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Rediscovering the Value of Block Play

        한석실,박주희 한국보육학회 2010 한국보육학회지 Vol.10 No.2

        In this research, the value of block play's symbolic element was investigated. Block play is defined as a behavior to handle, stack, or manipulate blocks. Also block play can be understood as one of the constructive play activities that focuses on building or constructing something with open ended materials such as bricks, blocks, and clay. Block play studies are mainly concerned with issues related to the relationships between block play and child development, the environment or ecology for block play, and the curriculum for block play. But these studies have been conducted with the viewpoint of constructive play. Play researchers used to understand dramatic play through it's symbolic element. On the contrary, the value of block play's symbolic element has been downgraded and block play hasn't received the respect that it deserves. Block play experiences provide a medium for symbolic play(Baker, 1989) and symbolic play involves the use of mental representation to pretend that one object stands for another(Piaget, 1962). Block construction is the transformation of an experience or object into a concrete representation of this experience or object. In recent years, several studies on block play insist that we should realize the importance of block play's symbolic element(Han & Park, 2009; Kostelnik, Soderman, & Whiren, 2004). The symbolic element that children experience in play forms a foundation for future abstract thinking. Therefore, in this study, we will try to find out and understand the symbolic element of block play and it may help us to provide an appropriate environment and teaching strategies for children's block play.

      • 다문화가정 모-자간 상호작용 잘 향상을 위한 이론적 고찰

        한석실 한국보육학회 2008 한국보육학회지 Vol.8 No.1

        The characteristics of mothers and their children's interaction and the sociocultural elements that affect on the interactions were studies with a literal review and it was taken implications for early intervention program that made for helping mothers and their children's interac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The characteristics that positively affect on the mothers and their children's interaction were mother's sensibility and responsiveness for the children's behaviors, positive affection during interaction, and joint attention on ongoing events. And the features on the mothers and their children's lingual interaction were to make children understanding full story and using language out of the context. The patterns of interaction and the expectation for interaction were different from their culture, and lingual or illingual interaction were also influenced by their families' SES. Implications to develop program for multicultural families' interaction of mother and their children were followed. First, It is identified what are differences stereotyped mother and their children's interactions between Korea and the other culture. Second, after we assume these differences as not superiority but unlikeness, it should be identified what are features of mother and their children lingual or illingual interaction in milticultural families. Third, the programs depending on foreign mother's Korean level should developed. 본 연구에서는 유아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모-자간 상호작용의 특성과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문화적 요인이 무엇인지 문헌분석을 통해 확인한 후, 다문화가정의 초기 모-자간 상호작용을 돕는 개입프로그램 구성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생애 초기 자녀 발달과 밀접하게 관련되는 모-자간 상호작용 특성으로는 민감성, 반응성, 상호작용과정에서의 긍정적 정서, 협력적 주의 등을 들 수 있으며, 언어 및 문해 발달을 이끄는 언어적 상호작용의 특성으로는 전체적인 이야기에 대한 ‘이해’ 및 ‘탈맥락적’ 언어사용을 들 수 있다. 또한 문화마다 허용되는 상호작용 유형, 상호작용에 대한 기대 등이 달리 설정될 수 있으며, 가정의 사회경제적 요인 또한 언어적 비언어적 상호작용의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이 많은 연구에서 일관성 있게 지적되고 있다. 문헌분석 결과 향후 다문화가정 모-자간 상호작용 증진 프로그램을 구성할 때는 다음과 같은 요소들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 첫째, 외국인 부모 문화권에서 모-자간 상호작용의 전형적인 구조가 한국인 모-자간 상호작용 구조와 어떻게 다른지를 우선적으로 파악해야 한다. 둘째, 이런 차이를 ‘우월’의 개념이 아닌 ‘다름’의 개념으로 상정한 후, 다문화가정의 언어적, 비언어적 상호작용의 특성이 무엇인지를 파악해야 한다. 셋째, 외국인 어머니의 한국어 구사능력에 따라 ‘이해’를 돕는 언어적 상호작용이나 ‘탈맥락적’ 언어사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므로, 이런 언어사용을 경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구성되어야 한다.

      • 과학주제중심 통합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한석실 한국보육학회 2004 한국보육학회지 Vol.4 No.2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were first, to find out if there are any differences in young children"s scientific problem solving ability between integrated activities focused on scientific theme and focused on everyday life theme, and second, to confirm if there are any differences in young children"s scientific problem solving ability according to their age and sex. This study conducted on 80 children who are 4 and 5 year-old and all are enrolled in two kindergartens located in E city. The integrated activities conducted throughout 12 weeks. The results of our research were as follows. The group which conducted integrated activities focused on scientific theme showed higher improvements in young children"s scientific problem solving ability. But this result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age and sex. Among children who were participated in integrated activities focused on scientific theme, 5-year-old than 4-year-old showed higher improvements in "idea suggestion and application", and boys than girls showed higher improvements in "conclusion about problem".

      • KCI등재
      • 질적연구방법의 질에 대한 쟁점 고찰

        한석실 동의대학교 인문사회연구소 2010 인간과 문화 연구 Vol.16 No.-

        본 연구에서는 질적연구방법과 관련하여 제기되는 타당도, 일반화, 연구자 관점에 관한 최근 연구들을 살펴봄으로써 질적연구의 수준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질적연구 결과가 공적인 의미를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 타당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또한 질적연구는 개별적 사례의 적용 가능성에 관심을 가짐과 동시에 보편성에도 관심을 갖고 있으므로, 일반화를 가능하게 하는 표집의 문제를 고민하는 과정을 거쳐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질적연구에서 연구자는 연구도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질적연구자가 어떤 관점을 갖느냐에 따라 수집되는 자료의 특성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연구자는 연구과정에서 어떤 관점을 갖고 연구자료를 수집할 것인지에 대한 끊임없는 고민의 과정을 거치면서 질 높은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reviewed the recent researches about validity, generalization, and researcher's perception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nd tied to find out the way elevating the level of qualitative research. Qualitative researchers have used quantitative methods to verify research's validity, but it was criticized that these methods didn't fit with qualitative research's existence belief. However, this kind of criticism doesn't mean that researchers can do research according to their own way without any objective limitation. Qualitative researchers try to elevate qualitative research's validity. Qualitative research interested in not only adaptability of individual case but also generalization of the results. It is antinomic statement that qualitative research pursue individuality and universality simultaneously, but qualitative research try to overcome the antinomy. So qualitative researchers as well as quantitative must consider sampling design and the number of sample for generalization. Researchers perform the role as a research tool in qualitative research. It is possible to have different results according to researcher' perception. Researchers have etic and emic approaches to collect exact and fluent informations and data.

      • KCI등재

        발달에 적합한 유아 영재교육

        한석실 미래유아교육학회 2005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2 No.1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분야 및 사회전반에서 유아영재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기 위해, 유아영재와 관련된 이슈들을 체계적으로 다루어 보았다. 먼저 유아영재교육이 유아교육분야와 영재교육분야에서 연구의 관심 대상이 되지 못하는 이유를 검토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유아영재에 대한 개념정의를 위해 유아영재의 정의 및 특성을 살펴보았다. 유아영재를 어떻게 판별할 것인가와 이들에게 어떤 교육적 경험을 제공해주는 것이 바람직할 것인가의 이슈들을 이론적으로 그리고 실제적인 예시들을 들어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는 유아영재교육이 발달에 적합한 방향으로 이루어지기 위한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 In this study, I discussed several issues about gifted young children to make early childhood educators fully aware of the necessity of the education for gifted young children. The issues about gifted young children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 reviewed the reasons why education for the gifted young children is not a concerning topic for both the field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gifted education. Second, I defined the concept of the gifted young children and summarized linguistic, physical, social-emotional developmental features of the gifted young children. Third, I reviewed the issues of identification. To find out more appropriate identification methods for the young gifted, this study looked at the strength and weakness of the currently practiced several identification methods. Fourth, it looked at the general principles and an example of the curriculum for the young gifted. Finally, several suggestions were provided that are needed for the developmentally appropriate education for gifted young children.

      • 누리과정에 기초한 유아평가에 대한 유치원교사의 인식 및 실제

        한석실 한국유아교육학회 2017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17 No.-

        본 연구에서는 누리과정에 기초한 유아평가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실제를 조사하였다. 전국 17개시도에 소재한 국공립, 사립 150개소 유치원을 선정하고, 각 기관별 2명씩 총 300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직접 방문, 우편, 전자메일의 방법으로 설문지를 배포, 회수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조사결과 누리과정에 기초한 유아평가가 필요하다는 인식이 96.8%로 높게 나타났고, 전체 교사의 92.7%는 평가계획을 수립하고 있었다. 응답한 교사의 97% 이상은 진단평가, 형성평가, 총괄평가를 실시하고 있었으며, 진단평가는 학년 초 1회, 형성평가는 주1회, 총괄평가는 학기별 1회 실시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진단평가를 실시하는 목적으로는 ‘특별한 요구를 지닌 유아를 파악하기 위해서’, 형성평가와 총괄평가는 ‘유아의 욕구, 흥미, 특성, 성향 등을 파악하기 위해서’ 평가를 실시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평가방법으로 진단평가는 ‘유아관찰일지’, ‘부모면담지’, 형성평가는 ‘사전 계획 없이 자연스러운 장면에서 유아와 대화하면서 필요한 사항들을 질문하는 면담’, ‘미술작업표본’, ‘글쓰기 작품’의 순으로, 총괄평가는 ‘영역별(발달영역 혹은 누리과정 영역)로 언어적으로 기술’, ‘관찰기록, 면담, 작품분석 등의 형성평가 결과에 기초하여 종합적으로 평가’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진단, 형성, 총괄평가의 결과는 ‘부모와의 상담에 활용’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누리과정 목표와 내용에 근거하여 유아의 특성과 변화 정도를 평가하고, 그러한 결과를 교육계획에 반영하는 비율은 낮은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교사 인식 개선의 필요성이 제안되었으며, 이러한 인식에 기초하여 유아평가가 실현될 수 있도록 체계적인 평가 체계, 평가가 실현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져야 함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장애유아 통합교육 관점에서 유치원 교육과정 분석

        한석실,김영한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07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4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inclusive education spirits represented in 6th National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In this study, the researchers analyzed the related laws, basic policies, educational contents, and teaching methods represented in 6th National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practical educational activity contents represented in activity books. The spirits that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should be educated with their typically developing peers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educational equity were involved in the NECEC's related laws, basic policies. However, the number of activities related with disabilities are very few(about 0.01%), and the contents were portrayed that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re different from their typically developing peers in the educational contents and the practical educational activity contents. When they do plan and construct the future National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it should be involved practical activities that make young children have attitudes and perspectives living together with people who has disabilities, beyond simply understand and help a disabilities. 본 연구에서는 유치원 교육과정에서 장애유아 통합교육에 관한 내용을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유치원 교육과정이 근거하는 관련법, 기본방향 및 구성 방침, 교육내용, 교수학습방법 그리고 교육활동 지도자료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유치원 교육과정의 법적 근거나 기본방향 및 구성방침에서는 장애유아도 일반유아와 마찬가지로 ‘교육의 질적 기회 균등’에 따라 차별 없이 교육받아야한다는 정신이 담겨져 있었다. 하지만 교육과정의 교육내용 구성 및 교육활동 지도자료의 활동내용에서는 포함된 장애관련 활동 정도가 극히 미비하고, 다루는 내용면에서도 장애인을 일반인과 다른 사람으로 이해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앞으로 일반 유치원 교육과정을 구성할 때는 장애를 이해하고 도와주는 관점을 넘어서, 장애를 가진 모든 이들과 완전히 함께 생활할 수 있는 태도와 의식을 기르도록 지원해주는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활동들이 더 많이 포함되도록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전문성 인식에 관한 연구

        한석실,강성숙 한국보육학회 2007 한국보육학회지 Vol.7 No.2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find the professional perception level of preservice teacher and the difference on professional perception according to grade level. The data collected from 230 2, 3, 4 grade preservice teacher who were attended in 2 universities located in K province. To find the professional perception, it used the test that the researcher adjusted Lee Kyuong (2002)"s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y realized that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were asked to have a high standards for educational practices, conduct, and ethics, and to make a constant effort on improving their professional abilities. But, they also realized that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I job satis-faction, salary, working condition, and job stability were not satisfied. 본 연구에서는 예비교사의 교직전문성 인식 수준을 확인하고, 교직전문성 인식이 학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경기도에 위치한 2개 4년제 대학교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2, 3, 4학년 230명을 대상으로 5월 15일~29일 걸쳐 교직전문성 인식 검사를 실시하였다. 예비교사의 교직전문성 인식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이경(2002)의 연구에서 시용한 전문성 측정도구를 본 연구자가 예비교사에게 맞게 수정ㆍ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전체 22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문적 지식과 기술요구(4문항), 사회 봉사성(4문항), 자율성(4문항), 전문직 단체(3문항), 직업윤리(3문항), 사회ㆍ경제적 지위(4문항) 등의 6가지 하위영역으로 나뉘어져 Likert 5점 척도로 측정하도록 되어 있다. 연구결과 예비교사들은 유아교사직은 높은 윤리적 행동기준과 전문적 교수능력이 요구되고, 꾸준히 연구하고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해야 하는 직업이라는 인식을 높게 가지고 있는 반면, 직업 선택에 대한 만족도나 유아교사직에 대한 보수, 근무조건, 직업의 안정성 등에 대한 인식은 낮게 나타나고 있었다. 이러한 인식에서 2, 3, 4학년 간의 학년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