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EA 모형을 활용한 전문대학 뷰티관련 학과 운영의 효율성 연구

        윤초희,노영희 한국미용학회 2019 한국미용학회지 Vol.25 No.6

        Since the inception of beauty major, the only 37.5% of the department beauty in colleges, make the beauty majors efficient. Therefore, based on 2017 public university data, will serve evaluating methods of potential increased operational efficiencies. The results are the following: 34.5% of the professional colleges showed operational inefficiencies in the beauty related majors. Department Beauty Related Majors that were efficiently run had high faculty lecture ratio and enrolled student ration, and the contracted beauty departments had high scholarship awarded and admitted to enrolled ratio. Beauty departments had the highest employment rate, and as departments showed high industry internship experience per student, it showed correlation with admitted to enrolled student ratio, continued enrollment student ratio. The professional colleges should take efforts to optimize the value proposition of t heir input resources and outputs by benchmarking other universities.

      • KCI등재

        청소년 발달과 적응의 예측요인으로서 부모 자율성 지지와 구조 제공의 관계 탐색: 자기결정성 이론의 관점에서

        윤초희,최옥주 한국청소년학회 2020 청소년학연구 Vol.27 No.12

        The study has two main purposes. First, based on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parenting styles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level of parental autonomy support and structure provision, and the differences among the clusters were analyzed in various adaptive functions of adolescents. Second, the relative predictive power of parenting variables on adolescent development and adjustment was analyzed. A survey was conducted by sampling students from six highschools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To summarize the results, first, four parenting clusters were derived from autonomy support and provision of structure. Second, the results of multivariate analyse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parenting clusters in all children's adjustment variables except for academic achievement. The children who perceived a high degree of autonomy support and structure provision showed the highest level of adjustment. Third,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parental autonomy support and provision of structure predicted most of the children's adjustment variables, and the interaction effect was found in controlled regulation. Provision of structure positively predicted controlled regulation, but the structure provided while autonomy is supported appears to sharply lower the level of controlled regulation, showing a synergistic effect between the two variables. 이 연구는 크게 두 가지 목적을 갖는다. 먼저 자기결정성 이론(self-determination theory)을 기반으로 하여 부모 자율성 지지와 구조 제공의 수준에 따라 부모 양육방식을 유형화하고, 이에 따라 자녀의 다양한 적응적 기능(학습동기, 학업참여, 진로발달, 학교적응, 삶의 만족도)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둘째, 자녀 발달과 적응적 기능에 대한 부모 양육변인의 상대적 예측력을 분석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수도권 소재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2학년, 3학년 학생을 편의표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부모 자율성 지지와 구조 제공에 대한 군집분석 결과, 네 가지 부모양육 유형이 도출되었다. 둘째, 다변량분석 결과, 학업성취도를 제외한 모든 자녀 적응 변인에서 양육 유형 간에 차이가 나타났으며, 자율성 지지와 구조 제공이 동시에 제공되는 자녀의 적응 수준이 가장 높았다. 셋째, 부모 양육변인의 상대적 예측력을 보기 위해 실시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부모 자율성 지지와 구조 제공은 대부분의 자녀 적응 변인을 정적으로 예측하였고, 자율성 지지와 구조 제공간의 상호작용 효과는 통제적 조절(내사 조절, 외재 조절)에서만 나타났다. 구조 제공은 통제적 조절을 정적으로 예측하지만, 자율성이 지지되는 가운데 제공되는 구조는 통제적 조절 수준을 급격히 낮추는 것으로 나타나 두 변인 간의 시너지 효과를 보여준다.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구조 제공의 이중적 특성을 재확인하는 후속 연구에의 시사점이 제언되었다.

      • KCI등재

        지적으로 우수한 초등 영재아의 심리사회적 적응

        윤초희,김홍원,윤여홍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04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17 No.2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intellectually gifted elementary school children's psychosocial adjustment, employing self-concept, self-esteem, perfectionism and behavior problems as the indicators of psychosocial well-being.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gifted 4th and 6th graders who were categorized in two different gifted groups, highly gifted and moderately gifted, according to their IQ scores, and nongifted 4th and 6th graders whose IQs were ranged from 90 to 109. Each gifted group was subcategorized into two different groups, the gifted from gifted classes and the gifted from regular classes. To summarize the results, although different patterns emerged based on the grade level and sex, gifted children at all grade levels were consistently higher on academic self-concept, self-esteem and perfectionism, and had less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compared to their nongifted counterparts. Regarding social self-concept, while gifted 6th graders had the lowest score, gifted 4th graders had the highest score. Also, giftedness was related more clearly to social self-concept in girls than boys. With regard to the difference by the educational placement, the gifted from gifted classes were higher on self-concept and self-esteem and had less emotional and behavior problems than the gifted from regular classes. Overall, th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view that giftedness enhances children's overall self-concept and decreases psychosocial maladjustment while the effect of the educational placement on psychosocial well-being still warrants further testing in future studies. Only by controlling confounding factors, further research will be able to identify the effect on gifted children's psychosocial well-being of congruence between gifted children's needs and traits an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which nurtures those needs. 본 연구의 목적은 지적으로 우수한 영재아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관한 기존의 상충되는 두 가지 견해를 검증하는 것으로, 초등 영재아와 보통아를 대상으로 하여 자아개념, 자아존중감, 완벽주의, 정서 및 행동문제 등의 심리사회적 적응 지표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으로 서울 근교의 광역시 및 지방 중소도시의 일반 초등학교와 지역공동 영재학급에서 총 355명의 4, 6학년 학생을 표집하였다. 표집된 학생은 KEDI 집단 지능검사 결과를 토대로, 지능 150 이상의 우수한 영재아(highly gifted), 125∼145 사이의 영재아(moderately gifted), 90∼109 사이의 보통아 집단으로 구분되었으며, 영재아들은 다시 현재 영재교육을 받고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영재교육을 받는 영재아와 받지 않는 영재아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전반적으로 영재아는 보통아보다 학문적 자아개념, 자아존중감, 완벽주의 성향이 높으며, 정서 및 행동 문제는 낮게 나타났다. 특히, 영재성이 증가할수록 학문적 자아개념이 증가하며 정서 및 행동문제는 낮게 나타났다. 영재성과 사회적 자아개념의 관계는 학년과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는데, 세 집단 중 영재아 집단의 사회적 자아가 가장 높게 나타난 4학년과 달리 6학년은 영재아 집단의 사회적 자아가 가장 낮았으며, 집단간 차이를 보이지 않은 남학생의 경우와 달리 여학생은 영재성이 높아질수록 사회적 자아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재교육 유무에 따른 차이의 비교 분석에서는 영재교육을 받는 영재아가 받지 않는 영재아보다 학문적 자아 및 사회적 자아개념과 자아존중감이 높게 나타났으며, 정서 및 행동 문제는 낮게 나타났다.

      • KCI등재
      • KCI등재

        국제학교 학생의 자아존중감, 학교적응 및 부모의 진로지지가 진로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윤초희,한수연 한국청소년학회 2015 청소년학연구 Vol.2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areer identity of the international school students an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students' self-esteem, the level of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parental career support associated with the motives to study abroad on their career identity. A sample of 173 students attending three international schools located in the Gyeonggi area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wo motives groups; the one’s own will group exhibited higher levels of career identity than the other-recommended group. For the one’s own will group, career identit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lf-esteem and parents' instrumental support while for the other-recommended group, career identity was correlated with self-esteem and all sub factors of school life satisfaction.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es show that for the one's own will group, students' self-esteem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ir career identity, and parental verbal support has a negative effect on students' career identity. For the other-recommended group, self-esteem is the only significant predictor of career identity.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for counseling strategies were discussed. 이 연구는 학부유학을 준비하는 국제학교 학생의 자아존중감, 학교적응, 부모의 진로지지 요소가 이들의 진로정체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 더불어 이들 변인 간의 관계가 유학선택 유형에 따라 달라지는지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으로 경기 소재의 국제학교에 재학 중인 고등학생 173명이 참여하였다. 유학선택 동기에 따라 ‘타인권유’ 집단과 ‘본인의지’ 집단 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본인의지’ 집단에서 진로정체성이 높게 나타났지만 다른 변인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들 개인 내적 및 심리환경적 변인이 진로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본인의지’ 집단에서는 자아존중감이 유의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고 부모의 언어적 격려는 진로정체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타인권유’ 집단에서는 유일하게 자아존중감이 진로정체성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부유학 준비생들의 유학선택 동기와 상관없이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가치평가가 진로정체성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자발적으로 유학을 결정한 학생의 경우 부모의 언어적 격려가 조력보다는 간섭이나 통제로 지각되고 이것이 이들의 진로정체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국내입시를 준비하는 고등학생들에 비해 이중의 정체성 과제를 안고 있는 해외유학 준비생들의 진로정체성 발달을 위한 후속연구와 교육적 개입에 대한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관찰추천 과정에서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영재학생 판별기준과 추천요인 분석

        윤초희,박희찬 韓國英才學會 2013 영재교육연구 Vol.23 No.5

        초등학교 교사가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영재판별의 기준은 무엇일까? 그리고 실제로 영재교육 대상자를 관찰/추천할 때 고려하는 학생의 행동특성은 무엇일까? 이러한 판별 및 추천기준은 교사의 영재교육관련 경험이나 인식수준에 따라 달라질까? 이 연구는 이러한 질문에 대한 해답을 구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를 위해 서울시 11개 교육지원청 소속 초등학교에서 3~6학년을 담당하는 511명의 교사들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에 참여한 전체 초등학교 교사들은 영재판별 기준으로 과제집착력, 창의성, 호기심, 특수영역의 재능 순으로 중요하다고 인식한 반면, 수상실적, 전체학업성적, 리더십, 일반지능의 순으로 중요하지 않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재교육관련 경험이 있거나 인식수준이 높은 교사들은 그렇지 않은 교사들보다 호기심, 과제집착력 등의 동기적 특성과 창의성을 영재판별의 기준으로 더 중요하게 간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판별기준의 중요도 인식과 실제 학생추천 시 고려도 간의 차이검증 결과, 호기심, 과제집착력 등의 동기적 특성과 특수재능, 창의성 등의 인지적 특성은 영재판별 기준으로 중요하게 인식하는 반면, 실제 추천 시 고려한 정도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반면, 리더십, 학습능력, 학업성취도, 수상실적은 중요도보다 고려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판별기준의 중요도-고려도 간 괴리는 영재교육관련 경험자와 무경험자 모두 유사한 패턴을 보여주었지만, 전문성이 부족한 무경험자에게서 더 크게 나타났다. 연구결과는 교사들로 하여금 영재들이 가질 수 있는 다양한 행동특성 프로파일에 대한 인식을 강화하고 상대적으로 관찰이 용이한 특성(학업성취 등)에 대한 과잉 선호를 경계하도록 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What are the identification criteria elementary school teachers prefer?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that teachers consider when nominating them to gifted programs? Will those criteria of identification/nomination differ as to teacher experiences related to gifted education or teacher involvement in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This study aims to find the answer to these question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511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th a varying degree of experiences with gifted education were recruited from 23 schools in 11 school districts in Seoul. The results show that teachers generally preferred task commitment, creativity, curiosity, and domain specific talents as criteria for identifying gifted students, while perceiving achievement records, total grades, leadership, and general intelligence as less important. Teachers experienced in gifted education or having been involved in professional development perceived curiosity, task commitment, and creativity as more important than teachers without such experiences.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of identification criteria indicates that teachers reported high importance on task commitment, curiosity, and creativity, but those factors were less considered in actual nomination. On the contrary, teachers reported low importance on quick learning and achievement(total grades, subject grades), but those were highly considered in nomination. A similar pattern was found in both experienced and nonexperienced teachers although the importance-performance gap was higher for the latter. Implications for teacher nominations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were discussed.

      • KCI등재

        언어창작 재능계발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 및 환경적 요인 : 성취한 작가 사례를 중심으로

        윤초희,한석실,조석희,강승희 한국교육학회 2005 敎育學硏究 Vol.43 No.2

        The study purports to examine the psycholog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and accomplishment of the contemporary Korean creative writers, in the attempt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talent development in the area of creative writing. To this end, th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4 writers and 4 poets selected from those who made debut in their 20s to 30s, are deeply committed to the field, and actively involved in literary activities. The selection was based on whether the writer has won at least one prize at the major literary awards and achieved commercial success. The common traits identified in the intellectual and linguistic areas for the accomplished creative writers were superior memory skills, unconventional ways of seeing the world, early linguistic development, and extensive early reading. As personality and motivational traits, the accomplished writers showed the devotion and commitment to writing, fantasy play and imagination, and the strong desire for self-expression and recognition from others. They also had mentors who recognized their unusual talents and provided support and encouragement for their writing processes and products. Personal traumas and adversities also affect the writer's motivation to write. Based on the findings,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the verbally talented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언어영역의 재능계발 과정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의 창작 분야에서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는 성인 작가와 시인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성취와 관련있는 심리발달 및 환경적 요인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0~30대에 문단에 데뷔하여 현재 문학 활동을 활발하게 하고 있는 30~60대의 작가들 중에서 상업적인 성공과 더불어 적어도 한 번 이상 국내 주요 문학상을 수상한 경력이 있는 소설가와 시인 중, 총 8명을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은 주로 작가의 유년기, 청소년기, 성인 전반기의 심리발달적 특성, 경험 및 교육, 환경적 특성, 재능계발을 위한 교육관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작가의 재능을 계발하고 작가로서 성취하게 만드는 데 기여한 지적 및 언어적 특성에는 비상한 기억력, 독창적인 시각, 조기 언어발달, 조기 독서와 탐독이 있으며, 몰입과 집중력, 상상과 공상, 자기표현과 인정의 욕구 등의 정서적 특성이 발견되었다. 환경 및 경험적 특성으로는 재능의 발견자, 상처와 역경, 고난의 승화와 문학적 태도로서의 삶, 문학적 사건, 재능을 연마하기 위한 부단한 노력과 탐구 등이 있었으며, 보다 성숙한 글쓰기를 지원해주고 건설적인 비평과 영감을 제공해주는 정신적 후원자(멘토) 또한 재능계발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들을 통하여, 언어창작 재능계발의 과정과 향후의 언어창작 영재교육을 위한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과학영재 선발을 위한 교사 추천의 타당성 분석

        윤초희 한국영재학회 2014 영재교육연구 Vol.24 No.4

        As the validity issue of teacher nominations for the identification of gifted students has been raised recently, this study purports to test the validity of teacher nominations for selecting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As the criterion variables, domain specific traits such as science creative problem solving skills and science attitudes and domain general characteristics such as divergent thinking skills, creative attitudes, intrinsic motivation, and leadership were analyzed.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potentially gifted students who had never been enrolled in gifted programs but were nominated as the scientifically gifted by teachers, and general class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results of ANOVA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variables but originality factors of the TTCT and science creative problem solving skill test between gifted/nominated students and general class students; gifted/nominated students were significantly superior in these variables to general class students. The discriminant functions analysis yielded a discriminant function that significantly discriminated between gifted/nominated and general class students. Variables loaded on the discriminant function were science creative problem solving skills except for the originality subfactor, and science efficacy. These results imply that while teachers are likely to consider adaptation-oriented academic excellency related to logical thinking skills, problem solving skills, and science performance when nominating students, they may ignore the innovation-oriented property which is indicated as the fluency and originality factors of TTCT. Also, the criteria of teacher nominations are presumed to be congruent with the selection criteria of the gifted education program which pursued academic excellency as the educational goal. This suggests that with such criteria, high performing students in the science area can be sufficiently identified by teachers with no further identification procedures or/and tests. 영재선발을 위한 교사 관찰·추천의 타당성 문제가 꾸준히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이 연구는 과학영재 선발을 위한 교사 추천(지명)의 타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타당성의 준거변인으로 과학적 문제해결력, 과학적 태도와 같은 영역 특수적 변인과 확산적 사고, 창의적 인성, 내재적 동기, 리더십과 같은 영역 일반적 변인이 사용되었다. 현재 영재교육을 받고 있는 과학영재 학생, 영재교육을 받은 적은 없지만 교사에 의해 영재로 판단되어 추천된 잠재영재 학생, 그리고 일반학급의 학생들이 연구대상으로 참여하였다. 분산분석 결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하위 변인인 독창성과 확산적 사고의 하위 변인인 유창성과 독창성을 제외한 모든 변인에서 영재학생/추천학생과 일반학생 간에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즉, 영재학생/추천학생은 이들 변인에서 일반학생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판별분석 결과, 영재학생/추천학생을 일반학생과 유의하게 판별해주는 함수가 도출되었으며, 판별함수에 부하된 변인은 독창성을 제외한 과학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과학효능감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가 과학영재 학생을 추천할 때 논리적 사고나 문제해결력, 과학수행, 그리고 이로 인해 강화되는 과학효능감과 같이 보다 '적응' 지향적인 학문적 탁월성을 고려하는 반면, 다양한 새로운 반응들을 신속하게 생성해내는 '혁신' 지향적인 속성(유창성이나 독창성으로 나타나는)은 덜 고려한다는 것을 말해준다. 또한 교사추천의 기준은 학문적 탁월성을 지향하는 과학영재교육기관의 선발기준과도 부합하며, 이러한 기준으로 영재를 판별할 때는 교사추천만으로도 영재판별이 가능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포스트휴머니즘 관점에서 본 발명의 의미와 발명교육의 방향

        윤초희 한국영재교육학회 2023 영재와 영재교육 Vol.22 No.1

        이 연구는 인간중심 존재론을 해체하고 다양한 유목적, 횡단적, 관계적 주체를 추구하는 포스트휴머니즘의 관점에서 발명의 의미를 재탐색하고 미래 발명교육을 위한 함의를 찾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미래의 학생들이 다양한 인간 및 비인간 존재들과 상호작용하여 지식을 생성ㆍ공유하는 과정에서 발명은 어떤 의미를 가지며 미래 발명교육의 방향은 어떠해야 하는지를 탐색하였다. 포스트휴머니즘은 신물질주의를 토대로, 확장된 주체들 간의 서로 연결된 세계의 작용을 이해하고자 하는 존재론적 담론이다. 인본주의 관점에서 ‘발명’이 원자적 개인이 독립적으로 능력을 발휘하여 새로운 산물이나 아이디어를 산출하는 과정이나 활동으로 개념화된다면, 탈인본주의에서는 단일 주체(인간), 선형적 발명 과정, 개인 역량 중심의 발명 개념 등이 해체되고 복수 주체(인간 및 비인간 존재 포함), 행위주체성, 물질과 관념의 뒤섞임, 창발, 네트워크상의 상호의존성 및 상호관련성 등의 개념을 바탕으로 새롭게 재개념화된다. 이 연구는 포스트휴머니즘에 기반 한 새로운 발명 개념을 토대로, 물질수행성에 대한 인식, 제한된 목표달성이 아닌 ‘되어가는’ 과정에의 참여 강조, 개인 역량에서 얽힌 관계로의 초점 전환, 학습에서 다중 양식 및 다양한 앎의 방식의 사용 독려, 그리고 지속가능성 요소의 포함을 향후 발명교육의 방향으로 제언하였다.

      • KCI등재

        네일 제품의 유해물질 안전성 검토 및 관리제도 개선 연구

        윤초희,이승희 한국융합학회 2017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8 No.11

        본 연구는 최근 화장품 유해성분에 관한 이슈가 끊임없이 제기되면서 네일 제품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유해물질 인체 노출 저감을 위한 안전관리 방안 마련을 목적으로 국내외 문헌고찰을 통해 네일 제품의 안전․표시 기준 현황을 비교․분석하고, 네일 제품 내 유해물질 허용 기준치 초과 사례를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국내 유통된 인조손톱 접착제와 네일팁에서 각각 톨루엔 40.3배, 클로로포름 22.8배, 안티몬 15.4배 초과 검출되었다. 선진국은 다양한 정책연구 및 법제화를 통해 작업장 물질안전보건자료 제공 및 환기 장치 설치 등을 의무화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별도의 안전 기준이 없어 네일 제품을 통한 유해물질 인체 노출이 심각한 상황이다. 따라서 네일 제품․작업환경․종사자․소비자 각각의 특징에 맞게 세부 네일 유해물질 안전관리 규정이 우선적으로 정립되어야 하고, 이에 따른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을 통해 유해물질 화장품에 대한 인지도를 제고한다면 국민의 질병예방 및 건강증진의 융복합적 차원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compares the safety of nail products by reviewing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for preparing a safety management plan for reduction of human body exposure to hazardous substances that occur in nail products. We analyzed the cases of exceeding the limit value of hazardous substances. In domestic artificial nail adhesive and nail tip, toluene content was 40.3 times higher than the standard value, chloroform was 22.8 times, and antimony was 15.4 times. In developed countries, it is obligatory to provide material safety data and workplace ventilation equipment through various policy researches. However, there is no safety standard in Korea. Therefore, if the regulations for safety management should be established with each characteristic of nail product, work environment, workers, and consumers, and the awareness of hazardous substance cosmetics should be improved through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it can contribute to disease prevention and health promo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