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연조직종양의 새로운 WHO 분류를 중심으로: 지방세포종, 섬유모세포성/근육섬유모세포성종, 소위섬유조직구종, 평활근종, 혈관주위종과 근골격종에 대하여

        서경진,Suh, Kyung-Jin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8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4 No.1

        연조직종양의 이해는 과거 10년 동안에 걸쳐 주요 변화와 더불어 실질적인 진보가 있었고, 이를 바탕으로 연조직종양의 새로운 분류가 WHO에 의해 2002년에 이루어졌다. 이 개정은 이전에 발표와 상당히 다른 내용의 접근을 하였고, 이 작업에 유전학과 분자생물학 그리고 임상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하였다. 여기에서는 과거에 알고 있었거나 특성이 알려진 많은 종양을 포함하여 새로운 큰 변화나 작은 변화가 일어난 부분에 대해서 정리를 하였다. 이러한 내용을 연조직종양의 새로운 WHO 분류를 중심으로 지방세포종, 섬유모세포성/근육섬유모세포 성종과 소위섬유조직구종, 평활근종, 혈관주위종과 근골격종을 중심으로, 큰 변화와 작은 변화로 나누어서 설명하고 새롭게 소개되는 병명을 소개하고 정리하였다. 이 새로운 WHO의 연조직종양의 분류를 이해하여, 종양의 진단과 예후의 재현을 용이하게 하는 필수적인 지침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Soft tissue tumor classifications should be an important part of radiology, oncology and, for clinicians and pathologists, they provide diagnostic instruction and prognostic guidelines. In soft tissue tumor classification systems,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classifications have become dominant, enabled by the timely publication of new 'blue books' which included detailed text and numerous good illustrations. The new WHO classification of soft tissue tumors was introduced in 2002. Because the classification represents a broad consensus concept, it has gained widespread acceptance around the globe. This article reviews the changes which were introduced the adipose tumors, fibroblastic/myofibroblastic tumors, so-called fibrohistiocytic tumors, smooth muscle tumors, pericytic tumors and skeletal muscle tumors which have been first recognized or properly classified during the past decade.

      • 연조직종양의 새로운 WHO 분류를 중심으로: 혈관종, 연골-골종과 불확실한분화종에 대하여

        서경진,Suh, Kyung-Jin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8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4 No.2

        연조직종양의 분류는 종양학에서 영상의학과의사와 임상을 담당하는 정형외과의사, 종양학자 그리고 병리학자의 진단과 예후의 재현을 용이하게 하는 필수적인 지침이다. 연조직종양의 이해는 과거 10년 동안에 걸쳐 주요 변화와 더불어 진보가 있었고, 이를 바탕으로 연조직종양의 새로운 분류가 WHO에 의해 2002년에 이루어졌다. 이 개정은 이전에 발표된 분류와 많은 부분에서 다른 내용의 접근을 하였고, 이 작업에는 유전학과 분자생물학 그리고 임상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하였다. 여기에서는 과거에 알고 있었거나 특성이 알려진 종양을 포함하여 새로운 큰 변화나 작은 변화가 일어난 부분에 대해서 정리를 하였다. 이러한 내용의 연조직종양의 새로운 WHO 분류를 혈관종, 연골-골종 그리고 불확실한분화종을 중심으로, 큰 변화와 작은 변화로 나누어서 설명하고 새롭게 소개되는 병명을 정리하였다. 이 새로운 WHO의 연조직 종양의 분류를 이해하여, 종양의 진단과 예후의 재현을 용이하게 하는 필수적인 지침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Soft tissue tumor classifications should be an important part of radiology, oncology and, for orthopedic clinicians and pathologists, they provide diagnostic instruction and prognostic guidelines. In soft tissue tumor classification systems,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classifications have become dominant, enabled by the timely publication of new blue books which included detailed text and numerous good illustrations. The new WHO classification of soft tissue tumors was introduced in 2002. Because the classification represents a broad consensus concept, it has gained widespread acceptance around the globe. This article reviews the changes which were introduced the vascular tumors, chondroid-osseous tumors and tumors of uncertain differentiation which have been first recognized or properly classified during the past decade.

      • KCI등재

        환추 전궁의 하부 부골

        황정수(Chung-Soo Whang),정필현(Phil-Hyun Chung),서경진(Kyung-Jin Suh),강석(Suk Kang),김종필(Jong-Pil Kim),김영성(Young-Sung Kim),조재우(Jae-Woo Cho) 대한정형외과학회 2010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5 No.3

        환추 전궁의 하부의 부골은 매우 드물며 골절과 같은 다른 병적인 상태와 혼동하지 않아야 한다. 저지들은 29세 남자의 환추 전궁의 하부에 생긴 부골을 경험하였기에 문한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An inferior accessory ossicle of the anterior arch of the atlas is quite rare and should not be confused with other pathological conditions such as a fracture. Here we report a case of an inferior accessory ossicle of the anterior arch of the atlas in a 29-year-old male and a review of literature.

      • 엄지발가락 종자골의 골괴사 : 증례보고

        서경진,김순,김성우 동국대학교 의학연구소 2009 東國醫學 Vol.15 No.2

        엄지발가락 종자골의 병변은 다양하고 임상적으로 통증을 유발한다. 이런 병변에는 선천성, 외상성, 관절염, 감염성 그리고 골괴사가 있고, 뿐만 아니라 엄지발가락 관절의 복잡한 해부학적 구조와 통증에 민감한 조직들로 진단을 어렵게 한다. 영상검사는 엄지발가락 종자골 병변의 조기진단과 확진에 도움을 준다. 엄지발가락에 통증을 주소로 발생한 내측 종자골 골괴사에서 단순찰영, CT, 자기공명 영상의 영상소견을 병리조직소견과 함께 1예를 보고한다. We report a case of metatarsal pain with fragmented sesamoid bone; the lesion is medial sesamoid bone of the great toe. The imaging studies including radiography,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CT were performed. These imaging findings suggested osteonecrosis. Sesamoidectomy was done. The surgical biopsy specimen showed the osteonecrosis of the sesamoid bone. Osteonecrosis of the medial metatarsal sesamoid is an uncommon disorder. The suggestive radiography, CT and MRI findings rule out the other painful conditions of the sesamoid bone. The features are reviewed and differential diagnoses were discussed.

      • 방사선치료실 주변의 선량 측정

        서경진,이정범,김재철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97 慶北醫大誌 Vol.38 No.2

        목적 : 고에너지 선형가속기 및 고선량율 원격조정 애프터로딩 근접치료장치 사용 시 치료실주변의 누설선량에 대한 측정을 하여 원자력법에서 허용하는 기준선량 이하인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시행하였다. 또한 Co-60 선원의 방사능을 교정하기 위하여 방사능을 계산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누설선량은 주당 12시간에 방사성 동위원소의 activity와 Γ-constant를 곱한 값 및 본 시설물의 두께와 십가층(TVL)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Co-60 선원의 측정은 선원과 전리함 사이의 거리를 10㎝으로 하여 온도와 압력, 교정계수 (58.5345R/nC) 을 보정한 평균 분당 선량을 X(0.475R/min) 에 10㎝의 측정거리를 1m로, 시간을 1시간으로 환산하여 이를 1 Ci의 Co-60에 대한 Γ-constant 로 나누어 실제 선원의 activity로 나타내었다. 결과 : 2개의 Cs-137과 1개의 Co-60를 이용한 치료 중에 측정한 값으로 점유도와 주당 사용시간을 고려한 일반구역에서의 주당누설선량은 원자력법에서 정한 허용선량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방사선 선원이 저장용기 내에 있을 때의 afterloading system의 누설선량 측정은 시스템에서 1m 떨어진 거리에서 측정하였는데 그 측정치는 0.05mR/h 이하로 나타났다. Co-60 선원의 측정값은 0.221 Ci였으며 이 값은 선원을 구입할 때 측정한 값 1.04 Ci의 시간에 따른 감소율을 고려한 값 0.249 Ci 보다 약 11% 더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측정 시에 선원을 스테인레스로 된 tandem 내에 놓고 측정하였기 때문에 그에 따른 흡수율을 고려하면 신뢰성 있는 측정값으로 생각되었다. In this experiment, we presented the calibration of a Buchler high dose rate remote afterloading system and the radiation survey around the radiotherapy treatment room to guarantee the health of personnel and patients. The radiation survey of the radiotherapy treatment room indicates that the leakage radiation is less than 0.1 mSv at every point and the use of present shielding will provide an adequate protection for personnel and patients. We also presented a unique procedure for performing the calibration of a radioactive isotope with an acryl device and it was strongly considered as a reliable one.

      • Ehlers-Danlos 증후군 : 다발성 동맥류와 혈관 촬영의 합병증 Angiography with Complication

        서경진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90 慶北醫大誌 Vol.31 No.3

        A man with Ehlers-Danlos syndrome of the arterial type is described because of an uncommon disease of vascular systems and complications during angiography. He had multiple aneurysms at carotid, hepatic and gastric arteries. Also he suffered from carotid-cavernous fistula. The complications including hemothorax and aortic laceration developed during arteriography.

      • Anti-Tumor Necrosis Factor-α Inhibits Normal Human B Cell Proliferation

        Suh, Kyung Jin,Lee, Hern Ku 의과학연구소 1993 全北醫大論文集 Vol.17 No.1

        자가성장인자(autocrine growth factor)는 세포에서 생산되어 동일한 세포에 작용하여 그 세포를 성장시키는 인자를 일컫는다. 최근 Staphylococcus aureus Cowan 1(SAC) 자극을 받은 사람의 정상 B 세포에서도 자가 B 세포 성장인자가 분비된다는 보고가 있다. 그러나 그러한 인자에 대한 정확한 분자적 성상에 관해서는 알려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림포카인 즉, IL-1,IL-2,IL-4,IL-6, interferon-γ, tumor necrosis factor(TNF)-α 및 lymphotoxin(TNF-β)에 대한 항체를 이용하여 SAC으로 자극한 B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여 TNF-α가 B세포의 자가성장인자임을 시사해 주고 있다. SAC으로 자극한 B 세포의 상층액에서 ELISA 방법에 의해 배양 24시간 후에 100g/ml의 TNF-α가 검출되었다. B세포의 IL-2에 대한 반응에 TNF-α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여 B 세포를 SAC과 IL-2로 자극하면서 항 TNF-α 항체를 넣어 준 결과 항 TNF-α 항체는 IL-2에 대한 B 세포의 증식 및 분화를 공히 억제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항 TNF-α 항체가 IL-2 수용체의 발현을 억제하였기 때문에 나타난 것으로 생각되었다. 즉, 항 TNF-α 항체는 high affinity IL-2 수용체 뿐 아니라 low affinity IL-2 수용체의 발현을 억제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TNF-α는 B 세포에서 IL-2 수용체 발현을 유도하여 B 세포로 하여금 IL-2 에 의한 분화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항 TNF-α 항체의 B세포 증식 억제현상은 다음의 현상에 의해 항체의 비 특이적인 세포독성 작용에 의한 것이 아님을 증명할 수 있었다. 즉, 1) 대조 preimmune 혈청은 B세포 증식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 점, 2) 배양 3일까지 세포의 생존율이 항체 존재에 관계없이 60~70%로 비슷한 점, 3) 더욱 중요한 점으로 TNF-α를 넣어 주었을 때 항 TNF-α 항체의 억제 작용이 소실된 점, 4) 세포를 CD25와 CD23 항체로 FACS를 이용하여 염색하였을 때 항 TNF-α는 CD25의 발현만 억제한 점,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TNF-α는 SAC으로 자극한 B세포의 자가성장인자임을 강력히 시사하고 있고 자가 TNF-α는 IL-2 수용체의 발현에 관여하여 B 세포의 분화에 필수적인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 유방에 발생한 샘낭암종 1예 보고

        김순,서경진,장태정 동국대학교 의학연구소 2008 東國醫學 Vol.15 No.1

        샘낭암종(adenoid cystic carcinoma)은 침샘에 주로 생기는 악성종양으로 유방조직에서는 유방암종의 약 0.1 ~ 0.4%를 차지하는 매우 드문 유형의 종양이다. 이 종양은 매우 천천히 자라며, 다른 유방암종에 비해 림프절 및 원격전이가 적어 예후가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영상소견에서도 양성종양과 유사하여 감별을 요한다. 저자들은 64세 여자환자의 우측 유방에서 선별유방촬영술과 초음파를 시행하여 우연히 발견된 샘낭암종 1예를 경험하였으며, 영상소견과 병리학적 소견을 중심으로 보고하고자 한다. Adenoid cystic carcinoma is a rare malignant neoplasm that most commonly arises in the salivary glands. Rarely, this tumor occurs in the breast, accounting for less than 1% of all breast cancers, It is a slow-growing cancer and rarely metastasizes to the axillary lymph nodes, and therefore prognosis is generally good. It has a benign looking or low suspicious malignant findings on imaging. We describe the mammographic, sonogrpahic and pathologic findings of a case of adenoid cystic carcinoma that is incidentally detected in the right breast of a 64-year-o1d woman.

      • 고립 골낭 : 스테로이드 주사후 방사선학적 소견의 변화

        김건우,서경진,박일형,김경호,전경녀,김용선,이상권,염현규,이종민,김용주,강덕식 경북대학교 의학연구소 1999 경북대학교병원의학연구소논문집 Vol.3 No.1

        목 적 : 고립골낭내 스테로이드 주사후 방사선학적 소견의 변화와 임상적 의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단순촬영, 컴퓨터단층촬영(CT) 및 자기공명영상(MRI)을 시행하고 수술로 진단된 고립골낭 중 골낭내에 스테로이드(methylpredinisolone acetate, MPA)를 주사한 12예를 대상으로 하여 후향적으로 방사선학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전례에서 MPA를 1회에 80-200mg을 1--7회까지 골낭내에 주사하였다. 추적 검사기간은 3-50개월(평균 20개월)이었으며, 추적검사로 전례에서 단순촬영과 4예에서 CT를 시행하였다. 결 과 : 고립골낭의 병소에 MPA 주사후 단순촬영 소견의 변화는 낭내 방사선 음영의 증가 10예, 골낭크기의 감소 7예, 골낭주위 얇아진 피질의 두께 증가 8예, 그리고 이중윤상형 음영을 보인 경우가 4예였다. CT 소견의 변화는 CT를 시행한 4예 모두에서 낭내 방사선 음영의 증가. 골낭 크기의 감소와 이중윤상형 음영이 보였으며, 12예 전 예에서 동통의 감소가 관찰 되었다. 결 론 : 고립골낭의 스테로이드 주사후 대부분 임상과 방사선학적으로 치유의 변화를 보여 효과적인 치료 방법으로 생각되며 단순촬영과 CT에서 이중윤상형 음영이 보이는 전 예에서 치유 과정을 보여 이중윤상형 음영은 치료 효과와 예후를 예측하는 요소로 생각된다. Purpose : To evaluate radiographic changes and clinical effects after the injection of steroid injec-tion into simple bone cyst Materials and Methods : We analyzed plain radiographic and CT findings after the injection of steroid (methylprednisolone acetate, MPA) into simple bone cyst. Twelve patients were involved eight were males and four were females, and their ages ranged from 6 to 41 years. They were treated from one to seven times with an intracystic injection of MPA, 80-200mgs per injection. All patients were evaluated by plain film, and four by CT, and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20 months. Results : Postinjection plain radiographic findings were as follows : increased internal radiodensity (n= 10), smaller cyst (n=8), cortical thickening (n=7), and radiodensity of double rings pattiern (n=4). CT findings were as follows : increased internal attenuation (n=4), smaller cyst (n=4) and radiodensity of double ring pattern along the cyst wall (n=4). All patients improved clinically and radiologically, especially those with radiodensity of double ring pattern. Conclusion : The injection of steroid into simple bone cyst is an effective treatment. A new radio-Graphic finding after injection is radiodensity of double ring pattern along the cyst wall, and we believe that this indicates progression of the healing proc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