academic Language Proficiency). The author of this study drew up the framework for the after school English education of cooking program as "Need of an Individual and Society→ Program Purpose→Program Content→ Teaching-Learning Strategies and Activity Plan→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Program Evaluation and Modification→ Final Product." Based on this framework, the author designed the conceptual cooking activities within four different types: cooking activities that are mixing, heating, freezing, and decorating. This study is limited to 12 activities to start. However, longitudinal after school cooking program should be designed in many different models.

      • NFC 기능을 활용한 공유 및 주문 시스템 개발

        윤혜원 ( Hyewon Yoon ),임하영 ( Hayoung Lim ),정혜원 ( Hyewon Jeong ),윤용익 ( Yong Ik Yoon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5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2 No.1

        2015 년 현재 정보통신기술(ICT)중 사물인터넷(IoT : Internet of Things)이 화두에 오르고 있다. 언제 어디서나 통신으로 연결만 되어 있으면 스마트폰으로 주변에 있는 사물들의 제어가 가능하다. 또, 주목 받고 있는 기술로서 근거 리 통신기능(NFC : Near Field Communication)이 IoT 와 결합해 우리 주변을 편리하게 해주고 있다. NFC 발달과 함께, 본 연구에서는 NFC 를 통해 메뉴를 공유하고 종업원 없이도 주방으로 Order 를 보낼 수 있는 제어기능이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을 기획한다. 여러 명의 Order 를 한 사람의 스마트폰으로 NFC 를 이용한 기술인 P2P 기능을 이용해 모아준다. 그 후, 한 데 모은 주문내역을 대표 한 사람이 주방으로 Order 를 보내는 기능과 두 번 이상의 방문을 하게 될 경우 그 동안의 주문내역 히스토리를 분석해서 주문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편리하게 사용 할 수 있도록 연구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