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SSOR을 이용한 강인한 F-행렬의 추정

        金孝成,南基坤,田桂錄,李尙昱,鄭斗泳 대한전자공학회 2002 電子工學會論文誌-SP (Signal processing) Vol.39 No.1

        Three-Dimensional scene reconstruction from images acquired with different viewpoints is possible as estimating Fundamental matrix(F-matrix) that indicates the epipolar geometry of two images. Correspondence points required to calculate F-matrix of two images include noise such as miss matches, so generally it is hard to calculate F-matrix accurately. In this paper, we classify noise into two types; outlier and minute noise. we propose SSOR algorithm that estimate F-matrix effectively. SSOR algorithm is rejecting outlier step by step in a noise environment.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proposed algorithm we simulated with synthetic images and real images. As a result of simulation we show that proposed algorithm is better than conventional algorithms. 시점을 달리하는 영상으로부터 3차원 장면 복구는 두 영상의 에피폴라 기하구조를 나타내는 F-행렬을 계산함으로서 가능하다. F-행렬을 계산하기 위해 입력으로 주어지는 두 영상의 일치점에는 잘못된 정합점과 같은 잡음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정확한 F-행렬의 계산은 많은 오류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에피폴라 기하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잡음의 종류를 크게 outlier와 미세잡음으로 구분하였다. 상대적으로 에피폴라 기하구조에 영향을 크게 미치는 outlier를 단계적으로 제거시킴으로써 잡음 환경에서도 효과적으로 F-행렬을 계산할 수 있는 SSOR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 알고리즘의 성능 평가를 위해 합성영상과 실 영상에서 실험하였으며 실험결과 제안 알고리즘이 기존의 알고리즘보다 성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 側頭骨 斷層 撮影

        許俊,金曉晟 高麗大學校 倂設 保健大學 保健科學硏究所 1972 保健科學論集 Vol.3 No.1

        This project is undertaken to improve understanding anatomy of the temporal bone involving ear and associated structures. To establish this project, six projections" Lateral. Shuller's. Frontal, Stenvers', Mayor's and Axial are selected for this study by circular tomography. The skull phantom is used instead of living person. The best results -were obtained in Lateral projection for the Auditory ossicles, Styloid process, in Shuller's projection for T-M joint, Semicircular canals and Fenestra vestibule, in Frontal projection for the Vestibule, Cochlea. Internal auditory cana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ur and the lateral wall of the Epitympanic recess, in Stenvers' projection for the Carotid canal. Petrous ridge and In Mayer's projection for the Tympanic cavity and Auditor'y ossicles.

      • KCI등재

        확장 칼만 필터를 이용한 양방향 스테레오 정합에 관한 연구

        李哲憲,薛盛旭,金孝成 대한전자공학회 2002 電子工學會論文誌 IE (Industry electronics) Vol.39 No.12

        In this paper, we propose a robust stereo matching algorithm using nonlinear extended Kalman filter. The proposed algorithm estimates disparity using nonlinear extended Kalman filter and compares left image to right image for obtained disparity. As this process is run iteratively, we get disparity only with a few search. And, we can get robust stereo matching results by comparing left image to right image using bilinear interpolation to consider influence of neighborhood pixel. We compared SSD algorithm which is widely used, in stereo matching method, to result of the proposed algorithm. As the result, the proposed algorithm has an outstanding matching performance. 본 논문에서는 비선형 확장 칼만 필터를 이용한 양방향 스테레오 정합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 알고리즘은 비선형 칼만 필터를 사용하여 변이(disparity)를 예측하고 예측된 변이는 좌영상에서 우영상으로의 스테레오 정합에 적용된다. 변이 예측은 몇 번의 반복으로 구해지며 비선형 칼만 필터의 초기 상태 예측치에 큰 오차를 나타내는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양방향 스테레오 정합 알고리즘을 사용하였다. 이웃 화소의 영향을 고려하여 선형 내삽법(intepolation)을 좌·우 영상에 적용함으로써 스테레오 정합에 강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제안 알고리즘의 성능 평가를 위해서 기존의 SSD방법과 비교 검토하였다. 비교 결과 제안 알고리즘이 매우 우수한 정합 성능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웨블릿 변환기법을 이용한 내용기반 컬러영상 검색시스템 구현

        宋碩珍,李喜奉,金孝成,南基坤 대한전자공학회 2003 電子工學會論文誌-SP (Signal processing) Vol.40 No.1

        In this paper, we implemented a content-based image retrieval system that user can choose a wanted query region of object and retrieve similar object from image database. Query image is induced to wavelet transformation after divided into hue components and gray components that hue features is extracted through color autocorrelogram and dispersion in hue components. Texture feature is extracted through autocorrelogram and GLCM in gray components also. Using features of two components, retrieval is processed to compare each similarity with database image. In here, weight value is applied to each similarity value. We make up for each defect by deriving features from two components beside one that elevations of recall and precision are verified in experiment results. Moreover, retrieval efficiency is improved by weight value. And various features of database images are indexed automatically in feature library that make possible to rapid image retrieval.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가 질의를 원하는 물체 영역을 선택하면 유사 물체를 영상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검색할 수 있는 내용기반 영상검색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질의영상은 색상성분과 그레이성분으로 나누어져 웨블릿 변환되고 색상성분에서는 컬러 오토코릴로그램과 분산으로 색상특성을 추출한다. 그리고 그레이성분에서는 오토코릴로그램과 GLCM을 통해 질감특성을 추출한다. 이렇게 구한 2개 성분에서의 특성들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내의 영상들과 각각 유사도를 비교하여 검색하게 된다. 이때 각 유사도에 가중치를 적용하였다. 한 가지 성분보다 두 가지 성분에서 특성을 구하여 각각의 단점을 보완하였고 실험 결과에서도 소환성(recall) 및 정확성(precision)이 향상됨을 볼 수 있었다. 또한 가중치를 적용함으로써 검색 효율이 개선되었다. 그리고 데이터베이스내 영상들의 여러 특성을 특성 라이브러리내에 자동 색인화 시킴으로써 고속의 영상 검색이 가능하였다.

      • KCI등재후보

        계기판 벌브 인식 알고리즘

        李哲憲,薛盛旭,金孝成 대한전자공학회 2002 電子工學會論文誌 IE (Industry electronics) Vol.39 No.3

        This paper proposes new features for recognizing telltale bulb in a cluster. A typical feature employed in model-based pattern recognition is polygonal approximation points of object. But recognition using these dominant points has many mismatching counts in small model such as telltale bulb. To reduce mismatching counts, proposed features are the circle distribution of object pixel and the ratio of distance from center to boundary in object. This paper also proposes new decision function using three features. In simulation result, we make a comparison mismatching counts between recognition using dominant points and the new recognition algorithm using three features. 본 논문은 차량계기판에서 벌브를 인식하기 위한 새로운 특징을 제안한다. 대부분의 모델기반 물체 인식에서 사용되는 특징으로는 물체의 다각형 근사점이 있다. 이러한 특징을 이용한 정합방식을 차량계기판의 벌브와 같은 작은 물체에 적용하며, 정합율이 낮다. 이러한 정합율을 높이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특징을 제안한다. 제안된 특징은 물체화소의 원분포와 물체의 중심에서 경계선까지의 거리비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세 개의 특징을 모두 같이 이용하기 위해서 새로운 결정함수를 정의한다. 실험 결과는 다각형 근사점을 이용한 정합방식과 3개의 특징을 모두 이용한 정합방식에서의 정합이 되지 않은 물체수로 비교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