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산부식 전처리에 따른 2단계 자가부식 접착제의 연마 법랑질에 대한 미세인장결합강도

        김유리,김지환,심준성,김광만,이근우,Kim, You-Lee,Kim, Jee-Hwan,Shim, June-Sung,Kim, Kwang-Mahn,Lee, Keun-Woo 대한치과보철학회 2008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46 No.2

        자가부식 접착제는 사용하기 쉽고, 술식 민감성이 적은 장점이 있으나 특히 산도가 약한 자가부식 접착제의 법랑질에 대한 결합력은 논란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단계 자가부식 접착제인 Clearfil SE Bond (Kuraray, Okayama, Japan)의 연마 법랑질에 대한 미세인장 결합강도를 측정하여 3단계 산부식수세 접착제인 Scotchbond Multi-Purpose (3M ESPE, St. Paul, MN, USA) 및 1단계 자가부식 접착제인 iBond (Heraeus Kulzer Gmbh, Hanau, Germany)의 결합강도와 비교하고자 하였고, 2단계 자가부식 접착제에 산부식 전처리를 시행하는 것이 법랑질에 대한 결합강도를 높일 수 있는지 알아 보고자 하였다. 실험군은 2단계 자가부식 접착제인 Clearfil SE Bond만 사용한 비산부식 군과 35% 인산 (Scotchbond Etchant, 3M ESPE)으로 산부식 후 Clearfil SE Bond를 사용한 산부식 군, 그리고 1단계 자가부식 접착제인 iBond를 사용한 군으로 나누었다. 대조군은 3단계 산부식수세 접착제인 Scotchbond Multi-Purpose를 사용한 군으로 정하였다. Bovine 전치의 순면을 십자가형으로 4등분하여 각 군으로 무작위로 배분하였다. 각 치아의 순면을 800-grit 실리콘 카바이드 지로 연마한 후 삭제된 법랑질면에 제조사의 설명서에 따라 각 군의 접착제를 적용하고 Light-Core (Bisco)로 적층 충전하였다. 시편은 $37i{\acute{E}}$, 증류수에 일주일 동안 보관한 후 low speed precicion diamond saw (TOPMENT Metsaw-LS, R&B, Daejeon, Korea)를 이용하여 약 $0.8{\times}0.8mm$ 단면이 되도록 시편을 절단하여 미세시편을 제작하였다. 일주일마다 증류수를 교환하면서 한 달, 세 달 동안 $37i{\acute{E}}$, 증류수에 미세시 편을 보관한 후 각각의 미세인장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미세인장결합강도 (MPa)는 파절 시에 가해진 힘 (N)을 접착면적 ($mm^2$)으로 나누어 계산하였다. 접착계면에서의 파절 양상은 실물현미경 (Microscope-B nocular, Nikon)을 이용하여 분류하였다. 미세인장결합강도에 대한 통계분석은 one-way ANOVA를 이용하여 유의수준 5%에서 검정하였고, 사후감정은 Least Significant Difference 방법을 이용하였다. 중합 후 1개월 뒤 측정된 각각의 접착제의 평균 미세인장결합강도는 유의수준 5%에서 모든 접착제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개월 뒤 측정된 각각의 접착제의 평균 미세인장결합강도는 유의수준 5%에서 iBond 와 Clearfil SE Bond 비산부식 군과 Scotchbond Multi- Purpose 간에는 각각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2단계 자가부식 접착제인 Clearfil SE Bond의 연마 법랑질에 대한 미세인장결합강도가 3단계 산부식수세 접착제인 Scotchbond Multi-Purpose 와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P>0.05), 3개월 후의 결과에서 Clearfil SE Bond 비산부식 군의 미세인장결합강도가 Clearfil SE Bond 산부식 군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P<0.05). 즉 35% 인산으로 산부식 전처리를 시행한결과 Clearfil SE Bond 의 법랑질에 대한 결합강도가 증가하였다. Statement of problems: Self-etch adhesives exhibit some clinical benefits such as ease of manipulation and reduced technique-sensitivity. Nevertheless, some concern remains regarding the bonding effectiveness of self-etch adhesives to enamel, in particular when so-called 'mild' self-etch adhesives are employed. This study compared the microtensile bond strengths to ground enamel of the two-step self-etch adhesive Clearfil SE Bond (Kuraray) to the three-step etch-and- rinse adhesive Scotchbond Multi-Purpose (3M ESPE) and the one-step self-etch adhesive iBond (Heraeus Kulz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a preceding phosphoric acid conditioning step on the bonding effectiveness of a two-step self-etch adhesive to ground enamel. Material and methods: The two-step self-etch adhesive Clearfil SE Bond non-etch group, Clearfil SE Bond etch group with prior 35% phosphoric acid etching, and the one-step self-etch adhesive iBond group were used as experimental groups. The three-step etch-and-rinse adhesive Scotchbond Multi-Purpose was used as a control group. The facial surfaces of bovine incisors were divided in four equal parts cruciformly, and randomly distributed into each group. The facial surface of each incisor was ground with 800-grit silicon carbide paper. Each adhesive group was appli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instructions to ground enamel, after which the surface was built up using Light-Core (Bisco). After storage in distilled water at $37^{\circ}C$ for 1 week, the restored teeth were sectioned into enamel beams approximately 0.8*0.8mm in cross section using a low speed precision diamond saw (TOPMET Metsaw-LS). After storage in distilled water at $37^{\circ}C$ for 1 month, 3 months, microtensile bond strength evaluations were performed using microspecimens. The microtensile bond strength (MPa) was derived by dividing the imposed force (N) at time of fracture by the bond area ($mm^2$). The mode of failure at the interface was determined with a microscope (Microscope-B nocular, Nikon). The data of microtensile bond strength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a one-way ANOVA, followed by Least Significant Difference Post Hoc Test at a significance level of 5%. Results: The mean microtensile bond strength after 1 month of storage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ll adhesive groups (P>0.05). After 3 months of storage, adhesion to ground enamel of iBond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Clearfil SE Bond etch (P>>0.05), while Clearfil SE Bond non-etch and Scotchbond Multi-Purpose demonstrated significantly lower bond strengths (P<0.05),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adhesives. Conclusion: In this study the microtensile bond strength to ground enamel of two-step self-etch adhesive Clearfil SE Bond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ree-step etch-and-rinse adhesive Scotchbond Multi-Purpose, and prior etching with 35% phosphoric acid significantly increased the bonding effectiveness of Clearfil SE Bond to enamel at 3 months.

      • KCI등재

        분리-개별화와 자기위로능력간의 관계: 자기개념명확성의 매개효과

        김유리(Kim, You-Lee),정남운(Chung, Nam-W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8

        본 연구의 목적은 분리-개별화와 자기위로능력 간의 관계에서 자기개념명확성이 유의한 매개효과를 보이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6년 3월에 성인 35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 방식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과 AMOS 23.0을 이용하여 상관분석과 경로분석을 하였고, 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리-개별화, 자기위로능력, 자기개념명확성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유의미한 정적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분리-개별화가 자기위로능력에 영 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분리-개별화가 자기위로능력 중 회복력, 자기노출, 스스로 위로하기에 직접 영향을 미침과 함께, 자기개념명확성을 거쳐 자기위로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 효과가 있다는 부분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신체적 위로하기에는 유의 미한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를 바탕으로 심리적 안정감을 되찾으려는 자기위로능력을 촉진하기 위해 자기개념명확성을 높이는 방향의 상담 개입 전략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mediating effect of self-concept clarity in the influence of separation-individuation on soothing ability. Data were collected from 350 adults through online survey in March 2016.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correlat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have been conducted by using SPSS 23.0 and AMOS 23.0.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 First, separation-individuation, soothing ability nd self-concept clarity were all positively correlated. Second, the study indicated that there was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self-concept clarity in the relationship among separation-individuation, overall soothing ability, resilience, disclosure and self-soothing. This findings suggest that the strategy of counseling for increasing self-concept clarity is greatly needed in order to enhance soothing ability.

      • KCI등재

        제조업의 산업안전보건 관련 의사소통이 안전보건경영 수준에 미치는 영향 - 관리감독자 인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김유리 ( You-ri Kim ),이시영 ( Si-young Lee ),천미혜 ( Mee-hye Chen ),박지영 ( Ji-young Park ),임미선 ( Mi Sun Lim ),이진아 ( Jin-a Lee ),정혜선 ( Hye-sun Jung ) 한국산업보건학회 2021 한국산업보건학회지 Vol.31 No.4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manufacturing workplac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safety and health organizations, and to determine the impact of safety and health-related communication within these organizations mediated by supervisory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personnel. Methods: This study is based on the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s 2018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data targeting 1,486 manufacturing site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ANOVA, and mediator variab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5.0. Results: The average score on communication levels related to safety and health was 11.20 out of 15. The average score of the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level was 31.04 out of 40. As a result of mediation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safety and health-related communication had an effect on the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level (β=0.434), and the number of safety and health supervisors was found to mediate the effect of this variable (β=0.069). Conclusions: The level of safety and health-related communication affects the level of health and safety management, and the number of supervisors mediates this influence. Therefore, the role of the supervisor is important in safety and health communication. It is expected that the level of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can be improved through management and supervisors.

      • KCI등재
      • KCI등재
      • 임신성 당뇨병의 재발률에 관한 연구

        김유리,조용욱,박석원,홍은경,조윤경,이화영,전혜선,송유봉,안명옥,김세현,이상종 대한당뇨병학회 2001 임상당뇨병 Vol.2 No.1

        연구배경: 임신성 당뇨병으로 진단 받은 여성에서 다음 임신시 임신성 당뇨병이 재발할 가능성은 30%에서 60% 이상으로 다양하게 보고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임신성 당뇨병 환자에서 임신성 당뇨병의 재발률과 재발에 관한 위험인자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1996년부터 2000년까지 본원 산부인과에서 임신성 당뇨병으로 진단받고 분만한 후 다음 임신의 산전관리와 분만을 본원에서 한 임신부 65명을 대상으로 두 번째 임신 중 임신성 당뇨명의 재발률을 조사하였다. 임신성 당뇨병의 진단은 National Diabetes Data Group의 기준에 따랐다. 기준 임신시 임신부의 연령, 신장, 임신전 체중과 체질량지수, 진단 당시의 재태 연령, 신생아의 체중, 당뇨병의 가족력, 임신중 시행한 임신성 당뇨병에 대한 선별 검사와 당부하검사의 혈당농도, 임신중 혈당을 조절하면서 측정한 공복시와 식후 1시간 혈당농도의 평균 등과 다음 임신과의 사이에 체중변화와 간격을 조사하여 임신성 당뇨병이 재발한 군과 재발하지 않은 군 간에 비교하였다.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각 임상 인자들은 재발에 대한 비교위험도를 구하였다. 또한 logistic regression 분석을 통해 임신성 당뇨병의 재발에 대한 독립적인 위험인자를 조사하였다. 결과: 임신성 당뇨병의 재발률은 47.7%였고 임신성 당뇨병이 재발한 군과 재발하지 않은군의 연령, 분만 횟수, 당뇨병의 가족력 및 임신성 당뇨병을 진단받은 재태 연령, 임신간의 체중변화, 임신간격 등은 양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기준 임신시 재발군의 체질량지수(22.4±3.4 vs 20.6±1.9㎏/㎡, p=0.011), 신생아의 체중(3.5±0.6 vs 3.2±0.4㎏, p=0.017), 그리고 거대아 분만빈도(19.4 vs 2.9%, p=0.033)가 재발하지 않은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임신성 당뇨병 선별검사의 혈당이 재발군에서 9.9± 1.7 mmol/L로 재발하지 않은 군의 8.4±0.9mmol/L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고(p=0.000) 100g 경구당부하검사의 혈당 반응 곡선아래 면적이 재발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임신성 당뇨병을 진단 받고 혈당 조절을 하면서 측정한 공복 혈당과 식후 1시간 혈당도 재발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임신성 당뇨병 재발에 대한 비교위험도는 선별 검사의 혈당이 9.45 mmol/L 이상인 경우 17.0 (p=0.000) 거대아를 분만한 경우 7.9(p=0.047), 임신간에 6kg이상 체중이 증가한 경우 9.6(p=0.046)이었다. 임신성 당뇨병의 재발에 대한 독립적인 위험인자는 기준 임신시의 임신성 당뇨병 선별 검사의 혈당으로 나타났다(Expβ 3.2, 95% CI 1.6∼6.3, p=0.0007). 결론: 한국인 임신부에서 임신성 당뇨병의 재발율은 47.7% 이고 임신중의 고혈당 정도, 거대아 분만, 임신간의 과다한 체중증가가 재발 위험을 높이는 인자이며 재발을 예측할 수 있는 독립적 인자로는 임신성 당뇨병 선별검사의 혈당 농도가 중요한 역할을 함을 알 수 있었다. Backgroun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recurrence rate of GDM and to find out risk factors for recurrence in pregnant women. Method: This study was conducted on 65 patients whose index pregnancy was complicated by GDM and subsequent consecutive pregnancy was managed at CHA General Hospital between 1996 and 2000. Diagnosis of GDM was based on the criteria recommended by National Diabetes Data Group. During consecutive pregnancy all subjects peformed 100 g oral glucose tolerance test (OGTT) without regard to the result of GDM screening test. Results: Thirty one (47.7%) of the 65 women had recurrence of GDM. Patients with recurrent GDM had higher prepregnancy BMI(22.4±3.4 vs 20.6±1.9㎏/㎡, p=0.011), higher plasma glucose level on GDM screening test (9.9±1.7 vs 8.4±0.9 mmol/L, P=O.000), higher area under the glucose response curve on 100 g OGTT (1694.1± 186.3 vs 1593.4±85.9 mmol/Lㆍmin, p=0.006), delivered heavier baby (3.5 ±0.6 vs 3.2±0.4㎏, p=0.017), and had higher incidence of giant baby (19.4 vs 2.9%, p=0.033) in their index pregnancy compared to patients who had normal subsequent pregnancy. Maternal age, parity, family history of diabetes, gestational age at diagnosis of GDM, and interval between pregnancie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ose two groups. Relative risks for recurrence associated with plasma glucose on GDM screening test ≥9.45 mmol/L, delivery of giant baby in index pregnancy, and weight gain more than 6㎏ between pregnancy were 17.0 (p=0.000), 7.9 (p=0.047), and 9.6 (p=0.046) respectively. Plasma glucose level on GDM screening test was unique independent risk factor for recurrence b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Expβ 3.2, 95% CI 1.6-6.3, p=0.0007). Conclusion: Recurrence rate of GDM in this study was 47.7%. Hyperglycemia and heavier infant birth weight in index pregnancy, excessive weight gain between pregnancies wer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recurrence of GDM. Among them the most significant risk factor for recurrence was plasma glucose level on GDM screening test in index pregnan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