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의 비만 관련 요인: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적 악화 여부에 따른 비교

        신혜형,이원익,이용호 사단법인 대한보건협회 2023 대한보건연구 Vol.49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obesity among adolescents in South Korea depending on experience on economic adversity due to COVID-19. Methods: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17th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2021) of the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including 40,570 adolescents. All analyses performed complex sample analysis using SAS version 9.4. Results: For male students, the factors commonly associated with the obesity were maternal education level, academic grade, smartphone usage time, stress, physical activity and dietary habit scor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obesity with COVID-19 economic adversity among male students were household type, living with family and depression. For female students with or without COVID-19 economic adversity, age, household type, maternal education level, and stress were the common factors associated with the obesity.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ommunity attention and policy support are needed to promote adolescent’s health, who have experienced economic adversity due to COVID-19.

      • KCI등재

        사회적 고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지각된 외로움 여부에 따른 비교

        신혜형,최성수,김학령,이영주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23 사회복지정책 Vol.50 No.3

        Loneliness is an emotion that anyone can experience in modern society, which negatively affects mental health and social integ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factors affecting social isolation between groups depending on the presence of perceived loneliness and suggest practical implications to prevent social isola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2021 Social Integration Survey, for the group feeling lonely, male, no sense of belongings to the residential area, high school graduates or less, low-income levels, unmarried or divorced/ bereavement, and living in rural areas are the factors affecting social isolation. Groups that do not feel lonely are likely to be in social isolation if they do not have a sense of belonging to the residential area, high school graduates or less, and residents of rural area. For both groups, no sense of belonging to the residential area, lower education level, and living in rural area are the common factors affecting social isolation. It implies that not only approaches to reducing loneliness at the individual level but also policies to improve the sense of belonging at the community level are also needed.

      • KCI등재후보

        국내 거주 다문화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신혜형,심아름,정소영 다문화아동청소년연구원 2023 다문화아동청소년연구 Vol.8 No.1

        본 연구에서는 체계적 문헌고찰방법을 통하여 다문화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 스에 관한 연구동향을 살피고 실천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에 한국학술 정보(KISS)와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 학술교육원 (e-Article) 총 4개의 데이터베이스에 다문화청소년, 문화적응을 키워드로 조합하 여 기간에 제한을 두지 않고 2022년 10월 15일까지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다문 화청소년 문화적응 스트레스 문헌 총 168건의 논문을 검색하였다. 4단계를 거쳐 관련이 없거나 질평가(Qualsyt)를 통해 부적합한 문헌들을 제외하고 최종 48건 의 문헌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로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관련된 변인으로는 크게 심리적 변인, 학교생활관련 변인 및 가족 및 부모 변인으로 파 악되었다. 심리적 변인으로는 자아존중감과 우울에 대한 분석빈도가 높았으며, 학교변인의 학교적응과 가족변인의 가족지지에 대한 분석빈도가 높았다. 대부분 의 연구에서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은 부적 상관관계를 가지며, 이는 학교적응에도 영향을 미치며 가족 및 부모의 지지는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완화 하는 데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후속 연구 및 실천적 개입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n acculturative stres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and to derive insight for further research by using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method. Based on four web databases, KISS, KCI, e-Article, and RISS, 168 articles on the acculturative stres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published by October 15, 2022, were searched by using the following keywords, acculturative stress, multicultural adolescents. 48 articles met the inclusion criteria after excluding those that were unrelated or inappropriate through quality assessment with Qualsyt. As a result, the variables related to acculturative stress were largely identified as psychological factors, school life-related factors, and family and parent factors. As psychological factors, self-esteem and depression were the most frequently used, followed by school adaptation and family support respectively. In most studies, acculturative stress and self-esteem were negatively correlated, which affects school adaptation. Family and parent support play a positive role in alleviating acculturative stress.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follow-up research and practical intervention were suggested.

      • KCI등재

        Dairy Product Intake Is Inversely Associated with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Adults: Anseong and Ansan Cohort of the Korean Genome and Epidemiology Study

        신혜형,윤영숙,이유나,김초일,오상우 대한의학회 2013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Vol.28 No.10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dairy product intake and the incidence of metabolic syndrome (MetS) and its components among middle-aged Koreans. We examined 7,240 adults aged 40-69 yr without MetS at baseline over a 45.5-month follow-up period. They were taken from the Anseong and Ansan cohort of the Korean Genome and Epidemiology Study. Dairy product intake including milk, yogurt, and cheese was assessed with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At the follow-up, the incidence of MetS was 17.1%. The incidences of MetS components were as follows: low HDL cholesterol (16.2%), abdominal obesity (14.0%), hypertriglyceridemia (13.8%), hyperglycemia (13.3%), and hypertension (13.1%). Adjusting for potential confounders, dairy product consumption frequency was inversely associated with the risk of MetS and abdominal obesity. Hazard ratio (HR) (95% confidence interval) for dairy product consumption more than 7 times/week compared to never was 0.75 (0.64-0.88, P for trend <0.001) for MetS and 0.73 (0.61-0.88, P for trend<0.001) for abdominal obesity. HR for milk intake was 0.79 for MetS and 0.82 for abdominal obes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daily intake of dairy products protects against the development of MetS, particularly abdominal obesity, in middle-aged Koreans.

      • KCI등재

        부모의 양육태도가 청소년기 자녀의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공격성과 사회적 위축의 매개효과-

        이용호,신혜형,이원익 한국아동복지학회 2023 한국아동복지학 Vol.72 No.2

        본 연구는 부모의 양육태도를 자율성지지, 애정, 구조제공으로 구분하여 자녀의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과 공격성과 사회적 위축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 중1 패널 4차년도(2021년) 자료를 활용하여 2,265명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활용했다. 분석방법으로는 구조방정식을 활용했고, 매개효과 추정은 부트스트랩방법을 적용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양육태도 중 애정과 구조제공이 또래관계에 미치는 직접경로는 유의미한 정적영향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부모의 양육태도 중 애정은 공격성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이로 인한 또래관계의 간접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둘째, 부모의 양육태도 중 구조제공은 또래관계에 정(+) 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이러한 영향은 사회적 위축에 부(-)적인 영향을통해서도 나타났다. 즉, 구조제공-또래관계 간 관계에서 사회적 위축은부분 매개효과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부모의 자율적인 양육행동은 또래관계에 유의미한 직접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는 자녀의 또래관계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부모의 역할이 중요하며, 자녀에 대한부모의 합리적이고 명확한 기준제시와 애정 어린 양육태도가 뒷받침되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전술한 결과들을 토대로 본 연구가 지니는이론적 의의와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청년층의 과거 부채 경험이 첫 일자리 임금수준을 매개로 현재 부채보유에 미치는 영향

        이용호,신혜형,이원익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22 사회복지정책 Vol.49 No.4

        본 연구목적은 청년층의 과거 부채 경험이 첫 일자리 임금수준을 통해 현재 부채보유에 어떠한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부채를 선택하고 있는 청년층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나, 상환능력이 되는 이들은 감소하고 있다. 청년층의 노동시장 내 불안정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청년층의 부채증가와 불안정한 노동시장은 서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 부채는 노동시장 이행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이는 다시 부채부담을 유지 또는 증가시킬 수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청년층의 부채보유 지속성을 첫 일자리 임금수준의 매개효과와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분석자료로 한국교육고용패널(KEEP) 1차 웨이브(1차∼12차)와 2019년(13차)추적조사를 활용하였다. 표본은 졸업 이후 임금 근로를 경험한 청년층 659명이며, 분석방법은 사전 혼재효과를 완화하면서 매개효과를 효율적으로 추정할 수 있는 인과매개분석(causal mediation analysis)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층의 부채, 학자금대출은 이들의 첫 일자리 임금수준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년층의 부채, 학자금대출은 첫 일자리 임금수준을 통해서만현재 부채보유 가능성을 높였다. 한편, 청년층의 기타부채는 최근 부채보유 가능성을 직접적으로만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청년층 부채부담 완화를 위한 정책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