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교현장실습학기제에 참여한 예비과학교사들이 경험하는 수업에서 나타나는 교실대화 분석

        안혜정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4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현장실습학기제에 참여하는 예비과학교사들의 수업 전문성을 함양하기 위하여 비계 전략으로 교실대화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학교현장실습학기제 기간 동안 예비과학교사들에게 교실대화 전략을 단계적으로 소개하고, 이를 참관 및 수업에 반영하도록 안내하였다. 이후 예비과학교사들이 경험한 교실대화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과학교사 및 교과지도교사들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참관 과정에서 교실대화를 분석해 보는 경험은 예비과학교사들의 향후 수업에서의 의사소통 및 수업 진행의 방향성을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과학교사의 수업 초기에는 교실대화의 활용이 미흡하였으나 점차 질문 유형의 다양화 및 피드백의 제공의 반복 등이 관찰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otential of classroom talk as a scaffolding strategy to enhance the teaching professionalism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within the context of the teaching practicum semester system. To achieve this, we gradually introduced pre-service science teachers to classroom talk strategies during their teaching practicum semester. They were guided to integrate these strategies into their classroom observations and teaching demonstrations. Subsequently, we analyzed the classroom talk experienced by these pre-service teachers and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both the pre-service teachers and their subject-matter teacher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nalyzing classroom talk during the observation period helped pre-service science teachers to determine the direction of their future classroom communication and teaching practices. Second, although the pre-service teachers initially demonstrated limited utilization of classroom talk during the teaching demonstration period, observations revealed an increasing diversification of question types and enhanced feedback provision as the teaching sessions progressed.

      • KCI등재

        유아교육기관의 학급규모 고찰을 통한 정책적 함의

        안혜정,유한나 한국보육지원학회 2017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13 No.1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provide policy implications by studying the class siz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s. Methods: By looking through researches, the educational influence of class size was examined. By using the latest statistical data, class size standard and status were compared. After class size perception in the field was considered and the main results of advanced researches were summarized and analyzed, the actual condition of class size was diagnosed. Furthermore, the national research trend was analyzed. Results: First, class size was an influencing factor on young children and teachers and its importance was reconfirmed. Second, as for standard in relation to class size in Korea, the maximum class size and teacher-child ratio were not presented together. In respect of overseas standards, infancy has similar standards, but early childhood has a little higher ratio. In the educational fields, there was growing awareness that class size should be modified. Third, there were not enough domestic researches on class size and they tended to be biased in terms of the method, targets, and contents. Conclusion/Implications: It is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class size policy for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s, to implement a system, and to perform follow-up studies.

      • KCI등재

        유치원 교사의 업무수행 경향성과 업무시간 운영의 실제 및 효율성에 대한 인식

        안혜정,이승연 육아정책연구소 2018 육아정책연구 Vol.12 No.3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a tendency of kindergarten teachers’ daily work performance and to explore their perceptions on the reality and efficiency of working hours. 273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completed questionnaire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kindergarten teachers carried out an average of 1.41 duties per a 30-minute segment, and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their duties between public and private teachers. Second, as a key reason of their lack of preparation time for class, public teachers indicated much administrative work, whereas private teachers indicated many events and common work. In addition, for the work duties that require supporting staff, public teachers pointed out clerical work, whereas private teachers named event-related duties. Third, in terms of efficiency of their working hours, both public and private teachers highlighted excessive workload as a key obstacle; public teachers also indicated the shortage of supporting staff, while private teachers indicated many event-related duties and lack of directors’ leadership. These findings imply that it is important to maintain an optimum level of workload for kindergarten teachers, to secure preparation time for class, to increase work efficiency, and to provide support specific to kindergarten types.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하루 업무수행의 경향성을 분석하고, 업무시간 운영의 실제와 효율성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공사립유치원 교사 27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치원 교사들은 단위시간(30분)별로 평균 1.41개의 업무를 수행하였으며, 업무 내용에 있어 공립과 사립 간에 차이가 있었다. 둘째, 수업준비시간이 부족한 이유로 공립 교사들은 행정업무가 많아서, 사립 교사들은 행사나 공동 업무가 우선시 되어서를 꼽았고, 수업 외 업무에서 많은 시간을 소비하여 인력지원이 필요한 업무로 공립 교사들은 사무관련 업무, 사립 교사들은 행사관련 업무를 꼽아 차이를 보였다. 셋째, 업무시간의 효율적 운영과 관련해서는 공립과 사립 모두 업무량 과다를 매우 심각하게 보았고, 더불어 공립은 보조인력 부족, 사립은 행사관련 업무 과다 및 관리자의 리더십을 문제시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유치원 교사의 업무량 적정화, 수업준비시간의 확보 및 업무 효율화, 기관유형에 맞는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 KCI등재

        치유체험프로그램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체험비용과 체험시간을 중심으로

        안혜정,강순아 한국벤처창업학회 2022 벤처창업연구 Vol.17 No.3

        본 연구는 치유농업 분야에서 치유체험프로그램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이다. 농촌 체험프로그램을 개발 하는데 있어서 치유체험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어떤 요인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와 치유체험프로그램의 마케팅관점에서 어느 정도의 참여시간과 참여비용이 치유체험프로그램의 만족도에 미치는지에 대한 영향을 실증분석하고자 한다. 치유 체험프로그램의 체험비용과 체험시간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해 봄으로써, 치유체험프로그램의 개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체험비용과 체험시간을 매개변수로 하는 치유체험프로그램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함으로써 농촌 체험프로그램의 개발 시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부분에 대한 이론적 기반을 제시한다. 체험프로그램의 하위요인으로 오락적 체험, 교육적 체험, 일탈적 체험, 심미적 체험이 있으며, 매개변수로 체험시간, 체험비용이 있으며, 종속변수로 만족도를 두었다. 또 한 설문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변수를 통제변수로 설정하여 연구결과의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조사대상은 치유체험프로그램에 관심이 있거나 인지하고 있는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수집한 설문지 중 유효한 314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시행하였다. SPSS v22.0을 사용하였으며, 매개 효과를 검정하기 위하여 Baron & Kenny(1986)의 3단계 검증법과, Andrew F. Hayes(2018)의 SPSS PROCESS Macro Model No.4 검증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결과에 대하여 비교함으로써 매개 효과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연구결과 교육적 체험(β=.134, t=1.759*)이 체험비용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미적 체험(β=.144 t=1.684*)이 체험시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적 체험(β=.239, t=4.112***)이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미적 체험(β=.330 t=4.921***)이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험시간은 심미적 체험과 만족도 사이에서 부(-)의 비일관적 매개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심미적 체험이 만족도에 미치는 총 효과는 β=.330 t=4.921***이며, 체험시간을 매개변수로 투입 시 직접효과(β=.349 t=5.241***)는 총효과에 비해 β=.019 만큼 증가한 반면, 간접효과(β=-.019)로 부(-)의 매개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a study on the effect of a healing experience program on satisfaction in the field of healing agriculture. In the development of a rural experience program, what factors constituting the healing experience program affect satisfaction, and how much time and participation cost affect the satisfaction of the healing experience program from the marketing point of view of the healing experience program. I want to analyze By researching the effect of experience cost and experience time on satisfaction of the healing experience program, I would like to suggest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healing experience program. To this end, by empirically analyzing the effect of a healing experience program using experience cost and experience time as parameters on satisfaction, we present a theoretical basis for priority considerations when developing a rural experience program. There are entertainment experience, educational experience, deviant experience, and aesthetic experience as sub-factors of the experience program, experience time and experience cost as parameters, and satisfaction as a dependent variable. In addition, the reliability of the research results was secured by setting the demographic variables of the survey subjects as control variables. The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314 valid questionnaires from the unspecified majority who were interested in or aware of the healing experience program. SPSS v22.0 was used, an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the three-step verification method of Baron & Kenny(1986) and the SPSS PROCESS Macro Model No. of Andrew F. Hayes(2018). 4 The reliability of the mediating effect was secured by applying the verification method and comparing the analysis resul.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educational experience (β=.134, t=1.759*) had a positive (+) effect on experience cost, and aesthetic experience (β=.144 t=1.684*) had a positive (+) effect on experience time. +) was found to have an effect. Also, educational experience (β=.239, t=4.112***)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satisfaction, and aesthetic experience (β=.330 t=4.921***) had a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It has been shown to have a (+) effect. Experience time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 inconsistent mediating effect between aesthetic experience and satisfaction. That is, it is the total effect (β=.330 t=4.921***), and the direct effect (β=.349 t=5.241***) increased by β=.019 compared to the total effect when the experience time was input, while the indirect effect (β=-.019), which was shown to exert a negative (-) mediating eff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