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다르덴 형제와 켄 로치 감독의 ‘노동 영화’, 자크 엘륄의 변증법적 사상으로 해체하기

        김소영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24 현대영화연구 Vol.20 No.2

        인류의 역사는 노동의 역사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노동 영화는 영화의 탄생과 함께 지금까지 노동자의 삶과 노동 현장을 사실적으로 재현해 왔다. 본 연구는 벨기에의 다르덴 형제(Jean-Pierre Dardenne & Luc Dardenne)와 영국의 켄 로치(Ken Loach) 감독이 제작한 노동 영화를 ‘기술(technology)’의 관점으로 바라보는 통합적 분석을 시도한다. 이를 위하여 프랑스의 사회학자이자 기술 사상가인 자크 엘륄(Jacques Ellul)의 변증법적 논의를 차용한다. 이는 기존의 선행연구들이 주목했던 노동 영화 속 노동자, 노동 계급, 노동 현장 등의 단일한 요소를 넘어, 기술 사회의 노동이 야기한 문제를 유기적으로 분석하기 위함이다. 다르덴 형제와 로치 감독은 현실의 모순을 고발하는 사회적 리얼리즘 영화를 통해 영화적 액티비즘을 실현해 왔다. 이에 본 연구는 다르덴 형제의 <약속 La promesse>(1996), <로제타 Rosetta>(1999)>, <내일을 위한 시간 Deux jours, une nuit>(2014)과 로치 감독의 <나, 다니엘 블레이크 I, Daniel Blake>(2016), <미안해요, 리키 Sorry We Missed You>(2019), <나의 올드 오크 The Old Oak>(2023)에 나타난 노동의 문제를 엘륄의 사회결정론적 기술론과 기독교적 가치관으로 풀어가고자 한다. 노동 영화는 단순히 노동을 다루는 영화가 아니다. 그것은 노동자의 삶을 넘어, 기술이 지배하는 현대사회의 단상이기도 하다. 이것이 바로 노동 영화로부터 현대사회의 기술이 갖는 함의를 통합적으로 고찰하려는 이유이다. The history of human beings can be said to the history of labor. Since the birth of film, labor films have realistically reproduced the lives and work places of workers. This study attempts an integrated analysis of the labor films produced by the Belgian directors Dardenne brothers (Jean-Pierre Dardenne & Luc Dardenne) and the British director Ken Loach from a technological perspective. For this purpose, I borrow the dialectical discussion of Jacques Ellul, a French sociologist and technology thinker. This is to organically analyze the problems caused by labor in a technological society, going beyond the single elements of workers, the working class, and the workplace in labor films that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The Dardenne brothers and Loach have realized cinematic activism by producing social realist films that expose the contradictions of reality. Accordingly, this study focuses on the various issues of labor presented in the Dardenne brothers' La promesse (1996), Rosetta (1999), and Deux jours, une nuit (2014) and director Loach's I, Daniel Blake (2016), Sorry We Missed You (2019), and My Old Oak (2024) and seeks to solve this problem using theory of deterministic technology and Christian values. Labor films are not simply films that deal with labor, but are also a reflection of the modern society dominated by technology. This is the reason for comprehensively examining the implications of the technology.

      • KCI등재

        근대 한국의 여성 공론장 형성과 『여자지남(녀ᄌᆞ지남)』 발행

        김소영 전북사학회 2021 전북사학 Vol.- No.62

        『여자지남』은 근대 초 여성 공론장이 형성되어 가던 과정에서 창간된 여성잡지였다. 1908년 5월 25일 창간호인 제1호가 발행되었으나 제3호를 마지막으로 폐간되었다. 최근까지 잡지 실물은 제1호만 전해져 연구에 활용되어 왔고, 제2호와 제3호는 발간 사실만 확인될 뿐이었다. 그런데 근래 『여자지남』 제2호의 실물이 발굴되어 근대 여성 담론과 여성 공론장 연구의 지평을 확장하는데 기여할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는 먼저 기존 자료인 『여자지남』 제1호와 함께 신자료인 『여자지남』 제2호를 분석하여 여자보학원과 양원학교 설립과 운영, 『여자지남』의 발행을 둘러싼 여자교육회와 여자보학원유지회의 갈등과 대립을 실증적으로 보완했다. 다음으로 『여자지남』 제1호와 제2호를 서지학적으로 분석, 정리하였다. 제1호의 경우 발행소가 여자보학원이었으나 제2호는 양원학교로 명기되어 있다. 이는 여자보학원 유지회측이 여자교육회측과의 갈등 속에서 여자보학원을 양원학교로 변경하여 운영하는 한편 잡지 간행도 지속했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제1호와 제2호는 잡지 발행 및 편집 주체, 잡지 체제나 구성, 기사 주제, 집필진 등에서 큰 변화는 없었다. 마지막으로 1905년 이후 여성 공론장이 본격적으로 형성되어 과정과 그 과정에서 『여자지남』의 발행이 가지는 의의, 여성 공론장으로서 성격 등을 분석했다. 1905년 이후 많은 신문과 잡지가 발간되었으나 발행과 편집, 주요 필진은 여전히 남성 중심이었다. 또 근대적 교육을 받은 여성들이 증가하면서 신문이나 잡지의 여성 독자층이 두텁게 형성되어 갔지만 여성이 필자로서 참여하는 경우는 여전히 소수에 불과했다. 『여자지남』은 제1호와 제2호를 분석한 결과 잡지 발행자 및 편집진은 남성이었지만 주요 필진은 여자교육회, 여자보학원과 양원학교 관련 여성 교육가, 개혁가, 그리고 여학교 학생들로 여성 필진의 비중이 높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여자지남』은 잡지 발간 목적, 독자층, 기사의 주제와 내용, 여성 필자의 비중 등을 살펴봤을 때 여성 공론장으로서 성격을 분명히 드러냈다. Yeojajinam was a women's magazine that was launched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women's public sphere in the early modern period. Until recently, only the first issue of the magazine was found as a hard copy and used for research, and only the fact of publication of issues 2 and 3 was confirmed. However, issue 2 has been discovered lately and it has been able to contribute to expanding the horizons of modern women's discourse and research on women's public sphere. First of all, this study empirically supplemented the conflicts and confrontations over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schools and the issuance of Yeojajinam between the Association of Women's Education and Yeojabohakwon by analyzing Yeojajinam issue 2, the new material with issue 1. Next, issues 1 and 2 of the Journal were analyzed and arranged bibliographically. Yeojajinam issue 1 was published by Yeojabohakwon, but the publisher of issue 2 was Yangwon School. This was because the Supporting Association of Yeojabohakwon changed the name of school from Yeojabohakwon into a Yangwon school due to the conflicts with the Association of Women's Education and continued to publish the journal. Finally, this study analyzed the process of formation of the women's public sphere in earnest after 1905 and the significance of the issuance of Yeojajinam and characteristics of the journal as the public sphere of women. Although many newspapers and magazines have been published since 1905, the publication, editing, and writing staff were still male-dominated. In addition, as the number of women who received modern education increased and the female readership of newspapers and magazines grew thick, but there were still only a few cases where women participated as writers. As a result of analyzing issues 1 and 2 of Yeojajinam, the publishers and editors of the magazine were male, but the main writers were female educators, reformers, and students related to the Association of Women's Education, Yeojabohakwon and Yangwon School. In addition, when considering the purpose of publication of the magazine, the readership, the topic and content of the article, and the proportion of female writers, the journal clearly revealed its character as a public sphere for women.

      • KCI등재

        외국인 학부모의 문화적응유형 프로파일이 청소년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종단적 변화유형에 미치는 영향: 잠재전이분석을 적용하여

        김소영,홍세희 한국조사연구학회 2019 조사연구 Vol.20 No.3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a) to classify latent profiles of foreign parents’ cultural adaptation, (b) to classify latent classes in the growth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cultural adaptation stress, (c) to investigate the latent transition rates between the latent profiles and classes, (d) to explore the determinants of latent profiles and classes, and (e) to examine covariates of latent transition. For these purposes, latent transition analysis and multinomial logit analysis were conducted. Results showed that the cultural adaptation types of foreign paren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latent profiles: ‘accepting new culture group’, ‘original cultural identity group’, and ‘maladaptation group’. The latent classes of the change in cultural adaptive stres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were categorized into four latent classes: ‘high level group’, ‘increasing group’, ‘decreasing group’, and ‘low level group’. For younger parents who belong to the assimilation/integration group, their children tended to transit to the high-level stress group or the decreasing stress group. And, as the period of residence in Korea was longer and the level of daily stress was lower, their children tended to transit to the increasing group. High self-esteem and fluency in Korean were protective factors for both foreign parents and multicultural adolescents. This study revealed that cultural adaptation types can be explained by both one-dimensional and two-dimensional theories. Finally, this research suggested that policy for multicultural adolescents should be selectively applied to students who are at the potential risk of stress. 이 연구의 목적은 외국인 학부모의 문화적응유형의 잠재프로파일을 분류하고, 다문화 청소년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성장잠재계층을 분류하여, 두 잠재계층 간의 전이비율을 살펴보고, 각각의 잠재계층에 영향을 주는 변인을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예측변수가 있는 잠재전이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외국인 학부모의 문화적응유형은 각각 '정착국 수용 집단', '원문화 정체성 집단', 그리고 '부적응 집단'의 3개의 잠재프로파일로 나누어졌다. 다문화 청소년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변화유형은 ‘고수준 집단’, ‘증가집단’, ‘감소집단’, 그리고 ‘저수준 집단’의 4개 성장잠재계층으로 나누어졌다. 외국인 학부모가 정착국 수용집단에 속하는 경우에는, 학부모의 나이가 적을수록 그 자녀가 스트레스 고수준 집단이나 감소집단으로 전이되는 경향이 있었으며, 학부모의 한국 거주기간이 길수록 그리고 일상 스트레스가 낮을수록 그 자녀가 스트레스 감소집단으로 전이되었다. 높은 자아존중감과 한국어능력은 외국인 학부모와 다문화 청소년 모두에게 보호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외국인 학부모의 문화적응유형은 이차원적 이론과 일차원적 이론 모두 적용하여 설명이 가능했으며, 다문화 청소년에 대한 지원은 높은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예상되는 학생에게 선택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제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레오스 카락스 감독의 영화미학, 변증법적 생소화에 의한 탈장르성 - <홀리 모터스>(2013)와 <아네트>(2021)를 중심으로

        김소영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2023 한국예술연구 Vol.- No.41

        본 연구는 현대 대중문화의 탈장르성과 능동적 수용자에 관한 이론적 근거를 독일의 극작가이자 시인인 베르톨트 브레히트의 서사극으로부터 찾고, 그것이 영화에 어떻게 변용되는지 살펴본다. 분석대상은 프랑스의 영화감독 레오스 카락스의 <홀리 모터스(Holy motors>(2013)와 <아네트(Annette)>(2021)이다. 선정 이유는 전자에 나타난 탈장르적 작법이 브레히트식 생소화(Verfremdung) 효과에 의해 후자로 확장되기 때문이다.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배우와 관객의 두 층위에서 ‘메소드 연기/연극적 게스투스’, ‘개입하기/관조하기’의 관점으로 분석한다. 그의 영화는 여러 장르를 넘나들며 화려한 시청각 이미지로 펼쳐지는 교향곡의 향연에 다름 아니다. 그러나 이는 단순한 스펙터클의 이미지가 아닌, 배우와 관객의 전통적 지위와 상호 관계를 재정립하게 만드는 예술적 시도이다. 카락스 감독 영화의 변증법적 생소화 미학을 찾아가는 여정은 탈장르적 현대 대중문화에 침윤된 브레히트의 영향력을 확장하는 작업이 될 것이다. This study seeks a theoretical basis for the active audience of modern popular culture found in Bertolt Brecht’s Episches Theater, and examines how this is transformed into film. This paper discusses Brecht’s Verfremdung effect through an analysis of Holy motors (2013) and Annette (2021) by French film director Leos Carax. Specifically, it illuminates from the viewpoints of ‘method acting/theatrical gestus’ and ‘intervention/contemplation’ for both actors and audiences. Holy Motors and Annette are not simple spectacle images, but artistic attempts to redefine the traditional status and mutual relationship between actors and audiences. Therefore, the journey to find the dialectical aesthetics of verfremdung effect in director Carax’s films is also the work of expanding Brecht’s influence that has already permeated modern popular culture.

      • KCI등재

        클레마티스에서의 F3'5'H 유전자 분리 및 화색별 발현분석

        김소영,천경성,임성민,권오현,유봉식,김미선,이수영 한국화훼학회 2016 화훼연구 Vol.24 No.3

        Clematis patens는 미나리아재비과 으아리속에 속하는 다년 생 숙근초로 꽃잎화한 꽃받침을 가지고 있는 점이 특징이며 흰색, 분홍색, 자주색, 보라색, 등 다양한 화색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C. patens ‘The President’에서 flavonoid 생합성 경로에 관여하는 유전자 중 delphinidin 계열 anthocyanin 색 소 합성을 유도하는 F3'5'H(ClF3'5'H)를 분리 동정하였으며, 화색 및 발달 단계별 ClF3'5'H 유전자의 발현 패턴을 분석하 였다. 또한 클레마티스 화색별 anthocyanin의 함량을 알아보 았다. 그 결과, 기존 보고된 Aconitum carmichaelii의 F3'5'H 유전자의 아미노산 서열과 79% 일치하여 높은 상동성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ClF3'5'H 유전자의 발현 패턴은 흰색을 띠 는 클레마티스에서는 ClF3'5'H 유전자의 발현량이 많지는 않 았으나 다른 발달 단계에 비해 완전 개화한 단계에서 발현이 강했다. 분홍색을 띠는 클레마티스에서는 모든 발달 단계에서 ClF3'5'H 유전자의 발현이 검출되지 않았으며, 자주색과 보라 색을 띠는 클레마티스에서는 개화 직전 및 완전 개화 단계에 서 발현하였다. 이 결과로부터 클레마티스의 다양한 화색과 클 레마티스의 F3'5'H 유전자 발현과의 상관관계가 시사되었다. Clematis is a genus of about 300 species within the buttercup family Ranunculaceae. Flower colors in the species are divided into four colors, white, pink, red and purple. Flavonoid 3',5'-hydroxylase is the key enzyme in the syntheses of 3',5'-hydroxylated anthocyanidins, which are usually required for the expression of blue or purple flower color. We isolated homologues of the F3'5'H gene (named ClF3'5'H ) from Clematis patens ‘The President’. We analyzed the gene expression and accumulation of anthocyanins in petal of ten cultivars with different flower colors. As a result, the expression of the gene was detected in fully-opened flower of the white-colored petal. Whereas, the expression of the gene was not detected in the pink-colored petal of C. patens ‘Comtesse de Bouchaud’ and ‘Hagley Hybrid’. Also, the gene expressed strongly in opening flower and fully-opened flower with purple - colored petals. It is suggested that the expression of the ClF3'5'H gene iinvolves different flower colors in C. patens.

      • KCI등재

        차이밍량과 홍상수 영화의 일상에 관한 존재론적 스토리텔링: <애정만세>와 <돼지가 우물에 빠진 날>을 중심으로

        김소영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9 통일인문학 Vol.78 No.-

        According to Siegfried Kracauer, film represents inherent affinities between an real of big city and popular subject. The two representative film directors are Tsai Ming Liang in Taiwan and Hong Sang-soo in Korean. As everyone knows, two directors represent everyday life of citizens in a big city with their own language. This article explores an ontological storytelling on everydayness in two films, Vive L'Amour(1994) and The Day A Pig Fell Into The Well (1996) For this, the Other, the space, and the objet to show it. The first element is the Other, which means flaneur who wander the street in modern society. They are both familiar and strange as well. It causes that audience feel them as themselves. The second element is space. Two directors make several spaces as the spaces achievement of desire and they have been changed to special ones. The various object are Final elements which are utilized to metonymic functions. Especially bath and water in Tsai Ming Liang’s films and alcohol in Hong sang-soo’s films are related to the essence of human beings. For these reasons, audiences chase their daily life and observe and think about human. The two films represented daily elements such as the Other, space, and objet tell our daily life. Thus we can say that the films of Tsai Ming Liang and Hong Sang-soo are an ontological storytelling that include the not-being like solitude, anxiety, and desire. rather than exclude them. 지크프리트 크라카우어(Siegfried Kracauer)에 따르면, 영화는 대도시 현실과 대중적 주체를 연결하는 ‘내재적 친화성(inherent affinities)’을 지닌 재현수단이다. 이러한 매체적 특성이 반영된 아시아의 영화감독으로, 대만의 차이밍량(Tsai Ming Liang)과 한국의 홍상수를 들 수 있다. 주지하듯 두 감독은 현대자본주의 대도시에서 살아가는 소시민의 일상을 그들의 고유한 영화적 언어로 재현해왔다. 이에 본 연구는 차이밍량과 홍상수 감독의 초기작품인 <애정만세>(Vive L'Amour, 1994)와 <돼지가 우물에 빠진 날>(The Day A Pig Fell Into The Well, 1996)의 일상에 관한 존재론적 스토리텔링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두 영화의 일상을 재현하는 요소로 (등장인물인) 타자, (이들을 둘러싼) 공간, (양자를 매개하는) 오브제라는 세 요소를 설정한다. 첫 번째 요소인 타자는 현대소비사회의 대도시 거리를 방황하는 플라뇌르(flaneur)를 지칭한다. 차이밍량과 홍상수가 그려내는 인물들은 관객에게 친근하면서도 낯설다. 그렇기에 관객은 그들의 일상을 따라가는 동안, 등장인물 모두가 현대자본주의 사회의 표면 위에 드러난 우리 자신임을 깨닫게 된다. 두 번째 요소인 공간은 인물들의 욕망 구현의 공간으로 설정되면서, 일상의 공간이 비일상적 공간으로 변모함을 볼 수 있다. 마지막 세 번째 요소인 일상의 오브제들은 인간의 본능과 욕망의 환유적 장치로 활용된다. 차이밍량의 영화에 자주 등장하는 욕조와 물, 그리고 홍상수 영화의 술과 같은 오브제는 인간 존재의 본질과 연관된 상징적 시각이미지들이다. 이러한 일상적 요소들로 인해, 관객은 영화 속 타자들의 삶을 쫓으며, 인간 존재를 관찰하고 사유하게 된다. 타자, 공간, 오브제라는 일상적 요소를 통해 재현되는 두 영화는 우리의 이야기, 즉 인간 존재에 관해 스토리텔링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차이밍량과 홍상수의 영화는 고독, 불안, 욕망 등의 비존재(not-being)를 밀어내지 않으며, 오히려 그들을 존재 안으로 끌어안는 존재론적 스토리텔링에 다름 아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