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強い意志を表す「してみせる」について

        成知炫 한국일본언어문화학회 2016 일본언어문화 Vol.34 No.-

        This paper presents lexical, morphological, syntactic and contextual factors that allow “te-miseru” to express the strong will of the speaker. First, regarding the lexical factor, we have showed that “te-miseru” expresses the strong will of the speaker when it combines with the verb implying (i) the realization of a goal or a dream as in “win” or “succeed”, (ii) the change in societal position as in “become a teacher”, (iii) the change in physiological status as in “heal” or “recover”, and (iv) the activity related to creation as in “make” or “write”. Importantly, the verbs preceding “te-miseru” express the actions that the speaker is proud of; therefore, “te-miseru” is rarely used with the verbs expressing undesirable actions to convey the meaning explained above. Secondly, we have morphologically compared “te-miseru” and “suru”, which can similarly convey the will of the speaker. In addition, “te-miseru” can take the form of “te miseyo” and “te miseteyaru” as well as “te-miseruyo” and “te-miseru.” Thirdly, we have showed that the sentence adopting te-miseru to express the strong will of the speaker has the following structure: 「Xガ(ga) Yニ(ni)[Xガ(ga)・・・V]テミセル(te-miseru)」. When “te-miseru” is used to convey the meaning of demonstration or showing off, Y is specified. However, when it is used to express the strong will of the speaker, Y can be a specific group of people or unspecified people. Finally, we have showed that “te-miseru” is accompanied by an adverb expressing the strong will of the speaker to realize her goal or dream.

      • KCI등재

        발달에 적합한 유아기 컴퓨팅 교육의 방향에 대한 탐색

        성지현,이지영,박지영 한국유아교육학회 2019 유아교육연구 Vol.39 No.5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oncept of computational thinking and the goals, contents, methods, and evaluations of developmentally appropriate computing education, and to explore the applicability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based on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The concept of early childhood computational thinking is to think analytically about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problems, to reconstruct or try to solve problems, to fix them, and to share their solutions and the results. Considering children’s developmental level and developmentally appropriat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angible computing education' or 'unplugged computing education' may be appropriate, and this method is implemented primarily in domestic and foreign countries. Through these early-stage computing education, computing-related concepts and technologies can be taught, along with cognitive thinking skills such as executive function, meta cognition, problem solving, reasoning ability, and positive social and emotional experiences such as competence, confidence, cooperation, consideration, and emotional support. The evaluation of children’s computing education can be authentic when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sessments are combined, and the positive social and emotional attitudes and skills that children gain in the course of this activity should also be evaluated. Based on this,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for the government policies, academia, and field to help develop and support computational thinking in early childhood by comparing domestic and overseas status. 본 연구는 국내·외 문헌들을 바탕으로 컴퓨팅 사고력에 대한 개념과 유아기 발달에 적합한 컴퓨팅 교육의 목표와 내용, 방법, 평가에 대해 알아보고, 유아교육 현장에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유아기 컴퓨팅 사고력의 개념은 주변 환경과 문제들을 분석적으로 사고하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재구성하거나 시도해보고, 수정해보고, 그 해결책과 결과를 공유할 수 있는 능력이라 할 수 있다. 유아의 발달적 수준과 발달에 적합한 교수학습방법을 고려했을 때 ‘체험할 수 있는 컴퓨팅 교육’ 또는 ‘언플러그드 컴퓨팅 교육’이 적절한 형태라 할 수 있으며, 이는 국내·외에서 주로 시행되고 있는 방법이다. 다양한 놀이유형에 적용하고, 미술, 음악, 언어 등 다른 영역의 활동까지 통합하여 컴퓨팅 교육을 제공한다면 컴퓨팅 관련 개념과 기술뿐만 아니라 실행기능, 상위인지, 문제해결, 추론 능력과 같은 인지적 사고력과 유능감, 자신감, 협동, 배려, 정서적 지지와 같은 긍정적인 사회·정서적 경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유아의 컴퓨팅 교육의 평가는 양적·질적인 평가가 같이 병행될 때 진정한 평가가 가능하며, 활동 과정에서 유아가 얻는 긍정적 사회·정서적 태도와 기술도 함께 평가되어야 한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외의 현황을 비교하며 유아기 컴퓨팅 사고력 발달을 돕기 위한 정책과 학계, 현장에의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 KCI등재후보

        골격성 Ⅲ 급 부정교합자의 악골 부조화가 구치부 치성보상에 미치는 영향

        성지현,김성식,손우성 대한치과교정학회 2003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3 No.1

        골격성 Ⅲ 급 부정교합자는 부적절한 악골 위치에서 기능 교합을 유지하기 위해 치아의 경사도와 수직적 위치가 변화하게 된다. 이러한 치성보상은 전치부 및 구치부 전반에 걸쳐 일어나며, 현재 보편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악교정수술을 위한 술전교정시 이를 제거하여 각 골격 구조내에서 치아들이 적절히 위치되도록 하여야 한다. 전치부 치성보상에 관한 측모 두부방사선 사진을 이용한 연구는 많이 시행되어졌으나, 구치부 경사도에 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성인 골격성 Ⅲ 급 부정교합자의 전후방적, 수직적 악골 부조화에 따른 폭경 부조화 및 구치 경사도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진단 모형상에서 상하악 견치, 제1소구치, 제1대구치 부위의 기저골 폭경을 측정하여 상악에 대한 하악의 비율을 구하였으며, 모형을 삭제하여 좌우 구치간 경사도를 측정하였다. 악골 부조화 심화에 따른 기저골 폭경 비율과 제1대구치 협설 경사도 변화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골격성 Ⅲ 급 부정교합자의 악공의 전후방적 부조화가 심화될수록 상하악 구치간 각도합이 증가하여 치성보상이 많이 일어났으며, 특히 하악 구치가 설측 경사되는 치성보상을 보였다(p<0.001). 2. 골격성 Ⅲ 급 부정교합자의 악골의 수직적 부조화 및 폭경 부조화와 구치부 치성부상 간에는 유의할만한 상관성이 없었다. 3. 골격성 Ⅲ 급 부정교합자의 전후방적, 수직적 부조화의 심화와 기저골 폭경 부조화는 유의할만한 상관성이 없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 between degree of posterior dental compensation and skeletal discrepancy in Class Ⅲ malocclusion. The pretreatment lateral cephalograms and dental casts of 87 skeletal Class Ⅲ adults were selected to provide a random sampling of skeletal Class Ⅲ malocclusion. Skeletal discrepancy was described with ANB angle, Wits appraisal, Sn-Mn plane angle, FMA and ratios of basal arch width. Degree of posterior dental compensation was described with macillary intermolar angle, mandibular intermolar angle and sum of intermoloar angle. The relationships between skeletal discrepancy and degree of posterior dental compensation were analyzed with simple correlation analysi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A strong association was found between the variation in the anteroposterior measure, ANB angle and the variation of posterior dental compensation measures, sum of intermolar angle and mandibular angle and mandibular intermolar angle in skeletal Class Ⅲ malocclusion. 2.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tion in the vertical measures and the variation of posterior dental compensation measures in skeletal Class Ⅲ malocclusion. 3.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tion in the anteroposterior and vertical measures and degree of basal arch width discrepancy.

      • KCI등재

        한국판 양육 효능감 척도(K-EGSCP)의 타당화 연구: 영역별 양육 효능감과 관련 인지구조 척도

        성지현,백지희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4 No.4

        본 연구는 한국판 양육 효능감 척도(K-EGSCP)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여 척도의 국내 적용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영역별 양육 효능감과 효능감에 관련한 인지구조를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Meunier와 Roskam(2009)의 양육 효능감 척도(EGSCP) 37개 문항을 번안․수정하여 예비조사를 실시하고 3-7세의 유아를 자녀로 둔 어머니 202명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K-EGSCP는 애정, 일상체계 조직, 훈육, 놀이, 교육, 부모의 책임, 결과 통제의 총 29개 항목, 7개 요인구조가 탐색되었으며, 영역별 양육 효능감과 관련 인지구조의 2차 2개 요인으로도 분석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탐색된 요인구조를 바탕으로 1-7세 영유아의 어머니 423명을 대상으로 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시행한 결과, 2차 2개 요인과 1차 7개 요인의 위계적 연구모형이 적합도 지수를 바탕으로 양호한 모델임을 검증하였다. 또한 척도 전체와 각각의 하위요인의 내적 합치도가 적절한 신뢰도를 보였으며, 일반적 양육 효능감과 통제력을 측정하는 준거 관련 척도와의 관계 분석에서도 요인 간의 의미 있는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K-EGSCP는 1세에서 7세 사이의 영유아를 가진 어머니의 영역별 양육 효능감과 관련 인지구조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Echelle Globale du Sentiment de Competence Parentale(EGSCP) scale developed by Meunier and Roskam(2009) to validate its use in Korea. EGSCP assessing five domain-specific self-efficacy beliefs and related cognitive constructs of parents was double-translated and modified to fit Korean subjects(K-EGSCP). The study consisted of two groups of subjects for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respectively: two hundreds and two mothers of young children in range of three to seven-year-olds and four hundreds and twenty three mothers of toddlers and young children in range of one to seven years of age. Twenty nine items and seven factors including Nurturance, Instrumental Care, Discipline, Play, Teaching, Parental Responsibility, and Parental Control of Outcomes appeared in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s a result of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 hierarchical model consisting of two second-level-factors and seven first–level-factors confirmed its validity. The total factors of K-EGSCP demonstrated proper internal consistency and clear patterns of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With existing domain-general and task-specific measures of parenting efficacy, the Korean version of the EGSCP adds domain-specific aspects of self-efficacy in parenting and includes other related cognitive construct.

      • KCI등재

        유아교육기관 안전환경 평가지표 개발 연구

        성지현,강은진,구자연,황지원,박지현,배윤아,김하진 한국유아교육학회 2023 유아교육연구 Vol.4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evaluation indicators that can be used to review and improve the environment of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for the prospect of preventing child abuse and safety accidents. A case study was conducted for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in the metropolitan area after drafting the safety environment evaluation indicators for child safety environment. The results of the case study were discussed by researchers and expert advice. The final evaluation indicators consisted of 169 items, in categories of ‘basic information and current status of the institution’, ‘recognition of each space of the institution’, ‘evaluation index for child safety environment by space’ and ‘institutional safety and facilities and management of safety education’. This evaluation indicator can evaluate institutional spaces in terms of connectivity of space, safety of internal space, reduction in stress, and safety manage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can suggest considerations and policies to prevent child abuse and safety accidents in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본 연구는 아동학대 및 안전사고 예방의 관점에서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환경 검토와 개선에 활용 가능한 환경지표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유아교육기관 안전환경 평가 지표안을 구성한 후 수도권 소재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방문하여 사례조사를 실시하였고 사례 조사 결과에 대하여 연구진 논의 및 전문가 자문을 거쳤다. 최종 도출된 평가지표는 총 169문 항으로 ‘기관의 기본 정보 및 현황’, ‘기관의 공간별 인식’, ‘기관의 각 실내·외 공간별 아동안전 환경 평가지표’, ‘기관 안전 및 시설, 교육 관리’의 4가지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기관의 공간을 연결성, 안전성, 스트레스 저감, 안전관리 차원에서 평정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유치원과 어린 이집의 아동학대와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관리와 효율적 방안 및 정책 마련을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 KCI등재

        유아의 과제지향행동에 대한 어머니의 교육적 지지행동, 교사-유아관계 및 인지적∙정의적 실행기능의 영향

        성지현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7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30 No.1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maternal instructional support,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children’s cool and hot executive functions on task-focused behaviors. Participants were 94 children aged 4 and their mothers and teachers. Data for maternal instructional support behaviors were observed from mother­child interactions when doing a puzzle and drawing with an Etch-a Sketch. Children’s task-focused behaviors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were reported by teachers, and their cool and hot executive functions were assessed with a series of tasks provided by an experimenter. Path analyses showed that maternal instructional support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children’s cool executive function and influenced children’s task-focused behavior by mediating cool executive function. Teacher­child relationship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hildren’s cool and hot executive functions, and was also directly associated with children’s task-focused behaviors.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task-focused behaviors was partially mediated by children’s cool and hot executive functions. In addition, cool and hot executive functions were independent but were both significant predictors of task-focused behaviors. These findings confirm mothers’ and teachers’ roles in children’s development and learning, and provide backgrounds for the development of teacher education programs to support teacher­child relationships. 본 연구는 유아의 과제지향행동에 어머니의 교육적 지지와 교사-유아관계의 질 및 유아의 인지적․정의적 실행기능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았다. 만 4세 유아 94명(남아 49명, 여아 45명)과 어머니, 72명의 교사가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어머니-유아 과제 상호작용에서 어머니의 교육적 지지행동을 관찰하였고, 유아의 과제지향행동과 교사-유아 관계는 교사 보고에 의해, 유아의 인지적․정의적 실행기능은 일련의 실험과제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경로모형분석 결과, 어머니의 교육적 지지는 유아의 인지적 실행기능을 통해 유아의 과제지향행동에 영향을 미쳤고, 교사-유아 관계는 유아의 인지적․정의적 실행기능과 유의한 경로가 있었으며, 과제지향행동과도 직접적인 관계가 나타나 두 실행기능 변인을 부분 매개하여 유아의 과제지향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인지적․정의적 실행기능은 서로 독립적이었으나 모두 과제지향행동의 유의한 예측변인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이론적, 정책적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