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압력 측정에 의한 요량 계측의 유용성 분석

        김경아,최성수,이인광,박경순,김원재,이태수,차은종,Kim, Kyung-Ah,Choi, Sung-Soo,Lee, In-Kwang,Park, Kyung-Soon,Kim, Wun-Jae,Lee, Tae-Soo,Cha, Eun-Jong 대한의용생체공학회 2007 의공학회지 Vol.28 No.4

        Uroflowmetry is non-invasive and easily performed to diagnose benign prostatic hypertrophy(BPH) frequent in aged men. Weight change during urination is usually measured to estimate the urinary flow rate by a load cell, but sensitive to any impacts against the bottom of the container, leading to unnecessary noise generation. Moreover, load cells are relatively expensive raising the production cost. The present study proposed a new technique, measuring hydraulic pressure on the bottom of the urine container to evaluate the urinary volume. Low cost pressure transducer enabled almost perfectly linear relationship between the urine volume and the hydraulic pressure. During both the simulated and human urination experiments, variance of the pressure signal was more than 50% smaller than the weight signal acquired by a load cell, which demonstrated that the impact noise was decreased to a great degree by pressure compared to weight measurement.

      • KCI등재

        체외수정시술로 출생한 쌍생아의 임상적 경과에 대한 비교 분석

        김경아,민우경,임재우,전누리,원혜성,김정훈,김애란,이필량,이인식,김기수,김암,피수영,Kim, Kyung-Ah,Min, Uoo-Gyung,Lim, Jae-Woo,Jun, Nu-Lee,Won, Hye-Sung,Kim, Chung-Hoon,Kim, Ellen Ai-Rhan,Lee, Pil-Ryang,Lee, In-Sik,Kim, Ki-Soo,Kim, Ahm,Pi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3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6 No.3

        목 적 : 불임의 증가와 함께 체외수정시술에 의한 신생아의 출생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나, 이들에 대한 임상적 예후와 경과에 대한 연구가 미비한 실정으로 본원에서 출생한 체외수정 쌍생아의 임상적 경과 및 예후를 알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5년 1월부터 2000년 6월까지 6년간 서울아산병원에서 분만된 신생아 460쌍 중 250쌍의 자연 수정에 의한 쌍생아(대조군)와 체외 수정 시술에 의해 출생한 156쌍의 쌍생아를 대상으로 재태연령, 출생체중, 성비, 입원률, 1분/5분 Apgar 점수, 동맥관개존증의 발생 및 인도신 치료 여부,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 일과성 빈호흡, 황달, 미숙아망막증, 뇌출혈, 괴사성 장염, 패혈증, 전해질 이상, 선천적 기형의 발생 유무를 비교하였으며, 입원기간과 사망률을 알아보고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산모의 나이와 출산력 및 조기양막파열, 임신성 고혈압, 조기진통의 발생 여부와 임신 중의 입원횟수와 입원기간을 비교하였다. 결 과 : 6년간 본원에서 출생한 쌍생아는 총 460쌍이었으며 이중 체외수정시술에 의해 출생한 쌍생아는 156쌍(34.1%)이었다. 산모의 과거력과 임신성 합병증, 임신기간, 출산 형태에 대한 비교에서 산모의 나이, 출산력, 입원기간 등은 두 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으나, 체외수정시술을 받은 산모에서 조기진통의 횟수가 많았고, 입원 횟수가 의미있게 많았다. 분만 형태의 비교에서 체외수정시술을 받았던 군이 자연수정군에 비해 수술로 분만한 경우가 의미있게 많았으며(93% vs 82%) 응급 수술보다 정규 수술이 의미있게 많았다. 신생아의 비교에 있어서 몸무게, 성비, 동맥관개존증의 발생 및 인도신 치료 여부,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 일과성 빈호흡, 황달, 미숙아망막증, 뇌출혈, 괴사성 장염, 패혈증, 선천적 기형의 발생 유무, 생존율, 입원기간 등은 두 군간에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고, 1분, 5분 Apgar 점수가 자연수정군에서 높았으며, 전해질의 이상소견이 체외수정시술군에서 의미있게 많았다. 체외수정시술에 의한 쌍생아군에서 첫 번째 아가와 두번째 아가를 비교하였을 때 출생체중, 신생아 집중치료실 입원율, 입원기간 등은 차이는 없었으나,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 동맥간개존증, 패혈증, 괴사성장염 등은 두번째 아가에서 유의하게 많았다. 결 론 : 체외수정시술에 의한 쌍생아의 출생은 전체 쌍생아 출생아의 34.1%로 많은 부분을 차지하였고, 산과적 합병증 및 주산기 예후를 비교하였을 때 체외수정군과 자연수정군이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urpose : To examine various neonatal outcomes and perinatal factors resulting from assisted reproduction compared to that of spontaneous conception. Methods : This is a retrospective study. The control cases were all twins of spontaneous conception born between periods from January 1995 to June 2000. The study cases were identified from twins conceived by assisted reproduction in the same time peried. A total of 460 sets of twins consisted of 250 twins of spontaneous conception and 156 twins of assisted reproduction were studied. The primary outcomes were neonatal morbidity and mortality and the secondary outcomes were perinatal factors including number, length and cost of hospitalization for the delivery. Results : No differences were seen in various neonatal factors including gestational age, birth weight and incidences of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patent ductus arteriosus, necrotizing enterocolitis, hyperbilirubinemia, sepsis, intraventricular hemorrhage and the length of hospitalizations. Lower one minute and five minute Apgar scores and frequently encountered electrolyte abnormalities were observed in neonates of assisted reproduction. In general, the second twin of assisted reproduction had increased incidences of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sepsis and necrotizing enterocolitis than the first twin. Increased frequencies of preterm labor, hospitalization and elective cesarean section were seen among mothers who underwent artifical conception. However, overall hospital costs in terms of mothers hospitalization for the delivery and neonates hospitalization did not show differences. Conclusion : Assisted reproduction twins had similar neonatal morbidities, mortalities and perinatal morbidities compared to those born by spontaneous conception.

      • KCI등재

        와류 현상을 이용하는 호흡기류센서

        김경아,이인광,박준오,이수옥,신은영,김윤기,김경천,차은종,Kim, Kyung-Ah,Lee, In-Kwang,Park, Jun-Oh,Lee, Su-Ok,Shin, Eun-Young,Kim, Yoon-Kee,Kim, Kyung-Chun,Cha, Eun-Jong 대한의용생체공학회 2009 의공학회지 Vol.30 No.5

        The present study developed a new technique with no physical object on the flow stream but enabling the air flow measurement and easily incorporated with the devices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CPR) procedure. A turbulence chamber wa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respiratory tube by locally enlarging the cross-sectional area where the flow related turbulence was generated inducing energy loss which was in turn converted into pressure difference. The turbulence chamber was simply an empty enlarged air space, thus no physical object existed on the flow stream, but still the flow rate could be evaluated. Computer simulation demonstrated stable turbulence formation big enough to measure. Experiment was followed on the proto-type transducer, the results of which were within ${\pm}5%$ error compared to the simulation data. Both inspiratory and expiratory flows were obtained with symmetric measurement characteristics. Quadratic curve fitting provided excellent calibration formula with a correlation coefficient>0.999(P<0.0001) and the mean relative error<1%. The present results can be usefully applied to accurately monitor the air flow rate during CPR.

      • KCI등재

        흰쥐 부신 크로마핀 세포 칼슘통로 조절에 미치는 ATP의 효과

        김경아,구용숙,Kim, Kyung Ah,Goo, Yong Sook 한국의학물리학회 2014 의학물리 Vol.25 No.3

        뉴론에서 ATP는 분비 과립내에 신경전달물질과 함께 다량 저장되어 있다가 신경전달물질과 함께 분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신경전달물질의 자극-분비(stimulus-secretion) coupling 과정에 있어 중요한 조절작용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뉴론과 그 발생학적 기원이 동일한 부신수질 세포(adrenal chromaffin cell)를 대상으로 하여 세포막 칼슘통로를 통한 세포막 전류에 미치는 ATP의 영향을 측정함으로써 신경전달물질이 자극-분비 coupling 과정에 작용하는 ATP의 조절 작용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부신수질 세포의 칼슘통로를 통한 세포막 전류는 패치클램프 테크닉으로 기록하였다. 10 mM $Ba^{2+}$을 포함한 세포 외 용액에서, $Ba^{2+}$ current는 0.1 mM ATP를 세포외부에 처치했을 때, 평균 $36{\pm}6%$ (n=6) 감소되어 나타났고 ATP를 씻어준 후 전류는 다시 회복되는 가역적 반응을 보였다. ATP의 전류 억제 기전을 알아보고자 칼슘통로에서 관찰되는 현상 중의 하나인 소통(facilitation)현상을 기록하였다. +80 mV의 큰 prepulse를 준 후 바로 테스트 펄스를 주며 측정한 전류는 큰 prepulse에 의해 억제효과가 풀리는(disinhibition) 현상을 나타내었다. ATP 처치 후 큰 자극을 주어 $37{\pm}5%$ (n=11)의 $Ba^{2+}$ 전류 증가가 있었고 이는 ATP가 없는 상태에서 순수하게 큰 자극에 의해 소통되는 $25{\pm}3%$ (n=12)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ATP의 억제 기전이 G-protein을 매개로 한 것인지를 알아보고자 가수분해 되지 않는 GTP 유도체인 $GTP{\gamma}S$를 세포 내에 준 후 $Ba^{2+}$ 전류를 기록하였다. $GTP{\gamma}S$에 의해 55%의 전류 크기의 감소가 있었고 이 환경에서 큰 prepulse를 인가하였을 때 $34{\pm}4%$ (n=19)의 소통현상을 보였다. 이는 $GTP{\gamma}S$가 없는 환경에서의 $25{\pm}3%$ (n=12)의 소통현상을 보인 것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Ba^{2+}$ current trace의 활성화 과정(activation)을 curve-fitting한 결과, control은 single exponential curve로 fitting된 반면, ATP 또는 $GTP{\gamma}S$를 처치한 경우, 그리고 ATP와 $GTP{\gamma}S$ 모두 처치한 경우에서는 double-exponential curve로 가장 잘 fitting이 되었다. 즉, ATP나 $GTP{\gamma}S$를 처치했을 때 모두 전류가 더 느리게 활성화되는 모양을 나타내었고,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ATP와 $GTP{\gamma}S$는 같은 방식으로 칼슘통로를 억제하고, 이러한 억제효과는 세포막에 아주 큰 전압을 걸어주면 칼슘 통로에 결합했던 G-protein이 막전압 의존적으로 떨어짐으로써 소실(disinhibition)된다고 해석된다. 본 연구에서 확인한 ATP의 칼슘통로 억제효과는 자체 크로마핀 세포 또는 주변 세포에서 아드레날린이 적게 분비되게 하는 autocrine 또는 paracrine inhibition 과정의 중요한 기전으로 작용할 것이다. ATP in quantity co-stored with neurotransmitters in the secretory vesicles of neurons, by being co-released with the neurotransmitters, takes an important role to modulate the stimulus-secretion response of neurotransmitters. Here, in this study, the modulatory effect of ATP was studied in $Ca^{2+}$ channels of cultured rat adrenal chromaffin cells to investigate the physiological role of ATP in neurons. The $Ca^{2+}$ channel current was recorded in a whole-cell patch clamp configuration, which was modulated by ATP. In 10 mM $Ba^{2+}$ bath solution, ATP treatment (0.1 mM) decreased the $Ba^{2+}$ current by an average of $36{\pm}6%$ (n=8), showing a dose-dependency within the range of $10^{-4}{\sim}10^{-1}mM$. The current was recovered by ATP washout, demonstrating its reversible pattern. This current blockade effect of ATP was disinhibited by a large prepulse up to +80 mV, since the $Ba^{2+}$ current increment was larger when treated with ATP ($37{\pm}5%$, n=11) compared to the control ($25{\pm}3%$, n=12, without ATP). The $Ba^{2+}$ current was recorded with $GTP{\gamma}S$, the non-hydrolyzable GTP analogue, to determine if the blocking effect of ATP was mediated by G-protein. The $Ba^{2+}$ current decreased down to 45% of control with $GTP{\gamma}S$. With a large prepulse (+80 mV), the current increment was $34{\pm}4%$ (n=19), which $25{\pm}3%$ (n=12) under control condition (without $GTP{\gamma}S$). The $Ba^{2+}$ current waveform was well fitted to a single-exponential curve for the control, while a double-exponential curve best fitted the current signal with ATP or $GTP{\gamma}S$. In other words, a slow activation component appeared with ATP or $GTP{\gamma}S$, which suggested that both ATP and $GTP{\gamma}S$ caused slower activation of $Ca^{2+}$ channels via the same mechanism. The results suggest that ATP may block the $Ca^{2+}$ channels by G-protein and this $Ca^{2+}$ channel blocking effect of ATP is important in autocrine (or paracrine) inhibition of adrenaline secretion in chromaffin cell.

      • KCI등재
      • 손상위험장기에 인접한 불규칙한 모양의 타겟 치료 시, 용적변조회전 방사선치료와 비동일평면상의 빔을 이용한 세기변조 방사선치료의 유용성 평가 및 비교

        김경아,나경수,서석진,이제희,Kim, Kyung Ah,Na, Kyung Soo,Seo, Seok Jin,Lee, Je Hee 대한방사선치료학회 2017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Vol.29 No.1

        목 적: 본 연구는 모양이 불규칙하고 손상위험장기(Organ At Risk, OAR)에 매우 인접한 타겟(Target)의 방사선 치료 시, 비동일평면상(Non-coplanar)의 빔(Beam)을 이용한 Fixed-field 세기변조 방사선치료(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 IMRT)와 용적변조회전 방사선치료(Volumetric Modulated Arc Therapy, VMAT) 치료계획의 유용성을 평가 및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원에서 True Beam STX(Varian Medical Systems, USA)를 이용하여 전체 두피(Whole Scalp), 부분적 두피(Partial Scalp), 그리고 전체 뇌실(Whole Ventricle)에 방사선 치료를 받은 환자 중 각 부위별로 2명 씩, 총 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VMAT 치료계획 시, Beamlet에 포함되는 OAR의 용적을 최소화하기 위해 Coplanar 또는 Non-coplanar 빔을 이용하였고, Fixed-field IMRT는 6명 모두 2개 이상의 카우치(Couch) 각도를 이용한 Non-coplanar IMRT(이하 ncIMRT)로 치료계획 하였다. 결 과: 양측 수정체, 양측 시신경, 시신경 교차, 그리고 뇌 줄기의 최대선량과 양측 안구와 해마의 평균선량을 측정하였고, 6명 모두 9개의 OAR 중 6개 이상에서 VMAT 치료계획이 ncIMRT보다 1.1배에서 8.2배가량 높은 선량 값을 나타내었다. 전체 두피와 부분적 두피의 치료 시, 20 Gy가 조사되는 뇌의 용적은 VMAT이 ncIMRT의 2배 이상이었고, 전체 뇌실의 치료 시에는 두 치료계획이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타겟 Coverage는 두 치료계획 모두 $PTV_{100%}=95%$를 만족시켰고, 타겟 내 최대선량과 치료 시 필요한 총 Monitor Unit(MU)은 ncIMRT가 VMAT보다 높았으며 두 치료계획 모두 임상적용을 위한 Gamma test 시행 결과, 2 mm/2 % 조건을 통과하였다. 결 론: 본 연구 결과, ncIMRT는 VMAT에 비해 치료 시 필요한 MU가 높아 치료시간과 장비의 로딩(Loading)을 증가시키므로 치료의 효율성은 다소 떨어지지만, VMAT과 비슷한 타겟 Coverage를 유지하면서, OAR의 선량은 훨씬 감소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모양이 불규칙하고 OAR에 매우 인접해 있는 타겟의 방사선 치료 시에는 ncIMRT 치료계획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volumetric modulated arc therapy(VMAT) with fixed-field 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IMRT) using non-coplanar beam when the shape of target is irregular and the location is adjacent to organ at risk(OAR). Materials and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a total of 6 patients who had radiation therapy for whole scalp(2 patients), partial scalp(2 patients), and whole ventricle(2 patients) by True Beam STX(Varian Medical Systems, USA). VMAT plans consisted of coplanar or non-coplanar arcs which can minimize the volume of OAR included in beamlets. All fixed-field IMRT plans consisted of non-coplanar beams using more than 2 angles of Couch. Results: The VMAT and IMRT plans were compared with regard to the maximum dose of both lens, both optic nerves, optic chiasm, and brain stem and the mean dose of both eyeballs and hippocampus. VMAT plans showed higher dose than ncIMRT plans at more than 6 of all OARs in every patient, and the ratio was from 1.1 times to 8.2 times. In case of total scalp and partial scalp, the volume of brain which received more than 20 Gy in the VMAT plans was 2 times larger than the volume in the ncIMRT plans. In case of whole ventric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Target coverage was satisfied in both plans($PTV_{100%}=95%$). The maximum dose in target volume and required monitor unit(MU) of ncIMRT were higher than them of VMAT plans. Conclusion: Even though ncIMRT is less efficient than VMAT with regard to required MU and treatment time, the dose to OARs is much lower than VMAT and PTV Coverage is similar with VMAT. If the shape of target is irregular and location is adjacent to OAR, comparison VMAT plan with ncIMRT plan deserves to be considered.

      • KCI등재

        COVID- 19 관련된 정부재정지원정책과 중소기업 기술혁신 특성에 관한 연구

        김경아 ( Kim¸ Kyung-Ah ) 한국자치행정학회 2021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5 No.3

        본 연구는 CCVID-19와 관련된 정부의 재정지원정책을 조세지원정책, 직접자금지원, 금융지원 등 3개 유형으로 분류하고, COVID-19와 관련된 재정지원정책 유형별 정책수혜여부와 중소기업 기술혁신활동 및 성과의 관계를 설명하였다. 분석데이터는 2020년 한국기업혁신조사(제조업)에 응답한 기업설문데이터이며, 이 중에서 계열사가 아닌 독립기업이면서 중소기업에 해당하는 2,933개 이다. 종속변수는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성공여부이며, 설명변수는 Covid-19와 관련된 정부의 재정지원정책(조세지원정책, 직접자금지원, 금융지원) 수혜여부이다. 통제변수로서 기업특성은 기업규모, 기업의 혁신역량, 기술혁신활동 등을 통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학문적 기여는 다음과 같다. 첫째, COVID-19와 관련된 중소기업 재정지원정책들이 그 유형별로 실제로 어떻게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에 영향을 주었는가를 실증분석한 연구는 거의 없는데, 처음으로 실증분석을 통해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둘째, COVID-19와 관련된 정부지원정책이 중소기업 기술혁신성공에 미치는 영향이 기업이 입지한 지역특성 즉 수도권과 비수도권를 분리해서 비교분석하였다. 조세지원과 재정지원 등 지원정책 유형에 따라서 수도권 더미의 통계적 유의성이 다른 것은 주목할 점이다. 셋째, 사용된 데이터가 통계청 승인데이터로서 통계적으로 잘 설계되어 전국 중소기업의 산업유형별 및 입지지역별 모집단의 특성을 잘 반영하고 있어서 분석 결과의 일반화가 가능하다. This study classifies the government's financial support policies related to COVID-19 into three types: tax support policies, direct funding, and financial support, and demonst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novation activities and performance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SMEs) and the benefit of each type of financial support policy related to COVID-19. The analysis samples are 2,933 firms which are independent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in response to 「the 2020 Korea Business Innovation Survey(KIS)」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The main contribu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research about the impact of financial support policies f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on innovation performance is very timely. Since the Covid-19 outbreak, there are very limited studie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financial support policies and innovation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SMEs), and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d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government support policies and firm performance. Second, the data used in this study are statistically well designed, as the national data approved by Statistics Korea,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pulation by industry type and location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nationwide, enabling generalization of the analysis results. Third, this study focuses on the difference in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firms. In short, the study has discussed the impact of the government's support policy related to COVID-19 on the succes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i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depending on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firms by comparing the capital vs non-capital areas. The dependent variable is whether the innovation of SMEs is successful, and the explanatory variable is the government's financial support policies (i.e. tax support policies, direct funding and financial support) related to COVID-19. As a control variable, corporate characteristics used the innovation capabilities of the firm, firm size, and innovation activities.

      • KCI등재

        중ㆍ고령자가구의 가구소비 여력 결정요인 연구

        김경아(Kim, Kyung Ah) 한국노년학회 2011 한국노년학 Vol.31 No.3

        본 연구에서는 제1~2차 고령화연구패널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첫째, 가구소득 및 가구동원가능자산에 대한 결정요인을 분석을 통해 국내 중ㆍ고령가구의 소비여력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에 대해 논의하였다. 둘째, 가구소비 결정요인을 추정하여, 국내 중ㆍ고령가구의 소비에 있어서 가구특성들 중 어떠한 요인들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분석하였다. 먼저 가구 소비여력인 가구소득 및 가구동원가능자산에 대한 분석 결과, 여러 설명변수들 중에서도 특히, 교육수준이 높고 가구원수가 많을수록, 자가 거주와 근로상태인 경우, 그리고 특수직역연금을 수급하는 중ㆍ고령자가구의 경우 상대적으로 가구소득과 가구동원가능자산과 같은 소비여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2차 자료를 대상으로 가구소비 결정요인을 추정한 결과, 연간가구 가처분소득과 가구동원가능자산이 많을수록, 가구원수가 많고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광역시에 거주하고 자가 거주주택을 보유하고 있을수록, 근로행위를 하거나 특수직역연금을 수급하는 가구일수록 가구 소비를 증가시킬 유인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에 반해 연령이 높을수록, 국민연금을 수급하거나 남성일 경우 가구소비는 상대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nalyzes the major factors affecting domestic middle-aged and elderly households' strength in consumption using the first and second wave of Korea Longitudinal Study of Ageing(KLoSA). First, household income and household liquid assets which are the strength in household consumption was analyzed and as a result, among various explaining variables, aged and elderly households with the higher education level and more household members, those in self-owned residence and in a state of labor and those which are the beneficiaries of special occupational pension scheme show relatively the same high level of strength in consumption. Then, the determining factor of household consumption was assumed based on the second wave of data and as a result, those with more yearly household disposable income and household liquid assets, those living in metropolitan cities with self-owned homes, those engaged in labor practice or which are the beneficiaries of special occupational pension scheme are more likely to have a relatively bigger contributory factor in increasing household consumption. By contrast, household's consumption decrease in the case of those with higher age, those who are the beneficiaries of national pension or those who are male.

      • KCI등재

        기술모방용이성(imitability)과 혁신성(Newness)이 기술혁신성공에 미치는 영향 - VRIO모형을 활용한 에너지 및 관련산업 기술혁신분석 -

        김경아 ( Kim Kyung-ah ) 한국자치행정학회 2021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5 No.2

        본 연구는 자원기반관점의 경영전략분석 방법인 VRIO 분석모형을 응용하여 기술모방용이성(Imitability)과 혁신성(newness)이 기술혁신성공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였다. 분석대상은 중소기업기술실태조사(2018년, 2019년)의 에너지 및 관련 산업기술에 속한 1,827개 데이터이다. 실증분석 모형은 모방용이성과 기술혁신성을 설명변수로 하고, 기업의 혁신활동에 관한 변수들과 응답기업의 기술능력수준을 통제변수로 선정하였다. 혁신성(newness)은 응답기업이 주력개발한 기술이 세계최초인지, 국내최초인지, 보편화된 기술인지를 의미한다. 모방용이성(imitability)은 응답기업이 보유한 주력 제품기술을 외부 경쟁업체가 모방개발하는데 소요되는 기간으로 측정하였다. 기술능력수준은 기술요소별 국내최고 수준 대비 응답기업의 기술능력수준(%)으로 측정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모방용이성(imitability)은 기술혁신성공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지만, 모방가능기간에 따라 차이가 존재하였다. 경쟁사가 응답기업이 달성한 혁신기술을 모방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2년 이상인 기업의 경우 혁신성공비율이 가장 높았고, 3개월 미만의 가장 짧은 기간 안에 기술을 모방할 수 있을 때에 혁신성공비율이 두 번째로 높았다. 즉, 모방이 아주 어려운 기술일 때는 혁신에 성공하면 그만큼 경쟁력을 유지하기 쉽지만, 모방이 너무 쉬운 기술일 때는 끊임없이 기술우위 제품의 개발을 통해 혁신할 때만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모방용이성이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성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기술의 혁신성(Newness)은 세계최초 또는 일부 선진국만 보유한 혁신기술일 때에는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확인할 수 없었고, 오히려 선진국에 보편화된 기술을 국내최초로 개발하는 기술혁신을 추구한 중소기업들이 기술혁신에 성공하는 확률이 더 높았다. 중소기업의 혁신역량은 혁신활동, 기업인증유형, 산업유형, 기술능력수준으로 구성하였다. 이중에서 산업유형이 에너지관련산업인 경우, 기술혁신형 기업으로 인증받은 기업인 경우, 기술혁신을 위해 공동으로 기술개발에 참여한 경우, 그리고 기술개발을 위한 지출규모가 클수록 중소기업이 기술혁신에 성공하는 비율이 높았다. This study illustrates the impact of technology imitability and newness on the success of innovation by applying the VRIO analysis model, which is a resource-based management strategy analysis method. The analysis targets 1,827 samples belonging to the energy and related industrial technologies in the Small and Medium Business Technology Survey (2018 and 2019). The empirical model includes technology imitability and newness as explanatory variables and the innovation activities of the firms and the level of the technological capabilities as control variables. Newness is defined as whether the technology developed by the firm is the first in the world, the first in Korea, or the first in generalized technology. Imitability was measured as the period for external competitors to imitate the flagship product technologies held by respondents. The level of technical capability was measured by the ratio of responding firm's level of technical capability to the highest level in Korea about technology element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Although imitability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success of innovation, there are differences over the imitable time. For firms that took more than two years for competitors to imitate innovative technologies achieved by respondents, the rate of innovative success was the highest, and even when the competitors could imitate technologies in the shortest period of less than three months, the rate of innovative success was the second highest. In other words, it can be explained that technology imitability has a positive impact on innovation success of the SME because it is possible for SMEs to maintain competitiveness through the continuously development of technology superior products if technology imitation is too easy. Newness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n it was the first in the world or only some advanced countries, and SMEs that sought innovation for the first in Korea to develop technologies common in advanced countries were more likely to succeed. The innovation capabilities of SMEs consisted of innovative activities, the types of firm innovation certification, the industry type, and technical capabilities. Among them, if the industry type is the energy-related industry, if the firm is certified as a technology innovation firm, if it participated in technology development jointly for technology innovation, and the larger the expenditure for technology development, the higher the rate of technology innov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