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 전통이미지의 재해석을 통한 콘솔디자인 개발 연구 - 생활용 가구 제품 개발을 중심으로

        최진식,김미자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7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51 No.-

        While interest in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products seems to increase, various product development is still insufficient. In the traditional craft industry, the situation is similar, and it is experiencing a lot of difficulties due to changes in domestic and overseas market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onsole design that reflects the traditional culture as a modern image by reinterpreting traditional Korean images. The scope of the study is focused on the functional aspects that give convenience of life and the console design of Korean traditional image that also serves as decorative elements. The focus of the study was on the process of console furniture development, centering on the design development process that reinterpreted traditional Korean images. In this study, first, as an element of Korean traditional image, I extracted curvilinear, which is one of Korean traditional beauty, and applied smooth and simple curve image to the upper part of the console. Second, I applied the design to the motif of architectural structure. The Kongpo of Korean architecture(connecting the pillars and the roof), the image of the column, the interpretation of traditional Korean images and reflected in the console design. Third, cloud pattern is used as a decorative element of console table as a detailed expression element in Korean traditional pattern. In this way, I reinterpreted the traditional image and applied it to the console design as a basic element of the work, and produced three kinds of console furniture. This study is meaningful to reinterpret Korean traditional images and to develop and propose modern products using them, and it is necessary to pursue more efforts for various products in the future. 한국 전통문화와 상품에 대한 관심은 증가하는 것으로 보이는 반면, 다양한 상품 개발은 아직 미흡한 실정에 있다. 전통공예 산업에 있어서도 사정은 이와 비슷하여 현실적으로 국내외 시장 환경 변화에 따른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 전통이미지를 재해석하여 전통문화가 현대적 이미지로 반영된 콘솔디자인 개발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범위는 생활 의 편리함을 주는 기능적 측면과 함께 장식적인 요소로서도 역할을 하는 콘솔디자인을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연구의 핵심부 분은 디자인 개발과정을 중심으로 하는 사례개발 과정에 초점을 두었다. 콘솔디자인의 기본적 구조는 기존의 콘솔의 범주에 서 벗어나지 않도록 하여 사용성과 편의성을 확보하도록 하였으며 시각적, 장식적 디자인은 한국 전통적인 이미지에 부합시 켜 디자인의 방향을 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전통이미지의 요소로서 첫째, 한국의 전통미 가운데 하나인 곡선미를 추출하여 콘솔의 상단부분에 부드럽고 단순한 곡선이미지를 적용하였다. 둘째, 건축적인 구조를 모티브로 하여 디자인에 적 용하였다. 한국 건축의 공포(기둥과 지붕을 연결하는 부분)이미지, 기둥 모양, 그리고 창살의 구조를 활용하여 한국의 전통이 미지로 해석하고 콘솔디자인에 반영하였다. 셋째, 한국의 전통적인 문양 가운데 구름문 문양을 세부 표현 요소로 하여 콘솔 테이블의 장식요소로 활용하였다. 이와 같은 요소에서 전통이미지를 재해석하여 작품의 기본 요소로서 콘솔디자인에 적용하 여 3종류의 콘솔가구를 제작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의 전통적 이미지를 재해석하고 이를 적용한 현대적인 상품을 개발하여 시작품을 제안하는데 의미가 있으며 앞으로도 다양한 상품에 대한 연구 개발 노력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한국적 Identity를 적용한 한방화장품 디자인 전략방안 - 한방화장품 용기디자인을 중심으로 -

        김종일,강문수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2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0 No.3

        세계는 WTO체제의 자유무역 상황에 따른 경쟁의 전면시대를 맞아 국내 시장 환경은 급속한 변화를 보이고 있다. 국내 토종 화장품 브랜드들은 외국 유명 브랜드들과 경쟁에서 유명 백화점에서 퇴출당하는 취약점을 보이고 있다. 최근 디자인에 대한 지적재산권보호에 관한 문제도 크게 부각되고 있어 한국적 Identity을 지닌 디자인 또한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브랜드 경쟁력 즉, 브랜드 에쿼티(Brand Equity)로는 브랜드 인지, 이미지, 품질에 따른 가격경쟁력, 로열티 등 다양한 마케팅 문제들이 대두될 수 있는데, 이 브랜드 구성의 핵심요소 가운데 패키지 디자인은 중요한 경쟁력으로 거론될 수 있을 것이다. 국내 토종 화장품의 디자인이 외국 유명 브랜드 디자인들과의 경쟁력에서 어떠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지 비교할 필요성은 더욱 높아지고 있다. 국내 토종 한방화장품 브랜드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브랜드 핵심 구성요소인 패키지디자인의 차별화를 통하여 외국 유명 브랜드와의 독보적인 경쟁력을 확보하고, 한국적 Identity를 적용한 한방화장품 패키지디자인 전략으로는 용기의 형태 디자인 측면은 전통 도자기를 모티브로 한 또 다른 제3의 형태를 표현 할 것이 아니라 도자기형태 그대로를 적용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재질에 따른 질감, 즉 재질 또한 도자기의 세라믹, 한복의 직물(Fabric), 죽통의 대나무(Wood) 그대로를 적용할 필요가 있으며, 디자인 색은 제품의 콘셉트와 한국만의 독특한 색을 “한국적 이미지를 인지시킬 수 있는 Color Language” 화하여 표현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문화의 의식주 전반에 걸쳐 한국적 디자인 요소 즉, 형태, 색, 질감 등을 발굴 접목시켜 한방화장품의 한국적 디자인 표현방법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Front era of competition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free trade in the WTO system, the world has shown the domestic market environment of rapid change. Domestic indigenous showing their vulnerability to being banned from famous foreign brand to compete with the famous department store in the cosmetics brand. With Korean Identity design also highlighted recent issues regarding the protec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n the design for being urgently required, and is Brand to Brand Equity brand awareness, competitive according to the quality, price competitiveness, loyalty and other marketing problems soybeans, a key element of the configuration of this brand can be among the important competitive package design will be discussed. Design and foreign famous brand design showing no difference in the competitiveness of domestic indigenous cosmetics sure to compare the need is growing. Korean Identity applying herbal cosmetics package design strategies of famous foreign brands and domestic indigenous herbal cosmetics brand competitiveness through differentiated brand core components of the package design to unique, competitive and design aspects of the traditional form of courage Another motif pottery be expressed in the form of a third, but appeared to be intact pottery forms that need to be applied, the texture of the material, ie material of porcelain ceramic, cloth, bamboo Hanbok barrel as there is a need, design, color of the product concept and the unique color of the Color Language, able to recognize the Korean image, the need to express that showed Ritualistic culture of Korea across the Korean design elements of form, color, texture, etc. In other words, excavated by combining research about how Korean herbal cosmetics design representation.

      • KCI등재

        한국 전래동화를 활용한 아동용 텍스타일 디자인 연구

        이미숙(Mi Suk Lee),정경희(Kyung Hee Ch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9 No.4

        문화적 콘텐츠가 중요시되고 있는 시기에 상품 경쟁력의 근원은 바로 디자인을 통한 문화 해석력과 창조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국내 아동용 텍스타일들은 대부분 아동을 대상으로 만화, 비디오, 영화 등과의 연관성 있는 캐릭터가 많이 이용되고 있는데 주로 외국의 캐릭터가 수입되어 사용되고 있고, 국내 캐릭터도우리 문화의 고유성이 반영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적·교육적 가치를 지니는 한국 전래동화를 모티브로 활용한 고감성 아동용 텍스타일 디자인을 시도해봄으로써 한국의 문학적요소가 지닌 디자인 소스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과 내용은 먼저 관련문헌과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전래동화의 개념 및 특징, 전래동화의 교육·문화적 가치, 한국 전래동화의 역사 및 특징, 아동용 텍스타일 디자인의 특성과 선행연구를 고찰한 다음, 한국 전래동화 ‘해와 달이 된 오누이’를 모티브로 활용한 텍스타일을 개발하였다. 텍스타일 디자인 개발은먼저,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캐릭터별 디자인과 이야기 장면별 디자인을 한 후, 벡터 이미지로의 변형, 컬러 조정 등의 단계를 거쳐 3종류의 텍스타일을 디자인하고 이를 활용하여 의류, 액세서리, 인테리어 소품등의 디자인에 시뮬레이션 하였다. 텍스타일 디자인, 시뮬레이션 작업은 Adobe Illustrator CS 5.0과 Adobe Photoshop CS 7.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용 텍스타일 디자인을 위해 한국 전래동화 중 인지도가 높고 아동복 캐릭터 모티프로 가장 어울리는 것으로 나타난 ‘해와 달이 된 오누이’를 디자인모티프로 선정하고 핸드 드로잉과 수채화 기법을 활용하여 전래동화 속 캐릭터와 장면별 디자인 한 후, 3종의 텍스타일 디자인을 제시하고 이를 활용하여 의류, 액세서리, 인테리어 소품 등의 디자인에 적용하여 시뮬레이션 하였다. 텍스타일 Design 1은 “해와 달이 된오누이” 장면별 디자인을 모두 활용한 아기자기하고 귀여운 이미지의 텍스타일 디자인으로, 핸드 드로잉과수채화의 붓 터치를 강조하였다. Design 2는 전래동화이야기의 밤 장면들을 활용한 디자인으로, 밤하늘에 반짝이는 별과 달을 연상시키는 환상적인 이미지의 디자인을 하였다. Design 3은 불규칙한 옐로우 도트 패턴에 오누이와 해와 달 캐릭터 이미지를 합성하여 따뜻하고 귀여운 이미지의 디자인이다. 이상에서 전개된텍스타일 디자인을 의류, 액세서리, 인테리어 소품 등의 디자인에 적용하여 시뮬레이션 하였다. 둘째, 본 연구를 통해서 정형화된 이미지를 갖고있지 않은 한국 전래동화는 아동에게 창의적인 시각을 향상시켜 줄 수 있는 아동용 텍스타일 디자인 개발을 위한 디자인 소스로서의 특징들을 갖고 있고 한국 전래동화 등장인물의 캐릭터화와 스토리텔링을 통한 텍스타일 디자인의 새로운 방법론을 모색해 보는계기가 되었으며, 융복합형 문화 콘텐츠디자인의 산업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아동용품이 개성화, 고급화, 패션화 되고있고 문화 해석력에 바탕을 둔 독창적인 디자인이 중요시되고 있는 시기에, 한국 전래동화를 모티브로 활용한 아동용 텍스타일 디자인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앞으로도 디자인 모티브로써 무한한 가능성을 지니고 있는 한국 전래동화를 활용한 고부가가치, 고감성 문화상품 개발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야 한다고 사료된다. In a time period of regarding cultural contents asimportant, the source of product competitiveness iscultural interpretation and creation through design. However, most of textiles for kids in Korea useanimation-, video-, movie-related kids characters, which are mainly imported from foreign counties. Evendomestic characters do not reflect uniqueness of Koreanculture.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the possibility to use Korean literature elements as adesign source by applying Korean folktales withcultural and educational value as a motive andattempting high sensitive textile design for kids. For the methods and contents of study, first, thisstudy reviewed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educational and cultural value, history andcharacteristics of Korean folktales, the characteristics oftextile design for kids, and previous researches basedon related literature and previous studies. Then, textileswere develop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Brotherand Sister who Became the Sun and the Moon’. Thedevelopment of textile design was first made bydesigning the characters and story scenes of the story. Three kinds of textiles were designed via the phasesof change into a vector image and color adjustmentswere simulated in clothes, accessories, and interior propdesign. Adobe Photoshop CS 7.0, and Adobe IllustratorCS 5.0 programs were used for the textile designs andsimulations. The results and conclusion of this studywere as follows. First, ‘The Brother and Sister who Became the Sunand the Moon’ was selected as a design motive fortextile design for kids as it was found to have thehighest recognition in Korean folktales and be the mostsuitable for kids wear. Using hand drawing andwatercolor techniques, characters and story of thisfolktale were designed and three kinds of textile designwere suggested. Finally, the developed textile designwas applied to and simulated in clothes, accessories, andinterior prop designs. Design 1 applied all scene designof ‘The Brother and Sister who Became the Sun andthe Moon’, represented a pretty and cute image, andstressed hand drawing and watercolor brush touch. Design 2 used the night scenes of the story andrepresented a fantastic image which suggests twinklingstars and the moon. Design 3 combined the brother andsister with the sun and the moon character imagesalong with an irregular yellow dot pattern andexpressed a warm and cute image. The developedtextile design was applied to and simulated in clothes, accessories, and interior prop design. Second, this study showed that Korean folktaleswhich have no a fixed image have the nature of a designsource to develop textile design for kids to improvechildren`s creative perspective. Also it served as anopportunity to explore new methodology of textiledesign through character- making of Korean folktalecharacters and storytelling and confirmed thepossibility of the convergence cultural contents designindustry.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it suggested textiledesign for kinds in the motive of a Korean folktale inthe time period when kids goods have becomeindividual, advanced, and fashionable and lay stress onoriginal design based on culture interpretation. Further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develop highvalue-added and high sensitive cultural products usingKorean folktales having limitless possibilities of adesign motive.

      • KCI등재

        빅데이터 기반 패션 큐레이션서비스 디자인 중요성에 관한 연구

        엄경희(Eom, Kyoung Hee),오임경(Oh, Rim Ky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7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3 No.4

        본 논문은 정보 과다의 현대 사회 속에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패션 큐레이션서비스 디자인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패션 큐레이션서비스 디자인을 제공받고자 하는 대상에게 효과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패션 산업 분야의 상업적 가치 창출 도모에 이론적으로 도움이 되고자 연구되어졌다. 연구범위는 현재 한국의 인구 비율과 평균적으로 안정된 경제력을 가지고 있는 3 · 40대 한국남성을 중심으로 라이프스타일을 조사하고 소셜 커뮤니케이션 사용 현황을 분석하여 패션 큐레이션서비스 디자인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관한 결론에 이르고 있다, 연구방법은 인터넷을 이용한 국내 정보 데이터를 중심으로 논문과 단행본 도서 · 출판물 및 각 기관 조사 자료를 통하여 조사 및 분석을 중심으로 하였다.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패션 큐레이션서비스 디자인 중요성에 조사 연구 결과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 시켰다. 첫째, 최근 등장한 빅데이터의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빅데이터가 수집하는 방대한 양의 정보가 사용자에게 모두 필요한 것은 아니다. 무분별한 정보 속에서 사용자의 만족을 충족시켜주는 정보를 선별하여 필요한 정보를 수집 전달해주는 큐레이션서비스 디자인이 빅데이터의 중요성과 더불어 현대 사회에 필요한 서비스 디자인으로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3 · 40대 한국남성의 라이프스타일을 조사 분석 해본 결과 다른 연령층에 비해 경제적인 소득이 높은 3 · 40대 한국남성은 외모에 관한 관심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3 · 40대 한국남성의 인터넷 및 소셜 커뮤니케이션의 사용 빈도수, 이용량 및 의존도도 3 · 40대 한국 여성들 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3 · 40대 한국남성의 라이프스타일을 조사 분석 결과 패션 관련 소비가 점차 증가함에 따라 패션 큐레이션서비스 디자인의 필요성에 대한 중요성 확인 할 수 있었다. 셋째, 외모의 관심도와 인터넷 및 소셜 커뮤니케이션에 의존도가 높은 3 · 40대 한국남성은 패션시장이 점차적으로 커짐에 따라 빅데이터는 있으나 3 · 40대 한국남성의 라이프스타일을 충족하기 위한 패션 큐레이션서비스 디자인이 미흡함으로 이러한 문제점을 충족시킬 수 있는 패션 큐레이션서비스 디자인의 중요성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3 · 40대 한국남성이 비율과 소비성향 및 경제력을 바탕으로 호기심과 만족을 충족시킬 수 있는 패션 큐레이션서비스 디자인을 제공함으로써 향후 급부상 되어 지고 있는 남성 패션 마켓에 대응하여 글로벌 마켓에서의 경쟁력을 강화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본 조사 연구를 통하여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3 · 40대 한국남성들을 위한 패션 큐레이선서비스 디자인을 구축하고 활용하면 패션과 디지털 기술 융합의 가치를 창출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effective information to the targets that intend to receive fashion curation service design by recognizing its importance based on the big data in the modern society with excessive information, to theoretically support the commercial value creation in the fashion industry. For the range of study, we researched focusing on the lifestyle of Korean male in their 30s ~ 40s who have stable economic power, average population group in Korea, analyzed the status of social communication use, which led the conclusion about importance and necessity of fashion curation service design. For the research method, we used the survey and analysis through theses, monography, publications, research documents and survey data of institution mainly with domestic data. The results of investigation are as follows. First, Big data means the technology that can manage, analyze the extensive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s for information managed and analyzed by Big data according to the needs of users refers to curation service. The service focusing on fashion among many of contents curation service design is the fashion curation service design. Second, when researching lifestyle of Korean male in their 30s ~ 40s, they have high interest in appearance, their economic income is higher than other age groups, and show the tendency of increasing fashion-related consumption. In addition, the frequency, use amount, and dependence of internet and social communication by Korean males in their 30s and 40s are relatively higher than those of Korean females in their 30s and 40s. Third, if utilizing fashion curation service design for Korean male in their 30s and 40s who have high interest in appearance, highly dependent to internet and social communication, we can confirm the importance of fashion curation service design for the consumption increase of Korean male in their 30s and 40s that has been bigger in the fashion market. Therefore, if providing a fashion curation service design that satisfies their curiosity and satisfaction based on the ratio, consumption trend and consumption power, respectively, it shows high possibility that it will be developed into an important service design for the future of the male fashion market. Through this research, we can build the value of fashion and digital technology convergence by constructing and utilizing fashion curation service design for Korean male in their 30s and 40th based on Big Data. In addition, we are looking forward to strengthen our competitiveness in the global market in response to the rapidly emerging male fashion market.

      • KCI등재

        해외 주요 간행물에 나타난 지역연구로서의 한국 관련 디자인 연구의 경향 - 세계화와 지역화의 관점에서 한국디자인 정체성 담론의 방향성 고찰 -

        장주영 ( Juyoung Chang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7 한국디자인포럼 Vol.55 No.-

        연구배경 본 연구에서는 해외 주요 일간지와 학술지에 나타난 지역연구로서의 한국디자인 연구의 경향을 알아보는 것을 일차적 목표로 하며, 이를 통해 세계화와 지역화의 관점에서 한국디자인의 정체성 담론의 방향성을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먼저 한국디자인사에서 전통과 정체성에 관한 담론들을 살펴보고, 이들의 한계점을 논의해본다. 그리고 해외로 눈을 돌려 세계 속에서 지역디자인과 국가디자인의 서사에 대해 조사를 하고, 최근의 지역디자인 담론의 경향에 대해서도 살펴본다. 그리고 최근 6년간 해외 주요매체와 학술지에 거론되는 한국디자인에 대한 기사와 연구의 내용과 경향을 정리 분석한다. 연구결과 전체기사 중 한국문화예술 관련 국내외 행사나 전시회 소식을 알리기 위한 기사들이 가장 많았다. 관련 전문가에 의한 전문성을 갖춘 기사는 2개 정도가 있었다. 대체로 한국문화에 대한 가벼운 내용을 다룬 기사가 대부분이었다. 해외 우수학술지에 실린 한국디자인 관련 논문들은 10편 밖에 없었고, 모두 한국인 연구자들이 논문의 저자들이었다는 점이 특이했다. 이를 미루어 아직까지 한국디자인에 대한 외국인 전문 연구가는 없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 연구들은 해외에 한국디자인을 적극적으로 알리는 도구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결론 해외연구자들의 시각을 이해해보고자 하는 본 연구의 목적은 이루지 못했지만, 국내디자인 연구자들이 앞으로 세계와 소통하며 한국디자인 담론을 생성해나가야 할 것이라는 방향성을 찾을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해외에서 한국 관련 디자인 연구의 현황을 조사 분석하여 세계적 지역적 관점에서 한국디자인의 정체성 담론의 방향성을 모색해본 것에 의의를 두며, 이를 계기로 초국가적 관점에서의 한국디자인 담론이 전 세계적으로 활발하게 확산되길 기대한다. Background The primary goal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rends in Korean design studies as a regional study in major foreign media and academic journals; and to examine the direction of the discourse of Korean design identity in terms of globalization and localization. Methods Firstly, the discourses on tradition and identity within Korean design were examined and their limitations were discussed. Subsequently, narratives of regional and national design in the world were investigated; as well as recent trends of regional design discourses. The articles and researches regarding Korean design which were mentioned in major overseas media and journals within the last six years were analyzed. Result Most articles introduced Korean design and arts related events and exhibitions. Other articles introduced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other innovative products. Majority of articles were rather light descriptions of Korean culture. There were only ten articles related to Korean design that had been published in acclaimed journals. Interestingly, all of these articles were written by Korean researchers. As a result, it seems that there are no foreign researchers on Korean design yet. These have been acting as a tool to actively promote Korean culture abroad. Conclu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ituation of design research related to Korea from abroad and to examine the direction of discourse of identity of Korean design from a global and regional viewpoint. It is expected that the discourse of Korean design from the transnational perspective will be actively spread around the world.

      • KCI등재

        한국 창작무용 의상디자인의 변천과정 및 특징에 관한 고찰

        김혜경,김흥경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06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6 No.2

        한국무용은 19세기말 신무용의 탄생으로 연희 형태에서 무대와 객석이 분리된 극장식 무용으로 재. 이런 변화는 기존의 형식적이고 기교적인 한국전통무용이 예술적 측면을 강화시키면서 , 독창적이고 창작적인 한국 창작무용으로 성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이런 과정에서 양산된 한국 창작무용의 의상디자인이 어떻게 전통적 미의식과 , 재생성으로 이어져왔는지 그 변모의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 첫째, 신무용기에서 한국 창작무용으로 넘어가면서 무용작품은 예술적 무용을 지향하는 종합예술로 발전하게 되었다 . 이 때 무용의상의 변화의 특징은 전통적인 무용의상에 비해 장식적인 요소가 많아졌고 서구화된 디자인 형태도 나타나게 되었다 . 둘째, 포스트모더니즘의 출현으로 무용계의 국제문화교류가 활발해지고 네트워크화 되어 한국 창작무용 의상은 해체화 , 단순화, 개방화, 퓨전화, 다양화라는 특징을 보였다. 셋째, 급격한 변화 양상은 특히 , 신인 안무가들의 무용작품의상에서 발견되고 있다. 긍정적 측면에서 그 대표적인 변화는 다양화를 들 수 있다 . 그 결과 한국 창작무용 의상디자인을 위한 창작 연구 범위가 일반의상 디자인을 포함 , 훨씬 더 광범위해졌다. 16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제6권 제2호반면에 부정적인 측면에서는 한국무용만이 갖는 고유한 전통적 미의식 개발의 소홀함으로 현대무용과의 차별성이 점차적으로 소멸되는 변화양상을 띄게 되었다 . Korean Dance has been newly established into the Theater-type Dance from banqueting since the new type of creative dance appeared at the end of 19th century as a composite art. This change allows intensifying marvelous improvement of the artistic phase and has been an important beginning of originative and creative of Korean Creative Dance. Based on the aspect, this paper focuses on careful consideration and look into how the costume of Korean creative dance has been changed and growth though the combination and formation of aesthetic sense between traditional and modern. The question resolves itself into the following three points. First, in the state of turnover from Neo Dance era to Korean Creative Dance, dancing performance has been alternated to composite type of art. At the time, the dancing costume identified as very decorative with various ornaments than before, and also show westernizing influence in the design. Second, as a result of the Post Modernism appear, Korean Dancing field make cultural exchange worldwide lively and build a network with countries, the Korean Creative Dance has been disorganize, simplified, be candid, and diverse. Third, through the dramatic change and improvement, a lot of new choreographer bring multiform of directing in an affirmative concept so that let the costume design to be extensive to general clothes. On the other hand, been remiss to find the peculiarity of Korean traditional Dance has been gradually and hard to distinguish with Contemporary dance in a negative concept.

      • KCI등재

        청소년의 한국적 디자인 교복제품에 대한 이미지 평가와 선호태도

        윤초롱 ( Chorong Youn ),문희강 ( Hee-kang Moon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0 한국디자인포럼 Vol.29 No.-

        본 연구는 한국적 디자인 교복의 개념을 확인하고 제품의 개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동안 한국적 디자인의 교복으로 생활한복 교복만이 언급되었으나, 최근 생활한복 교복에 대한 디자인 측면의 개선이 요구되면서 한국적 디자인 교복제품에 대한 새로운 개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적 디자인의 교복을 생활한복에 국한시키지 않고 한국적 정체성이 반영된 디자인의 교복으로 확장시키고, 청소년들이 선호하는 한국적 디자인 교복에 대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적 이미지의 현대적 표현을 통해 전통을 반영한 한국적 디자인 교복에 대한 청소년의 선호태도를 높일 수 있음을 검증하고 한국적 디자인 교복제품에 대한 구체적인 이미지 평가차원과 그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전국의 여중생과 여고생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총 551개의 응답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개발된 한국적 디자인 교복제품 2종을 자극물로 제시하여 이들에 대한 이미지 평가 및 선호태도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극물에 대해 현대적 이미지와 전통적 이미지의 수준을 평가하도록 하여 두 자극물이 전통적으로 표현된 정도에는 차이가 없으나 현대적 표현 정도에는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두 자극물 사이의 선호태도를 비교한 결과, 청소년들은 현대적으로 표현된 교복제품을 더욱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적 디자인의 교복제품에 대한 미적 이미지 평가 차원을 밝힌 결과, 품위/단아, 편안/실용, 고루/투박, 장식/화려의 네 차원이 도출되었다. 각 이미지 평가 차원이 현대적 표현에 대한 지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 결과, 한국적 디자인 교복제품을 편안하고 실용적인 이미지나 단아하고 품위있는 이미지로 인식할수록 현대적이라고 평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concept of Korean image school uniforms, and to provide guidelines for developing Korean image school uniforms. Korean image school uniforms may reflect the images of Korean cultural identity as well as the images of Hanbok. By reinterpreting traditional Korean image from a modern viewpoint and reflecting it Korean image school uniform design, a large portion of dissatisfaction with current Korean image school uniform could be resolved. In order to identify adolescents` preferred Korean image school uniform, this study examined if they prefer modernized Korean image to realistic one. And adolescents` image evaluation dimensions on Korean image school uniform that affect their altitudes towards Korean image school uniform were identified as well. For this study, questionnaire data from 551 female adolescents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Adolescents perceived the difference between two stimuli operatinalized according to the level of modern expressivity and preferred the school uniform reflecting Korean traditional image with modern interpretation.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for image evaluation, four dimensions, refined/ graceful, easy/practical, stuffy/rustic, and decorative /staring were drawn. It was found that the easy/practical dimensions factor and refined/ graceful factor affected adolescents` perception of modernity in Korean image uniform.

      • KCI등재

        K-디자인에 기반한 아이덴티티 전략 및 문화상품 개발

        김진경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24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76 No.-

        21세기 K-컬처가 전 세계적으로 각광 받는 시점에 한국 고유의 아이덴티티를 지닌 디자인 문화상품은 한국 문화를 알리는 데 큰 영향력을 전파하고 있다. K-디자인에 기반한 문화상품은 한국적 미감을 지닌 아이디어가 구체화되고 생산, 유통, 서 비스 과정을 통해 실제 상품으로 출시한다. 본 연구는 한국적 가치가 담긴 우수한 문화상품 발굴의 중요성 및 K-디자인 아이덴티티가 분명한 문화상품 활성화에 목적이 있으며 본 연구 목적에 맞게 문헌연구, 사례분석, K-디자인 문화상품 개발 순으로 진행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K-디자인에 기반한 문화상품의 아이덴티티는 정체성, 독창성, 연상성, 역사성의 네 가지 특성으로 도출하였으며 이 후 2022년-2020년의 대한민국 관광기념품공모전에 당선한 문화상품을 선정하여 사례 분 석하였다. 사례분석을 토대로 실제 K-디자인 문화상품 4종을 개발하여 아이덴티티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결론적으로 K- 디자인에 기반한 아이덴티티 전략으로는 한국문화를 대표하는 정체성, 한국문화를 연상하는 연상성, 한국문화의 역사를 반 영한 역사성, 한국문화와 연계한 차별화된 독창성이다. 한국문화의 고유성을 오래도록 기억할 수 있는 디자인 요소의 아이 덴티티를 연구하여야 하며 아이디어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K-디자인 전략을 세운 후 실제 제품에 적용하여 상품화 해야 함을 시사한다. 상품 기획을 도출하고 실제 상품으로 출시하는 과정에서 한국문화의 정체성을 바르게 세워 이미지를 통합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문화상품은 향후 실질적 상품화를 통하여 한국문화를 알리는 아이덴티티 전략 확보를 목표로 하며 후속 연구를 통해 실효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K-디자인 전략은 세계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잠재력 있는 자원이며 국가 위상을 높일 수 있는 활동이다. 본 연구로 인하여 한국의 고유한 전통과 문화적 가 치를 지닌 경쟁력있는 디자인 문화상품 발굴과 발전에 밑거름이 되길 기대한다. At a time when 21st-century K-culture is gaining global recognition, Korean design cultural products with a unique Korean identity are spreading significant influence in promoting Korean culture. These cultural products based on K-design are being developed by concretizing ideas imbued with Korean aesthetics, going through the processes of production, distribution, and services, culminating in the release of actual products. This study aims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discovering outstanding cultural products with Korean values and to activate cultural products with a clear K-design identity. To achieve this goal, the research proceeded in the following sequence: literature review, case analysis, and the development of K-design cultural products.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the identity of cultural products based on K-design was derived with four characteristics: identity, originality, association, and historical context. Subsequently, a case analysis was conducted by selecting cultural products that had won awards in the Republic of Korea's tourism souvenir competition Between 2022 and 2020. Based on the case analysis, four actual K-design cultural products were developed and the validity of their identity was verified. In conclusion, the identity strategy based on K-design includes representing the identity of Korean culture, evoking associations with Korean culture, reflecting the history of Korean culture, and showcasing distinctive originality linked to Korean culture. Research on the identity of design elements that can help preserve the uniqueness of Korean culture for a long time is necessary. After establishing a K-design strategy that reinterprets ideas in a contemporary context, it is important to apply it to actual products for commercialization. The stud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accurately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Korean culture through the process of deriving product planning and releasing actual products. we intend to verify their effectiveness through subsequent research. We hope that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the discovery and development of competitive design cultural products with Korea's unique traditions and cultural values.

      • KCI등재

        인천시 ‘월미한국전통정원’의 빛 디자인 구현방안 연구

        이상혁 ( Sang-hyuk Lee ),김영희 ( Young-hee Kim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21 한국디자인포럼 Vol.26 No.1

        연구배경 월미한국전통정원의 빛 디자인 제안을 위해 진행하였다. 인천시 중구의 시장경제 활성화와 관광명소 확대로 인한 관광객 유입 유도 및 월미한국전통정원의 활성화를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단행본, 인터넷, 사례 조사를 진행하고 현장조사에서 직접촬영 및 자료조사 등을 진행했다. 연구 범위는 월미한국전통정원을 중심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국가 표준 조도기준, 빛이 아름다운 국제도시 인천 만들기 2018, 환경부 산하 한국 환경공단 빛 공해 방지법, 국토교통부의 조명환경 관리구역의 유형 등의 이론적 연구를 통해 월미한국전통정원의 빛 디자인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조사를 통해 얻은 결과와 문제점을 바탕으로 새로운 기준을 제시했다. 월미한국전통정원의 빛 디자인 방향을 조도기준(KS A 3011)에 부합하도록 하되, 본 연구결과로 얻은 값을 조정하여 새로운 기준을 적용, 시뮬레이션을 통한 이미지를 구현하였다. 결론 월미한국전통정원 만의 특색을 바탕으로 연구결과로 얻은 새로운 기준과 CPTED 디자인을 고려한 빛 디자인을 시뮬레이션으로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인천시 중구의 CPTED 디자인을 포함한 현실적인 빛 디자인 가이드라인의 새로운 기준 마련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Background It was conducted for the light design proposal of the Korean Traditional Garden in Wolmi. The purpose is to revitalize the market economy in Jung-gu, Incheon, induce the influx of tourists through the expansion of tourist attractions, and to revitalize the Wolmi Korean traditional garden. Methods Paperwork, internet, and case studies were conducted, and direct filming and data surveys were conducted in the field survey. The research scope is centered on the Korean traditional garden in Wolmi. Specifically, through theoretical research on national standard illumination standards, making Incheon, an international city with beautiful lights 2018, the Light Pollution Prevention Act under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the types of lighting environment management zones of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Wolmi Korean traditional garden landscape lighting design Prepare the foundation. Result A new standard was proposed based on the results and problems obtained through the investigation. The light design direction of the Korean traditional garden in Wolmi was set to conform to the illumination standard (KS A 3011), but the value obtained from this study was adjusted and applied as a new standard, and the image was implemented through simulation. Conclusion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Traditional Garden in Wolmi, a new standard obtained as a result of the study and a light design in consideration of CPTED design were presented through simulation. Based on thi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new standard for realistic light design guidelines including CPTED design in Jung-gu, Incheon.

      • KCI등재후보

        한국 전통 마을의 버네큘러(Vernacular)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김철중 ( Cheol Joong Kim ),유진형 ( Jin Hyung Yo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8 No.3

        (연구배경 및 목적) 버네큘러 디자인은 지역의 풍토적 자연환경과 생활 습관에 의해 이루어진 토속적인 양식의 디자인 이념으로,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생활양식을 대표하는 전통 마을의 버네큘러 공간적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지역의 고유성과 정체성을 찾아가는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문헌을 통해 버네큘러 디자인에 대한 개념적 정의와 특성을 살펴보고, 한국전통마을에서 보여 지는 한국적 버네큘러 특성을 요소별로 분석하고, 사례를 통하여 검증하고자 한다.(결과) 본 연구에서 밝혀진 한국 전통마을의 버네큘러 특징은 첫째, 한국의 풍토적 조건에 의해 형성된 배산 임수의 입지적 조건과 지형지세에 맞게 구성된 공간 구조와 둘째, 풍수지리적 조화를 이루기 위한 풍수비보에서 진화적 완결성의 버네큘러 디자인 특성을 찾아 볼 수 있었다, 셋째 한국의 토속적인 재료인 흙, 초가지붕, 돌담은 수명을 다해 폐기 되어도 다시 자연으로 일부로 돌아가는 자연 순환적인 한국 고유의 버네큘러적 디자인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이처럼 지역 문화의 고유성과 특수성을 반영하는 토착성의 디자인(vernacuar design)은 급속도로 획일화 되어져 가는 세계화과정에서 한국 특유의 공간 정체성을 찾아가는 실마리가 될 것을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This study investigates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orean villages, and then proposes a method to determine the uniqueness and identity of a region. (Method)We examine the conceptual defin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vernacular design through a literature review. On the basis of this theoretical review, we analyze and verify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vernacular style that is observed in traditional villages. (Result)The vernacular characteristics are as follows:(1) they have the spatial structure of a traditional Korean village designed to fit the topography of Baesanimsoo, which is endemic to Korean architectural design (2)Korean vernacular characteristics were found in improvement projects that modify topography in order to achieve balanced geomancy and (3)traditional construction materials used in Korea, such as straw-thatched roofs, mud walls, and stone walls, are designed to return to nature when their utility has ended, which complies with vernacular design`s principal of natural circu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