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낙동정맥내 주요 산림의 나비류 군집과 환경과의 관계

        김지석 ( Ji-seok Kim ),이수동 ( Soo-dong Lee ),김한 ( Han Kim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6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6 No.2

        나비는 소비자, 먹이원, 숙주, 수분매개자 등 다양한 생태적 지위(Ecological Niche)를 가지며(Blair, 1999), 환경의 변화에 따라 개체군 구조가 달라지는 생물로 알려져 있다(Warren, 1987). 애벌레 시기에는 특정 식물만 먹고 성충이되면 꽃에서 흡밀하기 때문에 식물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김지석과 강현경, 2011). 또한 주변 환경의 변화는 꽃이 피는 식물 및 나비의 서식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김지석과 강현경, 2011) 나비류 군집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환경 요인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연구는 낙동정맥내 주요 산림인 백병산(13개소), 백암산(21개소), 고헌산(22개소), 구덕산(20개소)에 서식하는 나비류군집과 환경 특성과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진행하였다. 조사는 나비의 활동에 적당한 맑은 날에 등산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양 옆 5m(10×20m: 200㎡)내에서 확인할 수 있는 종의 개체수를 기록하였다. 육안으로 직접 동정이 되지않는 나비는 망(지름 40cm)을 이용하여 채집하였으며, 종동정은 주흥재 등(1997), 김용식(2002)의 방법으로, 명명은 한국곤충명집(한국곤충학회와 한국응용곤충학회, 1994)을 따랐다. 성충기의 먹이인 흡밀식물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나비가 흡밀하는 식물종과 개화여부를 파악하여 기록하였다. 서식환경에 따른 나비 군집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해발고 100m 단위로 방형구(면적 : 약 250~500㎡)을 설치한후, 조사지역의 토지이용유형, 식생유형, 울폐도 등을 야외기록장에 기록하였으며 울폐도는 어안렌즈를 활용하여 촬영한 후 피도를 산정하였다. 군집 특성은 군집분류법을 활용하여 분류하고 해발고, 토지이용유형, 식생유형 등 환경요인에 따른 종수, 개체수, 종다양성지수, 우점도, 균재도등을 비교·분석하였다. 4개 조사지의 나비 출현 현황을 조사한 결과, 백병산 41 종류 142개체, 백암산 41종류 167개체, 고헌산 47종류 200개체, 구덕산 25종류 185개체가 관찰되는 등 총 5과 73종류(호랑나비상과)가 확인되었다. 국가 기후변화 생물지표 100종 중 남방노랑나비와 암끝검은표범나비가 고헌산과 구덕산에서 확인되었다. 시기별 나비의 행동을 분석한 결과, 이동하는 나비는 321개체로 전체의 46.3%였으며 휴식 216개체(31.1%), 먹이행동 131개체(18.9%), 물먹기와 구애행동은 각각 12개체(1.7%), 산란 2개체(0.3%)이었다. 계절별 행동을 분석해 보면, 봄철에는 이동, 여름철은 휴식 비율이높았고 먹이행동은 봄철에 전체의 10.7%였지만, 여름철과 가을철에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흡밀식물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먹이 행동을 보인 나비 종류를 파악한 결과, 총 73종류 중 31종류로 파악되었으며 이용 식물은 47종류였다. 나비별 흡밀식물로는, 큰줄흰나비가 14종류를 이용하여 가장 다양한 식물에서 흡밀하였으며, 줄점팔랑나비 11종류, 남방부전나비 8종류, 네발나비와 작은멋쟁이나비, 푸른부전나비, 호랑나비가 각각 4종류 등의 흡밀하였다. Specialist 종으로는 네발나비, 모시나비, 남방부전나비 등이, 나머지 나비들은 상대적으로 Generalist에 해당하였다. 흡밀식물 중 가장 많은 나비 개체가 이용하는 식물로는 총 22개체가 흡밀한 참싸리였으며, 며느리밑씻개 11개체, 파리풀 8개체, 개쑥부쟁이 7개체, 미나리냉이 6개체의 순이었다. 조사지역별 종다양성지수(Shannon)를 산출한 결과 백병산은 평균 0.8551(0.4771~1.0881), 백암산은 평균0.6774(0.2764~1.0290), 고헌산은 평균 0.7289(0.2442~1.0414), 구덕산은 평균 0.6825(0.2764~1.0004)이었다. 지역별 상대적인 유사도지수값을 샆펴보면, 백병산은 백암산, 고헌산과 유사도지수 24.47~25.49로 구덕산보다 높았으며, 구덕산은 고헌산과 종구성이 상대적으로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위도에 따라 백병산과 백암산은 유사한 종구성이었으나 구덕산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위도상 중간에 위치한 고헌산은 다른 3개 지역과 비교적 유사한 종구성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나비와 환경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나비 종수, 개체수, 산림 울폐도, 종다양성지수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나비의 종수, 개체수, 종다양성지수는 울폐도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울폐도가 높으면 높을수록 종수나, 개체수, 종다양성지수는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조사지역의 특성에 따른 나비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임도, 초지, 산 정상, 산림에 따른 나비 종수, 개체수, 종다양성지수에 대하여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산정상이 가장 높았고, 임도, 초지, 산림 순이었다. 분산분석 결과, 종수와 개체수, 종다양성지수는 모두 집단간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과적으로 산림-산 정상은 종수, 개체수, 종다양성지수에서 차이가 인정되어 산 정상이 산림내부보다 나비의 다양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Numerical Validation of Burst Pressure Estimation Equations for Steam Generator Tubes with Multiple Axial Surface Cracks

        김지석,이명우,김윤재,김진원 한국원자력학회 2019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Vol.51 No.2

        This paper provides further validation of the burst pressure estimation equations for multiple axialsurface cracked steam generator tubes, recently proposed by the authors based on analytical localcollapse load approach against systematic FE damage analysis results of Alloy 690 tubes with twin axialsurface cracks. Wide ranges of the relative crack depth and multiple crack configurations are considered. Comparison shows good agreements, giving sufficient confidence of the proposed equations.

      • KCI등재
      • KCI등재

        UCP2 유전자 다형에 따른 비만여성의 유산소운동이대사증후군 위험 요인에 미치는 영향

        김지석,신윤아,서동일,전태원,송욱,장혁기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2009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9 No.2

        Background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12 weeks of aerobic exercise on the metabolic syndrome factors dependent on UCP2 gene polymorphismin middle-aged, obese women. Methods : A total of 34 healthy, obese women were recruited and classified according to UCP2 gene I/D polymorphism (ID, n=17; DD, n=17; middle-aged). Anthropometry (body weight, height, BMI and % body fat) and the metabolic syndrome factors(waist circumference, blood pressure, triglyceride, HDL-cholesterol and fasting blood glucose)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The exercise groups of each polymorphism group trained on the treadmill at an intensity of 60%VO2R for one hour every other day except weekends for 12 weeks. Results : Although there were significant 12-week aerobic exercise effects in body weight, BMI, VO2max, waist circumference and SBP, there was no significant exercise effects among UCP2 genotypes on the components of metabolic syndrome factors. However, WHR decreased significantly from 0.85 to 0.80 (p=.016), and % body fat dropped from 34.7% to 32.7% (p=.054) in the ID genotype while the DD genotype had no significant influence. Conclusions : In comparing the effects of exercise on metabolic syndrome factors according to the UCP2 genotyp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ID heterozygotes and DD homozygotes. However, this study showed that ID UCP2 genotype has more exercise effects on abdominal obesity-related factors (WHR and % body fat). 연구배경 본 연구는 비만 중년여성의 유산소성운동이 UCP2 유전자 다형에 따라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방 법 건강한 비만 중년여성 34명을 대상으로 혈액 분석을 통해 UCP2 유전자다형(DD, ID)을 구분한 후, UCP2 유전자다형과 운동실시 여부에 따라 총 4개 그룹을 분류하였다. 12주간 운동 전․후의 인체조성, 혈액분석을 통해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을 측정하고, 운동실시 여부와 UCP2 형질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를 관찰하였다. 운동군은 개인별 60% VO2R 강도의 트레드밀 걷기를 1일 1시간, 주 3회, 총 12주간 실시하였다. 결 과 12주간의 유산소 운동 결과 체중, BMI, 수축기혈압에서 운동의 효과가 나타났지만, UCP2 유전자 형질에 따른 운동효과에 있어서는 통계적 유의차가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나 복부비만도에 있어서는 12주간의 유산소운동 결과 ID형질군에서만 유의한 감소효과가 나타났으며, 체지방율에 있어서도 ID형질군에서만 감소하는 경향성이 나타났다. 결 론 대사증후군 위험 요인에 대한 UCP2 유전자 형질에 따른 운동의 효과 비교에 있어서 ID형질과 DD형질 그룹 간의 유의차는 대체로 나타나지 않았으나, 복부 비만 관련 요인에 있어서는 ID형질이 DD형질에 비해 운동의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오대산국립공원 공원문화유산지구 식생비오톱 특성 분석

        김지석,이영경,이병인,Kim, Ji-Suk,Yi, Young-Kyoung,Yi, Pyong-In 한국조경학회 2016 韓國造景學會誌 Vol.44 No.2

        국립공원 공원문화유산지구의 식생비오톱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오대산국립공원을 대상으로 52개의 방형구를 토지이용유형별로 설치하여 식생구조를 조사하였다. 군락분류결과, 6개 군락으로 분류되었으며, 2개 군락의 식별종은 서양민들레, 개망초, 왕포아풀로 도시화지역, 본 조사에서는 사찰지 내에 분포하는 식물이었다. 1개 군락의 식별종은 양지꽃으로 숲 가장자리에 주로 분포하는 종이었으며, 3개 군락의 식별종은 조릿대와 신갈나무로 산림지역 분포식물이었다. TWINSPAN에 의한 군락분류와 DCA 기법을 활용한 서열분석을 통하여 공원문화유산지구는 사찰비오톱, 사면벌채지비오톱, 산림비오톱으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유형별 종수, 귀화식물, 상대우점치, 유사성에서 차이를 확인하였다. 사찰비오톱 우점종은 왕포아풀과 쑥이었으며, 사면벌채지비오톱은 미역줄나무, 산림비오톱은 신갈나무, 전나무, 느릅나무였다. 사면벌채지비오톱은 다른 비오톱에 비하여 출현 종수가 많았으며, 사찰비오톱은 귀화식물 출현 종수가 많았다. We investigated the vegetation structure in Cultural Heritage Site of Odaesan National Park using 52 quadrats for each type of land use to figure out some characteristics of plant biotope. As we classified vegetation communities, they are six groups of communities. distinguished species in two of them are Taraxacum officinal, Erigeron annuus and Poa pratensis which are common in urban areas. Distinguished species in one of them are Potentilla fragarioides var. major which is common in outskirt of forest. And Distinguished species in another 3 communities are Sasa borealis and Quercus mongolica which are common in forest. Using TWINSPAN and DCA, we are able to classify the six communities into 3 types biotope (temple-biotope, slope-biotope, forest-biotope) in Cultural Heritage Site. The dominant species of urban-biotope are Poa pratensis, Artemisia prinseps and that of slope-biotope is Tripterygium regelii. Also the dominant species of forest-biotope are Quercus mongolica, Abies holophylla and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We could see more species in slope-biotope than another biotope types. Moreover, in urban-biotope types, we could find many of naturalized plant species.

      • KCI등재

        Trampoline Exercise Improves Functional Performance in Young Adults with Ankle Instability

        김지석,김종희 대한운동학회 2018 아시아 운동학 학술지 Vol.20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rampoline exercise on functional performance in persons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 METHODS A total of 24 college students were assigned to one of three groups: control (CON), ankle sprained without chronic ankle instability (NAI), and ankle sprained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 (CAI). Both NAI and CAI exercised on the trampoline for 40-70 min, three times a week during six weeks. To determine ankle’s functional performance, Romberg test, Y-balance test, Side hop test, Figure-of-8 hop test, and Square hop test were conducted both injured and uninjured sides of foot before and after exercise. The data were analyzed utilizing two-way repeated ANOVA. RESULTS The resul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oups and time in Romberg test(NI), Y-balance test posteromedial(NI), Y-balance test posteromedial(I), Y-balance test posterolateral(I), Figure-of-8 hop test(NI), Square hop test(NI), and Square hop test(I). The result showed a significant interaction in Romberg test(I),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ime in Romberg test(I).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ime in Y-balance test front(NI), Y-balance test front(I), Y-balance test posterolateral(NI), Side hop test(NI), Side hop test(I), and Figure-of-8 hop test(I). Trampoline exercise significantly improved functional performance measures including static and dynamic balance, postural control, muscle strength, and proprioception although the positive effectiveness is differential depending on the degree of ankle instability. CONCLUSIONS Our data demonstrate positive effects of rehabilitative trampoline exercise against impaired functional performance of ankle with inst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