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라이프스타일 형성 모델(Lifestyle-DEPER [Decision, Execution, Personal Factor, Environment, Resources])과 건강을 위한 라이프스타일 중재 전략

        박지혁,박혜연,홍익표,한대성,임영명,김아람,남상훈,박강현,임승주,배수영,진연주,박지혁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23 재활치료과학 Vol.12 No.4

        라이프스타일-형성 모델(Lifestyle-DEPER [Decision, Execution, Personal Factor, Environment, Resources])은 라이프스타일이 어떻게 형성되는지를 설명해 준다. 라이프스타일은 결정, 실행, 습관화 단계를 거쳐 형성된다. 결정 단계는 무엇을 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단계이고, 실행 단계는 실제로 활동과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두 단계가 지속적으로 반복되는 것을 습관화라고 한다. 라이프스타일 형성 단계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은 환경, 자원, 개인적 요소로 구분된다. 환경은 우리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것으로 사회적 환경, 물리적 환경, 문화적 환경, 가상적 환경이 포함된다. 자원은 개인이 가지고 있는 것으로 건강적 자원, 시간적 자원, 경제적 자원, 사회적 자원 등으로 분류된다. 개인적 요소는 역량, 욕구, 가치가 포함된다. 역량은 할 수 있는 능력, 욕구는 현재 상태와 원하는 상태의 차이, 가치는 개인이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것을 뜻한다. 라이프스타일의 형성 단계에서 환경, 자원, 개인적 요소는 각 단계별로 서로간에 영향을 준다. 이러한 전반적 과정을 흔드는 것을 사건이라고 하며, 개인적 사회적 사건을 모두 포함한다. 건강과 관련된 라이프스타일 요소는 신체활동, 식습관, 사회관계, 활동 참여이며, 이것들이 라이프스타일 중재의 목표이다. Lifestyle-DEPER 모델을 기반으로 한 중재 전략 KEEP (지식, 경험, 평가, 계획[Knowledge, Evaluation, Experience, Plan])은 라이프스타일 형성 단계와 영향 요소들을 다면적으로 고려한 건강을 위한 중재 전략이다. 본 문헌을 통해 Lifestyle-DEPER 모델을 소개하고, 건강을 위한 라이프스타일 중재 전략(KEEP)을 제시하였다. 추후 연구를 통해 Lifestyle-DEPER 모델과 KEEP 전략은 타당성과 적용 가능성에 대한 검증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Lifestyle-DEPER (Decision, Execution, Personal Factors, Environment, Resources) model explains lifestyle formation. Lifestyles are shaped through the decision, execution, and habituation stages. Factors influencing the establishment of a lifestyle are categorized as environmental, resource, and personal. The environment encompasses our surroundings and social, physical, cultural, and virtual environments. Resources refer to what individuals possess, such as health, time, economic, and social resources. Personal factors include competencies, needs, and values. At the lifestyle establishment stage, each of these factors influences a different stage. These collective processes are referred to as events, encompassing both personal and social events. Health-related lifestyle factors include physical activity, nutrition, social relationships, and occupational participation. These are the goals of lifestyle intervention. The intervention strategy based on the Lifestyle-DEPER model, called KEEP (Knowledge, Evaluation, Experience, Plan), is a comprehensive approach to promoting a healthy lifestyle by considering lifestyle formation stages and their influencing factors. This study introduces the Lifestyle-DEPER model and presents a lifestyle intervention strategy (KEEP) to promote health.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to validate the practicality of the model after applying interventions based on the lifestyle construction model.

      • KCI등재

        Work-Related Musculoskeletal Symptoms Among Dairy Farmers in Gyeonggi Province, Korea

        박지혁,이관,임현술 대한예방의학회 2010 예방의학회지 Vol.43 No.3

        Objectives: The prevalence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symptoms (WMS) among Korean dairy farmers has not been investiga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prevalence of WMS an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WMS and risk factors. Methods: Self-developed questionnaires including the questionnaire developed by the Korea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KOSHA) were used to investigate WMS among dairy farmers in Gyeonggi Province, Korea. We informed selected dairy farmers about the study and sent the questionnaires by registered mail. They visited a public health center nearby or a branch of public health center on the appointed date and skillful researchers identified or conducted the questionnaires by interview. We analyzed 598 (32.8%) of the 1824 dairy farmers.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was implemented to estimate the odds ratios of risk factors. Results: The mean age of the respondents was 50.4 ± 8.7 years and the proportion of males was 63.0%. The prevalence of WMS at any site was 33.3%. The prevalence of neck WMS was 2.2%, shoulders 10.0%, arms/elbows 5.0%,hands/wrists/fingers 4.2%, low back 11.5%, and legs/feet 11.7%. The adjusted odds ratio of low back WMS for milking 4or more hours per day was 4.231 (95% CI = 1.124 - 15.932)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Low back WMS (2.827, 95% CI =1.545 - 5.174)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education. Conclusions: Low back WMS increased with milking hours and milking 4 or more hours per day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ow back WMS. Low back WMS was significantly reduced with education. We hope that there will be increased attention about WMS in dairy farmers and the subject of future investigations.

      • KCI등재

        중추신경계 장애에서 작업의 치료적 효과에 대한 고찰 : 경험-의존 가소성의 신경생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박지혁,한대성,권재성 대한작업치료학회 2012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작업의 신경생물학적 영향을 신경과학적 연구들을 바탕으로 알아보고 치료적 작업의 효과적인 임상 적용에 대한 신경학적 근거들을 제시하는 것에 있다. 작업은 신경계 작업치료에서 치료적 매개체로 사용되어 신경학적 기능 회복을 촉진하고 대상자들의 작업참여와 삶의 질을 향상시킨다. 특히 자연스러운 환경에서내적 동기에 의해 자발적으로 수행된 작업은 신경가소성을 도와주는 신경화학물질의 발현을 촉진하여 학습과 기억을 향상시킨다. 치료적 작업은 경험-의존 가소성을 통해 신경계의 회복을 유도할 수 있는 적절한 작업적 활동을 말한다. 경험-의존 가소성에 의해 어떠한 작업을 경험했느냐에 따라 신경계의 변화의 특성이 달라지는데 동물 모델 연구와 임상 연구에서 제시된 다양한 신경병변 모델에서 신경학적 호전과 수행기술의 향상이 보고되었다. 치료적 작업을 임상에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경험-의존 가소성을 촉진 할 수 있는 요소들을 포함해야한다. 경험-의존 가소성을 촉진할 수 있는 작업은 목적이 명확하고 내적 동기를 유발하는 과제 지향적 활동으로 실제 활동과 매우 유사하여야 하고, 목표로 하는 수행기술에 특성화 되어 있어야하며, 반복과 강도를 고려하여 적용되어야한다.

      • 전주시 도시공원 탐방로 훼손현황 및 관리방안

        박지혁,허경호,박종민 한국환경생태학회 2017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7 No.2

        서론 전주시 기린봉과 완산칠봉 도시공원은 전주시 완산구(완 산동, 서학동, 평화동, 삼천동)와 덕진구(인후동, 우아동)에 위치한 자연녹지지역·생활환경보전지역의 도시자연공원으 로 수목이 울창하고 자연경관이 아름다울 뿐만 아니라 도시 중심 시가지와 인접해 있으며, 전주 시민의 휴식 및 여가사 용 장소로써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전주시의 중 심지역에 자리하고 있기 때문에 매해 도시공원의 탐방객 증가로 인한 답압, 뿌리노출, 암석노출 등의 피해와 각종 개발, 공해 및 오염물질 등으로 자연환경은 물론 고유의 생 태계가 파괴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최근 도심 중심의 환경과 자연생태계 보전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파괴되어 가는 도시생태계를 복원하고, 도시를 녹화하기 위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도시공원의 자연자원의 관리 및 보 전을 위해서는 현재 탐방로의 현황과 훼손실태 등의 기초자 료를 조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주 시 기린봉과 완산칠봉 도시공원에 형성되어 있는 탐방로의 현황과 훼손실태를 파악하고, 도시공원의 관리 측면에서 탐 방로의 복원 및 관리방향을 제시하였다. 2. 연구방법 및 내용 현장조사는 2017년 3월~7월 사이에 실시하였으며, 조사 대상은 전주시 도시공원에 형성되어있는 지정 탐방로와 비 지정 탐방로를 모두 포함하였다. 조사방법은 구간별 훼손지 점을 전체적으로 조사하는 전체조사법을 실시하였으며, 조 사구역은 주능선에 따라 나누어 조사하였다. 조사야장은 GPS 현장조사야장과 탐방로 훼손/환경피해도 조사야장을 이용하였고, 훼손지 조사항목은 GPS장비를 활용하여 조사 구간, 구간길이, 조사지점 등의 지리정보를 수집하였다. 환 경피해 조사항목은 노폭 및 나지폭, 뿌리노출, 암석노출, 침 식깊이, 노폭확대, 노면침식 등으로 구분하여 훼손의 유형 을 기재하였다. 기존 도시공원계획에 반영되지 않은 비지정 탐방로를 GPS와 GIS를 이용하여 조사 후 DB를 구축하였 으며, 구축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GIS와 AutoCAD 상에서 탐방로 훼손지의 위치도를 수치지형도(1/5,000)로 작성하 였다. 탐방로 복원방법의 하나로서 기존 노선계획과 도시공 원의 자연자원 및 시설의 연계성을 고려한 합리적인 실선노 선을 검토하였고, 나아가 훼손된 탐방로의 복원 및 관리방 안을 제시하였다. 결과 완산칠봉은 3개소의 구역으로 나누어 조사를 실시한 결 과, 지정 탐방로와 비지정 탐방로의 전체길이는 총 14.6㎞로 나타났다. 지정 탐방로의 총길이는 7.40㎞(Area-1 : 2.82㎞, Area-2 : 2.83㎞, Area-3 : 1.75㎞ )로 나타났으며, 비지정 탐방로는 7.23㎞(Area-1 : 1.73㎞, Area-2 : 2.18㎞, Area-3 : 3.32㎞)로 나타났다. 기린봉은 2개소의 구역으로 나누어 조사를 실시한 결과, 지정 탐방로와 비지정 탐방로의 전체길 이는 총 26.07㎞로 나타났다. 지정 탐방로의 총길이는14.49 ㎞(Area-1 : 4.36㎞, Area-2 : 10.13㎞)로 나타났으며, 비지 정 탐방로는 11.58㎞(Area-1 4.15㎞ Area-2 7.43㎞)로 나타 났다. 완산칠봉 도시공원의 탐방로 훼손지역은 총 50개소로 나타났으며, 분지길이 비교적 적은 Area-1에 비하여 Area-2 와 Area-3에 많은 훼손지역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지정탐방로의 훼손지역보다 비지정탐방로의 훼손지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훼손지 유형으로는 뿌리 노출형 23개소 (46%), 복합 훼손형 6개소(12%), 노면 침식형 6개소(12%), 탐방로 폭의 확대형 5개소(10%), 암반 노출형 4개소(8%), 탐방로 시설 훼손형 2개소(4%), 고사목의 전도로 인한 탐방 로 차단형 2개소(4%), 탐방로 폭의 협소형 1개소(2%)로 나 타났다. 기린봉 도시공원 탐방로 훼손지역은 총 162개소로 나타났으며, 같이 이용객이 많은 노선(도심권에 연접해 있는 노선)에 가장 많은 훼손이 일어났으며, 탐방 및 이용객의 수가 적은 지역에는 훼손의 정도가 많이 낮게 나타났다. 훼손 유형으로는 답압에 의한 뿌리노출이 66개소(40.74%), 노폭 확장 25개소(15.43%), 암반노출 22개소(13.58%), 하반침식 20개소 (12.35%), 노선의 측면붕괴 및 침식이 15개소 (9.26%), 고사목에 의한 전도목이 9개소(5.56%), 시설물 파 손 및 훼손이 5개소(3.09%)로 나타났다. 훼손된 탐방로에 대해서는 노선별 훼손유형에 적합한 복 원방안을 검토해야한다. 복원과 관리의 기본방향은 먼저, 탐방로는 쾌적하고 구조적으로 안정된 길로 조성되어야 하 며 탐방로 시설이나 시설행위가 주변 생태계나 경관을 훼손 하지 않도록 정비되어야 한다. 또한 탐방로 복원은 산지사 면별 또는 노선별로 완결하는 것으로 원칙으로 하고, 노면 침식을 예방하기 위하여 적당한 횡단배수시설을 설치해야 하며, 시설물은 10년 이상의 내구성을 확보하여야 한다.

      • KCI등재

        GIS를 활용한 전라북도 임도 재해위험지 지도 구축

        박지혁,박종민,오경원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6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0 No.3

        This study conducted an on-the-spot survey on the 21 national and private forest roads in the Jeollabuk-do area in order to construct a GIS-based map of the disaster-prone zones in forest roads, and built the database of the locations of the disaster-occurrence and disaster-prone zones and disaster-prone zones. In addition, it built the DB with the Raster of size 10m x 10m using the GIS program after extracting the gradients, the forest shapes, the age of stand, and the soil properties factors by referring to a 1: 25,000 digital map, a detailed soil map, and a digital map of the forest shapes in connection with forest road disasters, and then built a rainfall distribution chart(Raster) after extracting the rainfall factors using the rainfall data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Development Corporation. The map of the disaster-prone zone in forest roads was constructed through the combination of all the completed Raster charts and the applications of the Raster calculation(Raster calculator) technique. It is expected that with a more localized and more quantitative assessment, these study results will provide the base line data for a structural and managerial improvement of the forest roads.

      • KCI등재

        COVID-19 Outbreak and Presymptomatic Transmission in Pilgrim Travelers Who Returned to Korea from Israel

        박지혁,Jang Joon Ho,이관,유석주,Hyojung Shin 대한의학회 2020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Vol.35 No.48

        Background: On February 21, 2020, 2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cases in pilgrim travelers from Korea to Israel were identified. We investigated the source of infection, clinical features of COVID-19, and transmission potential of presymptomatic and asymptomatic cases. Methods: All 39 pilgrim travelers were aggressively tested for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 (SARS-CoV-2). Their clinical features and possible source of infection were investigated by interview and review of their medical records. Ten confirmed cases without symptoms at the first sampling dates were selected for follow-up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tests. Results: Of the 39 pilgrim travelers, 30 (77%) were positive for SARS-CoV-2. Among the 30 positive COVID-19 cases, 4 (13%) were asymptomatic. Available follow-up cycle threshold values from 10 cases gradually increased over time and were lower during the presymptomatic period than during the postsymptomatic period. Out of 328 contacts related to the COVID-19 cases in the pilgrim travelers, 22 additional cases (7%) were confirmed with SARS-CoV-2 infections. Three tertiary cases were identified to be transmitted by presymptomatic secondary cases. Conclusion: To prevent transmission of COVID-19, we need to focus on presymptomatic and asymptomatic cases, and massive testing for SARS-CoV-2 is required. More research about the possibility of presymptomatic transmission over 2 days before symptom onset is required.

      • KCI등재

        구인공고 분석을 통한 작업치료사 구직 시장 변화에 대한 연구

        박지혁,한대성,박상미 대한작업치료학회 2016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4 No.3

        목적 : 본 연구는 작업치료사 구인공고를 분석하여 작업치료사 구직 시장의 동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분석 자료는 2011년부터 2015년까지 오티브레인 커뮤니티(http://otbrain.com/)에 게시된 8,753건의 작업치료사 모집 공고를 수집하여 지역별, 고용형태별, 급여수준별, 시기별, 모집분야별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 분석 결과, 최근 3년간 연도별 구인공고 건 수가 연도별 작업치료사 국가시험 합격자 수보다 500건 이상 더 많았다. 지역별로는 서울과 경기도의 구인공고 건 수가 5,272건(60.2%)으로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었다. 고용형태별로는 구인공고 건수 중에서 정규직이 6,467건(73.9%)으로 나타났다. 급여수준별로는 6,944건(79.8%)이 2,500만원 미만으로 나타났다. 시기별 기준으로 구인공고가 가장 활발하게 게시되는 시기는 12~1월이고 5월에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모집분야별로는 성인/노인 분야가 80.0%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는 구인공고를 통하여 작업치료 구직 시장의 변화를 알 수 있었으며, 추후 구인공고를 좀 더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다양한 분야별 수요와 공급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겠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job market for occupational therapists by analyzing job advertisements. Methods : Data were collected from an online community site. A total of 8,753 job advertisements from 2011 to 2015 were analyzed according to region, employment pattern, pay level, month, and field of recruitment. Results : According to the region, the number of job advertisements was 5,272 (60.2%) in Seoul, Gyeonggi-do, and concentrated metropolitan areas. According to the employment pattern, the number of regular workers who responded to the job advertisements was 6,467 (73.9%). The highest percentage of full-time recruitment appeared in Daegu (86.1%). According to the pay level, less than 25,000,000 won was paid in 6,944 of the cases (79.8%). According to time, the job advertisements were most frequently published from December to January. According to the field of recruitment, jobs for adult/elderly care units were at more than 80%. Conclusion : This study showed a changing job market in the field of occupational therapy, and further research on demand and supply for various fields is needed for helping make a policy for occupational therapy supplements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