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린이집 평가인증 연구의 동향 분석

        국지윤,양시내,김영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4 유아교육학논집 Vol.18 No.5

        The study analyzes the general research trends of the child care center accreditation system in terms of time, subject, method, and them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plain the current state of the child care center accreditation system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research on the child care center accreditation system in the future. For these purposes, this study reviewed 264 reports on the child care center accreditation system published during from 2005 to 2014, and analyzed data by calculating frequencies and percentag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research on the accreditation system increased steadily from 2005, but a number of studies maintained a constant level or decreased after 2010. Second, in terms of subjects, most studies considered child care centers participating in accreditation, and mainly directors and teachers. In addition, mostly public and private child care centers participated in the studies during the early period, but the subjects were sampled from all different types of child care centers after 2010. Third, in terms of research methods, quantitative research occupied the largest portion. Fourth, main themes covered by these studies were the operation of the accreditation system and the evaluation of the system and participants’ demands. 본 연구는 국내 어린이집 평가인증에 관련된 연구의 연구시기, 연구대상, 연구방법, 연구주제 등의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어린이집 평가인증의 현 주소를 알아보고, 후속연구의 기초를 마련하여, 앞으로 어린이집 평가인증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평가인증이 시행된 2005년부터 2014년 6월까지 발표된 어린이집 평가인증 관련연구 264편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 분석을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평가인증 관련 연구들은 2005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였으나 2차 평가인증 시행시기 이후부터는 일정수준으로 유지 및 감소추세를 보였다. 둘째, 연구대상 별로는 주로 평가인증 참여 어린이집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가 많았고, 원장과 교사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초기 국공립과 민간 어린이집 위주로 이루어졌다가 2차 평가인증 시행시기부터는 모든 어린이집 유형이 고루 연구대상으로 포함되었다, 셋째, 연구방법은 양적 연구방법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넷째, 연구주제면에서 평가인증 운영체계나 평가인증에 대한 평가 및 요구에 관한 연구 등이 주로 다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으며, 평가인증제 관련 연구의 반성적 작업을 토대로 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어린이집 운영관리 컨설팅 모형개발

        국지윤,김영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7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2 No.1

        This study placed sought effective and actual supporting methods of the guidance check, accreditation system, and parents' monitoring as part of the consulting of the child care center. Accordingly, this study aimed at developing the consulting model for the administration of a child care center that supports guidance check, accreditation system, and parents' monitoring comprehensively, helping the execution of a child care centers' administration standards, and eventually strengthening child care center directors and teachers' administration ability,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child care center. To this end, I conducted a literature analysis and a survey on child care center directors and teachers' perceive of the child care centers' administration consulting and deducted the consulting purpose, contents and execution methods and applied them to the field and verified their validity. In conclusion, the developed model is an efficient support for guidance check, accreditation system, and parents' monitoring and can provide detailed content in supporting consulting and guidelines for implementation methods. 본 연구는 어린이집 컨설팅의 일환으로 지도점검, 평가인증, 부모모니터링의 효율적이고 실질적인 지원방법을 모색하는데 초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지도점검, 평가인증, 부모모니터링을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어린이집 운영관리 컨설팅 모형을 개발하여 어린이집의 운영관리기준 이행을 돕고 궁극적으로는 보육교직원의 운영관리 역량강화와 어린이집 질 개선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보육교직원을 대상으로 어린이집 운영관리 컨설팅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어린이집 운영관리 기준의 구체적 내용을 다루고 있는 지도점검, 평가인증, 부모모니터링 지표 분석을 근거로 컨설팅 내용을 도출하였으며, 기준의 이행과 적용이라는 어린이집 운영관리 컨설팅의 특징과 원리를 바탕으로 수행절차를 개발한 후 현장에 적용함으로써 그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개발된 모형은 현장에서 지도점검, 평가인증, 부모모니터링에 대한 효율적인 지원으로써 컨설팅을 제공하고자 할 때 구체적인 컨설팅 내용과 수행방법에 대한 지침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무엇보다 보육교직원의 인식을 바탕으로 모형을 구축함으로써 어린이집 운영관리 컨설팅의 필요성을 설득력 있게 제시하고 어린이집 운영관리 컨설팅이 도입되고 정착하는데 중요한 시사점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만 5세 유아들의 쌓기놀이에서 수행된 수학활동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

        국지윤,홍용희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06 교과교육학연구 Vol.10 No.2

        본 연구는 유아들이 쌓기놀이에서 수행하는 수학활동 내용과 수학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만 5세 유아들의 쌓기놀이를 문화기술적 연구방법을 통하여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들은 쌓기놀이에서 분류, 서열, 수세기, 전체와 부분, 측정, 공간과 기하, 패턴 등의 수학 활동을 수행하였다. 쌓기놀이에서 나타난 각각의 수학활동은 상황에 따라 매우 다양하고 복합적인 형태로 나타났다. 유아의 수학활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수학적인 배율로 제작된 놀이감의 특징, 놀이주제, 성별, 또래참여, 교사개입 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쌓기놀이 영역뿐만 아니라 여러 흥미영역에서의 유아수학활동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관심과 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해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ntents of math activity carried out by young children in block-play and the factors influencing on their math activity through ethnographic research methodology. The study shows that young children conducted various math activities: classification, order, counting, whole and parts, estimation, space and geometry, and pattern. Each one of the math activities was appeared to be diverse and compound in terms of format according to situations. The factors influencing on young children's math activity were the characteristics of block-play materials made out of mathmatical magnification, block-play themes, gender, peers' participation, and teachers' intervention. The results suggest that further research on the contents of math activity conducted by young children and the factors influencing on math activity at the other interest areas as well as the block-play area are needed.

      • KCI등재

        어린이집 운영 관련 판례 분석

        국지윤 ( Kook Ji-you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0 유아교육연구 Vol.40 No.4

        본 연구는 어린이집 운영과 관련된 판례 현황을 살펴보고, 판례의 내용과 판결사항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011년부터 2019년까지 ‘대법원 홈페이지 종합법률 정보’와 ‘법원 도서관 판례 검색’ 웹사이트를 통해 정보 공개된 어린이집 운영 관련 판례 53건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어린이집 운영 관련 판례는 연평균 5.8건으로 2014년과 2015년에 각각 10건으로 가장 많았다. 둘째, 사건유형은 아동학대, 안전, 행정관리, 교직원 4가지로 분석되었으며, 이중 아동학대 관련 판례가 22건으로 가장 많았다. 셋째, 재판 유형별로는 형사재판이 29건으로 민사재판 21건과 행정재판 3건에 비하여 많았다. 넷째, 판결사항으로는 사건의 사안에 따라 「형법」, 「아동복지법」, 「영유아보육법」 등의 형벌적 책임을 지기도 하였고, 잘못된 행정처분에 대한 취소나 변경 차원에서의 판결이 내려지기도 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어린이집 운영에 있어서 보육종사자들의 책임의식을 각인시키고, 보다 합법적인 어린이집 운영과 지원 방향에 관한 시사점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status of court precedent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child care centers and analyze the case contents and rulings. For this, 53 court precedents involving child care centers, which are open to the public through the websites of ‘Supreme Court General Law Information’ and ‘Court Library Case Search’, were observed for the period from 2011 to 2019.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court precedents involving child care centers reached 5.8 on a yearly basis with the highest amounting to 10 in 2014 and 2015, respectively. Second, the cases were analyzed into four types: child abuse, safety, administrative management and teaching staff. Among them, child abuse had the largest number of court precedents. Third, in terms of trial types, there were 29 criminal trials followed by 21 civil trials and three administrative trials. Fourth, from the point of ruling, punishment was imposed according to the Criminal Act, the Child Welfare Act, the Child Welfare Act and the Infant Care Act. Ruling were also made as a cancellation or change on a prior improper administrative disposition. It is expected that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a basis for encouraging childcare workers to take more responsibility, exploring more options for legitimate operation, and providing further support of for child care centers.

      • KCI등재

        영유아 수학통합교육 논문동향 분석

        국지윤(Kook ji youn),채영란(Chae Young R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3

        본 연구는 2001년 2019년까지 발표된 영유아 수학통합교육 관련 논문을 바탕으로 전체적인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발표연도, 투고학회, 연구주제, 연구대상, 연구방법, 활동적용형태 및 통합효과를 분석 준거로 19년 동안 발표된 총 207편의 학회지를 분석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 수학통합교육연구는 2004년 4편에 불과하였으나 2005년 11편으로 급증한 이후 2019년까지 매년 10편 내외로 지속적으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학회별로는 유아교육관련 학회를 중심으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연구주제로는 교수학습방법 및 효과분석을 다룬 연구가 130편으로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연구대상은 유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수행이 가장 많았고, 연구방법은 양적연구가 151편으로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통합교육 활동적용은 언어활동과의 통합이 가장 많았으며, 통합효과의 분석으로는 내용적 측면과 관련된 연구가 111편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영유아 수학통합교육 연구의 실태를 파악하고 동시에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based on the papers on integrated mathematics education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published until 2001 and 2019. To this end, a total of 207 journals published over 19 years were analyzed based on the following analysis criteria: presentation year, contribution society, research topic, research subject, research method, active application form, and integrated effect.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of mathematics integrated education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was 4 in 2004, but since it surged to 11 in 2005, 10 studies have been conducted annually until 2019. As the trend of each society, it has been actively conducted mainly in the society related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trend analysis by research subject was the most frequently conducted with 130 studies dealing with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effectiveness analysis. The trend of each research subject was the most frequent among young children, and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research method was 151, accounting for more than 70%. The application of integrated education activities was the most integrated with language activities and in the analysis of the integrated effect, the content aspect was 111.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to grasp the current status of integrated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and to suggest future research directions.

      • KCI등재

        교육실습을 위한 U-멘토링이 예비유아교사의 자아개념 및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신수경,국지윤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6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5 No.4

        본 연구는 교육실습을 위한 U-멘토링이 예비유아교사의 자아개념 및 교사효능감 향상과 관계가 있는 지 파악한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G시에 소재한 N대학교 유아교육과에 재학중인 4학년 학생중 13명 을 실험집단으로, 13명을 비교집단으로 구분하고,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4주 동안의 교육실습에서 U- 멘토링 교육실습지도방식을 적용하였다. 교육실습 실시전과 후에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자아개념과 교사효능감을 측정한 후 공변량 분석(ANCOVA)을 통해 사전, 사후 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 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자아개념은 교육실습을 위한 U-멘토링 이후 자아개념의 하위영역인 자기수 용에서 사후점수가 사전점수에 비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은 교 육실습을 위한 U-멘토링 이후 교사효능감 점수가 전체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본 연구는 교육 실습과정에서 예비유아교사의 자아개념과 교사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U-멘토링 적용의 필요 성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보육교사가 생각하는 어린이집 휴게시간의 의미와 한계

        채영란,국지윤,양시내 인문사회 21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6

        보육교사의 열악한 근무환경 개선을 위하여 2018년 7월 1일부터 개정 근로기준법이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법 시행 이후에 보육교사가 생각하는 어린이집 휴게시간의 의미와 한계를 알아봄으로써 현장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개선방안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G시의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 8명을 대상으로 2회씩 비형식적인 형태의 개별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보육교사는 휴게시간을 ‘통제로부터 벗어나는 시간’, ‘갚아야 하는 시간’, ‘어차피 어린이집 업무하는 시간’, ‘감정을 전환하는 시간’이라고 의미를 부여하였다. 반면 휴게시간의 한계로는 ‘개별적 보육이 필요한 영유아’, ‘영유아 안전에 대한 책임’, ‘공간과 업무의 모호성’, ‘부모의 인식부족’을 들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보육교사를 위한 휴게 시간이 효과적으로 현장에서 안착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되고 나아가 보육교사 근무환경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revised Labor Standards Act was implemented from July 1, 2018 to improve the poor working environment of daycare teach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meaning and limitations of the daycare center break time that nursery teachers consider after the enforcement of the law, and to find ways to improve it. This study conducted two informal interviews with eight teachers working in the daycare center of G city. As a result, the child care teacher gave the break time as ‘time out of control’, ‘time to pay’, ‘time to work in the nursery’, and ‘time to change emotions. On the other hand, the limitations of the break were “infant infants who need individual care”, “responsibility for infant safety”, “ambiguity in space and work”, and “lack of parental awaren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the basic data for effective resting time for daycare teachers, and to suggest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work environment for daycare teachers.

      • KCI등재

        유아 요리활동 관련 국내연구의 동향분석

        양시내,국지윤 인문사회 21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follow-up research by analyzing the research trends of cooking activities for children. To that end, a total of 170 studies on cooking activities for children were selected and analyzed through the database of Riss. The analysis was conducted by setting the criteria for year and type, research subject, research method, research topic, and content composition. First, studies on cooking activities for children have steadily increased since the 2000s, and there are many master's thesis. Second, the most research subjects were children, followed by teachers and parents. Third, quantitative research was mainly used. Fourth, more practical research was conducted than basic research in the research topic and most of them deal with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detail. Fifth, research on cooking activities was more active than integrated activities in content composition. This study is valuable with the perspective that it can provide directions on research related to cooking activities for children and provide basic data for children cooking programs to be developed in the future. 본 연구는 국내 유아 요리활동 연구동향을 분석함으로써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주제어 검색을 통하여 유아 요리활동 연구 총 170편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은 발표연도 및 형태, 연구대상, 연구방법, 연구주제, 내용구성 별로 기준을 설정하여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도별로 2000년대 이후 유아 요리활동 관련 연구가 증가하였으며, 발표형태로는 석사학위 논문이 주로 많았다. 둘째, 연구대상에서는 유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교사, 부모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방법 면에서 양적연구가 주로 활용되고 있었다. 넷째, 연구주제에서 기초연구보다 실천연구가 많이 이루어졌고 세부적으로 교수학습방법 연구가 가장 많았다. 다섯째, 내용구성에서 단일 요리활동 연구가 통합적 활동보다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언하고 관련 요리활동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시사점이 있다.

      • KCI등재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정서노동의 매개효과

        이나영(Lee, Na-Young),국지윤(Kook, Ji-Youn),김영옥(Kim, Young-Ok)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4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89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정서노동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전라남도에 소재한 보육교사 321명이며 교사의 심리적 소진,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정서노동에 관한 설문지 도구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첫째, 교사-영유아 상호작용과 심리적 소진 및 정서노동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심리적 소진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은 부적인 관계가, 정서노동과 교사-영유아간에는 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정서노동은 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따른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부정적인 영향력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의 심리적 소진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하기 위해 정서노동을 중요하고도 잠재적인 요소로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how emotional labor aff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burnout and teacher-young children interac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21 teachers working at child care centers in Jollanam-do. Their burnout, teacher-young children interaction, and emotional labor were surveyed using a questionnaire. In an examination of the correlations among child care teachers’ burnout, teacher-young children interaction and emotional labor,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Teachers’ burnout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eacher?young children interaction, and emotional labor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eacher-young children interaction. Also, emotional labor was found to reduce the negative impact of teachers’ burnout on teacher-young children interac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emotional labor needs to be considered as an important factor for mitigating the impact of child care teachers’ burnout on teacher-young children inter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