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눈의 응시 방향을 이용한 인간-컴퓨터간의 인터페이스에 관한 연구

        김도형,김재헌,정명진,Kim, Do-Hyoung,Kim, Jea-Hean,Chung, Myung-Jin 대한전자공학회 2001 電子工學會論文誌-CI (Computer and Information) Vol.38 No.6

        본 논문에서는 연속적인 영상 정보와 자기 센서의 정보로부터 실시간으로 눈의 응시 방향을 추적하기 위한 효과적인 접근 방법에 대해 제안한다. 이러한 눈 응시 추적 시스템의 입력으로는 한 대의 카메라를 통해 얻어지는 영상들과 자기 센서의 데이터들이다. 눈의 영상을 받아들이는 카메라와 자기 센서의 수신부가 머리에 고정되어 있어서 측정된 데이터들은 눈과 머리의 움직임을 표현하는데 충분하다. 실험 결과에서는 제안한 시스템이 실시간으로 동작하는 측면에 대해 그 유용성을 보여줄 것이고 또 그러한 시스템을 이용하여 마우스 대신 새로운 컴퓨터 인터페이스로 사용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줄 것이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fficient approach for real-time eye-gaze tracking from image sequence and magnetic sensory information. The inputs to the eye-gaze tracking system are images taken by a camera and data from a magnetic sensor. The measuring data are sufficient to describe the eye and head movement, because the camera and the receiver of a magnetic sensor are stationary with respect to the head. Experimental result shows the validity of real time application aspect of the proposed system and also shows the feasibility of the system as using a new computer interface instead of the mouse.

      • KCI등재

        난배양성 토양세균의 배양법 평가 및 신 분류군의 순수분리

        김도형,이상훈,조재창,Kim, Do-Hyoung,Lee, Sang-Hoon,Cho, Jae-Chang 한국미생물학회 2008 미생물학회지 Vol.44 No.4

        난배양성 세균의 배양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다고 보고된 배지 첨가물들이 포함된 다양한 종류의 빈영양 배지들을 대상으로 배양효율을 비교평가하고 최적의 배양조건을 모색하였으며, 평가된 배지를 사용하여 토양시료로부터 순수 분리된 난배양성 세균들의 계통분류학적 위치를 분석하였다. 배지 첨가물로는 토양의 화학적 조성을 반영하기 위한 토양추출액(soil extract), 부식질산의 유사체(humic acid analogue)인 anthraquinone disulfonate, 정족수인식 신호물질(quorum-signaling compounds)인 acyl homoserine lactones, 과산화물(exogenous peroxide)로부터 세균을 보호하기 위한 catalase가 사용되었다. $CO_2$ 과분압(5%, v/v) 조건에서 60일간 배양하였을 때, catalase가 첨가된 배지가 가장 높은 세균집락수(CFU)를 보였다. 이 배지로부터 147개의 균주를 무작위적으로 선택하여 순수분리하고 16S rRNA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이용한 계통학적 분석을 실시한 결과, 순수분리된 균주의 약30%가 이전에 배양 또는 발견된 적이 없는 새로운 종(species)에 속하며, 이 중 약 25%는 새로운 과(family)에 속하는 세균일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난배양성 토양세균으로 알려진 phylum Acidobacteria에 속하는 세균들이 성공적으로 배양되었다는 결과를 고려하면, 본 연구에서 사용된 배지 및 배양조건은 난배양성 토양세균의 배양은 물론 신 분류군의 발굴에도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We evaluated cultivation methods to obtain pure cultures of previously uncultivated bacteria from soil. Soil bacteria (suspensions) were inoculated onto various oligotrophic media with one of the following additives: 1) soil extract; 2) anthraquinone disulfonate (humic acid analogue); 3) acyl homoserine lactones (quorum-signaling compounds); 4) catalase (for the protection of bacteria from exogenous peroxides). After the relatively long period (60 days) of incubation with elevated concentrations of $CO_2$ (5%, v/v), the media containing catalase showed the highest colony count. We purified 147 randomly selected colonies from the media and the isolates were subjected to the phylogenetic analyses of their 16S rRNA gene sequences. Phylogenetic analysis revealed that approximately 30% of the isolates might belong to novel species or novel family, suggesting that the media and incubation conditions used could be useful for the cultivation of as-yet-uncultured bacteria. Especially, bacteria belonging to the phylum Acidobacteria, ubiquitous bacterial taxon known as an uncultured bacterial group (at least difficult to culture from environmental samples), were successfully cultured in this study.

      • KCI등재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초기 정보 기반 화재현장 위험도 예측 모델 개발 연구

        김도형,조병완,Kim, Do Hyoung,Jo, Byung wan 한국재난정보학회 2021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17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화재발생 건축물 정보, 신고자 취득 정보 등 초기 정보를 활용하여 화재현장의 위험도를 예측하여, 재난 발생 초기에 효과적인 소방자원 동원 및 적절한 대응을 위한 피해최소화 전략 수립을 지원하는 위험도 예측 모델을 개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화재 통계 데이터 상에서 화재의 피해규모와 관련된 변수 규명을 위해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한 변수간 상관성 분석을 실시하여 예측 가능성을 검토하고, 데이터 표준화 및 이산화 등의 전처리를 통해 학습 데이터 셋을 구축하였다. 이를 활용하여 예측 정확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 받고 있는 복수의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테스트하여 가장 정확도가 높은 알고리즘을 적용한 위험도 예측 모델을 개발하였다. 연구결과: 머신러닝 알고리즘 성능 테스트 결과 랜덤포레스트 알고리즘의 정확도가 가장 높게 나왔으며, 위험도 등급에 대해서는 중간치에 대한 정확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화재 통계 상 피해규모 데이터의 편향성에 의해 예측모델 정확도가 제한적으로 나타났으며, 예측 모델 성능 개선을 위해 데이터 정합성 및 결손치 보완 등을 통한 데이터 정제가 필요하다. Purpose: This study develops a risk prediction model that predicts the risk of a fire site by using initial information such as building information and reporter acquisition information, and supports effective mobilization of fire fighting resources and the establishment of damage minimization strategies for appropriate responses in the early stages of a disaster. Method: In order to identify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fire damage scale on the fire statistics data, a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variables was performed using a machine learning algorithm to examine predictability, and a learning data set was constructed through preprocessing such as data standardization and discretization. Using this, we tested a plurality of machine learning algorithms, which are evaluated as having high prediction accuracy, and developed a risk prediction model applying the algorithm with the highest accuracy. Result: As a result of the machine learning algorithm performance test, the accuracy of the random forest algorithm was the highest,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accuracy of the intermediate value was relatively high for the risk class. Conclusion: The accuracy of the prediction model was limited due to the bias of the damage scale data in the fire statistics, and data refinement by matching data and supplementing the missing values was necessary to improve the predictive model performance.

      • KCI등재

        서울 건물정보 자료를 활용한 UM 기반의 도시캐노피 모델 입력자료 구축 및 평가

        김도형(Do-Hyoung Kim),홍선옥(Seon-Ok Hong),변재영(Jae-Yong Byon),박향숙(HyangSuk Park),하종철(Jong-Chul Ha) 한국기상학회 2019 대기 Vol.2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uild urban canopy model (Met Office Reading Urban Surface Exchange Scheme, MORUSES) based to Unified Model (UM) by using urban building information data in Seoul, and then to compare the improving urban canopy model simulation result with that of Seoul Automatic Weather Station (AWS) observation site data. UM-MORUSES is based on building information database in London, we performed a sensitivity experiment of UM-MOURSES model using urban building information database in Seou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analysis of 1.5 km resolution Seoul building data is applied instead of London building information data. Frontal-area index and planar-area index of Seoul are used to calculate building height. The height of the highest building in Seoul is 40m, showing high in Yeoido-gu, Gangnam-gu and Jamsil-gu areas. The street aspect ratio is high in Gangnam-gu, and the repetition rate of buildings is lower in Eunpyeong-gu and Gangbuk-gu. UM-MORUSES model is improved to consider the building geometry parameter in Seoul. It is noticed that the Root Mean Square Error (RMSE) of wind speed is decreases from 0.8 to 0.6 m s<SUP>-1</SUP> by 25 number AWS in Seoul. The surface air temperature forecast tends to underestimate in pre-improvement model, while it is improved at night time by UM-MORUSES model. This study shows that the post-improvement UM-MORUSES model can provide detailed Seoul building information data and accurate surface air temperature and wind speed in urban region.

      • DCGAN기반의 흑백 이미지의 색상화

        김도형 ( Do-hyoung Kim ),송관동 ( Kwan-dong Song ),위성옥 ( Seung-ok Wi ),김지희 ( Ji-hee Kim ),전광길 한국정보처리학회 2019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6 No.2

        흑백 1채널 이미지를 3 채널 이미지로 색상화하고 Super-Resolution하여 의미 있는 정보를 얻도록 한다. CCTV, 군사용 카메라, 차량용 블랙박스 등 많은 분야에서 주간에 촬영된 영상은 컬러 이미지로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하지만 야간에 촬영된 영상은 빛이 없어서 영상에서 정보를 얻기가 원활하지 않다. 따라서 DCGAN을 통해 단일 채널의 흑백 이미지를 3채널의 색상화 이미지로 만들고, Super-Resolution 기술을 적용해서 해상도를 높여 가시광선이 없는 야간이나 어두운 공간에서도 의미있는 영상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 KCI등재

        지적분야 신기술 적용을 위한 3차원 공간정보 관련 규정의 고찰

        김도형(Kim, Do Hyoung ),임시영(Lim, Si Young) 한국지적학회 2018 한국지적학회지 Vol.34 No.4

        4차 산업혁명의 흐름에 따라 3차원 공간정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신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지적분야에 3차원 공간정보의 효율적인 신기술 적용을 위해 3차원 공간정보 국내 외의 관련 규정의 현황 및 3차원 공간정보에 대한 신기술의 현황을 살펴보고 지적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3차원 공간정보 관련 규정의 개선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신기술에 대한 3차원지적의 구축 및 활용에 따른 작업규정의 작업방법 부분의 개정이 우선적으로 실행되어야 한다. 둘째, 3차원의 품질은 작업의 시간, 경제성, 활용성 등의 측면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에 효율적으로 3차원 공간정보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측량, 지적, 가시화 정보 등 3차원 공간정보를 활용하는 용도에 따른 품질 부분에 대한 규정이 개선되어야 한다. As the interest of 3D spatial information increases with the trend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new technology is applied. Therefore, in order to apply the new technology of 3D space information efficiently to the intellectual field,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status of the related regulations of domestic and foreign 3D spatial information and the state of the new technology to 3D spatial information,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of the regulation is as follows. First, revision of working method part of working regulation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and utilization of 3D cadastre of new technology should be implemented first. Secondly, 3D quality has a great importance in terms of time, economical efficiency and usability of work. Therefore, in order to utilize 3D spatial information efficiently, the regulations on the quality part according to the use of 3D spatial information such as surveying, intellectual, and visualization information should be improved.

      • KCI등재

        Aristotle and R. M. Hare on Prescriptivism

        Kim, Do-Hyoung(김도형) 새한철학회 2019 哲學論叢 Vol.96 No.2

        아리스토텔레스와 헤어의 윤리이론에서 도덕적 가치 개념은 공통적으로 규정적 속성을 갖는 것으로 이해되지만, 문제의 ‘규정적 속성’을 바라보는 그들의 관점은 다소 상이하다. 헤어가 도덕적 기술(旣述)의 논리적 형태에 착안하여 도덕적 가치들이 규정적이라고 주장하는 반면, 아리스토텔레스가 바라보는 도덕적 가치의 규정적 속성은 주어진 상황 속의 도덕적 요건 및 변수들을 향한 ‘인간의 인지적 본성’에 기인한다. 따라서 사실상 우리가 오늘날 현대 윤리학에서 이해되는 바와 정확히 같은 의미로 아리스토텔레스를 규정주의자로 부를 수는 없을 지도 모른다. 그러나 이 글은 비록 아리스토텔레스와 헤어가 ‘도덕 가치의 규정성’에 대한 동일한 논증을 도출하지는 않는다고 하더라도, 도덕적 가치에 대한 개념적 이해나 도덕 판단을 바라보는 이 두 철학자들의 기본적 관점에는 우리가 주목할 만한 정도의 공통분모가 있다고 주장한다. 그리하여 우리는 이들 사이의 공통적 요소들을 보이면서, 도덕 판단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논의 역시 비록 다소 제한적 이긴 하지만, 여전이 의미 있는 방식으로 ‘규정주의적’이라고 논증할 것이다. Moral values are prescriptive both in Hare and Aristotle, but they see the prescriptive quality of moral values through somewhat different perspectives. Whereas Hare thinks that they are prescriptive due to the logical form of moral description, Aristotle thinks that they are so because of our cognitive nature to moral requirements. Therefore, clearly, it will be a mistake to call Aristotle a prescriptivist in the sense that Hare and other contemporary prescriptivists call themselves so. However, I see that although Aristotle and Hare do not derive the same argument, there are some significant common features in their conceptions of moral judgments. Hence, I will claim, showing those common elements between them, that Aristotle’s view of moral judgment is still ‘prescriptive’, it is so only in a qualified sense thoug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