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고성능 리튬-황 전지를 위한 금속산화물을 첨가한 탄소나노튜브 프리스탠딩 전극

        신윤정,정현서,김은미,김태윤,정상문,Yun Jung Shin,Hyeon Seo Jeong,Eun Mi Kim,Tae Yun Kim,Sang Mun Jeong 한국화학공학회 2023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 Vol.61 No.3

        Lithium-sulfur batteries, recently attracting attention as next-generation batteries, have high energy density but are limited in application due to sulfur's insulating properties, shuttle phenomenon, and volume expansion. This study used an economical and simple vacuum filtration method to prepare a freestanding electrode without a binder and collector. Carbon nanotubes (CNTs) are used to improve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sulfur, where CNT also acts as both collector and conductor. In addition, metal oxides (MO<sub>x</sub>, M=Ni, Mg), which are easy to adsorb lithium polysulfide, are added to the CNT/S electrode to suppress the shuttle reaction in lithium-sulfur batteries, which is a result of suppressing the loss of active sulfur material due to the excellent adsorption of lithium polysulfide by metal oxides. The MO<sub>x</sub>@CNT/S electrode exhibited higher capacity characteristics and cycle stability than the CNT/S electrode without metal oxides. Among the MO<sub>x</sub>@CNT/S electrodes, the NiO@CNT/S electrode displayed a high discharge capacity of 780 mAh g<sup>-1</sup> at 1 C and an extreme capacity decrease to 134 mAh g<sup>-1</sup> after 200 cycles. Although the MgO@CNT/S electrode exhibited a low discharge rate of 544 mAh g<sup>-1</sup> in the initial cycle, it showed good cycle stability with 90% of capacity retention up to 200 cycles. Further, to achieve high capacity and cycle stability, the Ni<sub>0.7</sub>Mg<sub>0.3</sub>O@CNT/S electrode, mixed with Ni:Mg in the ratio of 0.7:0.3, manifested an initial discharge rate of 755 mAh g<sup>-1</sup> (1 C) and a capacity retention rate of more than 90% after 200 cycles. Therefore, applying binary metal oxides to CNT/S provides a freestanding electrode for developing economical and high-performance Li-S batteries, effectively improving lithium polysulfide's high capacity characteristics and dissolution.

      • KCI등재후보

        움직임벡터 군집화를 이용한 H.264/AVC에서 MPEG-2로의 비디오 트랜스코딩

        신윤정,손남례,이귀상,Shin, Yoon-Jeong,Son, Nam-Rye,Nguyen, Dinh Toan,Lee, Guee-Sang 한국전자통신학회 2010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5 No.1

        H.264/AVC는 기존 비디오 코덱보다 성능이 우수하여 최근 IPTV, DMB등의 압축표준으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H.264/AVC로 압축된 데이터를 이전 코덱을 사용하는 장비에서 이용하기 위하여 트랜스코딩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움직임벡터의 군집화(Clustering)를 이용한 H.264/AVC에서 MPEG-2로의 트랜스코딩 방법을 제시한다. H.264/AVC 비트스트림을 MPEG-2의 인코더로 보낼 때 H.264/AVC 가변블록의 움직임벡터들의 거리와 방향성을 고려한 클러스터링을 수행하여 후보벡터를 선택한 후 최소의 왜곡치를 갖는 1개의 움직임벡터로 최종 결정한다. 이렇게 선정된 최종 움직임벡터는 MPEG-2 인코더에서 ${\pm}2$ pixel 만큼 전역탐색으로 보정 한 후 재사용하는 방법으로 트랜스코딩 시간을 최소화하고자 한다. 실험을 통하여 계산시간과 비디오 화질을 비교한 결과 기존연구보다 PSNR값이 최대 6.7% 향상되었으며 부호화 시간은 최대 64% 개선되었다. The H.264/AVC is increasingly used in broadcast video applications such as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IPTV),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because of high compression performance. But the H.264/AVC coded video can be delivered to the widespread end-user equipment for MPEG-2 after transcoding between this video standards. This paper suggests a new transcoding algorithm for H.264/AVC to MPEG-2 transcoder that uses motion vector clustering in order to reduce the complexity without loss of video quality. The proposed method is exploiting the motion information gathered during h.264 decoding stage. To reduce the search space for the MPEG-2 motion estimation, the predictive motion vector is selected with a least distortion of the candidated motion vectors. These candidate motion vectors are considering the correlation of direction and distance of motion vectors of variable blocks in H.264/AVC. And then the best predictive motion vector is refined with full-search in ${\pm}2$ pixel search area. Compared with a cascaded decoder-encoder, the proposed transcoder achieves computational complexity savings up to 64% with a similar PSNR at the constant bitrate(CBR).

      • SCOPUSKCI등재

        태아기에 좌심형성부전증후군으로 잘못 진단되었던 1례

        신윤정,장성희,최정연,한은숙,Shin, Youn Jeong,Jang, Sung Hee,Choi, Jung Yun,Han, Eun Sook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2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5 No.2

        저자들은 재태 $31^{+5}$주 산전 심초음파검사에서 좌심형성부전 및 대동맥축삭으로 진단되어 추적 관찰한 태아가 출생 후 전부하의 증가에 의해 단기간 내에 좌심실 용적의 증가를 보임으로 생후 최소 며칠은 심근세포 증식의 가능성이 있음을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Typical hypoplastic left heart syndrome(HLHS) is a distinct pathologic entity with aortic atresia, mitral atresia, very hypoplastic or absent left ventricle and thread like ascending aorta. Occasionally, the lesser degree of hypoplasia is found and is called hypoplastic left heart complex(HLHC) by some authors. This HLHC is often associated with critical aortic stenosis. Fetal echocardiography has enabled us to observe human fetal heart in-utero and to diagnose congenital heart disease prenatally over the last 20 years. The diagnosis of HLHS in fetal echocardiography is based on 2-dimensional echocardio -graphic evidence of a diminutive ascending aorta, aortic atresia, mitral atresia or severe stenosis and a hypoplastic left ventricle. Abnormal flow direction through atrial septum or through isthmus greatly aids the diagnosis. This report shows a fetal case who showed hypoplastic left side chambers and retrograde isthmic flow and was diagnosed with hypoplastic left heart syndrome. After birth, although the baby had tachy-dyspnea for the first 3 weeks, she finally recovered without any intervention and showed catch up growth of left side chambers. This case illustrates the extreme difficulty of assessing left ventricle in a fetus.

      • KCI등재

        국내 코호트 합계출산율의 장기 추이 분석

        신윤정 ( Shin Yoon-jeong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0 保健社會硏究 Vol.40 No.3

        출산율 제고를 위한 정부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기간 합계출산율은 2019년에 0.92명으로 잠정 집계되어 2018년에 연이어 1명 이하의 수준을 보이고 있다. 본고는 국내 코호트 합계출산율의 장기적인 동향을 살펴보고 각 출생코호트의 출산 연기 및 출산 회복의 정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는 기간 합계출산율과 함께 코호트 합계출산율도 하락하여 여성들이 평생 가임 기간 동안에 낳는 자녀 수가 감소하였다. 기간 합계출산율이 하락한 것은 출산 연령의 상승과 함께 늦은 연령으로 연기된 출산이 실현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최근 코호트 합계출산율의 하락은 자녀 낳지 않은 여성의 증가로 인한 부분이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2000년대 초반 유럽 국가에서 나타난 것과 같이 연기된 출산이 실현되어 출산율이 반등하는 것은 한국 사회에서 기대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경제 불황에 따른 노동 시장의 불안정성은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이어져 청년들의 비자발적인 혼인 및 무자녀 현상이 현저해질 가능성이 크다. 젊은 세대가 미래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과 안정감을 가질 수 있도록 전방위적인 사회 정책을 추진하는 것이 심화되고 있는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는데 요원하다 할 것이다. Despite the government’s efforts to increase fertility rate, Korea’s period total fertility rate was tentatively counted at 0.92 in 2019, which is consistently below 1 in 2018. This study looked at the long-term trends in the cohort total fertility rates, and analyzed postponement and recuperation of child births in each group of birth cohort. Both period total fertility rates and cohort fertility rates fell significantly. This means that the number of children women give birth during her reproductive period has decreased. Period total fertility rate fell because the age of childbirth rose and the delayed childbirth was not realized. The recent drop in the cohort fertility rate was largely due to the increase in women who did not have children. It is unlikely that Korea will expect to see a rebound in the fertility rate in the near future because delayed childbirths were hardly realized. The instability of the labor market due to the economic recession is likely to lead to uncertainty toward the future, resulting in involuntary unmarried young people. Promoting social policy to help younger generation have a positive outlook and a sense of stability is essential to tackling the deepening low birth rate.

      • KCI등재
      • KCI등재

        대학생용 계층차별주의 태도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신윤정(Yun-Jeong Shin),김은하(Eunha Kim),이은설(Eun Sul L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0 No.2

        본 연구는 사회경제적 계층에 대한 고정관념과 편견을 측정하는 한국판 대학생용 계층차별주의 태도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 1에서는 관련 문헌, 대학생들 대상으로 한 개방형 설문지 자료를 수정된 합의적 질적 연구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및 전문가 자문을 토대로 주요 구인과 초기예비문항을 제작한 후 44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연구 2에서는 40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총 14문항에 대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연구 1에서 도출된 상향 계층차별주의 태도와 하향 계층차별주의 태도의 2개 요인이 자료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결과, 높은 수준의 검사-재검사 신뢰도와 더불어, 연령, 주관적 계층, 정당한 세상에 대한 일반적인 믿음, 부정 정서(우울, 불안), 적대감과의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통해 준거타당도가 확인되었다. 또한, 연령, 주관적 계층, 가정의 총수입, 및 정당한 세상에 대한 일반적 믿음 외에 K-CAS가 추가적으로 부정정서(우울, 불안) 변량의 5%를 설명하여 증분타당도도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향후 국내에서 계층차별주의 관련 개입 및 예방 연구 및 프로그램 개발 등에 활용 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였다는 점에서 주요 시사점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the Classism Attitude Scale for college students (K-CAS) that measures stereotypes and prejudices about socioeconomic class(SES). In study 1, preliminary items were developed through reviewing classism related theories and literatures, analyzing qualitative data by using Consensus Qualitative Method-modified(CQR-M) and getting experts’ consultation. With 440 college students data,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conducted with 14 items in study 1. In study 2,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validity analysis were conducted with 400 college students. As a result, two factor structures, upper classism attitude and downward classism attitude, were confirmed. With the higher level of test-retest reliability, the criterion validity was confirmed by th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age, subjective SES, the general belief in a just world, negative affects (depression and anxiety), hostility, and K-CAS. The incremental validity was also confirmed that K-CAS scores significantly accounted for 5% of total variation in scores of negative affects(depression and anxiety) in addition to the variables, such as age, subjective SES, house income, and the general belief in the just worl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the developed and validated K-CAS in this study can be a useful tool for further research and prevention and intervention program development related to classism.

      • KCI등재후보

        기업가정신에 대한 국외 심리학적 접근 연구 동향

        신윤정(Yun-Jeong Shin) 기업가정신학회 2021 기업가정신연구 Vol.2 No.2

        기업가정신에 대한 심리학적 접근은 경제적, 사회적, 성격적, 그리고 사회적인 영역들을 포괄하는 다양한 측면에서 성공적인 기업가에 대한 이해를 제공을 바탕으로 지속적인 연구들이 이루어져왔다. 본 연구는 기업가정신의 정의를 시작으로, 기업가정신에 대한 심리학적 연구들가 기업가의 성격적인 특성에 대한 연구들로부터 시작된 기업가 정신에 대한 심리학적 연구들의 흐름을 간략히 소개하였다. 이후, 국내·외의 리뷰 연구들을 비롯해 기업가정신과 관련한 심리학적 접근 국외 연구들을 종합하여, (1)직업적 측면으로서의 기업가 정신, (2)성격, 인지, 행동, 건강, 리더십 등 기업가정신 관련한 개인 내 특성들, 그리고 (3) 기업가 정신관련 다양한 맥락의 영향과 신경심리학적 접근 그리고 (4) 최신 이론 및 후속 연구 제언 등 크게 4가지 범주로 나누어서 소개하였다. 마지막으로, 기업가정신에 대한 심리학적 접근 연구들이 향후 기업가정신교육에서 활용될 수 있는 방안과 실제 현장에서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는 후속 연구 방향을 소개하였다. The psychological approach to entrepreneurship has been continuously studied to provide an understanding of successful entrepreneurs in various aspects encompassing economic, social, personality, and social domains. Starting with the definition of entrepreneurship, this study briefly introduced the flow of psychological studies on entrepreneurship that started from the psychological studies on entrepreneurship on th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entrepreneurs. Afterwards, the accumulated findings from literature review studies as well as empirical studies on psychological aspects of entrepreneurship were introduced with following four categories: (1) entrepreneurship as a profession, (2) individu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entrepreneurship such as personality, cognition, behavior, health, and leadership, (3) the influence of various contexts related to entrepreneurship and neuropsychological approaches, and (4) the latest theories and follow-up research proposals. Finally, the ways to utilize psychological approach studies on entrepreneurship in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the needs of actual field-based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피부 관리실의 서비스품질이 소비자의 지각된 가치 및 구매 후 행동에 미치는 영향

        신윤정 ( Youn Jeoung Shin ),오수연 ( Soo Yeon Oh ),전지현 ( Ji Hyun Jeon ) 한국미용학회 2012 한국미용학회지 Vol.18 No.2

        With the economic growing, people has had the attention of health and appearance. Due to this trend, skin-care market was grown and service quality was the important variables to differentiate among skin-care shop.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service quality of skin-care shop and clarify the relation of perceived value and post-purchase behavior. For this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for randomly selected 280 customers using the skin-care shop lived in Pusan and Kyungnam. These surveys were analyzed as with SPSS-WIN 17.0 and Amos 5.0. The result was summarized as follows: 1. Service quality was classified 3 factorspeople, physical environment, policy. 2. Only the physical environment factor was affected the perceived value. 3. The perceived value was influenced the positive word-of-mouth and store loyalty.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tilized as fundamental data for developing and applying the service marketing strategy in skin-care shop.

      • KCI등재

        3D 프린터 필라멘트 제작용 대나무/PLA 바이오복합재료 개발 연구

        신윤정 ( Yoon Jung Shin ),윤현주 ( Hyeon Ju Yun ),이은주 ( Eun Ju Lee ),정우양 ( Woo Yang Chung ) 한국목재공학회 2018 목재공학 Vol.46 No.1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친환경 소재인 바이오복합재료(bio-composite)를 이용한 3D 프린터 필라멘트를 제작하였다. 바이오복합재료의 제조를 위해 매트릭스로는 생분해성 고분자인 poly lactic acid (PLA)를 그리고 충전제로는 대나무 분말(Bamboo flour)을 사용하였다. 대나무는 담양에서 생산되는 왕대, 솜대, 죽순대를 이용하였으며, 대나무 분말과 PLA의 혼합비율은 중량기준 10/90, 20/80, 30/70으로 설정하였다. 3개 죽종으로 제조한 대나무/PLA 바이오복합재료의 기본물성 평가를 위해 인장강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왕대 분말/PLA의 비율이 10/90일 때의 인장강도가 7.12 MPa로 가장 높게 나타남으로써 3D 프린터 필라멘트 제작용 대나무/PLA 바이오복합재료로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현미경 관찰 결과, 죽분의 함량을 더욱 낮춘 필라멘트를 제작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In this study, the 3D printer filaments were manufactured by using the representative eco-friendly material, bio-composite. Bio-composites were made by incorporating biodegradable polymer of poly lactic acid (PLA) as the matrix and bamboo flour as the filler. The bamboos which were used in this experiment are Phyllostachys bambusoides, Phyllostachys nigra var. henonis, and Phyllostachys pubescen grown in Damyang district in Korea, and the mixture ratio between bamboo flour and PLA were set 10/90, 20/80, 30/70 by weight standard. Also, tensile strength of bamboo/ PLA bio-composites manufactured with three kinds of bamboo were estimated and compared. In this result, the highest estimated bio-composites was Phyllostachys bambusoides flour/PLA which mixture ratio was 10/90, that is, it was the most suitable bamboo/PLA bio-composites for manufacturing 3D printer fila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