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방 종합병원 간호사의 근무환경과 비판적 사고성향

        이지윤,박소영 한국간호과학회 간호행정학회 2014 간호행정학회지 Vol.20 No.2

        목적: 본 연구는 간호근무환경과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지방의 500병상 미만의 종합병원 중 편의 추출한 3개 기관의 전체 간호사를 468명을 대상으로 2012년 11월 8일에서 23일까지 2주간 윤(2004)이 개발한 비판적 사고 성향과 조 등 (2011)이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번안하여 검증한 한국어 버전 간호근무환경 도구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기술적 통계. 일원분산분석, 다중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간호근무환경과 비판적 사고성향의 평균점수는 각 각 3.3 (±0.4), 2.3 (±0.4)였다. 단변량 분석에서 비판적 사고성향은 연령과, 교육수준, 경력, 현재 직위, 결혼상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나 다변량 분석 결과 비판적 사고 성향과 교육수준, 간호근무환경의 하위영역 중에 간호사-의사의 협력관계의 관련성 확인되었다. 결론: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교육을 포함한 개인적 접근뿐 아니라 간호근무환경을 증진시키기 위한 조직적 노력이 필요하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actice environment of nursing and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f clinical nurses in local general hospitals. Methods: A convenience sample of 468 registered nurses was obtained from three local general hospitals. Data were collected by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during November, 2012. The survey tools were the K-PES-NWI verified by Cho et al (2011) and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nstrument developed by Yoon (2004).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one-way ANOVA with Scheffe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 Win 18.0. Results: The mean score for practice environment of nursing was 3.3 (±0.4) and for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2.3 (±0.4).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ccording to age, education, length of career, current position, and marital status. In multivariate analysis, factors related to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were collegial nurse-physician relations and education level.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collegial nurse-physician relations in the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are related to nurse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thus, it is important to improve the practice environment as well using individual approaches including on-the-job training to improve nurse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 SSCISCIESCOPUSKCI등재

        Approaches to Teaching Health Policy : Moving Students into the Political Process

        YomYoungHee ( 엄영희 ) 한국간호과학회 1995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25 No.1

        이 연구는 간호사의 보건정책과 정치에 대한 미래지도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써 한국의 4년제 간호학과에서 가르쳐야 할 보건정책과목을 상세하게 제시한다. 새로운 보건정책과목 개설을 위한 기초작업으로써, 미국 간호사들의 정치와 정책참여에 대한 사례를 열거하고 어떻게 간호사들이 정책에 참여하고 영향력을 발휘 했는지를 서술한다. 특히 Oregon plan과 지역사회 중심으로 형성된 연합체제와 간호정책 분석가의 역할이 소개된다. 간호사들의 사회 정치 진출의 한 방법으로써 간호교육에서의 보건정책과목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언급되며, 미국의 4년제 간호대학 학부과정, 석사과정, 박사과정에서 가르쳐지는 보건정책 과목이 소개된다. 간호정책 전문가로써의 등용문으로 알려진 Robert Wood Johnson Health Policy Internship과 Fellowship이 소개한다. 미국간호사들의 보건정책 참여방법과 현재 가르쳐지는 보건정책과목의 장점을 토대로 하여 우리의 실정에 맞는 간호학생을 위한 보건정책 과목이 제시되어진다. 보건정책과목의 목적과 내용이 자세히 서술되어지고 역동적인 실습과정이 소개되어진다. 또한 학과목으로 정착되기 위해서 필요한 새로운 전략이 서술되어 진다.

      • SSCISCIESCOPUSKCI등재

        Factors that Influence Nursing Image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박경애 ( Park Kyung Ae ),송미령 ( Song Mi Ryung ) 한국간호과학회 2001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31 No.4

        목적: 간호전문직 위상정립에 영향을 미치는 간호 이미지에 관해 대학생을 대상으로 그들이 지각하는 간호이미지와 바람직한 간호자질을 조사하여 전문직 간호사로서의 이미지 형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N.시에 있는 1개 대학교의 간호학생 92명과 일반학생 100명으로 총 192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한 서술연구이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 이미지정도를 살펴보면, 비간호학생군(A군)에서는 영화나 TV를 통해서 간호이미지가 형성된 것보다는 그렇지 않은 경우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F=4.81, p=.03), 신문이나 잡지에서는 의사의 보조역할로 비춰진 것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니타났다(F=3.41, p=.01). 반면에 간호학생군(B군)은 10% 유의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는 간호사와 간호조무사를 복장이나 행동을 보고 구분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2.25, p=.06).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사 자질정도를 보면, 두 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간호이미지와 간호사 자질간의 상관관계에서는 r=.720(p=.000)으로 높은 순 상관관계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간호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예측변인은 간호사 자질로 52% 설명할 수 있었으며, 여기에 영화나 TV를 통해 형성된 경우를 추가하면 54%, 간호학생인 경우를 추가하면 총 56%로 간호 이미지를 설명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할 수 있겠다. 1. 간호 대학생들이 긍정적인 간호 이미지를 경험하도록 올바른 윤리와 간호전문성을 정립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2. 간호사 이미지 향상을 위한 대중매체의 활용전략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SSCISCIESCOPUSKCI등재

        횡문화 간호에 관한 연구

        신경림 ( Shin Kyng Rim ) 한국간호과학회 1992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22 No.4

        세계가 일일 생활권화 됨과 더불어 국제교류가 활발해지므로써 횡문화 간호 연구는 전문직 간호(Professional Nursing)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음을 많은 문헌을 통해서 알 수 있다(Brink, 1976 : Leininger, 1977 : Roberston & Boyle, 1987). 횡문화 간호연구는 서로 다른 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을 잘 이해하고 그들의 건강을 돌봄에 있어서 더욱 효과적이고, 안전한 간호를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호이론 개발, 간호모형(Model) 개발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믿는다. 본 연구는 1984년에서 1987년 사이에 전문적 간호연구지에 실린 10편의 횡문화 간호연구와 관련된 논문들을 발췌하여 간호지식체의 본질적인 과정인 비판적 문헌고찰을 통해 각 논문들을 비교 분석 한 것으로써, 미래의 간호연구를 위한 간호실무, 간호교육, 간호연구 방법 및 간호 행정면에서 그 적용성을 높여줄 것이다. 비판적 문헌고찰을 위한 기준은 Burns와 Grove(1987)의 방법을 참고하여 아래와 같이 선정하였다. 1. 분석대상 : 목적, 가설 진술, 문헌고찰, 표본조사, 방법론적 논점, 결과 해석 2. 이론적 틀의 유도 흑은 통합 3. 발전적인 간호수행을 위한 중요성, 적용성 및 제언 이상의 내용으로 비교 분석을 해본 결과 1984년에서 1987년 사이에 발표된 횡문화 간호에 관한 논문들의 주제는 주로 여성을 대상으로 한 건강돌봄, 자가간호, 건강신념, 수유, 임신 그리고 간호사와 소수민족 노인과의 의사소통 양상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이론적 틀은 주로 사회학, 정신심리학, 인류학 이론으로부터 도출되었고, 오직 두 편만이 간호 이른에 틀을 둔 것으로 나타났다. 1. 10개의 논문의 가설과 목적의 분석에 있어서 4편의 논문은 목적과 가설이 구체적으로 진술되어 있었고, 나머지 6편은 목적이 전반적으로 진술되어 있었으며 가설도 구체적이지 않았다. 이러한 제한점은 각 논문의 연구자가 문헌고찰을 충분히 하지 못하고 단지 수편의 논문만을 제시 한 데서 비롯되었다고 분석 해 볼 수 있겠다. 2. 문헌고찰 부분에서는 각각의 연구주제를 지지해줄 수 있는 문헌들이 충분히 고찰되지 못하였고, 이론적 배경 또한 횡문화 이론과의 관련성이 적었다. 또한 횡 문화 연구에 기초가 되는 연구대상자의 사회 인구학적 특성과 역사적 배경은 잘 나타났으나, 이론적 연구와 경험적 연구 간에 괴리가 있었다. 3. 표본추출방법은 문화에 기반을 둔 대상자를 선정한다는 점에서 한계성 이 있었다. 4. 방법론적 이유로는 대상자와의 면담시간이 구체적으로 기술되지 않았으며, 고유한 언어를 통역하는 과정에서 의미론적 문제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였다. 면접과 기록과정에서 보면 자료의 기록과정과 분류 및 분석과정이 명시되어 있지 않았다. 참여관찰과 면접방법을 사용시 이에 대한 자세한 기술이 되어 있지 않았다. 5. 연구결과의 적용 및 이에 대한 논의는 상당히 제한되어 있었는데, 수편의 연구만이 방법론 문제점과 앞으로의 연구분야에 대한 전망을 제시하였으며, 특이한 것은 어 떤 연구자도 이른 개발을 위한 적용 및 임상실무적 차원에서 간호에 대한 제언을 하지 않았다.

      • KCI우수등재

        간호대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신체증상 및 정신건강 : 인터넷 윤리의식의 매개효과

        배노연,구종모,오향화,김미영,단현주 한국간호과학회 간호행정학회 2015 간호행정학회지 Vol.21 No.3

        목적: 본 연구는 간호대생의 스마트폰 중독 상태를 확인하고 스마트폰 중독과 신체증상 및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인터넷 윤리의식의 매개효과를 파악하는 것이다. 방법: 자료수집은 2014년 5월 20일부터 6월 23일까지 서울의 일개 대학교 간호대생 214명을 대상으로 편의추출하였다. 구조화된 설문지로 신체증상과 정신건강, 스마트폰 중독 및 인터넷 윤리가 측정되었다. 자료분석은 t-test, ANOVA, Pearson 상관계수, 위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결과: 간호대생의 스마트폰 중독의 잠재적 위험 고위험의 비율은 각각 14.5%, 16.8%를 차지하였다. 신체증상의 빈도가 높고 인터넷 윤리의식이 낮을수록 스마트폰 중독 점수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 윤리 중 자율통제는 신체증상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간호대생의 스마트폰 중독 수준이 인터넷 윤리의 자율통제를 통해 낮아질 수 있음을 제시한다. 이런 결과를 토대로 간호대생의 효과적인 스마트폰 사용을 촉진하기 위해 윤리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the status of smartphone addiction among nursing students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Internet ethic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physical symptom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Methods: Data were collected between May 20 and June 23, 2014. Participants were a convenience sample of 214 nursing students of one university in Seoul.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used to measure degree of smartphone addiction, physical symptom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Internet ethics. Data was analyzed using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hierarchical regression. Results: Of the nursing students, 14.5% had high level of risk of smartphone addiction and 16.8% had potential risk. Higher frequency of physical symptoms and lower level of Internet ethics were related to the higher level of smartphone addiction. Voluntary-control in Internet ethics had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and physical symptoms.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level of smartphone addiction may lowered in nursing students by intensifying Internet ethics especially voluntary-control. Based on these findings, Internet ethics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should be developed to facilitate the effective use of smartphon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