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사 및 어머니의 DAP 신념 수준과 유아 인지 발달과의 관계

        백지희(Baek Jeehe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8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3 No.6

        본 연구는 발달에 적합한 교육실제(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에 관한 교사의 신념과 어머니의 신념이 각각 유아의 인지발달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밝혀내고, 교사와 어머니 신념의 수준 조합에 따라 유아의 인지발달과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지를 알아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만 5세 반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 20명, 만 5세 유아와 어머니 176명씩 352명을 대상으로 교사와 어머니의 DAP 신념과 유아의 인지발달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사와 어머니의 DAP신념과 유아의 인지발달은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둘째, 교사와 어머니의 DAP신념이 모두 높은 수준으로 일치할 때, 유아의 인지발달과의 상관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교사와 어머니의 DAP신념이 낮은 수준으로 일치할 때에는 비록 공통된 신념이 있다 할지라도 유아의 인지발달 수준에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지 못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교사와 어머니가 모두 DAP에 관련한 신념이 높을 때, 즉, 교사와 어머니가 유아의 발달에 적합한 교육실제에 관한 신념을 가지고 있을 때, 유아의 인지발달이 긍정적인 결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mothers' beliefs regarding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s(DAP) and cognitiv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It was also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AP belief levels of teachers and mothers on cognitiv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Total subjects were 20 early education teachers, 176 children, and 176 children's mothers. Teachers completed the TBS(Teacher Belief Scale) to be assessed the DAP beliefs and Developmental Checklist to assess the cognitive developmental status of children. PBRECE(Parents' Belief Regard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was used to assess the mothers' DAP beliefs. The data were analyzed in correlation analysis and ANOV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DAP beliefs of teachers and mothers were positively related to the cognitive development of children. Also,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cognitive development of children depending on the levels of DAP beliefs of teachers and mothers. In particular, mothers' DAP beliefs have more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young children's cognitive development than teachers'.

      • KCI등재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목표와 관련 변인 탐색

        백지희(Jeehee Baek)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5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가 어떠한 내용의 목표를 가지고 양육에 임하는가를 조사하고 이들 목표에 영향을 주는 관련 변인을 밝히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만 0세에서 6세 사이 영유아의 어머니 382명으로 양육목표와 관련 변인(사회인구학적 변인 및 양육동기)을 자기평정식 질문지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분석과 단계적 회귀분석을 통하여 분석되었다. 어머니의 사회인구학적 변인 및 양육동기와 어머니의 양육목표 간에는 영유아와 어머니의 연령, 가정의 소득수준, 어머니가 인식하는 자녀와의 상호작용시간, 기관 이용여부와 이용 시간 변인이 일부 양육목표와 정적 혹은 부적 관계를 보였다. 어머니의 양육목표의 예측변인 분석 결과, 어머니의 내적동기와 영유아의 연령, 그리고 외적동기는 자기관리 목표를 예측하였으며, 어머니의 내적동기, 가정의 소득수준, 영유아 연령은 사회관계 목표의 예측변인이었다. 외적동기와 내적동기, 영유아의 연령은 능력과 인정 목표를 설명하였다. 어머니의 장기 양육목표에는 내적동기와 외적동기의 두 동기 변인만이 주요한 예측변인이었으며, 사회인구학적 변인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Parental goals refer to the qualities parents value and hope to achieve during interactions with their children. Parents appear to prioritize different goals in response to different childrearing situations, the developmental stages of their children, and the family’s socioeconomic status. This article examines the variables predicting mothers’ parenting goals: short-term and long-term. The sample consisted of 382 mothers and completed the questionnaire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among sociodemographic variables, mother’s parenting motivation, and parenting goal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a mother’s priority on parenting goals and its predicting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thers’ self-management goal for child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age of child and mother. Social relationship goal was negatively related to family income and positively related to age of child. Age also had a significant relation with ability and acknowledgement goal. Second, mothers’ individual achievement for child was negatively related to the amount of the interaction hours with the child and positively related to mothers’ usage of child care institutions. Finally, mothers’ intrinsic motivation was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 to explain most of the goal types, however, mother’s extrinsic motivation explained more in ability and acknowledgement goal and individual achievement goal.

      • KCI등재

        한 자녀 부모의 후속출산 관련 요인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백지희(Baek, Jee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6

        본 연구는 체계적 문헌고찰를 활용하여 한 자녀 부모의 후속출산 관련 연구동향을 살피고 후속출산 관련 주요 변인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국내 주요 데이터베이스에 검색된 후속출산 관련 연구물 중 연구목적에 따라 선별되고 전문 검토과정을 거쳐 선정된 총 23편이었다. 연구결과, 첫째, 후속출산 관련 연구는 2000년대 중후반부터 2020년 6월까지 사회과학 및 교육학 전반에서 1, 2차 자료를 활용하여 횡단 및 종단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둘째, 후속출산의 개념은 후속출산의 계획과 실제 출산행동을 모두 포함하고 있으며 출산행동에 비해서 계획을 다룬 연구가 빈번하게 진행되고 있다. 셋째, 후속출산 관련 변인은 인구학적 특성, 자녀 특성, 심리적 특성, 사회적 특성으로 분류하였다. 인구학적 특성은 개인적 요인, 경제적 요인, 양육 요인으로 구분되어 하위요인을 포함하여 총 9개 요인이 도출되었다. 자녀 특성은 첫째 자녀의 연령, 성별, 기질의 3개 요인으로 구분하였다. 심리적 특성은 어머니 요인, 부부 요인, 양육 요인 별 하위요인을 포함하여 총 10개 요인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특성은 돌봄 요인, 직장 요인, 정책 요인 별 하위요인을 포함하여 총 8개 요인을 도출하였다. A systematic review was conducted to examine research trends and analyze related factors on additional childbirth of parents with one child in Korea. Relevant studies were searched through the major databases and selected twenty three articles for further analyses. As results, studies on the second childbirth of parents with one child have been conducted since the mid 2000 and has dramatically increased from 2011 to 2016 with the government’s policy response to low fertility and population aging in Korea. Studies on the second childbirth include both parents’ plan for additional childbirth and the childbirth itself. From the review, this study categorized all the related factors to four major factors: demographical, first-child-related, psychological, and social. Among demographical variables, mothers’ age, family income, and the level of childrearing expenditure. Marital status, values regarding children,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fathers’ participation in parenting and housework were also crucial psychological factors. Social factors such as social care services, human resources for child care, governmental policies of childbirth and child raising support benefits were referenced among social factor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poses that higher sense of gender equality in family and social respects on parents and raising children could effect on the parents intention of having more children.

      • KCI등재

        경험표집법을 이용한 예비유아교사 교육실습의 주된 활동 및 직무와 정서 탐색

        백지희 ( Baek Jeehee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연구 Vol.3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가 교육실습을 통하여 경험하는 주된 활동과 직무를 분석하고 이에 따른 예비유아교사의 정서를 탐색하는 데 있다. 교육실습 분석에 관한 기존 연구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경험표집법을 활용하였다. 교육실습에 참여하는 3년제 유아교육과 학생 94명이 연구에 참여하여 4주간의 실습기간 동안 총 1862개의 경험을 표집하였다. 경험기록지에는 예비유아교사의 주된 활동과 활동에 따른 정서가 조사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예비유아교사의 활동을 유치원 교사의 직무 분석에 따라 분류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유아교사는 유치원 교사의 직무 10개 영역 중 특정 업무(교수학습 실제, 교수학습 준비, 교수학습 평가)를 중점적으로 경험하였으며, 전혀 경험하지 못하거나 매우 적게 경험하는 직무도 다수 나타났다.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에 대한 정서는 상대적으로 긍정적 정서가 부정적 정서보다는 높았으나, 긍정적 정서 역시 높게 나타나지 않았다. 예비유아교사가 느끼는 부정적 정서의 종류는 직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 직무에 따른 예비유아교사의 정서를 이해하려는 노력이 요구된다. Practicum, which is the essential course to become a kindergarten teacher, affect pre-kindergarten teachers to apply what they have learned at class to real settings. Previous studies have investigated contents and effects of practicum and suggested how practicum should be improved. However, they had missed what pre-kindergarten teachers go through in real and how they feel in the middle of various jobs they have in the practicum. Therefore, this study figured out what pre-kindergarten teachers do and how they feel according to the jobs they take part in the practicum. Results showed that jobs of pre-kindergarten teachers in their practicum was not enough to cover all ten job categories. They mainly participated in ‘practice of teaching’, ‘preparation for teaching’, and ‘assessment of teaching’. However, some jobs such as ‘tasks related to parents’ and ‘tasks related to facilities’ were hardly learned through their practicum. It means that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 were not enough to know the real kindergarten teachers`` job. Secondly, pre-kindergarten teachers felt neither negative nor positive emotions during the practicum. Even though they have little negative emotions, their positive emotions were not high enough. Positivity could create more effective and productive results in general. So, the practicum has to find out how it can fulfill the pre-kindergarten teachers`` energetic, passionate, and excited partaking to make maximum outcomes of the practicum.

      • KCI등재후보

        개인의 성향적 조절초점에 따른 혁신제품 구매태도에 관한 연구

        백지희(Baek, Jee Hee),서정훈(Suh, Jung Hoon),최영현(Choi, Young Hyun)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4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혁신제품에 있어서 개인의 성향적 조절초점에 따라 구매태도가 어떻게 나타나는지에 대한 연구이다. 이번 연구는 싱가포르에서 진행된 연구로 문화적 지역 특성에 따라 개인의 성향적 조절초점 차이를 연구하는데 의미가 있다. 특히 조절 초점에 있어서 지각된 고객 가치와 지각된 위험의 매개 효과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검증하였다. 연구모형을 소개하면, 독립변수인 조절초점 (개인의 성향적 조절초점: 촉진/ 예방), 종속변수인 구매태도, 매개변수인 지각된 고객 가치(사회적/ 정서적)와 지각된 위험(기능적/ 경제적)을 선정하여 연구모형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싱가포르 소비자의 개인적 성향인 조절초점과 지각된 고객가치 (사회적/정서적)는 무관하며, 지각된 고객가치(사회적/정서적)에 따라서 구매태도가 긍정적(+)인 영향이 나타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반면 개인적 성향인 조절초점은 지각된 위험에 부(-)에 영향을 미치며 지각된 위험(기능적/ 경제적) 역시 구매태도에 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에 대한 해석은 젊은 층의 지각된 고객가치(사회적/정서적)가 조절초점(촉진/방어)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해석된다. 싱가포르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이번 연구 결과에서 사회적으로 요구되어지는 사회적, 정서적 가치가 확고하기 때문에 개인의 성향적 조절초점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서 싱가포르는 사회적 가치를 우선시하는 확고한 지역적 문화 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문화적 지역 특성에 따라서 개인의 성향적 조절초점이 다르게 나타날 것으로 유추되면서, 나라별 후속연구가 의미 있을 것으로 제안해 본다. 본 연구 결과가 디자인, 마케팅 실무 분야에서 전략 개발 시 참고자료로 활용되어지길 기대해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stomer"s purchasing attitude towards innovative products based on the individuals’ regulatory focu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Singapore with the goal of researching an individuals’ regulatory focus based on culture and regional discrepancy. Mainly, it was investigated how the mediating effect of the customer perceived value and perceived risk appears through the regulatory focus. The research model consists of the following variables: regulatory focus(promotion/prevention) as the independent variable, purchasing attitude as the dependent variable, customer perceived value(social/emotional) and perceived risk (functional/financial) as the mediating variabl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Singapore customer perceived values (social/emotional)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consumers’ purchasing attitude regardless of the individuals’ regulatory focus. On the other hand, it was verified that the individuals’ regulatory focus has a negative (-) influence on the perceived risk and the perceived risk (functional/financial) also has a negative (-) influence on the consumers’ purchasing attitude. This result can be interpreted as that young generation is not affected by the regulatory focus (promotion/prevention).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reflecting Singapore consumers’ cultural features, it was analyzed that consumers is not affected by the individuals’ regulatory focus because the social values have more influence on society than emotional values and was proven that Singapore is a region with culture highly influenced by the social values.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help in working-level practices as well as provide effective strategies for various areas such as design and marketing.

      • KCI등재

        만 1세 첫째 자녀의 성별과 기질이 한 자녀 부모의 후속출산 계획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

        백지희(Jeehee Baek) 한국보육지원학회 2020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16 No.6

        Objectiv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firstborn’s gender and temperament on the fertility intention and follow-up childbirth of parents. Methods: A total 120 firstborns and their mothers were selected from the sample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Child temperament traits were measured by Early Childhood Behavior Questionnaire(ECBQ) and mothers stated their fertility intention in 2009 when their first child was under 2 years old. Follow-up childbirth of mothers was assessed from the data of PSKC in 2016. Resul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y gender in follow-up birth. Among aspects of temperament, fertility intention was affected by the firstborn’s inhibitory control and follow-up birth was affected by the firstborn’s gender and discomfort. For mothers with a boy, the firstborn’s soothability affected mothers’ follow-up childbirth. Conclusion/Implications: These results imply that gender and temperament of the first child are connected to mothers’ fertility intention and follow-up childbirth. Extra studies are required to clarify how those factors affect mothers’ parenting or psychological status. Meanwhile, the firstborn’s gender and temperament should be considered when developing support programs for families with one child in order to increase follow-up birth rate.

      • KCI등재

        유아 관련 변인과 어머니의 영역별 양육효능감이 유아의 자기조절에 미치는 영향

        백지희 ( Baek Jeehee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연구 Vol.37 No.5

        본 연구는 만 4-5세 유아의 인지조절과 정서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분석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유아 관련 변인은 유아의 성별과 연령, 그리고 형제자매관계의 특성(형제유무, 출생순위, 형제자매관계의 유형)이 조사되었으며, 어머니의 양육관련 변인에서는 영역별 양육효능감(훈육, 놀이, 애정, 일상체계조직, 교육)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유아의 성별에 따른 유아의 자기조절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연령에 따라서는 일부 정서조절에서 차이를 보였다. 외동의 유아는 형제가 있는 유아보다 일부 정서조절이 높았으며, 첫째의 인지조절이 둘째보다 높았다. 또, 자매 관계의 유아는 남매나 형제 관계의 유아보다 일부 인지 및 정서조절이 낮았다. 유아 관련 변인보다는 양육효능감의 자기조절에 대한 설명력이 높았으며, 인지조절에는 일상체계조직 효능감이, 정서조절에는 교육과 애정 효능감이 각각 가장 영향력이 높은 변인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의 자기조절의 측정방법과 구성요인에 따라 유아 관련변인에 따른 유아의 자기조절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밝히고 유아의 자기조절 향상을 위하여 초점을 두어야 할 부모교육의 내용적 측면에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Self-regulation generally refers to a variety of capacities to control one’s actions and responses and it can be divided into two constructs: emotional regulation such as control of negative emotionality and cognitive regulation such as planning and evaluating behavior. To understand the development of self-regulation, children’s own personal factors and family are considered as a key facet. Specifically, skills underlying self-regulation emerge throughout early childhood, but are integrated into self-regulation by parenting inpu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see the differences among children’s personal factors and to test which mother’s self-efficacy in different parenting contexts contribute uniquely to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development. The results showed that sex of young children between 4 to 5-years-old did not reveal any differences in both cognitive and emotional regulations. Age differences in self-regulation was found only in emotional regulation. Presence and types of siblings and birth order of children showed differences of self-regulation in part. Mother’s self-efficacy in instrumental care and teaching relatively predicted children’s cognitive and emotional self-regulation, and self-efficacy in nurturance showed negative effect on both self-regulation of young children. Findings from this study support significant different impacts of mother’s self-efficacy depending on parenting contexts, and suggest the importance of instrumental care and teaching for the development of self-regulation in early childhood.

      • SCOPUSKCI등재

        섬유성 이형성증의 바늘구멍 골스캔 소견

        백지희,이성용,김성훈,정용안,김범수,송하헌,정수교,강시원,박용휘,신경섭 ( Jee Hee Baek,Sung Yong Lee,Sung Hoon Kim,Yong An Chung,Bum Soo Kim,Ha Hun Song,Soo Kyo Chung,Si Won Kang,Yong Whee Bahk,Kyung Sub Shinn ) 대한핵의학회 1997 핵의학 분자영상 Vol.31 No.4

        To evaluate the pinhole scintigraphic findings and its significance, authors retros- pectively compared the pinhole bone scintigrams and corresponding radiograms of 16 lesions in 14 patients with fibrous dysplasia. They were diagnosed pathologically in 10 lesions and radiologically in 6 lesions. The mean age of patients was 41.1 years. The mean interval between two studies was 1.1 days. Locations were ribs 7, pelvic bone 4, clavicle l, long bones 4(femur 2, titbia 1, humerus 1). The radiographic findings were as follows :the central portions were radiolucent(n=9), ground-glass opacities(n=5) or sclerotic(n=2) and the peripheral appearance were sclerotic rim(n-5), septation(n=7), cortical perforation (n=10) and invisible cortical thinning(n=9). Pinhc>le scintigraphic findings were as follows : Central portions showed normal 1+ uptake in 6 cases(radiolucent 5, ground-glass opacity 1), slightly increased 2+ uptake in cases(radiolucent 4, ground-glass opacity 3), and marked 3+ uptake in,3 cases(ground-glass opacity 1, sclerotic 2). The 15 of 16 lesions showed more intense uptake in the peripheral portion : slightly increased 2+ uptake corresponding to the sclerotic rim(5/5) and unvisible cortical thinning(1/9), and irregular foci of marked 3 + uptake corresponding to septation(7/7), cortical perforation(10/10) and invisible cortical thinning (8/9). One of 16 lesions showed homogeneous 2t uptake. In conclusion, pinhole scintigram provides information on regional activity of the fibrous dysplasia, which would be helpful in diagnosis, prediction of prognosis and determination of treatment plan.

      • KCI등재

        글로벌 브랜드숍의 상업적 공간에 대한 소비자의 체험이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 슈미트(Schmitt, 1999)의 체험 마케팅적 관점을 중심으로

        이경렬 ( Kyung Yul Lee ),백지희 ( Jee Hee Baek ),박기대 ( Ki Dae Park )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10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1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글로벌 브랜드숍에 대한 방문객들의 체험이 브랜드자산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를 살펴보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슈미트(Schmitt, 1999, 2003)의 총체적 체험이론을 바탕으로 브랜드숍에 대한 체험을 6개의 유형으로 분류하고, 각각의 체험적 요소들이 브랜드자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슈미트(Schmitt, 1999, 2003)의 체험 마케팅적 관점이 글로벌 환경에서도 적용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인종으로 구성된 싱가포르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현장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먼저 정준상관분석을 통하여 브랜드숍에 대한 브랜드자산 간의 정준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브랜드숍에 대한 총체적 체험과 브랜드자산 간에 강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브랜드숍에 대한 6개의 체험적 요소들 가운데 감성적 체험이 브랜드 자산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감각적 체험과 인지적 체험은 브랜드자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브랜드숍을 통한 브랜드자산 가치를 높이기 위하여 감성적 체험을 높이는 전략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를 통하여 브랜드숍에 대한 체험이 브랜드자산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함으로서, 슈미트(Schmitt, 1999, 2003)의 체험 마케팅적 관점이 글로벌 환경에서도 통용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impact of global consumers` experience of global brand shop on brand equity.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d whether global consumers` experiences of global brand shop had a positive impact on brand equity composing of brand awareness, brand image, and brand loyalty. A survey of a total of 255 consumers in Singapore was conduct to gather data to test research questions. The independent variable(or predictors) of this study is holistic experience composed of five experiential factors including FEEL, SENSE, THINK, ACT, and RELATION while the dependent variable is brand equity including brand awareness, brand image, and brand royalty. A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s` experience of brand shop and brand equity.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first canonical correlation coefficient was 0.576, which meant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s` experience of brand shop and brand equit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und that FEEL among six experiential factors was the best predictor of brand equity while SENSE and THINK had no relationship with brand equity.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serve as a theoretical foundation of building brand equity by using consumers` experience of brand shop.

      • KCI등재

        디지털 미디어를 통한 소비자 경험이 브랜드 자산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신엽(Shinyoup Kim),백지희(Jee hee Baek)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10

        본 연구에서는 최근 옥외에서의 디지털 미디어 확대에 따라 단순히 브랜드를 노출하는 것이 아닌 디지털 미디어와 소비자와의 상호작용에 따른 경험의 과정을 연구하였다. 분석 결과 정보적 요인과 감성적 요인, 상호작용성 요인으로 구성된 경험 요인은 브랜드 선호도와 브랜드 신뢰도를 매개하여 구매의도에 영향을 주나 경험 만족도는 구매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브랜드 신뢰도를 매개하여 영향을 주는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시사점으로는 먼저 실험실의 연구 환경이 아닌 실제 운영되고 있는 디지털 미디어 경험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실무 연구 사례로서 의의가 있으며 둘째, 디지털 미디어 경험은 경험하는 순간 즉시적으로 브랜드 선호도와 신뢰도에 전이되어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브랜드 자산 형성 요인임을 확인한 것에 의의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due to recent increase of digital outdoor media, is to analyze the consumer experience of interaction with digital media.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experience factor consisting of cognitive, emotional, and interactional factors has a mediating effect on brand preference and brand reliability which in turn influence consumers purchasing intention. On the other hand, it was verified that the consumer satisfaction of the experience does not directly influence purchasing intention, but only through the mediation of brand reliability. This research has implications on the academic field as well as in work-level practices, as a study based on an actual operating digital media, not a laboratory simulation that verifies the importance of digital media experience in forming brand equity through immediate influence on brand preference and brand reli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