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인에서 고엽제 관련 노출과 건강영향 및 보상정책

        이상욱,오희철,임현술,Yi, Sang-Wook,Ohrr, Heechoul,Lim, Hyun-Sul 한국환경보건학회 2013 한국환경보건학회지 Vol.39 No.3

        Several US veterans stationed in Korea have told the press that around 250 fifty-five gallon drums of herbicides, including Agent Orange, were buried at Camp Carroll in 1978. Joint Korean-US Agent Orange investigation and environmental and health studies were started in July 2011. Korean soldiers and military personnel who served in Vietnam during 1964-1973 or near the demilitarized zone in Korea during 1967-1970 were exposed to dioxincontaminated Agent Orange. The joint Korean-US Agent Orange investigation team found that herbicides, pesticides, solvents and other chemicals -not Agent Orange- were buried at Camp Carroll. However, there remains the possibility that Agent Orange was stored and buried at Camp Carroll or other military camps in Korea. Adverse health effects have not been clearly explained despite a number of health studies among veterans in Korea with potential Agent Orange exposure. Although the Korean government has been compensating veterans and military personnel with 18 presumptive-service-connected-diseases and their offspring with three diseases, there are many veterans, military personnel and civilians who require the government°Øs support. The environmental study on contaminated sites and health studies among veterans and civilians were initiated three or four decades after possible Agent Orange contamination and exposure. Several toxic chemicals, including dioxin-contaminated Agent Orange, could remain in the environment and could have hazardous effects on the health of exposed people for more than several decades. Further environmental investigations and health studies are needed to ensure public safety and health, and government support should be guaranteed for people potentially exposed to these toxic chemicals.

      • KCI등재

        우리나라 사산의 위험요인 분석

        한영자 ( Young Ja Han ),이상욱 ( Sang-wook Yi ),오희철 ( Heechoul Ohrr ),김미영 ( Miyong Kim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4 保健社會硏究 Vol.24 No.2

        태아건강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사산의 원인은 잘 알려져 있지 않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 사산에 관한 연구는 상당히 적은 편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사산의 양상과 위험요인을 밝히기 위해 1999년도 출생 코호트의 전체 출생아와 함께 1999~2000년도 전체 사산아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보건 복지부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1999~2000년 발생한 우리나라 전체 사산에 관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이 자료를 사용하였다. 사산아의 비차비(Odds Ratio) 산출을 위해 로짓회귀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단변량분석에서 사산의 비차비는 태아의 재태기간이 짧고, 출생체중이 작으며, 남아, 다태아에서 높았다. 그리고 사산위험은 모연령에 따라 U-shape을 보였다. 다변량 로짓회귀분석 결과 출생체중과 사산의 위험성간에 가장강한 관계를 관찰할 수 있었다(기준군: 출생체중 3,000~3,999g, 출생체중 500~999g 사산아의 비차비: 763.7, 95% 신뢰구간: 586.1~995.2). 짧은 재태기간이 두 번째로 중요한 사산의 위험요인이었다. 다변량분석에서는 단변량분석 결과와 달리 사산의 위험요인은 10대의 여성에서만 높았으며, 35세 이상에서 사산위험이 높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다태임신 태아의 경우 다변량분석에서는 단변량분석 결과와 달리 사산의 위험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Objectives: In spite of the importance of the health of the fetus, the cause of stillbirth is still unknown and the study on the stillbirth is very rare in Korea.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find out the pattern of stillbirth and to investigate the risk factors of stillbirth in Korea. Methods: Total stillbirth cases that occurred during 1999 and 2000 in Korea were collected. The author has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whole live birth of 1999 birth cohort and total stillbirths of 1999 and 2000. Logistic regression model was used to calculate the stillbirth odds ratio. Results and conclusion: The odds ratio(OR) of stillbirth was higher among fetuses of short gestation period, lower birth weight, male fetuses, and multiple pregnancy. The risk of stillbirth showed an U-shape by the age of the mother. Using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model, the strongest relationship was observed between the birth weight and the risks of stillbirth(birthweight 500~999g group, OR:763.7, 95% Confidence Interval: 586.1~995.2, reference: birth weight 3000~3999g group) Short gestational age was secondly important risk factor. Contrary to the result of univariate analysis, the risk of stillbirth was high only among the teenaged mothers and the risk was not higher among mothers who were 35 years of age or older. The risk of stillbirth was lower among fetuses of multiple pregnancy from the multivariate analysis.

      • SCIESCOPUSKCI등재

        인삼의 사망에 대한 예방효과에 관한 연구

        이상욱(Sang-Wook Yi),홍재석(Jae Suk Hong),오희철(Heechoul Ohrr) 고려인삼학회 2003 Journal of Ginseng Research Vol.27 No.4

        Recently, there are much concerns about ginseng as disease therapeutics. There are no epidemiologic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ginseng intake and all cause mortality based from general population Cohort.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relationships between ginseng intake and all cause mortality from Kangwha Cohort data. From March 1985 through December 1999, 2696 males and 3595 females who were aged 55 or over as of 1985 were followed up. We calculate the mortality rate, standardized mortality ratio and risk ratios by ginseng intake.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was used to adjust various confounding factors. Ginseng intake group had the lower all cause mortality(Risk ratio(RR)=0.88, 95%Confidence Interval(CI)=0.79-0.97) among males. Increasing ginseng intake, lower all cause mortality(Low ginseng intake: RR=0.88, 95%CI=0.79-0.98; high ginseng intake : RR=0.87, 95%CI=0.75-1.00) among males.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inseng<br/> intake and mortality among fema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s that ginseng intake may prolong the human life among males.

      • SCOPUSKCI등재

        가족기반 코호트 연구의 사례와 전망

        설재웅(Jae Woong Sull),박수경(Sue Kyung Park),오희철(Heechoul Ohrr),지선하(Sun Ha Jee) 한국역학회 2008 Epidemiology and Health Vol.30 No.1

          가족기반 코호트 연구를 하는 것은 단면연구나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코호트 연구에 비하여 비용과 시간이 많이 걸리는 단점이 있으나 만성질환의 환경요인과 유전요인을 동시에 연구함에 있어서 많은 장점을 가지므로 연구계획 시 고려할 가치가 있겠다. 그 주된 장점으로는 population structure의 영향을 적게 받는 다는 것, Imprinting의 효과를 볼 수 있다는 것과 연관성(association) 분석 이외에 linkage 분석도 동시에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실제로 미국의 프램험 연구와 유럽의 IMAGE project 등에서 가족기반 코호트 연구를 활발히 진행 중이며 genome-wide association 연구를 포함한 성공적인 여러 관련 결과들을 발표하고 있다.   가족 기반 코호트에서 주로 사용되는 연구방법은 linkage 분석과 TDT 분석, 그리고 imprinting effect 분석이다. 이와 관련된 내용은 본 연구에서 간단히 기술하였다. 최근 가족기반 코호트 연구의 방향은 다른 환자-대조군 연구나 일반인구 코호트 유전 연구와 마찬가지로 genome-wide association 연구를 하는 것이다. 미국과 영국을 포함한 여러 나라에서 경쟁적으로 가족기반코호트를 이용한 genome-wide association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나 생활습관요인과 유전요인이 상이한 자국민에 대한 연구는 필수적이다. 또한 genome-wide association 연구를 통한 genome-wide imprinting 연구는 국제적으로 초기단계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국내에서도 국가적인 지원 하에 가족기반 코호트 연구를 시작한다면 국제적으로 경쟁력 있는 연구를 하는 것이 가능하겠다.   Family-based designs are commonly used in genetic association studies to identify and to locate genes that underlie complex diseases. In this paper, we review two examples of genome-wide association studies using family-based cohort studies, including the Framingham Heart Study and International Multi-Center ADHD Genetics Project. We also review statistical methods of family-based designs, including the transmission disequilibrium test (TOT), linkage analysis, and imprinting effect analysis.   In addition, we evaluate the strengths and limitations of the family-based cohort design. Despite the costs and difficulties in carrying out this type of study, a family-based cohort study can play avery important role in genome wide studies. First, the design will be free from biases clue to population heterogeneity or stratification. Moreover, family-based designs provide the opportunity to conduct joint tests of linkage and association. Finally, family-based designs also allow access to epigenetic phenomena like imprinting. The family-based cohort design should be given careful consideration in planning new studies for genome-wide strategies.

      • KCI등재

        알쯔하이머형 치매 환자에서 우울증의 유무에 따른 인지기능과 일상생활 수행능력의 차이

        김승민,최태규,안석균,손석한,유계준,오병훈,오희철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9 신경정신의학 Vol.38 No.2

        연구목적 : 알쯔하이머형 치매 환자에게 있어서 중요한 행동증상중의 한가지인 우울증의 다양한 범위로 보고되고 있으며 우울증과 인지능력 및 기능적 능력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매우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경도 및 중등도의 알쯔하이머형 치매 환자를 대상으로 우울증이 일상생활 수행능력과 인지기능의 특정 영역과 연관이 있는지의 여부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방 법 : 본 연구대상은 경기도 광주군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알쯔하이머형 치매 노인 48명이며, 한국판 Mini-Mental State Examination(이하 MMSE-K), 한국어판 신경행동학적 인지상태 검사(이하 한국어판 NCSE), 한국형 노인우울검사(이하 KGDS), 기본적인 일상생활 수행정도(이하 ADL), 그리고 도구적인 일상생활 수행정도(이하 IADL)를 연구도구로 하여 이들로부터 자료를 수집 조사하였다. 연구대상은 KGDS에 의해 우울 치매군과 비우울치매군으로 분류하였으며 두 군간의 상기 척도에 의해서 얻어진 결과를 χ²test 및 independent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 과 : 우울 치매군과 비우울 치매군은 성별, 연령, 교육수준 및 MMSE-K 점수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우울 치매군은 비우울 치매군보다 ADL의 한 항목인 목욕하기에서 유의한 저하를 보였다. 우울 치매군은 비우울 치매군보다 IADL의 총점 및 식품점에 가서 장보기, 집안일(청소나 정리정돈), 금전 관리의 3개 항목에서 유의한 저하를 보였다. 그러나 우울 치매군은 비우울 치매군은 한국어판 NCSE를 이용한 인지기능의 영역별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 론 :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알쯔하이머형 치매 환자에서의 우울증은 기본적인 일상생활 기능의 일부와 도구적인 일상생활 기능의 저하와 상당한 관련 있고, 이러한 우울증에 동반된 일상생활 기능의 저하는 인지기능의 영향에 기인하지 않는 것임을 시사된다. Objectives : Coexistence of depression is one of the important behavioral symptoms in patients with dementia of Alzheimer type. Th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cognitive abilities and /or functional abilities emerges as very important on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depression is related to the impairment of daily activities and to certain areas of cognitive function in mild to moderate dementia of Alzheimer type. Methods : In this study, 48 patients with dementia of Alzheimer type among elderly community-residents in Kwangju, Kyunggi province, age 65 and older, were finally included. We examined their demographics and administered Korean Version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MMSE-K). Korean Version of the Neurobehavioral Cognitive Status Examination (Korean version of NCSE), Korean Form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KGDS),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 and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IADL) to the subjects. We classified the subjects into two groups, dementia with and without depression on the basis of KGDS scores.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using χ²test and independent t-test. Results : The results show that the two groups did not differ in sex, age, education, and scores of MMSE-K. The depressed dementia group showed significantly poorer performance in bathing, one item of ADL, than the non-depressed dementia group. The depressed dementia group showed significantly more impairment in total scores of IADL and each score of three item(shopping, housework, handling finances) than the non-depressed dementia group. However, the two group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ive major cognitive ability areas of Korean version of NCSE.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depression in patients with dementia of Alzheimer type is highly related to the functional impairments,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part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beyond the effects of cognitive impairments.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