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호의 우주론에 미친 서학의 영향 - 서양 12중천설의 접촉을 중심으로 -

        최정연 수원교회사연구소 2015 교회사학 Vol.0 No.12

        본 연구의 목적은 서양의 12중천설이 성호의 우주론에 미친 영향을 파악하는 데 있다. 성호는 시헌력과 함께 조선에 전래된 12중천설에 주목하였고, 전통의 눈으로 그것을 이해하였다. 그가 그것을 이해한 흔적은 그의 자연학적 해석뿐만 아니라 리기론적·신화적 해석에서도 찾을 수 있다. 본 연구는 이점에 주목하여 성호 우주론에 12중천설이 수용된 흔적을 다각도로 탐색해 보았다. 성호의 우주론은 12중천설의 자연학적 논리뿐만 아니라 그것이 함축한 신학적 의미에도 영향을 받았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는 리기론을 토대로 영정천과 종동천의 관계를 재해석했는데, 여기에는‘ 종동천의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제 1원인으로서의 부동자’라는 영정천의 신학적 해석을 고려한 흔적이 나타난다. 또한 그는 주희의 중천설에 기초하여 12중천설의 구조를 이해하고 《시경》의 구절로써 영정천의 신학적 내용을 신화적으로 재해석한 것으로 보인다. 그의 우주론에는 주희의 중천설과 ‘가장 높은 천에 살면서 인간의 선악을 관장하는 상제’라는 신화적 요소가 결합되어 있다. 이 결합된 방식을 통해 그의 우주론에 ‘천당에 살면서 우주와 인간을 관장하는 천주’라는 영정천의 특징이 수용된 흔적을 엿볼 수 있다. 다만 12중천설이 성호의 리기론적·신화적 우주론에 반영되었을지라도, 성리학적 천동설을 지지하는 성호의 천체운동론과 충돌을 일으키는 지점은 거부되었다. 성호는 성리학적 세계상에 외래의 과학 지식과 종교 지식 등을 포괄하려고 시도하였고, 12중천설 역시 그의 성리학적 지식과 논리를 통해 재해석되었다. 사실 성호가 12중천설에서 얻을 수 있었던 지식은 천체의 구조, 각 천구의 명칭과 간략한 특징, 세차의 수치 정도였다. 이는 조선의 유교 지식인이었던 그가 서양의 오랜 학문전통 속에서 형성되고 발전된 12중천설의 구조적·운동학적 원리는 물론, 그것이 함의한 기독교적 세계관을 정확하게 파악하기란 쉽지 않았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그러나 성호가 12중천설에서 피상적으로 이해하고 오독한 지점들은 오히려 자유로운 해석이 개입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고, 그는 자신의 전통 지식과 논리를 가지고 그것을 유연하게 파악해나갔다. 이러한 창조적 오독의 결과로 성호의 우주론은 다양하고 입체적인 해석을 온축하게 되었고, 조선 유학사에서 보기 드문 형태를 갖게 되었다. This study is an attempt to trace an impact of the Western cosmology of Twelve-layered Heaven on cosmology of Yi Yik, also known by his penname, Seongho, He took a special notice of the Twelve-layered Heaven theory, as well as to the Shixian new calendar system(時憲曆), and interpreted these Western theories introduced to Joseon in his traditional perspective. Seongho’s such approaches are traceable not just through his natural scientific analysis, but also in his employment of mythical concepts and the theory of li and qi to interpret the Western theory. As such, this paper explores such multiple aspects that the Twelve-layered Heaven theory was incorporated to Seongho’s cosmology. According to conventional studies, Seongho’s particular interest in the Twelve-layerd Heaven was based on a belief in the theory as an explanation to the earth’s precession of the equinoxes. However, his adaptation of the Twelve-layered Heaven theory is not confined to explaining the precession, but also in his explication of the function and the revolving mechanisms of the heavenly body through theoretical frames of li and qi, or mythical concepts. Similar adaptation can be traced also in his mythological cosmology. Seongho’s main focus in associating the Western cosmology and that of his own was the interac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eternally immobile” Residence of God and all of Elects, the Empyreal Sky(永靜天) and the Prime Mover(宗動天), and theological significance of the Empyreal Sky. On one hand, Seongho perceived the existence of the Heavenly Lord in the “eternally immobile” Residence of God and all of Elects, as reflected in his theological explication of the twelfth heaven in his cosmology. On the other hand, his analysis was a Neo-Confucian reinterpretation of the Jesuit’s religious ideas, rather than acceptance of the ideas as intended by the missionaries. Although the conventional scholarships have argued that Seongho only accepted the structural context of the Twelve-layered Heaven theory—with its religious aspects eliminated by his time—the argument should be reserved since Seongho’s cosmology bears those theological traces. The theological significance of the Twelve-layered Heaven was paraphrased in the language and logical structure of Neo-Confucianism and contributed in certain part of structuring Seongho’s new cosmology.

      • KCI등재

        한 일 삼문화 연구

        최정연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2012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1 No.3

        Hemp is a natural material used for various applications including fibers. As one of the oldest natural materials, this has been produced in the many regions and utilized by the various countries. However, due to the development of cotton industry and synthetic fibers, consumption of hemp has been decreased. In Korea, on the other hand, hemp culture has been maintained because of the geographic, agricultural tradition, and religious background. In Japan, hemp culture has been particularly developed owing to the strong cultural background such as Samurai, Shintoism, and Naturalism as well as geographic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Many craftworks show the uniqueness of Japanese hemp culture based Shintoistic tradition. 삼(Hemp)은 현재 섬유 소재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천연소재이다. 이러한 삼은 역사가 가장 오래된 천연섬유소재이며, 재배 분포도 또한 다양하여 다양한 민족과 국가에서 즐겨 사용되었던 소재이기도 하다. 그러나 면 산업의 발달과 현대의 합성섬유의 개발로 삼섬유는 그 사용빈도가 줄었고 과거의 삼섬유의 용도들이 다양한 신소재 개발로 그 역할을 대신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에서는 사계절이 뚜렷하고 온난성 기후와 배산 임수 촌락 경제의 특징과 함께 조선 시대의 문치주의의 근간을 이루는 유교, 그리고 서민 불교와 민간신앙의 발달로 삼문화가 발달하였다. 이에, 삼은 수의, 민간신앙을 위한 용품 등으로 그 상징성으로 발달하게 되었다. 일본은 고온 다습한 기후와 함께 사무라이를 중심으로 하는 무사중심의 사회로 농업과 상공업의 발달, 그리고, 신도 사상과 자연주의 사상으로 삼문화가 발달하여 신도의 의식을 위한 의상과 공예품으로 그 상징성이 유지되고 있으며 한국과 다르게 삼의 패턴으로 그 상징성을 유지하고 있다.

      • KCI등재

        우븐 직물의 감성표현 고찰 -직물 텍스처를 중심으로-

        최정연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8 No.1

        This study is aimed to examine correlation between emotion that is influenced by sociocultural environment and aesthetic expression on woven fabric and understand emotional expressions found on the surface of woven fabric. For this study, emotion and trends were considered theoretically, and to examine emotional expressions on the texture of woven fabric among the types of textiles, the internet and specialized periodicals were investigated for case analysis. Nowadays, tendencies against accelerated industrialization and digitalization appear generally in our society. The tendencies are characterized by emphasis on qualitative value, scarcity value, and human emotion and also nature-friendliness, and they are influencing the society and culture in general reflected as ‘slow’ and ‘analogue’ sentiments. Hereupon, this study analyzed ‘slow’ and ‘analogue’ sentiments from aesthetic perspectives and drew the properties of rarity, scarcity, and ethicality. Based on that, this author examined the cases of aesthetic expressions as the solid texture expressions of woven fabric by limiting textile design to woven fabric. With the cases above, this study came up with such categories as artistic emotional expressions, handicraft emotional expressions, and vintage emotional expressions and analyzed emotional texture expressions applied to woven fabric. According to the findings, about artistic emotional expressions on woven fabric, the properties of thread’s superficial texture comprising the patterns on the fabric contrast with its ground and expresses both abstract and discriminated fabric texture emotion. Concerning handicraft emotional expressions, weaving or embroidery, the manual technique used to decorate fabric a long time ago, and fabric design created by the handloom are reproduced with modern technique. As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thread appropriate for handicraft are highlighted, it provides the sentiments of plainness and playfulness. Regarding vintage emotional expressions, we can find the surface of fabric having a ladder or worn-out part seemingly or loosely woven with nature-derived thread or its edges torn naturally. This arouses the sentiment of easiness, and mostly, nature-derived thread is found to be applied.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sensibility in the area of textile, this author has drawn sensibilities corresponding to the needs of contemporaries pursuing the value of scarcity and uniqueness and found that the emotions are expressed on the texture of woven fabric. Based on that, this researcher can understand the current trend of sensibility and glance at the endless potential of development in aesthetic expressions on the texture of woven fabric. Also, it is positively expected that aesthetic research on the texture of woven fabric will continue from academic perspectives afterwards. 본 연구는 사회 문화 환경에 영향을 받는 감성과이에 따르는 우븐 직물(Woven Fabric)에서의 미적표현의 관계를 규명하고 우븐 직물의 감성적 표현을 이해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를 위하여 감성과 트렌드에 대하여 이론적으로 고찰하였고, 텍스타일 중 우븐 직물의 텍스처의 감성표현을 살펴보기 위하여 인터넷과 전문 정기간행물을 통하여 사례를 살펴 분석하였다. 오늘날 가속화된 산업화와 디지털화에반하는 경향이 사회전반에 나타났으며 이러한 경향은질적가치 중시, 희소가치 중시, 인간정서 중시, 자연친화적인 특징의 성격을 가지고 ‘느림’, ‘아날로그’의감성으로 투영되어 사회문화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있었다. 이에 ‘느림’, ‘아날로그’에 대한 감성을 미학적관점에서 분석하여 희귀성, 희소성, 윤리성의 특성을도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텍스타일 디자인 중에 우븐 직물의 텍스처에 한정하여 우븐 직물의 입체적 질감표현에 대한 미적 표현사례를 살펴보았다. 위의 사례를 바탕으로 예술적 감성표현, 수공예적 감성표현, 빈티지적 감성표현으로 카테고리를 나누어 분석하여우븐 직물에 적용된 감성적 텍스처 표현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우븐 직물의 예술적감성표현은 직물문양을 구성하는 실의 표면질감특성이 직물의 바닥면(Ground)과 대조를 이루면서 추상적이며 차별화된 직물 텍스처 감성으로 표현되고 있었으며, 수공예적 감성표현으로는 오래전 손으로 직물에장식을 하는 테크닉인 엮기, 자수, 수직기를 사용한직물 디자인이 현대의 테크닉으로 재현되면서 수공예에 적합한 실의 형태적 특성이 부각되면서 투박함과유희적 감성을 주었다. 빈티지적 감성표현에서는 직물의 표면에 실의 올이 풀리거나 닳은 표현과 천연 소재의 실로 헐겁게 직조되었거나 직물의 끝 올을 자연스럽게 찢은 것 같은 표현으로 편안함 감성을 주었으며 주로 천연소재의 실이 적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는 텍스타일 분야에서 감성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독특함과 희소성의 가치를 추구하는 현대인들의욕구에 부합되는 감성을 도출하였고, 이러한 감성이우븐 직물 텍스처에 표현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하여 현재의 감성 트렌드를 이해하고 우븐 직물의 텍스처에 대한 미적 표현의 무한한 발전가능성을 엿보았으며, 우븐 직물의 텍스처에 대한 심미적인 연구가 학술적으로 계속 진행되길 긍정적으로기대해 본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