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U의 가상자산 규제 체계 및 시사점

        박영윤 한국금융법학회 2022 金融法硏究 Vol.19 No.1

        본고는 EU 집행위원회가 마련하여 시행할 예정인 MiCA를 중심으로 EU의 가상자산 규제체계를 소개한다. 가상자산 중 주식, 사채 등 전통적 투자 대상과 유사한 것은 MiFID에 따른 양도가능증권개념에 포섭될 수 있고, 이에 대해서는 기존의 증권규제가 적용된다. MiCA는 양도가능증권에 해당하지 않는 가상자산을 ① 복수의 법정통화 혹은 법정통화 이외의 다른 재산에 가치를 고정시키는 자산연동형 토큰, ② 하나의 법정통화에 가치를 고정시키는 전자화폐토큰, ③ 그 밖의 토큰으로 나누어 제시하면서 이를 규율한다. MiCA는 가상자산 발행자의 백서 공개, 불공정거래행위 금지 등을 정하고 있다. MiCA는 가상자산 서비스 공급자에 관해 규정하면서 지배구조 및 인가에 관한 사항, 영업행위 규정 등을 정하고 있다. 가상자산 발행인, 가상자산 서비스 공급자에 관한 MiCA 규정들은 MiFID등 증권 규제의내용을 그대로 혹은 일부 바꾸어 제시한 것으로 이해된다. 크게 보아 MiCA는 동일한 위험, 기능에 대해서는 동일한 규제를 적용한다는 원칙에 입각해 기존의 증권규제를 가상자산에확대하는 것으로 요약된다. 다만 가상자산과 전통적 금융거래의 기술적 차이, 가상자산의 종류별 차이 등을 고려하면증권규제 원리로만 가상자산을 일률적으로 규율할 수는 없다. 특히 MiCA는 자산연동형 토큰, 전자화폐 토큰에 대해 준비자산의 확보 및 운영에 관한 규제 사항에 중점을 두고 있는데, 이는 이른바 스테이블코인의 경우 가격의 안정성 확보가 투자자 보호의 관건이 된다는점을 고려한 것이다. 한편 블록체인 관련 규제 샌드박스에 해당하는 시험 체계 Regulation 역시 도입될 예정이다. 시험 체계 하에서 중앙예탁기관에 의한 거래 기록 의무 등과 같이 블록체인을 활용한증권 거래에 맞지 않는 법률 조항은 사업자의 신청과 감독당국의 허가에 의해 일정 기간 면제될 수 있다. 이는 사업자와 감독기구 모두에게 블록체인 기술을 통한 증권 청산, 결제 시스템의 혁신 가능성을 시험하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 KCI등재

        안정동위원소 조성을 이용한 TCE 오염원 규명방법 소개

        박영윤,이진용,나원종,김락현,최필성,전성천,Park, Youngyun,Lee, Jin-Yong,Na, Won Jong,Kim, Rak-Hyeon,Choi, Pil Sung,Jun, Seong-Chun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13 지하수토양환경 Vol.18 No.3

        This study was performed to summarize application of ${\delta}^{13}C$, ${\delta}^{37}Cl$ and ${\delta}D$ of trichloroethylene (TCE) to studies on environmental forensic field regarding identification of TCE sources and evaluation of contribution of TCE to groundwater using data collected from literatures. ${\delta}^{13}C$, ${\delta}^{37}Cl$ and ${\delta}D$ of TCE give some information regarding sources of TCE because they show specific value according to manufacturing method. Also, TCE do not show a significant isotopic fractionation owing to adsorption and dilution. The isotopic fractionation mainly occurs by biodegradation. In addition, isotopic fractionation factor for TCE is different according to a kind of microorganism participated in biodegradation. However, the isotopic data of TCE have to be applied with chemical compositions of TCE and other hydrogeologic factors because isotopic fractionation of TCE is influenced by various factors.

      • KCI등재

        강원특별자치도 평창 백룡동굴 동굴수의 지구화학적 특성

        박영윤,김련,이종희,최문복 대한지질공학회 2023 지질공학 Vol.33 No.3

        이연구는 백룡동굴 내 동굴수의 지구화학 특성을 평가하고 이를 이용하여 동굴수의 기원 및 유동특성을평가하기 위해서 수행하였다. 2022년 6월부터 2023년 5월까지 백룡동굴 주변 동강에서 2개 지점(WE1 과 WE2)과 내부 4개 지점(WE3~WE6)에서 하천수와 동굴수를 각각 채취하여 주요 용존성분을 분석하였다. 하천수와 동굴수는 모두 Ca-HCO3형으로 구분되었다. 모든 동굴수에서 탄산염 광물이 과포화 상태이므로 동굴 내부에서 탄산염 광물이 침전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동굴수는 기원지와 물-암석 반응 정도의 차이로 인해 흐름이 있는 지점(WE3과 WE6)과 휴석소(WE4와 WE5)의 지구화학 특성이 뚜렷이구분되었다. WE6은 동강으로부터 유입되었고 WE3을 통과하여 동강으로 유출된다. WE4와 WE5는 강수로부터 공급되지만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동굴로 유입된다. This study presents the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ave water to evaluate its origin and flow path. From June 2022 to may 2023, river water was collected at two sites (WE1 and WE2) in the Donggang River around Baengnyongdonggul Cave, and cave water was collected at four sites (WE3 to WE6) inside Baengnyongdonggul Cave. Water samples were analyzed for major dissolved components. Both river and cave waters were classified as Ca-HCO3 type. All cave water samples were supersaturated in carbonate minerals, suggesting that carbonate minerals would precipitate within the cave. Due to differences in the source of cave water and the degree of water-rock interaction, the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water from sites where the flow of cave water is observed (WE3 and WE6) and rimstone pools (WE4 and WE5) could be clearly distinguished. The cave water at WE6 flows in from the Donggang River, then passes through WE3 and flows back out into the Donggang River. The cave water at WE4 and WE5 is supplied from precipitation, but the flow path of cave water at WE4 and WE5 is different.

      • KCI등재

        Geochemical properties of groundwater affected by open loop geothermal heat pump systems in Korea

        박영윤,김남주,이진용 한국지질과학협의회 2015 Geosciences Journal Vol.19 No.3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chemical and isotopic compositions of groundwater used in open loop GHP systems and natural groundwater around the open loop GHP systems and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open loop GHP systems’ operation on groundwater chemistry in Korea. The water temperature of groundwater used in open loop GHP systems ranged from 6.0 to 37.1 °C and decreased by 6.7 to 11.6 °C compared with that of natural groundwater around the open loop GHP systems. The pH, EC, Eh, Fe2+, and Mn2+ of the groundwater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open loop GHP systems’ operation. The groundwaters used in open loop GHP systems showed various water types, such as Ca-HCO3, Ca-Cl, Ca-SO4, and Na-HCO3. Although HCO3 – and Cl– concentrations were slightly influenced by open loop GHP systems at some sites, the groundwater chemistry used in the open loop GHP systems did not significantly change at most sites. In addition, carbonate and silica minerals and minerals containing Mn were in undersaturated condition, which indicates that the precipitation of these minerals will not occur. However, some minerals containing Fe, such as Fe(OH)3, goethite, and hematite can be precipitated as scale within these system. In the open loop GHP systems selected in this study, the influence of open loop GHP systems on groundwater chemistry is not revealed sufficiently because of short-term monitoring of groundwater chemistry. However, integrated longterm monitoring is necessary to evaluate influence of open loop GHP systems on groundwater chemistry and to improve our understanding of the environmental impacts related to these systems.

      • KCI등재

        강원도 지역 골재의 현황과 지구화학적 특징

        박영윤,유재영,김용재,채정석,장병욱 대한지질학회 2019 지질학회지 Vol.55 No.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status and to evaluate the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nstructional aggregate using its mineral compositions and major component contents in Gangwon area. In 2016, Gangwon Province produced 22,659 m3/year aggregate which is 6.4 times bigger than 2005 production. In 2018, 140 companies were registered as the aggregate suppliers in Gangwon Province. The aggregate products are used in manufacturing remicon (40.3 %), road subbase (15.3 %), and ascon (8.1 %). In this study, the aggregate was classified into sand and gravel and 117 samples were collected from 85 aggregate companies to analyze mineral compositions and major component compositions. Sand and gravel are mainly composed of quartz (14.3~84.3%), plagioclase (0~42.9%), K-feldspar (0~31.1%), muscovite (0~24.8%), and biotite(0.4~20.3%). Sand did not show any tendency of variation against with SiO2 content change, but in gravel, Al2O3, K2O and Na2O were increased with SiO2 content increase and CaO and L.O.I. decreased. Because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products which were mixture of the samples that had experienced different geological processes, there was a limit to understanding the petrogenesis, evolution, and weathering of the rocks. 이 연구는 강원도 지역에서 생산되는 골재의 현황을 분석하고 골재의 광물조성과 주성분의 함량을 이용하여골재의 지구화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2016년에 강원도에서 생산된 골재는 2005년에 비해 약 6.4배 증가한22,659 m3/년이다. 2018년에 강원도 내 140개의 골재채취업체가 등록되어 있었다. 생산된 골재는 레미콘(40.3%), 도로기반재료(15.3%), 아스콘(8.1%) 등에 사용된다. 이 연구에서는 골재를 모래와 자갈로 구분하고85개 골재생산업체에서 117개의 시료를 채취하여 광물조성과 주성분을 분석하였다. 모래와 자갈은 주로 석영(14.3~84.3%), 사장석(0~42.9%), K-장석(0~31.1%), 백운모(0~24.8%), 흑운모(0.4~20.3%)로 구성된다. 모래는 SiO2의 함량변화에 따라 증가 또는 감소경향을 뚜렷이 보여주는 성분들이 관찰되지 않았으나 자갈에서는SiO2의 함량증가에 따라 Al2O3, K2O, Na2O는 증가하고 CaO와 L.O.I.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번 연구는서로 다른 지질작용을 겪은 시료가 혼합된 제품을 대상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암석의 성인, 진화 및 풍화를 이해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 KCI등재

        밀폐형과 개방형이 결합된 복합지열시스템의 지중열교환기 성능 분석

        박영윤,송재용,이근춘,김기준,목종구,박유철,Park, Youngyun,Song, Jae-Yong,Lee, Geun-Chun,Kim, Ki-Joon,Mok, Jong-Koo,Park, Yu-Chul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17 지하수토양환경 Vol.22 No.5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performance of geothermal heat exchanger (GHE) in the combined well and open-closed loops geothermal (CWG) systems. The CWG systems were designed to combine open loop geothermal heat pumps and closed loop geothermal heat pumps for high energy efficiency. GHE of the CWG systems could be installed at pumping wells for agricultural usage. To get optimal heat exchange capacity of GHE of the CWG systems, 4 GHEs with various materials and apertures were tested at laboratory scale. Polyethylene (PE) and stainless steel (STS) were selected as GHE materials. The maximum heat exchange capacity of GHEs were estimated to be in the range of 33.0~104 kcal/min. The heat exchange capacity of STS GHEs was 2.4~3.2 times higher than that of PE GHE. The optimal cross section area of GHE and flow rate of circulating water of GHE were estimated to be $2,500mm^2$ and 113 L/min, respectively. For more complicated GHE of the CWG systems, it is necessary to evaluate GHEs at various sca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