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ffect of Sowing Dates on Agronomic Traits and Quality of Seed for Soybean [Glycine max (L.) Merr.] in Southern Area of Korea

        박혜랑,산지브쿠마르둥가나,강범규,서정현,김준회,허수빈,이지윤,한원영,윤홍태,김춘송 한국작물학회 2023 한국작물학회지 Vol.68 No.4

        Owing to adverse weather conditions, there is a heightened focus on actively researching the regulation of the sowing date in field crop cultivation. Soybean, a prominent field crop with extensive acreage and production, is a photophilic and thermophilic crop characterized by short-day photoperiodism. Identifying the optimal sowing time is crucial for mitigating the effects of severe weather conditions on soybean yield. Precise control over the timing of soybean sowing is the key to minimizing yield reduction due to unfavorable weather conditions. Temperature, photoperiod, and their interplay are the most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soybean cultivation among various weather factors. We conducted an experiment using three Korean soybean cultivars with varied maturities (Hwangkeumol: early maturing and Daewonkong and Pungsannamulkong: late maturing) in 2013 and 2014. Our investigation covered aspects of soybean growth, development, yield components, isoflavones, and visual seed quality. Across all three varieties, isoflavone levels increased with later sowing dates, while other measured components exhibited significant variations based on the sowing date. This study also provides valuable insights for the selection of suitable cultivars that perform well in soybean cultivation at various durations of maturity

      • KCI등재

        Genome divergence in Brassica rapa subspecies revealed by whole genome analysis on a doubled‑haploid line of turnip

        박혜랑,강태구,이기범,유승화,신호섭,김건우,박정은,김예슬,허진회 한국식물생명공학회 2019 Plant biotechnology reports Vol.13 No.6

        Subspecies of Brassica rapa are morphologically and genetically diverse, and include a variety of fresh vegetables grown worldwide. Among them, turnip (B. rapa subsp. rapa) produces a large bulbous taproot, and thus is primarily consumed as a root vegetable in Europe and Asia. In comparison to Chinese cabbage (B. rapa subsp. pekinensis), however, genetic analysis and breeding of turnip is hampered in practice due in part to scarcity of useful genetic resources. In this study, we produced a doubled haploid (DH) line of Ganghwa turnip, an heirloom specialty crop in Korea that is usually propagated by open pollination. Microspores were isolated from young flower buds of Ganghwa turnip, and shoots and roots were sequentially regenerated in vitro. Chromosome doubling was induced with the colchicine treatment, and verified by flow cytometry analysis. The G14 DH line displayed uniformity in overall morphology compared to heterogeneous commercial Ganghwa turnips. The whole genome of G14 was sequenced on an Illumina HiSeq 4000 platform, and the reads mapped onto the B. rapa reference genome identified 1,163,399 SNPs and 779,700 indels. Despite high similarity in overall genome sequence, turnips and Chinese cabbage have different compositions of transposable elements (TEs). In particular, long terminal repeat (LTR) retrotransposons are more enriched in turnips than in Chinese cabbage genomes, in which the gypsy elements are classified as major LTR sequences in the turnip genom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ubspecies-specific TE divergence is in part responsible for huge phenotypic variations observed within the same species.

      • KCI등재

        탈북학생과 남한학생의 과목별 학업성적 이동성과 영향요인

        박혜랑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4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1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academic performance mobility of North Korean refugee(NK) students and South Korean(SK) students. Shorrocks measure and Khor-Pencavel measure were used to calculate the mobility, and chi-square test was conducted to analyze factors influencing academic mobility. NK students exhibited relatively higher proficiency in Korean but lower performance in English compared to SK students. Both groups demonstrated the highest academic mobility in Math. When considering mobility without accounting for distance, NK students displayed lower mobility in all three subjects compared to SK students. However, when accounting for distance, NK students showed higher mobility in all three subjects. Father's education level, parent’s academic encourgement, and shadow education had significant impact on the performance of Math, while Korean and English performance were unaffected by any variables considered in this research. The study pointed the need for academic support in English for early grades and Math in higher grades for NK students. Additionally, further research was suggested to explore the influencing factors of academic performance mobility for NK students.

      • KCI등재

        과목별 성적이동성과 사교육의 효과

        박혜랑,김현철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22 아시아교육연구 Vol.23 No.3

        이 연구는 경기교육종단연구 초등학생패널 데이터를 사용하여 국어, 수학, 영어 과목 성적의 단기, 중기, 장기 이동성을 확인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사교육의 효과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결과 영어 과목 성적의 이동성이 초, 중, 고 전체 기간을 통해서 가장 낮아서 초등학교시기에 결정된 영어 과목의 성적이 오랜 기간 고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학의 장기 이동성은 세 과목 중에서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나 연구결과가 수학과목에서 낙오되기 시작하면 다시 만회하기 어렵다는 통념에 반하였다. 또 일부 과목의 사교육이 중장기는 물론이고 단기적으로도 학업성적에 부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연구결과가 사교육에 참여하는 학생과 학부모의 일반적인 기대나 예상에 부합하지 않았다. 사교육이 긍정적 효과를 가지는 경우는 단기적으로도 초등학교 5학년과 중학교 1학년의 수학 사교육뿐이었다. 연구결과는 초등학교 저학년의 영어 사교육과 초등학교 고학년의 수학 사교육이 효과적일 수 있음을 보여주었으며, 이의 교육현장 활용방안 검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 KCI우수등재

        다문화가정의 사용언어가 자녀의 언어능력 발달에 미치는 영향

        박혜랑,김현철 한국교육학회 2016 敎育學硏究 Vol.54 No.4

        다문화가정의 가정사용 언어가 자녀의 언어능력 발달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는 이중언어의 사용이 자녀의 언어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들과 가정에서 부모언어의 사용이 우리말 능력의 발전에 부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서로 상반된 연구결과들이 보고되어 왔다. 이 연구는 이중언어 사용 환경에 있는 중도입국 다문화가정 초등학생과 중학생들의 가정언어가 언어능력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 국어과목 기출문항을 부모언어로 번역한 평가도구로 26개 초등학교 127명과 26개 중학교 171명의 중도입국 다문화학생의 언어능력이 측정되었고 수집된 자료는 다변량 7원 분산분석과 단일변량 6원 분산분석 방법에 의하여 분석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이중언어 사용에 의한 국어능력 발달지연 효과가 전혀 발견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중학생의 경우에는 오히려 이중언어를 사용하는 집단이 국어과목의 모든 하위영역에서 한국어만 사용하는 집단이나 부모언어만을 사용하는 집단보다 평균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언어 사용의 긍적적 효과와 달리 동일한 검사도구를 사용하는 성취도 검사에서 일반적으로 관측되는 학년의 효과가 없었으며, 일반적으로 다문화가정 자녀의 국어 성취도 검사에서 기대되는 재학기간의 효과도 나타나지 않았다. 이중언어와 이중문화 환경에서 통합된 정체성을 가진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성공적인 육성이 향후 국가적 자산이 될 수 있음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alyze the effect of family-languages in learning Korean for foreign-born multi-cultural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127 elementary students and 171 middle school students are examined using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NAEA) items. The 7 factor multi-variate ANOVA and 6 factor uni-variate ANOVA are used for the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not only using two languages in family has no learning deficit effect on Korean, but also bilingual group has statistically higher average scores than Korean only group and mother’s language only group in middle school students in all sub-areas of Korean subjects. The successful bringing up of the multi-cultural children with balanced identity will be an national asset for the future.

      • KCI등재

        시도별 사교육비 시계열의 변동과 특징

        박혜랑,김현철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0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tract the income change effect eliminated private tutoring expenditures timeseries for each school level and province and examine the education policies, which are likely to have influenced the inflection of the time series. Methods This study derives the timeseries of Fisher price index for private tutoring expenditures by school level and province. The data of 2007-2019 Private expenditures survey of Statistics Korea were used for the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income change effect eliminated private tutoring expenditures timeseries had different movement with nominal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timeseries. Income change effect eliminated private tutoring expenditures increased only 0.29% between 2007 and 2019. The expenditure for the elementary school was most decreased in Jeonnam and Ulsan, that for the middle school was most decreased in Daejeon and Gyeongnam, and that for the high school was the most increased in Chungnam and Gwangju. The total expenditure was the most increased in Jeju and Jeonbuk, and the most decreased in Ulsan and Gangwon. Conclusions In spite of the large increase in nominal private tutoring expenditures, income change effect eliminate private tutoring expenditures stayed relatively stable in every school level and province. The advantages of the analysis of income change effect eliminate private tutoring expenditures and the analysis by province were discussed. 목적 이 연구는 연도별로 매년 다른 표본을 조사함에 따른 사교육비 시계열에서의 표본의 단기적인 소득분포 변동 효과와 국가 전체의 장기적인 소득변동 효과를 제거한 시계열을 추출하고, 추출된 학교급별⋅시도별로 장단기 소득효과제거 사교육비 시계열의 변동양상을 분석하며, 소득효과제거 사교육비 시계열에 변곡(inflection)이 일어난 시점의 학교급별⋅시도별 교육정책을 확인하는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이 연구의 사교육비 시계열분석에는 학교급별⋅시도별 장단기 소득효과 제거 시계열이 사용된다. 학교급별⋅시도별 장단기소득효과 제거 사교육비 시계열은 물가지수 산출방법 중에서 가장 이상적인 방법으로 평가되는 피셔 가격지수(Fisher price index) 를 응용하여 산출된다. 분석에는 통계청의 2007년부터 2019년까지의 초중고 사교육비조사 자료가 사용된다. 결과 이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소득효과제거 사교육비 시계열은 통계청발표 학생일인당 명목사교육비나 이로부터 물가상승률만제거한 실질사교육비와는 아주 상이한 변동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인식되고 있는 바와 같이 사교육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2019년의 장단기 소득효과제거 사교육비는 2007년 대비 0.29% 증가하였을 뿐이며, 초등학교는 가장 높은 두 개 소득구간에서만 증가, 나머지 소득구간에서는 모두 감소하였고, 고등학교는 소득이 낮은 구간일수록 증가율이높고 소득이 높은 구간일수록 증가율이 낮았다. 2019년의 학생일인당 소득효과제거 사교육비는 2007년 처음 발표된 학생일인당사교육비보다 초등학교는 크게 감소, 중학교는 약간 감소, 고등학교는 매우 크게 증가하였다. 또, 초등학교는 전남과 울산, 중학교는대전과 경남에서 가장 큰 감소, 고등학교는 충남과 광주에서 가장 큰 증가가 있었다. 학교급을 통합한 전체 사교육비는 제주와 전북의 증가가 가장 크고, 울산과 강원이 가장 크게 감소하였다. 결론 명목사교육비의 증가와 달리 소득효과제거 사교육비는 분석기간 동안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여, 분석기간 동안의 사교육비증가는 대부분 소득증가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시도별 학교급별 소득효과제거 사교육비 분석의 의의와 각 시도별 차이에 대한교육정책의 효과가 검토되고, 연구의 한계가 언급되었다.

      • KCI우수등재

        중도입국 다문화학생의 학년배치

        김현철(성균관대학교)* 박혜랑 한국교육학회 2016 敎育學硏究 Vol.54 No.1

        현재 우리나라는 중도입국 다문화학생의 입학허가와 학년배치가 학교장과 담당교사의 재량에 맡겨 져 있는데 입학허가와 학년배치의 기준으로 학생의 연령보다 학업수행능력을 중시하여 학생이 자기연 령의 적정학년보다 낮은 학년으로 배치되는 경우들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 이 연구는 중도입국 다문화 학생들을 학업수행능력 기준으로 적정학년보다 낮은 학년에 배치하는 우리나라의 방식이 다문화 학생 들의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국어, 수학, 영어 과목별로 각 과목의 하위영역을 피험자내 요인(within-subjects factor)으로 하고 연령을 비롯한 다섯 개 피험자간 요인(between-subjects factor)을 독립변수로 하는 혼합설계모형에 의한 분석결과는 자기연령 적정학년 이하학년 취학의 효과가 초등학교와 중학교, 그리고, 국어, 수학, 영어 과목 모두에서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는 인지적 발달만이 아니라 학생의 심리적, 정서 적, 사회적 성장이라는 중요한 목표를 갖는다. 따라서 이주학생 개인의 정서적 적응이나 학교와 학급 내 교우들과의 사회적 적응에 장애가 되는 학업수행능력기준의 학년배치를 지양하고 이주민을 많이 수용하고 있는 대부분의 국가들에서 적용하는 연령기준의 학년배치가 필요하며, 이들의 학업수행을 위 해서는 학교 내에 별도의 지원체제를 운영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Rhanella aquatilis 유래 당단백질과 항암제 혼합물에 의한 인체 대장 암 HT29세포에 대한 항암상승효과

        박혜,김광현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2013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41 No.3

        In order to investigate the anticancer activity of an anti-yeast substance (AYS), a proteoglycan produced by Rhanella aquatilis AY2000, the cytotoxicity of the AYS against cancer cells was determined in vitro. The AYS was not cytotoxic to the human Jurkat T cell or the mouse sarcoma 180 cell, but was cytotoxic to the human colon cancer TH20 cell. The AYS was increasingly cytotoxic against human colon cancer cells in a dose-dependent manner at range from 62.5 to 500 μg/ml. Anticancer activity by combination of the AYS and an anticancer agent was also determined. The anticancer agent combined with the AYS was shown to possess greater synergistic anticancer activity against human colon cancer cells, as compared with the anticancer agent alone. Rhanella aquatilis AY2000 균주가 생산하는 일종의 당단백질인 항효모성 물질 (AYS)에 대한 항암활성을 조사하기 위해 in vitro에서 암세포에 대한 AYS의 세포독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AYS는 인체의 Jurkat T 세포와 마우스의 sarcoma 180 세포에 대해서는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인체 대장암세포인 colon cancer TH20 세포에는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이 AYS는 62.5에서 500 μg/ml까지 농도의존적으로 인체대장암세포에 대해 세포독성을 증가시켰다. 뿐만 아니라 이 AYS와 시판 항암제를 혼합하여 처리한 결과 시판 항암제를 단독으로 처리한 것 보다 인체대장암세포에 대한 항암효과가 더욱 상승되었다.

      • KCI등재

        하브루타 학습법을 활용한 온라인 토론이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박혜서(Park, Hye-Seo),오윤희(Oh, Yun-Hee),이정은(Lee, Jung-Eun),임연길(Lim, Yeon-Gil) 한국웰니스학회 2021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6 No.4

        본 연구는 5주간의 하브루타를 활용한 온라인 토론을 적용한 후 의사소통능력, 자기주도학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교육 프로그램은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하여 질문중심, 친구가르치기, 논쟁중심 하브루타 방식으로 짝을 지어 토론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대상자들은 일 지역의 2학년 간호대학생으로 선정하였으며 2020년 10월에 사전조사하고 5주간 교육 프로그램 진행 후 2020년 12월에 사후조사 하였다. 본 연구에서 하브루타 활용 온라인 토론 전과 후의 의사소통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유의하게 상승하였다. 비록 항목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교육 프로그램 적용 후 사후조사에서 모든 항목이 증가하여 긍정적인 양상을 볼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를 통하여 하브루타를 활용한 온라인 토론은 간호대학생에게 학습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교육방법임을 제시하고 있다. 향후의 연구에서는 교육 프로그램의 장기적인 적용기간, 학업의 정의적인 요소, 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 연구 등을 포함한 연구들이 진행될 필요성을 가지고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he Havruta-based online debate on communication competency, self-directed learning, and academic self-efficacy in nursing students. We used a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Data were collected using structured online questionnaires from November 2020 to December 2020 in 81-second grade nursing college students attending a university in A city. The paired t-test analyzed a difference between pre-and post- Havruta-based online learning. In the result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munication ability and self-directed learning, although it showed a post-intervention increase. However, it had a notable increase in academic self-efficacy. With this result, we hope this study can guide the development of a Havruta-based nursing education program. Also, applying various teaching methods to nursing education programs could be considered to enhance communication competency and self-directed learning for nursing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