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우리나라 지적측량 정확도의 현황과 특성

        윤하수,최윤수,손종영,김재명 대한공간정보학회 2011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Vol.19 No.5

        The current cadastral surveying is used digital cadastral map. This map is no local confirmation. Besides, Base cadastral map drawn up 100 years ago. And Graphical cadastral characteristic is difficult to ground boundary points restoration. Due to the lack of ground boundary points can cause land dispute and Cadastral Non-Coincidence. In this Study, Understand the concept of accuracy and error, Analyzing the current regulations. Also Comparative analysis of current cadastral regulations and other surveying regulations to suggest improvements to the cadastral surveying. The results indicated a clear definition of accuracy and error and The installation of permanent ground boundary points are needed. Uniform and consistent reference point system is needed. In addition, the accuracy provided by the landowner should understand. Cadastral Surveying Regulations require specific and detailed procedures. 현재의 지적측량은 100년 전에 작성된 지적도를 현지 확인을 거치지 않고 전산화한 것을 사용하고 있으며, 도해지적이라는 특성으로 인하여 경계복원이 어렵다는 한계를 내포하고 있다. 이와 같은 특성과 지상경계표지의 부재로 인하여 토지소유자간 분쟁, 지적불부합지 발생 등의 많은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확한 지적측량을 위하여 정확도와 오차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고 현재의 지적측량 시행규칙에 규정된 정확도 문제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한 현재의 지적측량 규정을 다른 측량 규정과 비교・분석하여 지적측량 정확도 향상을 위한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로 지적측량의 정확도와 오차에 관한 명확한 정의와 영구적인 지상경계점의 설치가 필요하며, 통일되고 일관적인 기준점 사용체계가 정립되어야 한다고 판단되었다. 또한 토지소유자 중심의 정확도가 제공되어야 하며 지적측량 작업규정의 절차에 대한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절차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우리나라 지적측량 정확도의 현황과 특성

        윤하수,최윤수,손종영,김재명,Yoon, Ha-Su,Choi, Yun-Soo,Son, Jong-Young,Kim, Jae-Myeong 한국공간정보학회 2011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19 No.5

        The current cadastral surveying is used digital cadastral map. This map is no local confirmation. Besides, Base cadastral map drawn up 100 years ago. And Graphical cadastral characteristic is difficult to ground boundary points restoration. Due to the lack of ground boundary points can cause land dispute and Cadastral Non-Coincidence. In this Study, Understand the concept of accuracy and error, Analyzing the current regulations. Also Comparative analysis of current cadastral regulations and other surveying regulations to suggest improvements to the cadastral surveying. The results indicated a clear definition of accuracy and error and The installation of permanent ground boundary points are needed. Uniform and consistent reference point system is needed. In addition, the accuracy provided by the landowner should understand. Cadastral Surveying Regulations require specific and detailed procedures. 현재의 지적측량은 100년 전에 작성된 지적도를 현지 확인을 거치지 않고 전산화한 것을 사용하고 있으며, 도해지적이라는 특성으로 인하여 경계복원이 어렵다는 한계를 내포하고 있다. 이와 같은 특성과 지상경계표지의 부재로 인하여 토지소유자간 분쟁, 지적불부합지 발생 등의 많은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확한 지적측량을 위하여 정확도와 오차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고 현재의 지적측량 시행규칙에 규정된 정확도 문제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한 현재의 지적측량 규정을 다른 측량 규정과 비교 분석하여 지적측량 정확도 향상을 위한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로 지적측량의 정확도와 오차에 관한 명확한 정의와 영구적인 지상경계점의 설치가 필요하며, 통일되고 일관적인 기준점 사용체계가 정립되어야 한다고 판단되었다. 또한 토지소유자 중심의 정확도가 제공되어야 하며 지적 측량 작업규정의 절차에 대한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절차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KCI등재

        정밀절대측위를 이용한 준실시간 GNSS 가강수량 시스템 개발

        윤하수,조정호,박한얼,유성문 한국측량학회 2017 한국측량학회지 Vol.35 No.6

        GNSS PWV (Precipitable Water Vapor) is recognized as an important factor for weather forecasts of typhoons and heavy rainfall.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 have been published that improve weather forecasts using GNSS PWV as initial input data to NWP (Numerical Weather Prediction) model. For rainfall-related weather forecasts, PWV should be provided in real time or NRT (Near-Real Time) and the accuracy and integrity should be maintained. In this paper, the development process of NRT GNSS PWV system using PPP (Precise Point Positioning). To this end, we optimized the variables related to tropospheric delay estimation of PPP. For the analysis of the PPP NRT PWV system, we compared the PWV precision of RP (Relative Positioning) and PPP. As a result, the accuracy of PPP was lower than that of RP, but good results were obtained in the PWV data integrity. Future research is needed to improve the precision of PWV in the PPP method. GNSS 가강수량은 태풍이나 집중호우의 일기예보를 위한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으며, 가강수량을 수치예보모델에 초기 입력값으로 적용하여 일기예보가 향상되는 연구가 국내·외로 발표되고 있다. 호우 관련 일기예보를 위해서는 가강수량이 실시간 또는 준실시간으로 제공되어야 하며 가강수량 자료의 정밀함과 무결성이 유지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정밀절대측위를 이용한 준실시간 가강수량 산출 시스템 개발 과정에 대해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정밀절대측위의 대류권 지연 추정과 관련된 변수를 최적화하고 준실시간 GNSS 가강수량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시스템의 분석을 위해 정밀절대측위와 상대측위의 준실시간 가강수량 정밀도를 비교하였다. 비교결과 정밀절대측위의 가강수량 정밀도가 상대측위 보다 낮게 산출되었지만 자료의 무결성 부분에서는 좋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향후에는 정밀절대측위 방식의 가강수량 정밀도를 높이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항공LIDAR를 이용한 해안선추출을 위한 최적 라이다 점밀도 분석

        윤하수(Yoon Ha Su),최윤수(Choi Yoon Soo),이유정(Lee Yoo Jung),송현근(Song Hyun Kun) 대한공간정보학회 2010 한국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10 No.1

        본 연구에서는 보성에서 여수부근까지 약 380㎞를 대상으로 최신의 항공레이저 측량기법을 이용하여 해안선의 다양한 데이터를 취득하였다. 그리고 취득된 데이터를 대상으로특성별(자연 및 인공해안, 해안절벽, 방파제 등) 표본 추출 실시 및 비교ㆍ분석을 하여 데이터검증을 수행하였으며, 해안선 추출을 위한 가장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최적 라이다 점밀도를 제시하였다.

      • SCOPUSKCI등재
      • KCI등재

        기선간 공분산 모델링이 GPS 망조정에 미치는 영향

        윤하수 ( Ha Su Yoon ),최윤수 ( Yun Soo Choi ),홍창기 ( Chang Ki Hong ),권재현 ( Jay Hyoun Kwon ) 한국지리정보학회 2009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12 No.1

        In this study, the impact of the covariance between the baselines on the network-based GPS positioning is analyzed. For the analysis, the multi-baseline solutions with properly modeled covariance between the baselines and the combined solutions from the single-baseline solutions are obtained, respectively. Then, the accuracies of both solutions are evaluated in terms of coordinate residuals, i.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ositioning solutions and the published stations` coordinate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positioning accuracy in static mode depends much on the geometry of GPS satellites rather than the proper modeling of covariance between the baselines. Also, slight but negligible improvement in positioning accuracy is observed in static solutions. Therefore, one may use combined solutions as an alternative to multi-baseline solutions for the network-based GPS positioning. However, multi-baseline solution with properly modeled covariance between the baselines is recommended to use especially for the applications to detect very small displacement, i.e., deformation of the building or bridge. 본 연구에서는 GPS 자료를 이용한 다중기선 처리 시 기선사이에 발생하는 공분산이 위치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GPS를 이용한 위치결정방법 중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측위방법인 정지측위에 대해 공분산의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위해 공분산이 적절히 고려된 다중기선 처리결과를 얻은 후 단일기선 처리 결과, 즉 기선사이에 공분산이 고려되지 않은 결과와의 위치정확도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정지측위의 경우 정확도 차이는 거의 없었으나 다중기선 처리가 기선별 공분산을 고려했을 때 보다 안정적인 위치정확도를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일반적인 측량의 경우는 기선간의 자료처리를 통해 위치결정을 하여도 충분한 요구정확도를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나 기선간의 공분산을 고려하면 좀 더 안정적이고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SCOPUSKCI등재
      • KCI등재

        기본수준점을 이용한 국가수직기준연계 분석 연구

        윤하수(Yoon, Ha Su),장민철(Chang, Min Chol),최윤수(Choi, Yun Soo),허룡(Huh, Yong) 대한공간정보학회 2014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22 No.3

        최근 지구 온난화로 인하여 해수면의 상승속도가 증가하고, 자연재해가 증가함에 따라서 연안방재 및 개발을 위한 해·육상수직기준 연계에 대한 관심과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우리나라의 수직기준은 그 사용목적이 다르며, 목적에 따라 해상 및 육상에서 개별적으로 정하여 사용되고 있다. 해상수직기준은 지역평균해수면을 사용하며, 육상수직기준은 인천평균해수면을 사용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첫째, 2012년과 2013년에 설치된 통합기본수준점 48점을 이용하여 해·육상수직기준에 따른 기하표고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에는 지역평균해수면과 인천평균 해수면을 참조하는 기하표고 및 국가지오이드모델 기반의 기하표고가 사용되었다. 전체 48점 중 도서지역을 제외한 31점 중 11점에서 10cm 이상의 잔차가 발생하였다. 잔차의 원인은 강물의 유입, 기준조위관측소의 이동, 항만공사에 따른 지형변화 등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둘째, 해·육상수직기준 연계를 위하여 해면경사의 경향을 분석하였다. 해면경사는 인천평균해수면과 지역평균해수면의 차이를 말한다. 분석결과 우리나라의 해면경사는 서해에서 남해 그리고 동해방향으로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해·육상수직기준 연계를 위한 자료로서 통합기본수준점의 성과가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향후 해·육상수직기준 연계를 위해서는, 해·육상을 연결하는 측량자료가 많이 확보되어야 하며, 국립해양조사원과 국토지리정보원의 지속적인 수직기준 관리 및 자료 공유가 필요하다. 연계된 육해상수직기준의 정보는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연안개발과 방재에 크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Recently, the velocity of sea-level rising has increased due to the global warming and the natural disasters have been occurred many times. Therefore, there are various demands for the integration of vertical reference datums for the ocean and land areas in order to develop a coastal area and prevent a natural disaster. Currently, the vertical datum for the ocean area refers to Local Mean Sea Level(LMSL) and the vertical datum for the land area is based on Incheon Mean Sea Level(IMSL). This study uses 31 points of Tidal Gauge Bench Mark (TGBM) in order to compares and analyzes the geometric heights referring LMSL, IMSL, and the nationally determined geoid surface. 11 points of comparable data are biased more than 10 cm when the geometric heights are compared. It seems to be caused by the inflow of river, the relocation of Tidal Gauge Station, and the topographic change by harbor construction. Also, this study analyze the inclination of sea surface which is the difference between IMSL and LMSL, and it shows the inclination of sea surface increases from the western to southern, and eastern seas. In this study, it is shown that TGBM can be used to integrate vertical datums for the ocean and land areas. In order to integrate the vertical datums, there need more surveying data connecting the ocean to the land area, also cooperation between Korea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Administration and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It is expected that the integrated vertical datum can be applied to the development of coastal area and the preventative of natural disaster.

      • KCI등재

        부동산거래를 위한 정보서비스모델 연구

        윤하수(Yoon, Ha Su),김종고(Kim, Jong Go),최윤수(Choi, Yun Soo),김재명(Kim, Jae Myeong) 한국지적학회 2010 한국지적학회지 Vol.26 No.2

        본 연구에서는 현재의 부동산정보서비스의 문제점 등을 분석하여 개선안을 도출하고 또한 부동산정보수요자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요자가 필요로 하는 부동산정보서비스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새로운 부동산정보서비스 모델은 수요자가 지정한 필지에 따라 공공정보인 건축물정보, 토지정보, 실거래가격 정보 그리고 민간정보인 시세정보, 가격정보를 분석한 부동산거래정보를 GIS를 기반으로 하여 항공사진과 지적도 정보를 중첩한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 따라서 부동산거래를 위한 새로운 정보서비스 모델로 첫째, 공공과 민간의 부동산거래정보 연계서비스 둘째, 부동산거래정보와 공간정보 통합서비스 셋째, 부동산거래정보 분석서비스들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정보서비스 모델은 부동산수요자에게 다양한 실거래가 정보를 제공함은 물론 수요자의 편의성을 확보하여 지도상에서 한눈에 직접 부동산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 합리적인 부동산 매수에 도움이 될 것이며 또한, 부동산관리자에게는 부동산 가격의 사전 예측, 분석이 가능하여 각종 부동산정책 결정을 지원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공간영상정보 기반의 통합 부동산서비스의 민간정보와 공공정보를 상호 공유할 수 있는 모델을 통하여 대국민 부동산정보서비스의 만족도가 크게 향상될 것이며 정보이용자의 신뢰도가 높아질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set out to analyze problems with the current real estate information service, present improvement measures, and propose an information service model needed by information users through a survey. The new information service model for real estate trading should satisfy the following conditions: First, it should combine public and private information together; Second, it should integrate video and attribute information into one; Third, it should offer analysis results of changes to real estate trading prices. The model will help the users make rational sells and purchases of real estate by offering information about diverse real transaction prices, securing convenience for the users, and allowing them to check real estate information on a map at a glance for themselves. It will also provide real estate managers with assistance for all sorts of real estate policy decisions by allowing them to estimate and analyze real estate prices in advance. It will also increase people's satisfaction level with real estate information service and the users' trust by allowing them to share and use an integrated real estate service of spatial image information, private information and public inform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