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통영연안의 패류양식장 중단 이후 다모류 군집구조의 변화

        박소현,김선영,심보람,박세진,김형철,윤상필,Park, Sohyun,Kim, Sunyoung,Sim, Bo-Ram,Park, Se-jin,Kim, Hyung Chul,Yoon, Sang-Pil 해양환경안전학회 2021 海洋環境安全學會誌 Vol.27 No.5

        The recovery of the sedimentary environment around a fallowing shellfish farm during its rest period after 20 years of long-running operation, was explored in Tongyeong Bay of Korea. Seasonal survey on macrobenthos community was conducted from July 2016 to September 2018 at five stations, which included the fallowing shellfish farm after 20-year operation (FF), a newly installed shellfish farm (NF), a shellfish farm for comparison around the closed shellfish farm (CF), and control stations with no farming activities (Con1, Con2). The total number of species and the density of macrobenthos were higher at the shellfish farm stations than the non-shellfish farm station, and their seasonal changes were significant. The dominant species at the shellfish farm stations was Capitella capitata while Paraprionospio patiens was dominant at the non-shellfish farm stations. The two dominant species were potential organic contamination indicators usually inhabiting the areas with dense organic matter. This suggests that the overall survey area was highly polluted with organic matters. Mult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the macrobenthic community of CF changed to a level similar to that of Con1 immediately after the investigation, but not to a state above the Con1 level. Furthermore, the changes in NF were not significant when compared to those in CF. 본 연구에서는 장기간 운영된 양식장에 휴지기가 주어졌을 때, 양식장 주변 퇴적 환경에서 나타나는 회복상태를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경남 통영의 수하식 굴양식장 일대에서 대형저서다모류 군집을 조사하였다. 2016년 7월부터 2018년 9월까지 20년간 운영된 후 폐쇄된 양식장(FF), 양식장의 이동으로 새롭게 설치된 양식장(NF), NF와 인접한 비교대상의 굴양식장(CF), 그리고 양식시설이 없는 두 개의 대조지역(Con1, Con2) 등 5개 정점에서 현장조사를 수행하였다. 출현종수와 서식밀도는 여름철에 감소하고 늦가을철 부터 증가하는 계절 변동을 보였으며, 양식장 정점들이 비양식장 정점들에 비해 높았다. 출현종의 상위우점종은 비양식장 정점에서는 Paraprionospio patiens, 양식장 정점에서는 Capitella capitata로 차이를 보였으나, 두 종 모두 유기물이 심한 지역에서 출현하는 잠재적 유기물 오염지시종으로 조사지역 저서환경의 유기물 오염이 상당히 진행되었음을 나타내었다. 다변량분석 결과, FF가 Con1과 군집구조가 유사한 수준으로 변화하였지만 Con1 이상의 상태로 회복을 나타내지 않았다.

      • KCI등재

        기업 간 거래망에 기초한 기능적 경제권의 설정

        박소현,권규상,박소영,Park, Sohyun,Kwon, Kyusang,Park, Soyoung 한국경제지리학회 2020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23 No.1

        본 연구는 기업 간 거래망을 활용하여 지역 간 경제적 연계를 확인하고 경제적 상호의존성에 기초한 기능적 경제권을 설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기존의 경제권은 이미 알려진 행정도 경계나 문화적 동질성을 기준으로만 설정되거나 실증자료를 활용하더라도 통근, 인구이동, 화물흐름 등 경제활동을 충분히 설명하지 못하는 자료에만 의존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한국기업데이터의 CRETOP+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실제 기업 간 거래망을 구축하고, 커뮤니티 발견법을 적용해 우리나라의 기능적 경제권을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거래망에 따라 6~7개의 경제권이 도출되었다. 특히 수도권, 충청권, 강원권을 통합한 하나의 거대한 경제권역이 형성되어 있었으며, 전북, 전남은 서로 간의 기업 간 거래빈도가 매우 낮아 호남권으로 묶이기보다 별도의 경제권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 경북의 경제권과 부산, 경남의 경제권이 각각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울산, 경주, 포항은 도 경계를 넘어서 별도의 권역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향후 국가균형발전정책에서 실증 자료에 기반한 정책공간의 설정이 필요함을 주장한다. The study aims to identify economic interdependencies between regions and define functional economic areas of Korea by analyzing inter-firm transaction networks. Previous research has relied on pre-given administrative boundaries or cultural homogeneity and used data such as commuting, population movement, and cargo flows which could not fully explain economic activitie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this study applies a community detection method to inter-firm transaction networks derived from the CRETOP+ database of Korean corporate data. The novel dataset and the network analysis enables us to identify Korea's functional economic areas based on actual inter-firm linkages. The result shows that there are six to seven economic blocs in the networks as of 2018. In particular, one huge economic bloc is formed integrating the Seoul metropolitan area, Chungcheong, and Gangwon provinces. Meanwhile, North Jeolla and South Jeolla provinces form two economic blocs separately rather than being tied up in one bloc due to the low frequency of transactions between each other. The two big economic blocs of Daegu-Gyeongbuk and Busan-Gyeongnam exist, and interestingly, Ulsan, Gyeongju, and Pohang form a separate middle-sized bloc across the administrative boundaries. The results reveal that the future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policies should be implemented based on functional economic areas derived from empirical data.

      • KCI등재

        인삼(人蔘)과 홍삼(紅蔘)의 네트워크 약리학적 분석 결과 비교

        박소현,이병호,진명호,조수인,Park, Sohyun,Lee, Byoungho,Jin, Myungho,Cho, Suin 대한한의학방제학회 2020 大韓韓醫學方劑學會誌 Vol.28 No.3

        Objectives : Network pharmacology analysis is commonly used to investigate the synergies and potential mechanisms of multiple compounds by analyzing complex, multi-layered networks. We used TCMSP and BATMAN-TCM databases to compare results of network pharmacological analysis between White Ginseng(WG) and Red Ginseng(RG). Methods : WG and RG were compared with components and their target molecules using TCMSP database, and compound-target-pathway/disease networks were compared using BATMAN-TCM database. Results : Through TCMSP, 104 kinds of target molecules were derived from WG and 38 kinds were derived from RG. Using the BATMAN-TCM database, target pathways and diseases were screened, and more target pathways and diseases were screened compared to RG due to the high composition of WG ingredients. Analysis of component-target-pathway/disease network using network analysis tools provided by BATMAN-TCM showed that WG formed more networks than RG. Conclusions : Network pharmacology analysis can be effectively performed using various databases used in system biology research, and although the materials that have been reported in the past can be used efficiently for research on diseases related to targets, the results are unreliable if prior studies are focused on limited or narrow research areas.

      • KCI등재

        帝國의 취미

        박소현(Park Sohyun) 한국미술연구소 2004 美術史論壇 Vol.- No.18

        Yi Dynasty Museum is known to have been established for the purpose of making Sunjong, the king of Joseon, feel 'taste' at his everyday life. But the meaning of 'taste' written in Japanese is dubious either because it is not the familiar usage in Korean or because the political situation was very complicated for the threatening of imperialist Japan in that period Without the political context of that period, therefore, it cannot be understood correctly. This research is intended to investigate how the status of that museum changed accordingly, what relationship between the change and 'taste' was established, and what spectrum of meaning the conception of 'taste' had within the cultural discourses and practices in that period It will reveal how the Westem aesthetic conceptions such like 'taste' were used as dominating instruments by imperialist Japan. To begin with, since established as a part of royal garden in 1909, Yi Dynasty Museum changed its name to Changyeongwon Museum after the name of the location, and then to Yi Dynasty (Private) Museum at the moment of the annexation of Joseon by imperialist Japan. This change is deeply associated with the deprivation of political and financial power from d1e royal family of Joseon And it was paralleled by the aestheticization of royal palace, which caused to take royal palace not as the centre of political practices in Joseon but as an an work displayed in museum. Ultimately, this display of the everyday life of royal family as well as the palace itself contributed to exhibit colonial domination as a business of civilization. So it can be thought that the purpose of that museum, which would make Sunjong feel 'taste', was a nominal, and never long-lasting alibi for disguising the imperialist mastery of Japan. Moreover, the range of people enjoying the 'taste' was not limited to the royal family, and rather, from the beginning was planned to encompass the public whether they are Korean or Japanese. Japanese colonialists thought that there was no 'taste' with regard to earnest and noble-minded entertainments in Joseon, and so desired to establish cultural facilities such as public gardens, libraries, music halls, museLU11S, etc. This is because they thought of 'taste' as the expression of civilized status, and as the criterion which differentiates between Japan and Joseon at the same time manifests the gap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domination of Japan. In a word, this plan to make Kyeongseong the capital of colonial Joseon tasteful was not only for the practical problem to tempt Japanese immigrants to the new territory Joseon, but for training the museum visitors of Joseon as an obedient nation through museum and Japanese 'taste' such like the enjoyment of cheny blossom. This Japanese taste was showed as no other than the modem and fashionable taste of civilized man. In addition, one of the principal function of Yi Dynasty Museum was connected with the tourism into Colonial Joseon, which was expected to contribute to improve Japan's international balance of payments. The fundamental quality of tourism to Joseon was as same as that of museum established in Joseon on the ground that Both of them were subordinate to the goal demonstrating the progress of Joseon after the domination of Japa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ay that the tourism to colonial Joseon was another expression of imperial 'taste.' It depended on the idea that Imperialist Japan was the protector and conservator of the traditional culture of Joseon as well as Joseon itself. Yi Dynasty Museum was the symbolic monument of that imperialist idea. and was considered as though it had been an essence of Jose on tourism with drawing up guidelines on that colonial tourism for Japanese and Western tourists, The objects displayed in that museum were, consequently, incorporated into the national culture of Japan through the politics of 'taste' conspired with Yi Dynasty Museum.

      • KCI등재

        미술의 공공성을 둘러싼 경합의 위상학

        박소현(Sohyun Park)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2009 한국근현대미술사학 Vol.20 No.-

        In Japan modern “Art” started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building nation-state, so the status of art within the nation-state and the subjects of art administrating were changed and adjusted under the competitions and debates among various positions. With this perspective, I intended to shed light on the process that the artist and the art critic had be born in Japan, especially focusing on the struggles between the artist and the art critic for the publicity of art staged in the official art competition.

      • KCI등재
      • KCI등재

        구글 아트 앤 컬처(Google Arts & Culture)의 ‘비영리’ 전략에 대한 비판적 고찰 : 뮤지엄의 공공성을 전용하는 디지털 플랫폼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

        박소현(Sohyun Park) 한국예술경영학회 2021 예술경영연구 Vol.- No.59

        본 논문은 팬데믹 상황을 계기로 더욱 급속히 확장되고 있는 디지털 환경 속에서박물관·미술관의 공공성이 이전과는 다른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음을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박물관·미술관 연구의 이론적 지평을 확장적으로 재구성하고, ‘구글 아트 앤 컬처’에 대한 사례분석을 수행했다. 이론적으로는 박물관·미술관에 대한 디지털 기술의 적용에 관한 기존의 논의들이 내포하고 있는 도구적 관점과 기술낙관주의의 현재성을 검토하고, 이러한 논의들에서 생략되어 온 최근의 박물관·미술관학적 쟁점들, 특히 신자유주의적 정책의 광범위한 확산 속에서 박물관·미술관의 공공성에 관한 규범적 논의들의 수정과 축소로 인한 위기적 인식들을함께 전면화하려 했다. 이러한 이론적 논의들 위에서 본론에서는 박물관·미술관의공공성을 규정하는 중요한 개념인 ‘비영리성’이 어떻게 구글에 의해 중요한 비즈니스 전략으로 채택되어 활용되었는지를 비판적으로 검토했다. 그럼으로써 본 논문은박물관·미술관에 대한 신자유주의화와 정부의 공공기능 실패, 박물관·미술관의공공성의 위기, 박물관·미술관의 공공성을 전용하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한 구글의 ‘비영리’ 전략 등이 밀접한 연관 관계를 갖고 전개되어 왔음을 논하고자했다. 그 어떤 기업보다도 첨단 디지털 기술로 무장한 구글 아트 앤 컬처 프로젝트는 박물관·미술관의 공공성을 유용한 수익창출 모델로서 전용하면서, 박물관·미술관의 공공성을 규정하는 마지막 보루라 할 수 있는 ‘비영리성’ 개념을 무력화했다. 그리고 기술낙관주의는 이러한 일련의 기획들을 가속화하고 그에 장벽이 되는정책과 규제, 신념과 문화를 해체하는 동력이 되고 있다. 그런 점에서 구글 아트 앤컬처는 박물관·미술관의 공공성 개념이 그 어느 때보다도 논쟁적이고 급진적인 전환의 시점에 처해 있음을 환기시키는 중요한 사례라 할 것이다. I intended to discuss the new phase of the publicness of museums in a digital environment with the Goole Arts & Culture Project. To this end, I critically examined the instrumental approaches and technological optimism in the application of digital technology to museums, and scrutinized the recent museological issues, particularly the revision or curtailment of the museum’s publicness amid the spread of neoliberal policy, which have been omitted within those technological approaches. This is because the meaning of Google Art & Culture can be considered more effectively through an extended theoretical reconstruction. Based on these theoretical discussions, I critically reviewed how the non-profit, an important concept that defines the publicness of museums, was adopted and utilized as an business strategy by Google. As a result, I wanted to reveal that the neoliberalization of museums, the failure of the government’s public function, the crisis of museum’s publicness, and Google’s non-profit strategy have been closely related. Armed with advanced digital technology, the GAC project appropriated the publicness of museums as a useful profit-making model. As such, now the concept of publicness of museums is at a point of more controversial and radical transformation than ever before.

      • 밀레니얼 세대를 위한 여가 활동 추천 AI 서비스 ‘쉼표’ 어플리케이션 제안

        박소현(Sohyun Park),강현구(Hyounku Kang),김근영(Geunyoung Kim),김혜선(Hyesun Kim),한우정(Ujeong Han),최준호(Junho Choi) 한국HCI학회 2020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0 No.2

        여가 시장의 규모가 빠른 속도로 성장하면서 관련 컨텐츠와 서비스 사업도 다양화되고 있다. 밀레니얼 세대는 여가 활동 관련 산업의 주요 타겟이나 그들의 니즈를 정확히 파악하고 충족하는 서비스는 국내에서 찾아보기 힘들다. 쉼표는 쉬고자 하는 의지는 있으나 어떻게 쉬어야 하는지 모르는 밀레니얼 세대에게 적절한 여가 활동과 쉼의 방식을 제안하고자 하는 인공지능 추천 서비스이다. 여러 차례의 유저 인터뷰 및 설문 조사를 통해 밀레니얼 세대의 니즈를 구체적으로 파악하였으며 이후 도출한 컨셉으로 서비스 청사진과 스토리보드를 완성하였다. 문헌조사를 기반으로 유저의 성향 및 사용 맥락에 맞게 여가 활동을 분류하였고 이후 프로토타입에 대한 a/b 테스트 및 사용성 테스트를 거쳐 서비스를 정교화 하였다. 쉼없이 달리기만 하고, 정작 쉬어야 할 때 어떻게 쉬어야 할 지 모르는 밀레니얼 세대에게 인공지능 데이터를 기반으로 여가 활동을 추천하여, 유저가 자기 주도적으로 설레는 일상을 지속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를 제안하고자 한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고려자기’는 어떻게 ‘미술’이 되었나 - 식민지시대 ‘고려자기열광’과 이왕가박물관의 정치학

        박소현(Park Sohyun) 한국사회조사연구소 2006 사회연구 Vol.- No.11

          이 논문은 고려자기의 미적 가치가 형성되는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순수미술의 신화와 박물관의 정치학이 식민지 지배라는 정치적 상황속에서 작동하는 방식을 고찰한 것이다. 이 과정은 성역이었던 고분들의 ‘도굴’로 ‘고려자기 열광’이 발생하고 이왕가박물관이라는 제도가 설립되었던 점을 출발점으로 한다. ‘고려자기 열광’은 일본 컬렉터들의 다도 취미와 고미술품 수집이라는 문화적 맥락에서 발생해, 이왕가박물관을 통해 식민지 지배를 정당화하는 문화적 논리 산출에 기여했다. 그 대표격인 ‘조선예술쇠망론’은 조선(예술)의 쇠망과 일본이 조선(예술)의 보호자가 될 수밖에 없는 필연성을 주장했다. 이 ‘조선예술쇠망론’ 속에서 ‘고려자기’가 ‘조선예술의 정화’로 자리잡은 것은, ‘고려자기’가 일본적 ‘전통’인 ‘다도 취미’의 맥락 내에 수렴되었기 때문이다. 이는 이왕가박물관이 일본인 지배계급의 미적 취향에 공인된 문화적 가치를 부여하고 보증해 주는 기능 또한 담당했음을 의미한다. 이에 대해 아사카와나 야나기 등이 조선자기의 미적 가치를 주장하면서 지식인 부르주아 계급의 고유한 미적 가치를 수립한 점이나, 고려자기를 조선 민족의 ‘소유’로 회수한다는 대의 아래 행해진 간송 전형필의 수집은, 이왕가박물관이 창출해 낸 ‘조선예술쇠망론’이나 ‘보호자’로서의 정당성을 상대화했다. 이는 당시 고려자기라는 ‘전통’이 완결된 형태로 존재했던 것이 아니라, 고려자기의 미적 가치 및 수집을 둘러싼 당대의 경합을 통해서 끊임없이 충돌과 조정에 직면해야 했던 일종의 복합물이었음을 시사해 준다. 그러나 식민지 관료들에 의해 운영된 이왕가박물관은 이러한 경합의 과정을 상쇄시키는 힘이자, 고려자기에 내포된 복합적인 의미들에 접근하는 것을 차단하는 장치로 기능했다. 즉, 고려자기에 관한 미적 가치가 식민지 지배 논리와 강하게 유착됨으로써, 이왕가박물관은 복수의 이질적인 미학들이 박물관 내에서 경합을 벌이는 장으로 기능할 수 없었던 것이다. 여기에 이왕가박물관의 정치학의 핵심이 있으며, 당시 연이은 사설미술관들의 설립은 이를 반증해 주는 현상이었다.   Goryojagi(the porcelain of Goryo Period) became Art and a new "tradition" through tomb-raiding and Yiwanga Museum(Royal Museum of Yi Dynasty) in the colonial period of Korea. Chasyumi(Japanese taste for tea) gave birth to Goryojagi-mania within Japanese high circles in colonial Korea. Goryojagi-mania contributed to produce the cultural rhetoric rationalizing colonialism, by constructing the "theory of perishment of Korean art" and making the image of Japan as a protector of Korean tradition and art. Within this theory, Goryojagi was ranked as "the flower of Korean art" because it was incorporated into the context of Chasyumi Japanese "tradition". But Asakawa Noritaka and Yanagi Muneyoshi insisted the artistic value of Joseonjagi(the porcelain of Joseon Period) over that of Goryojagi. Also, Gansong Jeon-hyungpil, the biggest Korean art collector, collected a large number of Goryojagis to retrieve Korean people"s own proprietary right to it. Both played a role relativatizing Japanese self-justification as protector and the "theory of perishment of Korean art". This means that the "tradition" of Goryojagi was not a completed one but a kind of hybrid or process. But the ritual of museum, making objects under colonial domination into Art, was the power checking the access to the hybridous meaning of Goryojagi. The core of politics of Yiwanga Museum was the very close relationship between colonial domination and the ritual of A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