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기해석과 추천메시지의 일치성이 제품평가에 미치는 영향: 과시적 제품을 중심으로

        강지민(Ji-Min Kang),정난희(Nan-Hee Jeong),박세범(Se-Bum Park) 한국유통학회 2021 流通硏究 Vol.26 No.1

        이커머스 플랫폼의 추천서비스가 소비자의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력이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추천서비스의 구성요소 및 소비자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추천콘텐츠 전달 방식의 특성을 고려한 연구는 드물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개인의 심리적 특성인 자기해석과 추천메시지 유형의 일치성이 소비자의 반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자기해석과 추천메시지 유형의 일치성 효과가 제품의 과시성에 의해 조절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자기해석: 독립적 vs. 상호의존적)×2(추천메시지: 독립적 vs. 상호의존적)×2(제품유형: 과시적 vs. 비과시적) 집단 간 실험 설계(between-subject design)를 활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자기해석과 추천메시지 유형이 일치할 경우, 일치하지 않을 때보다 소비자의 제품평가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해석과 추천메시지의 일치성 효과는 제품 유형에 의해 조절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과시적 제품에서 자기해석과 추천메시지가 일치할 경우 그렇지 않을 때에 비해 제품을 보다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었다. 한편, 이러한 자기해석과 추천메시지의 일치성 효과는 비과시적 제품에서는 발견할 수 없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추천메시지라는 서비스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자기해석과 메시지의 일치성 효과를 입증하였으며 이에 대한 과시적 제품의 조절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수술실 간호사의 수술용 장갑 천공률 조사연구 : 한 겹 장갑과 이중 장갑 비교

        강지민(Ji-Min Kang),안혜경(Hye-Gyung An) 한국자료분석학회 2018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0 No.1

        본 연구는 수술실 간호사의 한 겹 혹은 이중 장갑 착용이 수술 부위 감염을 최소화하기 위한 보호도구로써 효과가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 시도된 조사연구로서 일개 3차 대학병원 수술실 간호사 중 연구에 참여를 동의한 79명 간호사의 총 243건의 장갑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SPSS/Win Ver. 21.0을 이용한 통계분석결과는 한 겹 장갑은 28.7%, 이중 장갑은 35.5%의 천공률을 보였으나, 한 겹 장갑과 이중 장갑의 착용별 천공발생률의 통계적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1.307, p=.274). 부위별 장갑 천공률은 한 겹, 이중 장갑 모두 왼손 검지에서 각각 31.4%, 25.6%로 가장 많은 천공이 일어났다. 장갑 착용 유형에 따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수술 관련 특성, 수술 장갑 관련 특성별 장갑 천공률 비교에서 한 겹 장갑군에서 장갑 착용 시간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chi^2=.10.645, p=0.14). 장갑 천공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코크란-멘텔-헨젤 검정(Cochran-Mantel-Haenszel test)에서는 진료과에 따라서 한 겹 장갑 착용 시간에 따른 장갑 천공률은 서로 연관성이 존재하였다(chi^2=5.197, p<.05). 오즈비 2.578로 진료과에 상관없이 한 겹 장갑의 착용 시간이 3시간 미만에 비하여 3시간 이상일 때 장갑 천공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천공이 나타날 확률이 2.578배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perforation frequency of single and double-layered gloves in perioperative nurses and to investigate whether double-layered gloves are effective as a protective tool to minimize surgical site infection. A total of 243 gloves of 79 nurses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were included in the study room nurses of a tertiary university hospital.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test and Cochran-Mantel-Haenszel test. As a result, the perforation rates of single gloves and double gloves were 28.7% and 35.5%, respectively,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chi^2=1.307, p=.274).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glove perforation rates according to the type of wearing gloves (=.10.645, p=0.14). In the Cochran-Mantel-Haenszel test to determine the factors affecting the perforation rate of single gloves,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the glove perforation rates according to the time of wearing the gloves (chi^2=5.197, p<.05). The odds ratio was 2.578, which means that the probability of puncture was 2.578 times higher than that of glove perforation when the wearing time of a glove was 3 hours or more than 3 hours, regardless of the department.

      • KCI등재

        대학 엘리트 배드민턴 선수의 경기력관련 체력수준 평가방안

        강지민(Kang, Ji-Min),이미숙(Lee, Mi-Sook) 한국체육과학회 2014 한국체육과학회지 Vol.2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 comprehensive assessment method using standard score from athletic performance factors of Badminton. These include power, flexibility, muscular strength/endurance, speed, balance, agility and other various physical fitness factors. The assessments results of the Badminton athletes, which was assessed using the T-score method, are significant as it provides basic knowledge to athletes and coaches in performance enhancements. Subjects included 20 Badminton athletes from K university enrolled in Seoul Badminton Association. The following assessment factors were used to assess the competitive performance physical assessment of the athletes: body mass index, whole body muscular endurance, muscular strength, muscular endurance, agility, flexibility, agility, power, balance. Using IBM SPSS Statistics 21.0, correlation analysis, standard scores, and the t-test was conducted. The factors available for measurement as main results of this experiment using a correlation analysis and a Badminton court include: 20m shuttle run, sit-up, push-up, 7m shuttle run, figure-8 court run, and grip strength. The selected factor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of results in men and women; hence, the method can be said to be an useful examination. However, in follow-up research the sample size should be increased and the comprehensive physical factors re-evaluated. Furthermore, it is proposable to use a 3-step or 5-step evaluation method of each physical factors in the long term to give individual feedback to the athletes. Hence the Badminton athletes in top level are able to enhance their physical training in the long term and increase their interest in the effects of training. Furthermore, this can contribute to an increase in motivation for self-assessment and to an significant enhancement to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 KCI등재

        기술영향평가 대상기술 선정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한민규 ( Min Kyu Han ),강지민 ( Ji Min Kang ) 기술경영경제학회 2011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19 No.1

        과학기술의 사회적 파급력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는 현대에 기술영향평가가 갖는 의미는 작지 않다. 특히 행정부에 의하여 제도화되어 수행되는 우리나라의 공식적 기술영향평가는 그 결과를 직접 과학기술 정책에 반영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과학기술에 의한 부정적 효과나 사회적 논란에 미리 대비할 수 있게 해주는 장치가 된다. 사회적 평가를 중요시하는 기술영향평가 자체의 특징이나 매년 한 개 정도의 기술만을 대상으로 하는 제도적 기술영향평가의 운영 형태, 기술의 특징에 따라서 결정되는 평가의 내용 및 방법 등을 고려했을 때 대상기술의 선정은 다양한 관점을 고려하여 신중하게 이뤄져야 할 것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진행된 기술영향평가에서 대상기술의 선정 방식은 다양한 의견을 반영하지 못 하거나, 기술영향평가에 대한 이해보다는 정성적 토론 및 투표에 의하여 도출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 논문에서는 요인분석을 통하여 기술영향평가의 대상기술을 선정함에 있어 고려해야 할 지표들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지표는 사회적 합의의 필요성, 사회/문화적 파급효과 등 5가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지표들에 대한 가중치 역시 AHP 방법을 이용하여 도출하였다. 개발된 지표와 가중치를 이용하여 실제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예시를 통해 보여주었으며, 제도적 기술영향평가에 직접 적용할 때 고려해야 할 제언 또한 도출하였다. 향후 본 연구에서 도출된 지표를 활용함으로써, 제도적 기술영향평가에 적절한 대상기술을 선정할 수 있을 것이며 그를 통하여 기술영향평가 결과의 활용이 사회적·정책적으로 강화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The social impact of science and technology is increasing, the meaning of technology assessment is not small in modern society, Specially, the technology assesment(TA) has been institutionalized and performed by Korean administration and its official results has reflected directly in the S&T policy. Therefore, the technology assesment is a device that prepare the negative effects of S&T and the social controversy in advance. To select the target technology of technology assessment will be done carefully in various perspective and concern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echnology assessment emphasizing social assessment, the institutional system of selecting one technology in each year and the contents and methods of evaluation that are determined in accordance with technology characteristics. However, the method of selecting target technology in TA is mostly peformed by qualitative discussion and vote rather than by reflecting various opinion and understanding TA until now. In this paper, we developed the indicator has to be considered to select target technology for TA by using factor analysis. Developed indicator is consist of five factor, such as the need for social consensus and the size of social/cultural impact etc., and we weight each factor by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Futhermore, we show the example how to applicate directly these indicator and weights to select target technology and suggest institutional application in TA. Though using developed indicator in this paper, we expect to select appropriate technology for institutional TA and the application of TA results in society and public policy can be strengthened.

      • KCI등재

        간호전문직관, 간호사 이미지, 전공만족도가 진로준비 행동에 미치는 영향

        신혜빈(Shin hye bin),강지민(Kang ji min),류경진(Ryu gyeong jin),이소영(Lee So 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0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impact of nursing professional intuition, nurse image, and major satisfaction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nursing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65 randomly selected nursing college students from four universities in D, G, C, and K cities who understood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Data collection period was collected from September 1th to 17th, 2019.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 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conducted using SPSS Statistics 21.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nursing professional intuition,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Nursing professional intuition and major satisfaction independently accounted for 25.2%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d operate programs in the curriculum to improve the nursing professional, major satisfaction in order to improv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nursing students. 본 연구는 간호 대학생의 진로준비 행동에 간호전문직관, 간호사 이미지, 전공만족도가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D, G, C, K시 4개 지역에 소재한 간호 대학생 165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9년 9월 2일부터 30일까지 편의표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ANOVA, Scheffe test, Pe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진로준비 행동과 간호전문직관(r=.476, p<.001), 간호사 이미지(r=.784, p<.001), 전공만족도(r=.441, p<.001),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간호 대학생의 진로준비 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간호전문직관(β=.437, p<.001), 전공만족도(β=.283, p=.006)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25.2%로 나왔다. 즉, 간호 대학생의 진로준비 행동 향상에는 간호전문직관과 전공만족도가 중요하며 이를 증진시킬 수 있는 교과과정 개발과 프로그램 활용이 필요해 보인다.

      • 화농성 슬관절염이 동반된 수막구균성 수막염 1예

        김태연,유진홍,박성환,김연식,임상현,신완식,강문원,정창훈,최문구,강지민 대한화학요법학회 1997 대한화학요법학회지 Vol.15 No.2

        저자들은 최근 화농성 슬관절염과 병발한 수막구균성 수막염 1예를 체험하였고, 이는 국내에서 아직 보고되지 않은 드문 예로 사료되어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We recently experienced a case of meningococcal meningitis associated with pyogenic arthritis in a 37-year old male patient. Pyogenic arthritis developed in right knee joint during treatment for meningococcal meningitis. He was treated successfully by appropriate antibiotics and arthroscopic irrigation. To our knowledge, such a rare case has not ever been reported in Korea, Hence we report this case with a review of related literatures.

      • Flavobacterium meningosepticum에 의한 균혈증 1예

        장성원,유진홍,진승원,김선우,김연식,박순민,이대훈,최민호,최주연,신완식,강문원,강지민 대한화학요법학회 1997 대한화학요법학회지 Vol.15 No.1

        1996년 6월 카톨릭대학교 부천성가병원에 뇌경색으로 입원했던 61세 남자 환자의 혈액에서 Flavobacterium meningosepticum을 분리하였다. 환자는 폐렴을 동반한 패혈증의 예로 ceftriaxone과 metronidazole을 투여하였으나 입원 48시간만에 사망하였다. Flabovacterium meningosepticum is a rae cause of nosocomial infection which shows multi-drug resistance. It mainly invades patients with impaired immunity. Recently, we experienced a case of F. meningosepticum bacteremia in a patient with chronic debilitated state owing to stroke. The clinical progress was so rapid that he died within 48 hours. Blood culture revealed F. meningosepticum which showed characteristic yellow colony in blood agar pla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