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코로나’시대의 『페스트』 읽기를 통한 생태 문해력의 확장과 인문학의 의무

        이명희(Yi, Myoung Hee)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통일인문학 Vol.85 No.-

        본고는 뉴노멀(New Normal) 시대를 맞이하여 새로운 패러다임이 도래했음을 인지하고 이에 따른 생태 문해력과 인문학의 필요성을 살펴보았다. 앞으로의 인문학은 기존의 자본주의 시스템에서 벗어나 사회적 관여(Engagement)와 윤리 감수성(Ethics)이 대두되는 시기로 접어들었다. 이에 1장에서는 ‘코로나19’ 시대를 맞이하여 인문학의 현황을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불안과 공포의 코로나 시대에야말로 실천적 성찰과 통찰이 절실하기에 인문학의 시작은 현실을 직시하는 데서부터 출발할 수 있음을 피력하였다. 이때 다원적 시각이 내재된 인문학은 사람들에게 성찰과 공감을 이끌었다. 3장에서는 ‘코로나19’ 시대에 다원적 인문학으로서의 ‘생태인문학’의 중요성을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건국대학교 ‘창조적사고와표현’ 수업에서 다양한 전공의 학생들이 〈페스트〉 작품을 읽고 이를 코로나와 그들의 전공을 바탕으로 뉴노멀의 실천 방안을 모색하게 하였다. 결과적으로 학생들은 작품을 통해 개인의 삶과 공동체의 삶이 분리될 수 없음을 인지하였다. 질병의 시대에도 ‘연대’만이 살 길이라는 것을 작품을 통해 미래를 시뮬레이션 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학생들은 언택트 세상에서 마주하는 개인과 공동체간의 연대에 관한 심층적 고민이야말로 인문학이 지녀야 할 다원적 시선임을 공감하였다. 4장과 5장에서는 생태적 감수성과 생태문해력의 필요성을 통해 인문학의 확장과 의무를 살펴보았다. 코로나 이후의 인문학은 인류가 공유할 수 있는 통합할 진리와 기준이 무엇인지를 제시하여야 한다. 또, 오늘날 인문학은 철학, 문학, 예술을 포괄하는 표현인문학에서 과학까지 모두 포함하는 통합인문학이어야 하기에 이제부터 인문학은 학문의 벽을 허무는 일을 과제로 남겨두고 있다. This study acknowledges the advent of a new paradigm in the wake of the new normal era and explores the need for ecological literacy in humanities. Current humanities have moved away from the existing capitalist system and have entered a period in which social engagement and ethical sensitivity are emerging. Chapter 1 of the paper explores the current state of humanities in the era of COVID-19. Chapter 2 states that the beginning of humanities starts from confronting reality, as practical reflections and insights are desperately required in the anxious and fearful COVID-19 era. The pluralistic view inherent in the humanities attracts introspection and empathy from people. Chapter 3 discusses the importance of "ecological humanities" as pluralistic humanities in the COVID-19 era. To this end, students from various majors read the book The Plague in a Konkuk University class called "Creative Thinking and Expressing." They then sought implementation measures in the new normal of the COVID-19 era and from the perspective of their majors. Thus, through the book, students recognized that they could not separate their individual and community lives. They were able to simulate the future conditions and ascertain that "solidarity" is the only way to survive in the pandemic era. Students agreed that in-depth attention to the solidarity between individuals and communities in the intact environment is the pluralistic view that humanities should hold. Chapters 4 and 5 examine the expansion and duty of humanities through the need for ecological sensitivity and literacy. Post-COVID-19 humanities should present truths and standards of integration that mankind can share. In addition, today"s humanities must aim to integrate expressive humanities, such as philosophy, literature, art, and science, and undertake the task of breaking down the barriers of the study of fields.

      • KCI등재

        통일인문학의 현재, 인문적 전환의 독특성과 과제들

        박영균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4 통일인문학 Vol.100 No.-

        이 글은 통일인문학이 수행한 ‘인문적 전환의 독특성’을 밝히고, 통일인문학에 공명하는 연구들과 최신 연구 성과들을 검토함으로써 통일인문학의 현재를 진단하고, 이에 근거하여 남은 과제와 앞으로 나아갈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인문적 전환의 독특성’을 세 가지 측면에서 다루고 있다. 첫째, 존재론적 독특성이다. 통일인문학은 동일성의 존재론에 근거한 동질성/이질성 프레임을 해체하고, 타자의 존재론에 근거한 ‘가르치고 배우는’ ‘비대칭적인’ 소통으로서 통일론을 제시한다. 둘째, 통일 비전의 독특성이다. 통일인문학의 통일 비전은 공통 분모의 확장이라는 과거회귀적인 민족 공동체의 형성이라는 비전이 아니라 남북의 소통을 통해서 새롭게 생성되는 제3의 것으로서, 민족공통성의 창출이라는 미래기획적 비전이다. 셋째, 통일-분단 연구의 독특성이다. 통일인문학의 통일-분단 연구는 남북 주민들을 통일의 수행적 주체로 볼 뿐만 아니라 분단된 신체와 마음을 가진 존재로 본다. 따라서 이런 분단의 심리와 신체를 분석한다. 또한, 그것은 역사적 트라우마와 민족공통성 연구를 코리안 디아스포라로까지 확장하고 있다. 지금까지 통일인문학은 많은 학문적·교육적 효과를 생산하고 있다. 그럼에도 남북 주민들 사이의 미묘한 차이들을 분석하는 데에서도, 역사적 트라우마 연구에서도 미흡하다. 또한, 통일인문학은 다른 연구 전통에 속한 연구들과의 네트워킹을 통해서 ‘성, 계급, 생태’ 등을 포함하는 복합성 및 교차성 분석을 확대해 가야 한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uniqueness of the humanistic turn” carried out by Humanities for Unification. It assesses the current status of Humanities for Unification by examining resonant research and recent findings while proposing remaining challenge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The “uniqueness of humanistic turn” is addressed from three aspects. First is its ontological uniqueness. Humanities for Unification destruction the homogeneity/heterogeneity framework grounded in the ontology of identity and proposes a unification theory based on “asymmetrical” communic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rooted in the ontology of the other. Second is the uniqueness of the unification vision. The humanities’ vision of unification does not regress to a past-oriented notion of national community built by expanding common denominators. Instead, it introduces a forward-looking national commonality—conceived as “a third” entity—emerging from South-North communication. Third is the uniqueness of unification-division research. The unification-division study of Humanities for Unification regard South and North Koreans not only as agents of unification but also as beings with divided bodies and minds. Accordingly, this approach analyzes the psychology and physical dimensions of division. Additionally, it extends its scope to include studies on historical trauma and national commonality, encompassing the Korean Diaspora. Thus far, Humanities for Unification has yielded significant academic and educational contributions. Nevertheless, limitations remain in analyzing subtle difference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ns, as well as in historical trauma research. It is also necessary to expand the analysis of complexity and intersection, including “gender, class, ecology, decolonization, and the Cold War” through networking with studies belonging to other research traditions.

      • KCI등재

        남북의 국문학(조선문학) 지형 구축 과정

        김종군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3 통일인문학 Vol.94 No.-

        이 글에서는 일제강점기에 시작된 신학문으로서 조선어문학이 해방 공간에서 국어국문학으로, 분단의 상황에서 남쪽은 국어국문학, 북쪽은 조선어문학으로 정착되는 과정을 고찰하였다.이에 최종 연구 목적은 학문으로서 국문학과 조선문학의 지형 구축 과정과 민족문학 교육장으로서 국어국문학과와 김일성종합대학의 조선어문학부 현황을 고찰하여 비교하면서, 남북이 통합된 민족문학 분야로서 ‘우리문학’의 온전한 면모를 도출할 소통 지점을 발견하는 데 있다. 우선 국문학계의 흐름을 고찰하면, 신학문으로서 국문학은 1926년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의 문학과 조선어문학과로부터 시작되었다. 이 시기 우리 문학 연구는 조선소설사와 구비문학 연구에 집중되었다. 경성제국대학 조선어문학과 및 지나어문학과 졸업생들은 국어국문학 1세대 연구자로서, 해방정국에서 국립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와 김일성종합대학 조선어문학부 교원이 되어 연구와 후학 양성에 참여하였다. 분단 이후 남과 북은 각각 달라진 체제 속에서 국문학 지형을 구축하는데, 남쪽의 경우 4년제 종합대학 대부분에 국어국문학과가 개설되어 있어서, 북쪽의 김일성종합대학과 사회과학원에서 양성하는 조선어문 연구자들과는 양적인 측면에서 비교가 불가하다. 그럼에도 그 설립 목적과 교육 내용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상호 소통의 가능성은 충분하다고 판단된다. 국문학과 조선문학의 학술적 영역에서의 지형은 현재 시점에서는 크게 다르지 않지만, 그 구축 과정은 차이가 존재한다. 분단 이후 연구 인력과 학과 등이 양적인 측면에서 남쪽이 월등한 우위를 점하고 있지만, 국문학의 학술적 지형을 구축해 가는 과정은 북쪽이 앞서갔다. 특히 국문학의 영역에 한문학과 구전문학을 포함하는 문제에 있어서 북쪽은 초창기부터 김일성의 지시와 인민성을 강조하는 분위기 속에서 국문학의 영역으로 수용하는 것을 당연하게 받아들였다. 그에 비해 남쪽은 학계의 다양한 시각 차이로 치열한 논쟁을 거듭하였다. 남북의 국문학 영역 확정에 있어서, 한문학 수용의 문제는 남북이 그 명분과 취지에는 차이가 있지만 실질에서는 큰 차이가 없어 접점을 찾을 수 있을 듯하다. 구전문학의 수용 역시 현재 남북 학계에서 당위적으로 받아들이고 있으므로 외형상으로는 문제가 없어 보인다. 그러나 구전문학에서 기록문학으로의 이행에 대한 시각은 장르의 발생 발전 문제와 연동되어 접점 찾기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런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서로 만나서 본격적인 학술 토론과 논쟁이 있어야 한다.

      • KCI등재

        북한 초기 교육에서 ‘예비과’에 대한 연구

        최효정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7 통일인문학 Vol.72 No.-

        Preparatory course of Kim Il Sung University was established in October 1946. The preparatory course was a curriculum that provided students with 'revolutionary' and 'royalty to the party' among the children of workers and peasants who had not attained secondary education and had passed school age, to provide higher education. Kim Il Sung University initially introduced its identity as a 'college of working people', and the preparatory course was a representative institution that could symbolize this. The preparatory course was a policy in which the Workers 'Party of Korea (DPF) was in line with the objective of reorganizing North Korean society into ‘workers and peasants' society. The Preparatory course, together with adult middle schools, played a role in eliminating the secondary education gap of adults, thus laying the foundation for North Korea's compulsory secondary education system. The special preparatory course, which was established at 12 major universities during the Korean War, served as a preparatory process to normalize university operation after the war. As a result of special preparatory course, North Korean universities quickly normalized, and after the war, the North Korean society was able to reduce the difficulty in supplying and retaining qualified personnel to build a nation. Although there are not so many related studies so far, the preparatory course has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the North Korean compulsory education system as an early intellectual education policy, and it should be reevaluated as a symbolic measure for legitimacy of new workers and peasant regimes. 김일성종합대학 예비과는 1946년 10월 설립되었다. 예비과는 중등교육을 받지 못하고 학령기가 지난 노동자·농민 출신 자녀 중 ‘혁명성’과 ‘당성’이 투철한 학생을 선발해 중등-고등교육을 제공하는 과정이었다. 김일성종합대학은 초기에 ‘근로인민의 대학’으로서의 정체성을 내세웠는데, 예비과는 이를 상징할 수 있는 대표적인 제도였다. 또 조선로동당이 북한 사회를 ‘노동자·농민 중심’으로 재편하려는 목적에 부합하는 정책이었다. 예비과는 성인중학교와 함께 성인들의 중등교육공백을 해소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북한 중등의무교육제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한국전쟁기 12개 주요 대학에 설치된 특설예비과는 전쟁 후 대학 운영을 정상화시키기 위한 준비과정으로 기능했다. 특설예비과 덕분에 북한 대학들은 빠르게 정상화되었고, 전쟁 후 북한 사회는 국가건설에 매진할 고급 인력 수급에 어려움을 덜 수 있었다. 현재까지 관련 연구가 많지 않지만, 예비과는 초기 인테리-교육 정책으로서 중등의무교육제 형성에 기여했으며, 북한정권이 지향한다고 말하는 새로운 노동자·농민 중심 정권의 정당성을 내세울 수 있는 상징적 조치로서 중요성이 재평가되어야 한다.

      • KCI등재후보

        북한의 문화유산 정책과 관리체계

        정창현(Jung Chang Hyun)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2 통일인문학 Vol.53 No.-

        통일인문학은 다름의 이해와 소통을 추구한다. 통일은 단순한 체제통합이나 정치-경제적 통합이 아니라 그것을 넘어서 사회문화적인 통합이나 남과 북의 신체, 사회적 신체의 통합이다. 특히 통일은 남과 북이 소통해 가는 '과정' 으로 접근해야 한다. 문화적 영역과 접근은 남과 북의 차이와 다름을 이해하는 가장 중요한 분야이고, 인문학은 남과 북의 역사적 연원을 밝히고 소통의 근거를 마련함으로써 통일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문화적 영역 중에서도 남북이 분단되기 전 역사적 경험을 공유한 결과인 문화유산은 남과 북이 이념과 편견을 떠나 손쉽게 교류하고, 공유할 수 있는 역사적 자산이다. 남과 북이 문화유산을 매개로 소통하고, 교류하기 위해서는 먼저 북한의 문화유산 정책과 그 변화과정, 문화유산의 관리체계 등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 글에서는 향후 남북 문화유산 분야의 교류와 소통을 위해 현재 북한의 문화유산 정책의 특징과 보존관리체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해방 후 북한의 문화유산 정책은 노동당의 사상정책 변화에 따라 크게 4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 제1기는 1945년 해방 이후부터 1950년 전쟁시기까지의 시기로 일제잔재 청산과 민족문화 복원에 힘쓰던 시기이다. 제2기는 1950년 전쟁 때부터 1967년까지의 시기로 북한이 파괴된 문화재의 복구와 사회주의제도 정착에 따른 사회주의 문화이론이 전면에 등장한 시기이다. 제3기는 1967년부터 1980년 노동당 6차당대회까지의 시기로 북한에서 유일사상 체제 구축과 주체사상이 본격적으로 등장한 시기이다. 제4기는 1980년 이후의 시기로 민족주의에 대한 재평가와 '우리민족제일주의'가 구호로 등장하면서 민족문화유산의 보존 및 발굴 이 적극적으로 추진된 시기이다. 특히 1980년대에 들어와 북한의 사상정책에서 가장 큰 변화의 하나는 자신의 체제를 규정함에 있어서 '우리식 사회주의'와 '우리민족 제일주의'로 대표되는 독자성의 강조이다. 우리민족제일주의에 따라 북한은 먼저 '민족사적 정통성'을 입증하기 위해 동명왕릉 (1993. 5)과 단군릉(1994. 11)을 발굴, 복원하고 단군→고구려→발해→고려→북한'으로 이어지고 있음을 부각시켰다. 북한은 행정적으로 노동당 선전선동부의 지도→내각 문화성 문화보존 관리국→각 도·시·군 문화유적관리소로 계통화되어 있는 일원화된 문화유적관리체계를 갖추고 있고, 박물관과 연구기관, 문화유물보존을 위한 과학연구기관 등과 각 도·시·군 행정기관이 이를 지원하는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또한 광범한 군중을 망라하는 '사회적담당관리제' 실시에 따라 매년 4월과 11월을 '문화유물애호월간'으로 정해 이 기간 중 문화유산에 대한 보수와 정비를 전 군중적 운동 차원에서 행하고 있다. 북한은 문화유산을 역사유적과 역사유물로 구분한다. 북한은 1994년 문화유물보호법을 제정한 후 역사유적에 대한 평가와 지정체계도 바꿨다. 이 과정에서 대동문 대신 평양성이 국보 유적 제1호로 지정됐다. 북한의 문화유산 현황과 지정현황은 아직까지 제한적으로 파악되고 있고, 이는 앞으로 남북교류를 통해 확인해야 할 과제로 남아 있다. 문화유적 보존, 공동발굴, 상호 교환전시, 공동학술대회 등 남과 북 사이에서 교류의 폭을 넓혀갈 수 있는 사업들이 많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문화유산 관련 분야의 교류는 남북의 오랜 분단의 이질감을 극복하고 민족의 동질성을 회복하는데도 기여할 것이다. 남북의 다름을 이해하고 소통하는데 역사문화유산은 가 장 좋은 분야인 동시에 통일인문학이 반드시 관심을 가져야 할 영역인 것이다.

      • KCI등재

        통일학의 정초를 위한 인문적 비판과 성찰

        김성민(Kim, Sung Min),박영균(Park, Young Kyun)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3 통일인문학 Vol.56 No.-

        이 논문은 통일학을 정초하기 위한 인문학적 비판과 성찰을 다루고 있다. 이제까지의 통일 담론들은 통일학이 아니라 북한학이었다. 북한학은 북을 통일의 파트너가 아니라 지배의 대상으로 간주한다. 그러나 통일학은 남과 북 양자를 통일의 파트너로 인정하는 데에서 출발해야 한다. 둘째, 이 논문은 통일학이 인간을 다루는 인문학에서 출발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인문학적 비판과 성찰은 통일이 사람의 통일이라는 점을 드러낸다. 바로 이런 점에서 통일학은 공통성과 차이를 밝히고 분단의 사회적 신체를 통일의 사회적 신체로 바꾸는 연구가 되어야 한다. 셋째, 이 논문은 통일에 대한 동질성 패러다임을 비판하고 차이와 소통을 주장하고 있다. 오늘날 코리언들은 민족≠국가라는 어긋남을 공유하고 있으며 식민지배의 아픈 역사를 공유하고 있다. 따라서 이 논문은 해외동포를 포함하여 억압 또는 왜곡된 민족적 리비도의 흐름을 민족적 활력이자 합력으로 만들어가는 민족적 공통성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안하고 있다. This paper deals with a humanistic criticism and reflection in oder to found the Unification studies. Discourse for unification was not the Unification studies but the North Korean studies till now. The North Korean studies is regard North Korean as not the partner of unification and the subject of governance. However, the Unification studies should be start a recognition that is regard both the North and South Korean as the partner of unification. Second, this paper argue to the Unification studies should be start from the humanities. A humanistic criticism and reflection reveals a point that the Unification is unification of human. In this point, the Unification studies should be a research that illuminat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and replace divided social body with social body of unification. Third, this paper criticize a homogeneous paradigm on the Unification and claims differences and communication. Today, Koreans have shared a inconsistency of the nation≠states and a painful history of colonization. Thus, This paper is proposed a national commonality paradigm as to transform a oppressed national libido into a national vital and combined strength including overseas Koreans.

      • KCI등재

        조선족들의 역사적 트라우마, 민족과 국가의 이중주

        박영균(Park, Young Kyun)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4 통일인문학 Vol.60 No.-

        이 논문은 중국 조선족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심층구술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조선족들이 가지고 있는 역사적 트라우마와 그 증상을 진단하고 치유의 방향을 모색하고 있다. 중국 조선족들의 역사적 트라우마는 다른 코리언들과 마찬가지로 ‘식민트라우마’를 근원적 트라우마로 하면서도 이를 ‘항일무장투쟁’과 ‘중국건국의 공헌자’라는 자부심을 통해서 극복해왔다. 게다가 그들은 중국으로 이주하면서 겪을 수밖에 없는 ‘고향상실’과 문화대혁명시기의 상처들을 조선족 문화의 자긍심에 근거한 한족과의 이항대립적 계열화, 그리고 연변조선족자치주라는 공간을 한반도로 형상화하는 전이와 응축의 기제를 통해서 극복해왔다. 하지만 그들의 이런 트라우마 극복전략은 최근 한국-한국인과 만남을 통해서 ‘억압’ 또는 ‘좌절’되고 있다. 왜냐 하면 한국인들의 분단국가주의가 한국을 중심으로 하여 ‘한족-조선족’의 이항대립적 계열화를 만들어내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 논문은 조선족들이 가지고 있는 ‘민족과 국가의 이중주’를, ①코리언들이 겪어왔던 상처로서 이해하면서 ②민족적 차원에서 ‘공감’을 만들어가면서 ③‘민족≠국가(중국), 남≠민족, 북≠민족’이라는 ‘삼중의 어긋남’을 한국인 자신의 분열이라는 성찰적 계기로 삼음으로써 민족적 합력 창출의 조건으로 전환시켜갈 것을 제안하고 있다. This article make a diagnoses the Korean-Chinese’s historical trauma, its symptoms by means of in-depth oral examination and is seeking the direction of healing. The Korean-Chinese’s historical trauma, like other Koreans had a trauma of colonization, but has been overcome by the pride of ‘anti-Japanese armed struggle’ and ‘China’s founding contributors’. In addition, they have been overcome wounds of the ‘losing homelands’ and the Cultural Revolution period through a systematization of binary-opposition between Han race and ethnic korean based on the cultural pride, a mechanism of the condensation and transference to shape a space of Yanbian Korean Autonomous Prefecture in the Korean peninsula. Their strategies to overcome trauma are being ‘oppressed’ or ‘frustration’ by a recent encounter with Korea or Korean. Because the korean’s nationalism of divided nation is producing a systematization of binary-opposition between Han race-ethnic korean and South Korean. Therefore, this paper suggest to be ①understanding a ‘duet of the nation and states’ in view of the Korean-Chinese’s historical trauma and ②going to form a ‘sympathy’ at the national level, ③going transfer from the ‘triple split’ of ‘nation≠states(China)’, ‘South Korea≠nation’, ‘North Korea≠nation’ to conditions of creating a national synergy as doing serve a motive of reflection on South Koreans own division.

      • KCI등재

        연방제 통일방안에 대한 인문적 성찰과 통일론의 방향성

        박민철(Park, Min Cheol)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5 통일인문학 Vol.61 No.-

        통일과 인문학의 결합이 가져다 줄 수 있는 의의는 분명하다. 서로 다른 체제와 제도의 통합을 지향하였던 기존의 통일담론에 추가된 인문학의 성찰과 가치설정은 새로운 통일담론의 가능성을 제시해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본 논문은 대표적인 통일방안이었던 ‘연방제 통일방안’의 인문적 성찰에 주목한다. 구체적으로 본 논문은 연방제 통일론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통해 연방제 통일론의 공백을 지적하면서 그것의 갖는 의의를 보완할 수 있는, 다시 말해 통일과 관련된 기본적인 가치와 원리의 측면에 주목하면서 통일론의 핵심가치와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특히 한반도 통일의 ‘과정적 이행의 필요성’과 ‘통일을 지향하는 남북의 특수관계’로부터 요구되는 연방제 통일방안은 몇 가지 의의에도 불구하고 한계 역시 가지고 있다. 그런데 이제껏 논의되어왔던 연방제 통일방안에 대한 비판은 대부분 현실정치학적 입장으로서만 구성되어왔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러한 비판에 주목하기 보다는 인문학적 관점으로 시작된 비판적 성찰을 통해 연방제 통일방안의 한계를 지적한다. 이를테면 체제와 제도의 측면에만 주목함으로써 ‘사람의 통일’이라는 관점을 내포하지 못한다는 점, 또한 한반도 통일에 담겨진 여러 의의와 가치론을 확장시키지 못하고 단순히 근대적 국민국가의 형성이라는 측면에만 국한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런 점에서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통일론의 방향성을 원론적 차원에서 제시하고자 한다. 요컨대, 열린 지향성과 유동성이라는 기본적 특성, 상호성이라는 근본 원칙, 제도적 측면을 넘어선 ‘사람의 통일’이라는 관점, 권력의 분배가 아닌 미래의 고향을 구성하기 위한 통일방안의 패러다임 전환 등을 주장한다. The significance of combining reunification and the humanities is clear. Applying reflections and the value system to the existing reunification discourse, which pursued the integration of different regimes and systems, can present a possibility of new reunification discourse. Therefore, the present study focuses on the humanistic reflection on the “federation approach to reunification”, which has been a representative approach to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Specifically, this study aims to propose the fundamental values and direction of unification discourse by pointing out the blind spots in the policy and increase its significance through critical reflection on the policy, i.e., with a special focus on fundamental values and ideals related to reunification. In addition, despite several significant implications it has, the federation approach to reunification, required based on “the need for implementation as a process” of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unique relationship of the South and the North pursuing reunification”, also has limitations. However, the criticisms on the federation approach to reunification to date have been mostly shaped only by the perspective of realistic politics. Thus, this study suggests the limitations of the federation approach to reunification through critical reflection initiated by humanistic perspective rather than focusing on these criticisms. For instance, the federation approach does not include the perspective of “reunification of people” as it focuses only on the regimes and systems, and is simply limited to the aspect of formation of a modern nation state without expanding a variety of implications and value perspectives included in the issue of the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In conclusion, in this respect, this study attempts to find a way to reconstruct the federation approach to reunification. For example, this study suggest in principle direction of unification discourse with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the orientation toward openness and mobility, the fundamental principle of reciprocity, the perspective of “reunification of people” transcending the institutional aspect, and paradigm shift in the reunification approach to construct a future home rather than as distribution of power.

      • KCI등재

        ‘탈북자 자살’의 생태계에 대한 생명인문학적 성찰

        김명희(Kim, Myung Hee)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7 통일인문학 Vol.70 No.-

        최근 한국의 사회문제 중 하나로 부상한 ‘탈북자 자살문제’는 실현가능한 형태의 사회통합을 준비하지 않을 때 ‘먼저 온 통일의 디스토피아’를 예징해 보여준다. 이 연구는 탈북민 자살을 바라보는 기존 담론의 한계를 생명인문학적 관점에서 살펴본다. 정신의학적 가설과 문화적응 스트레스 가설은 탈북민 자살을 야기하는 ‘지금, 이곳’의 관계적 차원을 간과한다는 점에서 한계를 갖는다. 반면 이 글이 도입한 생명인문학적 관점은, 탈북민 자살에 개입하는 관계적 차원과 이중의 생명정치를 비판적으로 성찰할 전향적 사유의 틀을 제공한다. 이러한 성찰에 입각해 이 글은 탈북민 자살이 과도하게 의료화되는 경향의 위험성을 밝히고 성찰적 연대에 기반한 소통(communication) 공간의 확장이 사회통합적 자살예방정책은 물론 대안적인 생명평화문화 형성의 중심이 되어야함을 제안한다. The suicide problem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shows ‘the dystopia of impending unification’ when we fail to prepare for feasible social integration. This study examines the limitations of existing discourses regarding the problem of suicide among North Korean defectors from the perspective of bio-humanities. The psychiatric and acculturative stress hypothesis for the suicide of North Korean defectors neglects the problems of “here and now,” and the relational dimension which leads to their suicides. Conversely, the perspective of life humanities introduced by this study provides a forward-looking framework to introspect ‘dual bio-politics’ and "medicalization of suicide". Consequently,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rinciple of suicide prevention for North Korean defectors should focus on social integration by expanding the space for communication based on reflective solidarity.

      • KCI등재

        To Busan and Beyond: Mobilities of Korean War Trauma

        Raymon D. Ritumban 건국대학교 모빌리티인문학 연구원, 건국대학교 아시아·디아스포라 연구소 2024 International Journal of Diaspora&Cultural Critici Vol.14 No.1

        The Korean War (1950-1953) leveled the peninsula, losing and displacing millions of its people. Hundreds of thousands of Koreans from North and South found themselves in refugee camps in Busan. This traumatizing event is carefully delineated in Yi Hochol’s “Far from Home” and Han Musook’s “The Fragment.” Through an analysis of these short stories using Kate Coddington’s theory of contagious trauma, the paper forwards that the trauma caused by the war spreads, compounds, and expands within the infrastructures—namely, freight cars and warehouse—that facilitate the movements of refugees. In “Far from Home,” during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four North Koreans move southward and live in freight cars, but this movement to escape the horrors of war also exposes them to being further traumatized by their homelessness. The characters in “The Fragment,” on the other hand, are able to secure a space in a warehouse in Busan, but the atmosphere coupled with tension with residents over basic necessities is just as traumatizing. These indicate that the infrastructures and conditions within, which can be as ordinary as needing a shelter to sleep in and water to wash themselves, traumatize further the already traumatized. The war, as an extraordinary event, traumatized the refugees—but their movements to safety and refuge, in response to it, cut more trauma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