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초기 정보 기반 화재현장 위험도 예측 모델 개발 연구

        김도형,조병완,Kim, Do Hyoung,Jo, Byung wan 한국재난정보학회 2021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17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화재발생 건축물 정보, 신고자 취득 정보 등 초기 정보를 활용하여 화재현장의 위험도를 예측하여, 재난 발생 초기에 효과적인 소방자원 동원 및 적절한 대응을 위한 피해최소화 전략 수립을 지원하는 위험도 예측 모델을 개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화재 통계 데이터 상에서 화재의 피해규모와 관련된 변수 규명을 위해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한 변수간 상관성 분석을 실시하여 예측 가능성을 검토하고, 데이터 표준화 및 이산화 등의 전처리를 통해 학습 데이터 셋을 구축하였다. 이를 활용하여 예측 정확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 받고 있는 복수의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테스트하여 가장 정확도가 높은 알고리즘을 적용한 위험도 예측 모델을 개발하였다. 연구결과: 머신러닝 알고리즘 성능 테스트 결과 랜덤포레스트 알고리즘의 정확도가 가장 높게 나왔으며, 위험도 등급에 대해서는 중간치에 대한 정확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화재 통계 상 피해규모 데이터의 편향성에 의해 예측모델 정확도가 제한적으로 나타났으며, 예측 모델 성능 개선을 위해 데이터 정합성 및 결손치 보완 등을 통한 데이터 정제가 필요하다. Purpose: This study develops a risk prediction model that predicts the risk of a fire site by using initial information such as building information and reporter acquisition information, and supports effective mobilization of fire fighting resources and the establishment of damage minimization strategies for appropriate responses in the early stages of a disaster. Method: In order to identify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fire damage scale on the fire statistics data, a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variables was performed using a machine learning algorithm to examine predictability, and a learning data set was constructed through preprocessing such as data standardization and discretization. Using this, we tested a plurality of machine learning algorithms, which are evaluated as having high prediction accuracy, and developed a risk prediction model applying the algorithm with the highest accuracy. Result: As a result of the machine learning algorithm performance test, the accuracy of the random forest algorithm was the highest,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accuracy of the intermediate value was relatively high for the risk class. Conclusion: The accuracy of the prediction model was limited due to the bias of the damage scale data in the fire statistics, and data refinement by matching data and supplementing the missing values was necessary to improve the predictive model performance.

      • KCI등재

        난배양성 토양세균의 배양법 평가 및 신 분류군의 순수분리

        김도형,이상훈,조재창,Kim, Do-Hyoung,Lee, Sang-Hoon,Cho, Jae-Chang 한국미생물학회 2008 미생물학회지 Vol.44 No.4

        난배양성 세균의 배양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다고 보고된 배지 첨가물들이 포함된 다양한 종류의 빈영양 배지들을 대상으로 배양효율을 비교평가하고 최적의 배양조건을 모색하였으며, 평가된 배지를 사용하여 토양시료로부터 순수 분리된 난배양성 세균들의 계통분류학적 위치를 분석하였다. 배지 첨가물로는 토양의 화학적 조성을 반영하기 위한 토양추출액(soil extract), 부식질산의 유사체(humic acid analogue)인 anthraquinone disulfonate, 정족수인식 신호물질(quorum-signaling compounds)인 acyl homoserine lactones, 과산화물(exogenous peroxide)로부터 세균을 보호하기 위한 catalase가 사용되었다. $CO_2$ 과분압(5%, v/v) 조건에서 60일간 배양하였을 때, catalase가 첨가된 배지가 가장 높은 세균집락수(CFU)를 보였다. 이 배지로부터 147개의 균주를 무작위적으로 선택하여 순수분리하고 16S rRNA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이용한 계통학적 분석을 실시한 결과, 순수분리된 균주의 약30%가 이전에 배양 또는 발견된 적이 없는 새로운 종(species)에 속하며, 이 중 약 25%는 새로운 과(family)에 속하는 세균일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난배양성 토양세균으로 알려진 phylum Acidobacteria에 속하는 세균들이 성공적으로 배양되었다는 결과를 고려하면, 본 연구에서 사용된 배지 및 배양조건은 난배양성 토양세균의 배양은 물론 신 분류군의 발굴에도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We evaluated cultivation methods to obtain pure cultures of previously uncultivated bacteria from soil. Soil bacteria (suspensions) were inoculated onto various oligotrophic media with one of the following additives: 1) soil extract; 2) anthraquinone disulfonate (humic acid analogue); 3) acyl homoserine lactones (quorum-signaling compounds); 4) catalase (for the protection of bacteria from exogenous peroxides). After the relatively long period (60 days) of incubation with elevated concentrations of $CO_2$ (5%, v/v), the media containing catalase showed the highest colony count. We purified 147 randomly selected colonies from the media and the isolates were subjected to the phylogenetic analyses of their 16S rRNA gene sequences. Phylogenetic analysis revealed that approximately 30% of the isolates might belong to novel species or novel family, suggesting that the media and incubation conditions used could be useful for the cultivation of as-yet-uncultured bacteria. Especially, bacteria belonging to the phylum Acidobacteria, ubiquitous bacterial taxon known as an uncultured bacterial group (at least difficult to culture from environmental samples), were successfully cultured in this study.

      • 눈의 응시 방향을 이용한 인간-컴퓨터간의 인터페이스에 관한 연구

        김도형,김재헌,정명진,Kim, Do-Hyoung,Kim, Jea-Hean,Chung, Myung-Jin 대한전자공학회 2001 電子工學會論文誌-CI (Computer and Information) Vol.38 No.6

        본 논문에서는 연속적인 영상 정보와 자기 센서의 정보로부터 실시간으로 눈의 응시 방향을 추적하기 위한 효과적인 접근 방법에 대해 제안한다. 이러한 눈 응시 추적 시스템의 입력으로는 한 대의 카메라를 통해 얻어지는 영상들과 자기 센서의 데이터들이다. 눈의 영상을 받아들이는 카메라와 자기 센서의 수신부가 머리에 고정되어 있어서 측정된 데이터들은 눈과 머리의 움직임을 표현하는데 충분하다. 실험 결과에서는 제안한 시스템이 실시간으로 동작하는 측면에 대해 그 유용성을 보여줄 것이고 또 그러한 시스템을 이용하여 마우스 대신 새로운 컴퓨터 인터페이스로 사용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줄 것이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fficient approach for real-time eye-gaze tracking from image sequence and magnetic sensory information. The inputs to the eye-gaze tracking system are images taken by a camera and data from a magnetic sensor. The measuring data are sufficient to describe the eye and head movement, because the camera and the receiver of a magnetic sensor are stationary with respect to the head. Experimental result shows the validity of real time application aspect of the proposed system and also shows the feasibility of the system as using a new computer interface instead of the mouse.

      • DCGAN기반의 흑백 이미지의 색상화

        김도형 ( Do-hyoung Kim ),송관동 ( Kwan-dong Song ),위성옥 ( Seung-ok Wi ),김지희 ( Ji-hee Kim ),전광길 한국정보처리학회 2019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6 No.2

        흑백 1채널 이미지를 3 채널 이미지로 색상화하고 Super-Resolution하여 의미 있는 정보를 얻도록 한다. CCTV, 군사용 카메라, 차량용 블랙박스 등 많은 분야에서 주간에 촬영된 영상은 컬러 이미지로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하지만 야간에 촬영된 영상은 빛이 없어서 영상에서 정보를 얻기가 원활하지 않다. 따라서 DCGAN을 통해 단일 채널의 흑백 이미지를 3채널의 색상화 이미지로 만들고, Super-Resolution 기술을 적용해서 해상도를 높여 가시광선이 없는 야간이나 어두운 공간에서도 의미있는 영상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 KCI등재

        지적분야 신기술 적용을 위한 3차원 공간정보 관련 규정의 고찰

        김도형(Kim, Do Hyoung ),임시영(Lim, Si Young) 한국지적학회 2018 한국지적학회지 Vol.34 No.4

        4차 산업혁명의 흐름에 따라 3차원 공간정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신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지적분야에 3차원 공간정보의 효율적인 신기술 적용을 위해 3차원 공간정보 국내 외의 관련 규정의 현황 및 3차원 공간정보에 대한 신기술의 현황을 살펴보고 지적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3차원 공간정보 관련 규정의 개선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신기술에 대한 3차원지적의 구축 및 활용에 따른 작업규정의 작업방법 부분의 개정이 우선적으로 실행되어야 한다. 둘째, 3차원의 품질은 작업의 시간, 경제성, 활용성 등의 측면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에 효율적으로 3차원 공간정보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측량, 지적, 가시화 정보 등 3차원 공간정보를 활용하는 용도에 따른 품질 부분에 대한 규정이 개선되어야 한다. As the interest of 3D spatial information increases with the trend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new technology is applied. Therefore, in order to apply the new technology of 3D space information efficiently to the intellectual field,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status of the related regulations of domestic and foreign 3D spatial information and the state of the new technology to 3D spatial information,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of the regulation is as follows. First, revision of working method part of working regulation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and utilization of 3D cadastre of new technology should be implemented first. Secondly, 3D quality has a great importance in terms of time, economical efficiency and usability of work. Therefore, in order to utilize 3D spatial information efficiently, the regulations on the quality part according to the use of 3D spatial information such as surveying, intellectual, and visualization information should be improved.

      • KCI등재

        ‘여성부정출산담’의 유형과 의미-결혼제도와 이중적 가치관을 중심으로-

        김도형(Kim, Do-Hyoung) 우리문학회 2020 우리文學硏究 Vol.0 No.67

        본고는 기존에 개별적인 유형으로 언급되었던 일련의 설화를 ‘여성부정출산담’으로 묶어서 결혼제도와 여성의 부정한 행동에 대한 이중적 가치관을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여기에서 ‘여성의 부정’은 여성이 혼전순결과 결혼생활에서 정조의 의무를 위반한 것이고 출산한 아이가 부정의 결정적인 증거가 된다. 이런 점에서 여성의 성적 일탈은 결혼제도를 통해 더욱 부각된다. ‘여성부정출산담’은 혼인 여부와 아이가 잉태되었을 당시 남편의 유무를 기준으로 세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첫 번째는 첫날밤에 다른 남자의 아들을 낳은 신부 이야기이고, 두 번째는 결혼생활 중에 부인이 남편과 꿈에서 교합하여 아들을 낳은 이야기이며, 세 번째는 죽은 남자의 아들을 낳은 처녀 이야기다. ‘여성부정출산담’은 결혼제도와 밀접한 연관을 맺는다. 남성 중심의 가부장 체제에서 여성의 성적 일탈과 부도덕한 출산은 도덕적․사회적 갈등상황을 촉발한다. ‘여성부정출산담’에서는 결혼제도가 여성의 부도덕함을 부각시키는 역할을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필요에 의해 여성의 부정한 출산을 합리화하는 방법으로도 작용하고 있다. This paper combines a series of tpreviously unrelated tales about "women"s immoral childbirth" to focus on the matrimony and the dual values of women"s unfaithfulness. Here, "female immorality" is a violation of premarital purity and the obligation of chastity in matrimony, and giving birth is conclusive proof of this immorality. In this regard, women"s sexual deviance is further highlighted through the marriage system. "Women"s immoral childbirth tales" is divided into three types, depending on whether they are married or if the husband was pregnant. The first is the story of a bride who gave birth to another man"s child on her wedding night, the second is the story of a woman whose wife have sex with her husband in a dream during her marriage, and the third is the story of a virgin who gave birth to the child of a dead man. "Women"s immoral childbirth tales" is related to the system of matrimony. In a male-centered patriarchal system, female sexual deviation and extramarital childbirths elicit moral and social conflicts. In the "women"s immoral childbirth tales", matrimonial system plays a role in highlighting the immorality of women. On the other hand, however, it is also working as a way to rationalize the extramarital childbirth of women by necessity.

      • KCI등재

        숙고(bouleusis)의 영역

        김도형(Kim, Do-Hyoung)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6 철학사상 Vol.60 No.-

        일단의 연구자들에 의하면, 아리스토텔레스의 도덕 숙고는 ‘자신의 삶에 대한 확고하고 포괄적인 가치관을 수립하는 데서 시작하여, 이 가치관을 기준으로 구체적 상황에서 어떤 행위를 하는 것이 최선인지 결정하고, 이를 실질적으로 집행하는데 까지 이르는 사유 과정 전반’이다. 그리고 ‘숙고와 관련된 탁월함’으로 알려진 ‘실천적 지혜’는 이 도덕 숙고 전반에 대한 탁월함이 아니라, 숙고의 원칙이자, 삶의 궁극적 목적인 ‘행복’에 대한 개념적 이해를 수립하는 ‘사유적 탁월함’(dianoētikē aretē)이라고 이들은 주장한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숙고와 실천적 지혜에 대한 이러한 해석은 자신의 삶에 대한 ‘포괄적 이해’(Comprehensive Conceptualization)가 숙고의 시작단계에서 완성되고, 이러한 이해를 통하여 숙고의 전 과정이 총괄된다는 의미에서 ‘거대목적이론’(Grand End Theory)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필자는 비록 이러한 거대목적이론이 주류의 해석처럼 인식되고 있고, 일견 상당히 매력적인 아이디어라는 것은 인정하지만, 정작 아리스토텔레스의 숙고와 실천적 지혜에 대한 정확한 해석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이에 필자는 이 글에서 이 ‘주류의 해석’이 갖고 있는 문제점을 문헌 분석을 바탕으로 비판하고, 재고의 필요성을 주장할 것이다. A group of scholars claim that, in Aristotle’s ethics, moral deliberation is a series of thoughts that establish a moral principle related to one’s own life, that it identifies the best possible specification of the principle, and that it determines how to execute an action in accordance with this specification. They also argue that practical wisdom-known as ‘excellence in deliberation’-is an intellectual form of excellence for establishing the conceptualization of the ultimate end: well-being(eudaimonia). This type of interpretation is at times referred to as the ‘Grand-End Theory’ in the sense both that a grand conception of one’s life is established in the early stages of deliberation and that the process of moral deliberation is supervised by this conception. Although this interpretation is regarded as a received view on the issue-and it is, admittedly, an attractive theory-it does not appear to reflect Aristotle’s concepts of deliberation and practical wisdom. Hence, this paper criticizes the mainstream interpretation based on textual analysis and claims that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this vie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