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임신시 모유 수유 계획의 실천에 대한 추적 관찰

        김혜순,서정완,김용주,이기형,김재영,고재성,배선환,박혜숙,Kim, Hae Soon,Seo, Jeong Wan,Kim, Yong Joo,Lee, Kee Hyoung,Kim, Jae Young,Ko, Jae Sung,Bae, Sun Hwan,Park, Hye Sook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3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6 No.7

        목 적 : 임신 시 모유 수유를 계획한 수유모의 모유 수유 실천과 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본 조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임신 시 모유 수유를 계획했던 1,128명 중에서 지역과 병원급을 층화하여 무작위 추출한 152명을 연구의 대상으로 하였다. 2001년 11월부터 2002년 3월까지 연구 대상자의 출산 후 4개월에 전화로 설문을 실시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 과 : 1) 임신 시 모유 수유를 계획한 수유모 중에서 출산 4개월 후의 모유 수유율은 37.5%였고, 실패 이유는 66.3%가 모유가 나오지 않거나 양이 적어서라고 대답하였고 그 외 수유모의 직장 또는 일 13.7%, 수유모의 질환 7.4%, 변이 묽어서 5.3%, 아기의 질병 4.2% 등이었다. 2) 수유모의 연령, 자녀의 유무, 모유 수유를 결정한 사람, 가족의 형태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임신 시 모유 수유를 4개월 이상으로 계획했던 경우 모유 수유율이 2.3(95% 신뢰구간 1.15-4.62)배로 유의하게 높았다(P<0.05). 3) 전문대졸 이상의 수유모의 모유 수유율이 고졸 수유모보다 0.43(95% 신뢰구간 0.21-0.86)배로 유의하게 낮았으며 취업 수유모의 모유 수유율이 0.37(95% 신뢰구간 0.17-0.83)배로 유의하게 낮았다(P<0.05). 4) 모유 수유 장점과 수유의 방법에 대한 인식항목 20개에 대한 점수의 중앙값 12점을 기준으로 할 때 12점 이상인 사람의 모유 수유율은 41.5%였던 반면, 12점 미만인 경우 34.5%의 모유 수유율을 보여 인식이 높은 군이 낮은 군에 비해 1.35(95% 신뢰구간 0.70-2.62)배의 모유 수유율을 보였다(P>0.05). 5) 출산 장소가 산부인과 의원인 경우 종합병원 보다 모유 수유율이 3.97(95% 신뢰구간 11-14.23)배로 유의하게 높았다(P>0.05). 출산아 성별, 병원내 모유 수유, 모자동실 및 분만 형태에 따른 모유 수유율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 론 : 모유 수유율 높이기 위해서 적극적인 산전 교육과 출산 후 병의원에서 모유 수유를 할 수 있도록 모자동실, 모유 수유 상담 및 교육이 적절하게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취업 수유모의 모유 수유를 위한 공간과 시설 및 휴가 문제 등이 사회 정책이나 국가 정책으로 제도화 되어야 할 것이다. Purpose : To investigate the success rate and factors that influence breast-feeding among women having antenatal breast-feeding plans. Methods : Questionnaires included items on success in breast-feeding, reasons for failure and perinatal factors. It was done by telephone calls to 152 randomly selected women having antenatal breast-feeding plans at 4 months after delivery. The questionnaires were analysed by bivariate ${\chi}^2$-analysis. Results : The breast-feeding rate for the first four months among women having antenatal breast-feeding plans was 37.5%. The major reason for breast-feeding failure was insufficient amount of breast milk(66.3%). The breast-feeding rate was 2.3(95% CI 1.15-4.62) times higher in women having antenatal breast-feeding plans for longer than 4 months(P<0.05), but maternal age, breast-feeding for previous baby, person advocating breast-feeding, and family size were not significant factors of success in breast-feeding. The breast-feeding rate of graduates of college was 0.43(95% CI 0.21-0.86) times lower than that of graduates of high school. The breast-feeding rate of employed mothers was 0.37(95% CI 0.17-0.83) times lower than that of housewives(P<0.05). Maternal disease, smoking, alcohol drinking, and understanding and knowledge about breast-feeding were not significant determinant factors of success in breast-feeding. Breast-feeding rate of infant born at local obstetric clinics was 3.97(95% CI 11-14.23) times higher than that of infant at general hospital(P<0.05). Conclusion : To increase the breast-feeding, medical personnel should educate mothers on problems during breast-feeding. Hospital polices that facilitate breast-feeding such as rooming-in must be promoted. For employed mothers, strategies for breast-feeding within companies must be encouraged.

      • SCOPUSKCI등재

        신생아에서 칼슘 및 인 대사 평가와 질환

        김혜순,Kim, Hae Soon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7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50 No.3

        In the early neonatal period, the neonate is challenged by the loss of the placental calcium transport and manifests a quick transition, from an environment in which PTHrP plays an important role to a PTH- and 1,25-dihydroxyvitamin D-controlled neonatal milieu. Disturbances in mineral homeostasis are common in the neonatal period, especially in premature infants and infants who are hospitalized in an intensive care unit. In many cases these disturbances are thought to be exaggerated responses to the normal physiological transition from the intrauterine environment to neonatal independence. Some disturbances in calcium and phosphate homeostasis are the result of genetic defects, which in many instances can now be identified at the molecular level. Although fetus develop remarkably normally in the presence of maternal calcium, PTH and vitamin D deficiency, the neonates demonstrate abnormalities that are consequences of the prior abnormal maternal calcium homeostasis.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hypocalcemia and hypercalcemia in neonate requires specific knowledge of perinatal mineral physiology and the unique clinical and biochemical features of newborn mineral metabolism.

      • KCI등재
      • SSCISCIE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위장관 폐쇄로 나타난 호산구성 위장관염 1 예

        김혜순(Hae Soon Kim),박승국(Soong Kook Park),윤영호(Young Ho Yoon),조광범(Kwang Bum Cho),권두영(Du Young Kwon),전상훈(Sang Hoon Jeon),박혜원(Hae Won Park),황재석(Jae Seok Hwang),허정욱(Jung Wook Hur),안성훈(Sung Hoon Ahn) 대한소화기학회 2002 대한소화기학회지 Vol.39 No.2

        Eosinophilic gastroenteritis is a rare disease of unknown etiology characterized by eosinophilic infiltration of the gastrointestinal wall and peripheral eosinophilia. It was first described by Kaijser in 1937. Histologically, it is mainly characterized by infiltration of eosinophilic leukocytes. Clinical features vary according to which layer and location are involved. Its pathogenesis is not clear, but allergic and immunologic etiologies are strongly suggested. In many cases of eosinophilic gastroenteritis, allergic diseases such as seasonal rhinitis, asthma and atopic eczema are often combined. A 52-year-old woman presented with dyspepsia, weight loss and abdominal discomfort. Partial obstruction of the distal jejunum and proximal dilatation confirmed by abdominal computed tomogram and small bowel series. We report this case with the review of relevant literature. (Korean J Gastroenterol 2002;39:119-122)

      • KCI등재
      • SSCISCIESCOPUSKCI등재
      • 외과적 복부질환으로 오인된 결핵성 복막염 1례

        김현진,김혜순,서정완,최금자,이선화,성순희,Kim, Hyun-Jin,Kim, Hae-Soon,Seo, Jeong-Wan,Choi, Kum-Ja,Lee, Sun-Wha,Sung, Sun-Hee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02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5 No.2

        저자들은 지속되는 고열과 복통을 주소로 입원한 10세 남아에서 외과적인 복부 질환이 의심되어 시험적 개복술을 시행하여 복막 조직 검사 소견과 복수에서 결핵균의 배양으로 확진하고 항결핵제 투여로 치료한 결핵성 복막염 1례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Childhood tuberculous peritonitis is difficult to diagnose especially in cases without pulmonary involvement. It may present as mechanical ileus, perforation, simulating acute appendicitis, enterocolitis or intusussception. Early diagnosis in children may be difficult, largely because of variable vague symptoms and nonspecific signs. Surgery has often been required for pathologic confirmation. We have experienced a case of tuberculous peritonitis presenting with abdominal pain, abdominal distension and persistent high fever in a 10-year-old boy who was diagnosed by explo-laparotomy and pathologic confirmation from biopsy specimen from omentum. The patient was treated with antituberculous drugs and recovered uneventfully.

      • SCOPUSKCI등재

        학동기 아동에서의 가와사끼병의 임상 특징

        박은영,김지혜,김혜순,손세정,Park, Eun Young,Kim, Ji Hye,Kim, Hae Soon,Shon, Sejung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7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50 No.3

        Purpose : Kawasaki disease (KD) rarely occurs in school-aged children. We clarified the characteristics of KD in this age group to provide tips for a high index of suspicion. Methods : Features of 38 patients with KD who were 7 years of age or older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Results : The incidence of the KD patients ${\geq}7years$ was 4.9 percent. The ratio of male to female was 2.5:1. Of the 38 patients, nine patients (24.0 percent) were diagnosed with typical KD and 29 patients (76.0 percent) with incomplete KD. In incomplete KD patients, cervical lymphadenopathy (69.0 percent) occurred most frequently, followed by conjunctival injection (62.0 percent) and polymorphous rash (45.0 percent). These patients occasionally presented with other additional symptoms including abdominal pain, headache, vomiting and arthralgia. Incomplete KD was initially diagnosed as cervical lymphadenitis (34.0 percent), viral infection (14.0 percent), scarlet fever (7.0 percent), meningitis (7.0 percent), and Kikuchi disease (7.0 percent). Coronary complications were noted in 15 patients (39.0 percent). Of the 37 patients treated with intravenous immunoglobulin, five (14.0 percent) were resistant to the therapy and all had coronary abnormalities. Conclusion : Most patients with KD ${\geq}7years$ of age have incomplete presentations. They tend to have a higher incidence of initial presentations of unilateral neck mass and coronary artery involvement. In school-aged children, fever and cervical lymphadenitis or suspected neck infection unresponsive to intravenous antibiotics should signal the possibility of KD. A high index of suspicion and prompt treatment is essential in this age group of patients. 목 적 : 학동기 아동에서의 가와사끼병은 드물게 나타나며 대부분 불완전한 양상을 보이므로 진단이 늦어지고 심혈관계 합병증의 발생이 증가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의 임상 특징을 조사하여 이 연령군에서 가와사끼병의 조기 진단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방 법 : 1995년 6월부터 2006년 5월까지 가와사끼병으로 입원하여 치료받은 7세 이상의 소아 38명을 대상으로 임상 특징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 과 : 연구 기간 중 7세 이상의 환아는 4.9%이었고, 남녀 비는 2.5:1이었고, 연령 분포는 7-12세였다. 76%가 불완전형 가와사끼병으로 이 때에는 발열을 제외하고 경부 림프절 비대가 가장 흔히 나타났고(69%), 다음으로 양측성 결막 충혈(62%), 부정형 발진(45%)의 순이었다. 또한 복통, 두통, 구토 및 관절통 등 다른 증상을 동반하는 경우가 있었다. 불완전형 가와사끼병의 초기 진단명은 경부 림프절염이 10명(34%)으로 가장 많았고, 그 외에 바이러스 감염 4명(14%), 성홍열 2명(7%), 뇌수막염 2명(7 %), Kikuchi 병(Kikuchi disease) 2명(7%)의 순이었다. 관상동맥 합병증은 15명(39%)에서 나타났고, 첫번째 IVIG 치료에 반응하지 않은 경우는 5명(14%)이었으며 이들에서 모두 관상동맥 병변이 발생하였다. 결 론 : 학동기 아동의 가와사끼병은 대부분 불완전형으로, 경부 림프절 비대가 흔하게 나타나며 심혈관계 합병증의 발생률이 높고 비특이적인 증상들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아 다른 감염성 질환으로 오진되기 쉽다. 따라서, 항생제 치료에 반응하지 않고 발열이 지속될 경우 가와사끼병의 가능성을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하며 조기 진단 및 치료를 함으로써 심혈관계 합병증의 위험성을 감소시켜야 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