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하브루타 학습법을 활용한 온라인 토론이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박혜서(Park, Hye-Seo),오윤희(Oh, Yun-Hee),이정은(Lee, Jung-Eun),임연길(Lim, Yeon-Gil) 한국웰니스학회 2021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6 No.4

        본 연구는 5주간의 하브루타를 활용한 온라인 토론을 적용한 후 의사소통능력, 자기주도학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교육 프로그램은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하여 질문중심, 친구가르치기, 논쟁중심 하브루타 방식으로 짝을 지어 토론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대상자들은 일 지역의 2학년 간호대학생으로 선정하였으며 2020년 10월에 사전조사하고 5주간 교육 프로그램 진행 후 2020년 12월에 사후조사 하였다. 본 연구에서 하브루타 활용 온라인 토론 전과 후의 의사소통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유의하게 상승하였다. 비록 항목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교육 프로그램 적용 후 사후조사에서 모든 항목이 증가하여 긍정적인 양상을 볼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를 통하여 하브루타를 활용한 온라인 토론은 간호대학생에게 학습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교육방법임을 제시하고 있다. 향후의 연구에서는 교육 프로그램의 장기적인 적용기간, 학업의 정의적인 요소, 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 연구 등을 포함한 연구들이 진행될 필요성을 가지고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he Havruta-based online debate on communication competency, self-directed learning, and academic self-efficacy in nursing students. We used a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Data were collected using structured online questionnaires from November 2020 to December 2020 in 81-second grade nursing college students attending a university in A city. The paired t-test analyzed a difference between pre-and post- Havruta-based online learning. In the result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munication ability and self-directed learning, although it showed a post-intervention increase. However, it had a notable increase in academic self-efficacy. With this result, we hope this study can guide the development of a Havruta-based nursing education program. Also, applying various teaching methods to nursing education programs could be considered to enhance communication competency and self-directed learning for nursing students.

      • KCI등재

        AHP를 이용한 지진재해 지역안전도 지표 개발에 관한 기초연구

        박혜지(Park, Hye Ji),김한수(Kim, Han Soo) 한국주거학회 2020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Vol.31 No.6

        This study developed seismic safety assessment indicators through surveys using AHP techniques to comprehensively assess the safety level of the region for seismic disasters. In order to assess the regional safety of seismic disasters, the factors of vulnerability (geotechnical engineering, structure, physics, population structure) and resilience (land utilization, economy, society, response) were proposed as assessment measures as key indicators affecting the vulnerability and resilience of seismic disasters. The results of calculating weights through AHP analysis through expert surveys showed that the weak indicators were relatively important among the representative evaluation dimensions “vulnerability indicators” and “resilience indicators”. It is judged that this indicates the importance of the policy for prevention and preparation, which allows the safety diagnosis of vulnerable indicators in advance to minimize damage in the event of an earthquake. The seismic disaster regional safety assessment index is meaningful in comprehensively assessing the safety level of the region for seismic disasters, and the results of the assessment can be used as a basic guideline for disaster prevention policy and research on regional safety diagnosis in seismic disasters in the region.

      • KCI우수등재

        소득계층별 사교육 유형별 사교육 참여율에 대한 코로나의 영향

        박혜랑(Hyerang Park) 한국교육학회 2022 敎育學硏究 Vol.60 No.4

        이 연구에서는 경기교육종단연구 데이터를 사용하여 코로나가 소득계층별 사교육비 유형별 사교육 참여율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에는 학년효과 제거를 위하여 이중차분법이 사용되었다. 연구결과는 종단자료의 학년효과를 제거하면 전체 사교육 참여율은 2020년에 코로나 효과에 의해서 15.96%p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그룹과외와 학원 사교육 참여율은 각각 4.42%p와 9.05%p가 낮아지고 학습지/인터넷 사교육 참여율은 1.06%p 높아졌다. 학년효과 제거 전체 사교육 참여율은 소득계층별로는 2020년에 코로나의 영향으로 집단5를 제외한 모든 소득계층에서 감소하였다. 학년효과 제거 사교육 참여율은 사교육 유형별로 개인/그룹과외와 학원 사교육은 2020년에 모든 소득계층에서 감소하였지만 개인/그룹과외는 고소득층에서 매우 크게 감소, 학원 사교육은 저소득층에서 매우 크게 감소한 반면에 학습지/인터넷 사교육은 저소득층에서는 오히려 증가하고 고소득층에서는 조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로 인해 전반적으로 교육기회 불평등이 심화되고 불평등의 변화양상이 사교육 유형에 따라 다른 경향을 보임에 따라서 시대상황과 교육약자들의 필요에 맞는 적절한 정책 투입의 필요성이 지적되었다. In this study, the effect of COVID-19 on the private education participation rate (PEP rate) by type of tutoring and income class was analyzed using data from the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 (GEPS). The double-differentiation (difference in difference; DID) method was used to remove the grade effect from the longitudinal data. The results showed that when the grade effect was removed, the overall PEP rate decreased by 15.96%p due to the COVID-19 situation in 2020. The participation rates in one-to-one/group tutoring and private institutes decreased by 4.42%p and 9.05%p, respectively, but the participation rate in workbook/online tutoring increased by 1.06%p compared to 2019. When the grade effect was removed, the overall PEP rate in all income classes, except group 5, decreased due to the impact of COVID-19 in 2020. With the grade effect removed, the PEP rate in one-to-one/group tutoring and private institutes decreased in all income groups in 2020, but the participation rate for one-to-one/group tutoring greatly decreased in the high-income class, and that for private institutes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low-income class. On the other hand, the participation rate for workbook/online tutoring increased in the low-income class and decreased slightly in the high-income class. As the overall inequality of educational opportunities intensifies due to the COVID-19 situation, and the pattern of changes in inequality tends to differ depending on the type of private education, appropriate policy input is needed to meet the needs of the underprivileged.

      • KCI등재

        위탁아동 친부모의 자녀위탁보호에 대한 의미 탐색 -van Manen의 현상학에 근거하여-

        박혜지(Park, Hye ji),이정화(Lee, Jeong hwa) 한국아동복지학회 2021 한국아동복지학 Vol.70 No.1

        본 연구는 자녀를 위탁가정에 맡긴 친부모들을 대상으로 자녀위탁의 의미에 대해 탐색하기 위해 실시되었으며, 가정위탁 보호체계에 진입해 있는 사례 중, 자녀 위탁 기간이 2년 이상이고, 연구 참여에 자발적으로 동의한 참여자 7명을 최종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참여자들과의 면담내용에서 결집된 의미 단위들을 중심의미로 구성하고, 이를 다시 드러난 주제, 본질적 주제로 범주화한 후, van Manen(2015)이 제시한 4개의 실존체, 즉 몸성, 공간성, 관계성, 시간성 차원으로 나누어 기술하였다. 결집된 본질적 주제는 “몸성: 부서진 패잔병, 덫으로부터의 탈출”, “공간성: 외딴방에서 나의 영토 건설, 외면과 애정의 긴장”, “관계성: 핏줄의 야누스적 역할, 동전의 양면인 면책지대, 애증의 삼각관계”, “시간성: 자식의 흔적 붙잡기, 망각의 게으름을 일깨우는 아이, 희망의 그림 그리기”로 명명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위탁아동의 친가정 복귀에 대한 규정 마련, 친부모 역할의 명시적 정립, 친부모-자녀 간 질적 시간 확대를 위한 예산 지원, 친부모에 대한 체계화된 교육 프로그램 제공, 친가정 복귀 시 정착금 지급, 그리고 친가정 개입을 위한 아동보호 전담요원과 가정위탁센터 간의 긴밀한 협력 등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meaning of foster care for biological parents who have entrusted their child to foster families. Among the cases in the foster care system, seven biological parents who have more than two years of entrustment period for their children and voluntarily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Central meanings were developed through the semantic units collected in interviews with the participants. After the units were categorized as an exposed topic and an essential topic, they were then described in terms of the four real entities presented by van Manen(2015): ‘Lived body, Lived space, Lived human relation, and Lived time.’ The essential topics are named as follows: “Lived body: broken remnants; escape from the trap”, “Lived space: construction of my territory in the solitary room; tension in avoidance and affection”, “Lived human relation: Janusian role of the blood relationship; the immunity zone-sides of the coin; love-hate triangle”, “Lived time: catching traces of their children; a child who awakens the laziness of forgetfulness; drawing a picture of hope.” Based on the results,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regulations for the return to birth family, explicit establishment of biological parental roles, budget support to expand quality time between biological parents and their children, structured education programs for biological parents, resettlement funds upon returning home, and close cooperation between child protection workers and the foster care center for birth family intervention.

      • KCI등재

        코로나19 유행에 따른 보건소 진료량 변화분석

        박혜기 ( Hyeki Park ),양유선 ( Yu Seon Yang ) 대한보건협회 2021 대한보건연구 Vol.47 No.3

        연구목적 : 한국은 코로나19 유행기간 동안 보건소의 건강증진사업과 진료서비스를 긴급히 축소하고 의료진을 방역 업무에 배치하였다. 이 연구는 코로나19 대응이 보건소의 진료제공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8년 12월부터 2020년 8월(85주)까지 국민건강보험과 의료급여 청구 자료를 사용하였다. 코로나19 유행 전, 확산기, 회복기의 세 단계를 기준으로 단적절 시계열 분석을 시행하였으며, 지역별 차이를 확인하기 위한 시도별 하위 그룹 분석 또한 수행되었다. 주요결과 : 코로나19의 발생(β: -64,448, P value <0.0001)과 확산(β: -7,346, P value: 0.0003)이 보건소 이용량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료량은 사회적 거리두기를 완화한 시점에(β: 27,650, P value: 0.0176) 증가했으며, 이후에도 점차 증가했다(β: 8,507, P value <0.0001). 결론 : 코로나19 유행에 따라 보건소에서 의료 서비스 제공량이 감소했으며, 유행이 약화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완전히 회복되지 않았다. 이는 보건소의 의료제공에 공백이 존재했음을 의미하며, 보건소의 주요 이용자인 취약 계층을 위한 지원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Background : In the Republic of Korea, medical personnel at the Public health centers (PHCs) were urgently deployed to the quarantine while the healthcare projects and medical treatments are scaled back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impact of COVID-19 response on the number of visits at PHCs. Materials and methods : The Republic of Korean National Health Insurance and Medical Aid claims data between December 2018 and August 2020 (85 weeks) were used. Interrupted time series and segmented regression model was conducted for statistical analysis by three stages (pre-wave period, the spreading period during the wave and recovery period). Subgroup analysis was performed based on the regions. Results : The results showed that the outbreak (β: -64,448, P value < 0.0001) and the spreading (β: -7,346, P value: 0.0003) of COVID-19 decreased the number of visits. The volume increased when the social distancing was eased (β: 27,650, P value: 0.0176), and gradually increased (β 8,507, P value < 0.0001). Conclusion : In conclusion, the COVID-19 pandemic decreased the volume of healthcare services at PHCs. However, it was not fully recovered again despite the weakening of the prevalence, implying that the vacuum of healthcare has existed at PHCs. The findings suggest the importance of alternative supports for healthcare for the vulnerable, who are the main user of health centers.

      • KCI등재

        학교급별 과목별 사교육비의 변동 양상

        박혜랑(Park, Hyerang),김현철(Kim, Hyunchu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0

        목적 이 연구는 표본의 소득변화 효과를 제거한 사교육비 시계열로부터 학교급별⋅과목별 사교육비의 변동양상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방법 2007년부터 2019년까지의 통계청 초⋅중⋅고 사교육비조사 자료가 이중차분법에 의해서 분석되었다.결과 연구결과는 2010년대 초반의 사교육비 감소기간 동안 초⋅중⋅고 모든 학교급의 국어, ‘사회 과학’, ‘제2외국어 등’ 과목의 사교육비 감소가 전체 사교육비의 감소를 초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2016년 이후 사교육비 증가기간 동안에는 초⋅중⋅고 모든 학교급의 체육과 ‘취미 교양’ 사교육비 증가, 초등학교 ‘제2외국어 등’의 사교육비 증가, 일반계고등학교 ‘입시 컨설팅’ 사교육비 증가가 전체 사교육비의 증가를 야기하였다. 예체능 사교육비는 모든 학교급에서 증가하였고, 일반교과 사교육비는 중학교와 일반계고등학교에서만 증가하였다.결론 각 학교급과 과목별 소득효과 제거 사교육비의 변동양상을 분석한 이 연구는 일반적인 인식과 달리 학교급별로 일부 교과에서는 사교육비 감소경향이 뚜렷하다는 것을 확인하고, 시기별로 우리나라 전체 사교육비의 변동을 유발한 학교급별 교과목을 식별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과목별 사교육비 변동양상을 고려한 정책적 대응의 필요성이 지적되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luctuation of private tutoring expenditures by school level and subject. Methods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 in difference(DID) method was applied to the survey of private tutoring expenditure data of Korean Statistics Office from 2007 to 2019. Results The decrease of private tutoring expenditure in the subject of Korean, ‘Social Science and Science’, and ‘second language’ in the early 2010s led to the decrease of private tutoring expenditure. The increase in the subject of physical education and hobby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he increase of ‘second languages’ for elementary schools, and the increase in the ‘college admission consulting’ for general high schools caused the increase of private tutoring expenditure since 2016. The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in the subject of art and physical training increased at all school levels, but the private tutoring expenditure in the general subjects increased only in middle school and general high school. Conclusions This study clarifies the causes of fluctuations in private tutoring expenditures with the analysis of the patterns of changes in private tutoring expenditures for each school level and subject. It was suggested that the policies should consider the private tutoring expenditure change by school level and subject.

      • KCI등재

        학교급별·시도별 소득효과 제거 사교육비의 변동추이

        박혜랑(Park, Hyer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5

        이 연구는 통계청의 시도단위 명목사교육비 시계열로부터 소득변수의 효과를 제거한 시계열을 추출하여 학교급별·시도별 사교육비 시계열의 변동양상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에는 2007년에 처음 조사결과가 발표된 이래 2020년에 마지막으로 발표된 2019년 조사까지의 통계청 초·중·고 사교육비조사의 명목사교육비와 매 조사마다의 소득구간별 표본수 자료가 사용되었다. 통계청 사교육비조사 자료로부터 학교급별·시도별로 소득효과 제거 학생일인당 월평균 사교육비지수 시계열을 작성하고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시도별 소득차이의 효과를 모두 제거하여도 시도별 사교육비에는 큰 차이가 있으며, 고등학교의 경우에는 동일소득 하에서 사교육비가 시도별로 최대 3배 이상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금까지 사교육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개인의 소득수준이나, 사교육비 증가의 원인제공 요소로 지목되어 오던 전국단위 교육정책 이외에 사교육비 지출규모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중요한 영향요소가 있음을 의미한다. 사교육비에 대한 교육정책의 효과 분석을 위해서는 사교육비 시계열에서 소득효과 외에 자녀수와 자산효과가 추가적으로 제거되어야 할 필요성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luctuations in the time series of income effect removed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s by school level and province. The study used nominal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s and sample size data for each income level of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s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s survey from 2007 to 2019 by school level and province. The income effect was removed from the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survey data and the average monthly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indices were made.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even if all the effects of income differences by province are removed, there is a big difference in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indices by province, and in the case of high schools, the indices differ by up to three times by province. This means that there are other important factors affecting the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s in addition to the level of income known to have the greatest impact on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so far, in addition to the nationwide education policy, which has been cited as the cause of the increase in private education costs.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 of education policy on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s, it was discussed the need to additionally remove the number of children and asset effects in addition to the income effect in the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time se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