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기술혁신형(Inno-Biz) 중소기업의 기술경영성과에 미치는 핵심요인에 관한 연구
윤현덕 ( Heon Deok Yoon ),서리빈 ( Ri Bin Seo ) 기술경영경제학회 2011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19 No.1
본 연구는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의 기술경영성과와 기업경영성과 창출에 기여하는 핵심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자원기반관점에서 혁신역량과 기술적 기업가정신의 결정요인들을 활용하여 영향관계를 검증하였다. 다차원적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 기술혁신의 복합적 특성을 고려하여, 혁신프로세스 관점에서 기업특수자원인 혁신역량을 투입물로, 기술경영성과를 산출물로, 그리고 기업경영성과를 결과물로 인식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서울과 경기지역의 제조업 중심의 360개 이노비즈 인증기업을 대상으로 실시된 설문응답을 실증분석한 결과, 기술가치평가의 정성적 지표를 개량하여 기술경영성과의 결정요인으로 적용한 기술우수성, 시장성장성, 사업수익성은 기업경영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혁신역량의 결정요인인 연구개발능력, 전략계획능력, 학습능력과 기술적 기업가정신의 결정요인인 혁신성, 진취성은 기술경영성과와 기업경영성과에 유의한 정(+)의 관계를 보였다. 즉, 높은 수준의 혁신역량과 기업가정신은 기술경영성과를 증대시키며, 궁극적으로 기업경영성과를 실현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개념적 영향관계와 기술혁신의 촉진요인으로서 기술적 기업가정신의 역할과 중요성을 규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최근 중요성이 부각되는 기술집약적 기업의 기술경영에 대한 성과평가기준을 수립할 시, 기술혁신의 복합적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재무적 성과보다는 자원과 역량의 조합을 통해 구현된 기술경영성과에 대한 주기적 평가를 실시해야 함을 설명한다. 이는 기술경영성과는 자원의 한계성과 좁은 혁신의 범위로 특징되어지는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이 향후 추진할 새로운 기술혁신에 재투입될 수 있도록 기술혁신에 대한 지속적이고 일관된 투자를 실시함을 시사한다. 또한 본 연구는 정책연구에서 개념적으로 적용되어온 기술적 기업가정신에 대한 실증분석을 통해 그 역할을 규명한 의의를 갖고 있다.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core factors of innovative capabilities and technological entrepreneurship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technology management and business management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Through the consideration about the complex nature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affecting by multidimensional factors, this study designs the research model that innovative capabilities, the performances of technology and business management are arranged in accordance with the innovation process; input-output-outcome. To meet this research purpose, the hypothesis are set up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studies and the research samples are selected from members of the Innovative Business (INNO-BIZ) Association, located in Seoul and Geyonggi province.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to the responses gathered from 360 firms, the performance of business management is influenced positively by the technology superiority, market growth and business profitability which are the dominant factors of performance of technology management. In addition, three sub-variables of innovative capabilities such as R&D, strategic planning and learning capability, have positive effects on both the managerial performances. Innovativeness and progressiveness of technological entrepreneurship affect both the performances positively. Moreover, the co-relation between technological entrepreneurship of an innovation leader and innovative capabilities of organizational members are identified. Lastly, technological entrepreneurship has the mediating effect on the path of leading innovative capabilities to the managerial performances. In conclusion, the research results imply that technological innovation-type firms should periodically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echnology management which are the output of technological innovations and the reinvestment for ultimate business success. And improving and developing innovative capabilities and technological entrepreneurship is required to continuously and consistently investing and supporting resources on technological innovations at the firm-and government-level. It is considered that these are the crucial methods for securing the technologically competitive advantage of SMEs with less resources and narrow innovation range.
한국산업기술진흥원(KAIT)기술경영우수논문 공모전 수상작 : R&D투자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기술사업화 능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성화 ( Sung Hwa Lee ),조근태 ( Kuen Tae Cho ) 기술경영경제학회 2012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20 No.1
R&D연구소를 보유하고 있는 우리나라 민간기업 118개를 분석한 결과, R&D투자는 기술사업화성과, 매출액증가율 및 영업이익증가율 등 경영성과에 모두 긍정적인(+)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고, 기술사업화 능력이 R&D투자와 경영성과간의 관계에서 분석한 결과, 기술전략기획능력, 기술프로세스능력, 기술조직능력인 광의의 기술사업화 능력이 경영성과에 부분적으로 매개효과를 나타났으며, 제조능력과 마케팅능력인 협의의 기술사업화 능력은 경영성과에 모두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R&D투자가 경영성과를 달성하는데 필요한 요인이지만, 기술사업화 능력도 경영성과에 매개작용을 하므로 기술사업화 능력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n R&D investment an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bilities on business performance of 118 Korean firms which has R&D center. In particular, this study tried to defin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an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bilities for the board and narrow perspective, and investigates the role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bilities in linking R&D investment and business performance in terms of a financial performance as the growing rate of sales, the growing rate of operating income to sales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as the ratio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indicat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R&D investment and business performance as financial and non-financial. Second, the study found that boar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bility as technology strategic planning, technology process, and technology organization has the mediating effect to R&D investment on business performance as the ratio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Third, the study found that narrow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bility as manufacturing and marketing play a mediating role in terms of business performance as financial and non-financial.
미국에서의 기술경영 논의의 진화: 한국에 대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김병윤 ( Byoung Yoon Kim ),정철우 ( Chul Woo Jeong ),김길선 ( Kil Sun Kim ) 기술경영경제학회 2011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19 No.2
본 연구는 미국에서의 기술경영 분야의 발전과정을 통해 기술경영의 정체성이란 무엇인가를 탐구한다. 미국에서 기술경영은 2차 대전 전후를 거치면서 현재까지 기술과 사회의 관계의 변화에 따라 내용을 달리해왔다. 본 연구에서는 (1) 2차 대전 전후의 ``R&D 관리`` 또는 ``프로젝트관리`` 단계, (2) 70-80년대 초반의 혁신에 대한 이론화 전개 단계, (3) 기술경영논의의 확대 및 기술경영교육의 확산 단계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이를 통해 기술경영의 개념 및 이해가 시대적 문제해결 과정에서 다양한 의미를 가지면서 진화해온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복수적 정체성은 그 자체가 병리적인 것이라기보다는 기술과 사회의 접점이 확대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며, 기술경영교육의 측면에서는 다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함의를 제공해 준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identity of technology management by taking a look at the evolution of the field in the United States. The discipline was established since the World War II when the big research organization was firstly formed in the country. Its focus has varied according to the role of technology in a corporation and the relation of technology and society in general. We identify three distinct stages of the field: R&D management, or project management,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innovation in the 70s and 80s, and the diffusion of technology management and its education. The recent discussion on a standard curriculum of technology management illustrates the lack of a coherent identity of the field, however this phenomenon should not be considered as pathological and it demonstrates the widened interfaces between technology and society. Furthermore, it implies the possibility and need of diverse approaches in technology management.
이영주,김병채,이연우 기술경영경제학회 2015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23 No.3
창조경제는 새정부 출범과 함께 제시된 새로운 경제발전의 패러다임이다. 정 부가 창조경제 정책을 추진한지 3년째를 맞이하고 있으나 창조경제의 규모와 추진 성과에 대한 실감형 분석체계는 부족한 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창조경제 정책 추진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정량적으로 추정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국내외 창조경제 문헌 검토를 통해 문화⋅콘텐츠, SW 산업 등 외국에서 정의되었던 창조경제의 범위를 협의의 창 조산업군으로 정의하고, 우리 정부에서 제시한 고기술⋅첨단제조업, 과학기술서비스업 등을 추가적으로 포괄하여 광의의 창조산업군을 정의하였다. 다음으로 각 산업군 별로 창조경제 의 핵심 동인 중 하나인 ICT기반 혁신에 따른 투입-산출의 연도별 증감액을 추정하고 산업 연관분석을 통해 창조산업 내 ICT 기반 혁신이 전체 산업에 미치는 경제적 파급효과를 추 정하였다. 분석 결과 2013년 이후 전반적인 경기 하락세에서도 광의의 창조산업에서의 ICT기반 혁 신이 전 산업의 생산, 부가가치 및 고용유발효과의 상승세를 견인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 었다. 그러나 협의의 창조산업군에서는 ICT기반 혁신의 경제적 파급효과의 증가가 미미한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크게 두 가지 관점에서 이론적, 정책적 의의가 있다. 첫째로 기 존의 창조경제 성과지표가 투입 역량 중심으로 되어 있어 가시적 효과를 산정하기 어려운 상 황에서 산업연관분석을 통한 산출 중심의 성과를 추정하는 새로운 방법론적 토대를 제공하 였다. 두 번째로 기존의 창조산업 파급효과가 단순히 해당 산업군의 규모 추정에 그쳐 추상 적이고 모호하였다면, 본 분석에서는 창조산업의 전체 규모 중에서 ICT기반 혁신활동이 설 명하는 파급효과를 구체적으로 산출하여 효과 산정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높였다는 점이다. While creativity and innovation is the key to drive the creative economy in the South Korea, the development of analysis framework to evaluate the size and performance is limited. The present study suggests a framework and a method to assess economic impact of the creative economy using inter-industry analysis which employs input-output efficiencies populated by the Korean Bank and empirical data from the national informatization survey conducted by the National Information-society Agency(NIA). The results indicated that, as of 2013, despite of economy downturn, the creative innova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ICT) had been significantly led the production, value-added, and employment inducement. The effect is predominant in the creative industry in an broad sense, that is, technology intensive manufacturing industry. Theore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are discussed.
기술연관분석을 활용한 기술융합구조 분석: 중소기업 융·복합기술개발사업 사례
이광민,김다운,홍재범,Lee, Kwang-Min,Kim, Da-Woon,Hong, Jae-Bum 기술경영경제학회 2014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22 No.3
본 연구는 기술연관분석으로 단기 상용화를 위한 기술개발과제에 투입된 기술간 융합현황을 분석하였다. 기술연관분석은 산업구조분석의 체계를 기술기획 분야에 적용한 것이다. 본 사례는 기술연관분석을 활용하여 기술과 제품 간 연관도를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분석대상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 '12년 중소기업 융 복합기술개발사업'에 신청한 401개 과제이다. 분석과정은 다음과 같다. 401개 개별과제에 대해서 투입된 기술은 기술로, 개발과제에서 산출을 제품으로 정의하고 이를 투입과 산출의 행렬로 정리하였다. 투입으로 정의한 기술은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 상의 소분류를 분류하고, 산출로 정의한 제품은 한국표준산업분류 상의 세세분류로 정의하였다. 즉, 기술을 투입으로, 제품을 산출로 정의하여 기술의 파급도를 분석하였으며 이에 기초하여 기술연관도를 작성하였다 분석결과, IT융합에서는 임베디드 S/W의 기술파급도가 가장 높았으며, ET융합에서는 금형의 기술파급도가 가장 높았고 BT융합은 기능성 화장품 개발기술의 기술파급도가 가장 높았다. 전체적으로 IT융합에서 기술파급도가 높은 요소기술이 많았으며, ET융합에서 기술파급도가 높은 요소기술이 작았다. 따라서 기술파급도가 높은 요소기술에 대한 투자가 융합을 활성화하는 데 중요하며 전체적으로 IT분야가 요소기술의 투자 효과가 높을 것으로 판단한다. This study analyzed convergence status among input technologies used in technology development with Technology I-O analysis. It was another version of industry input-output analysis which is used in technology planning. This case is an analysis of association between technology an product. The subjects of analysis were 401 tasks that applied to '2012 Convergence Technology Development Project for Small and Medium Businesses' promoted by Korea Technology & Information Promotion Agency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The process of analysis is as followed. First step, we made a matrix table as an input of technology input-output analysis. Input was defined by technology and output was defined by the product. Input technology was defined in a 3-digit code under National Science Technology Classification and output products were defined in a 5-digit under National Standard Industry Code. Second, the Spillover ratio among technologies were calculated and was used to make a picture of technology linkage. As a result of analysis, technology spillover of embedded S/W was the highest in IT convergence, mold product in ET convergence, and functional cosmetics development technology in BT convergence. In general, IT convergence had many element technologies with high technology spillover, and ET had a small number of element technologies with high technology spillover. Therefore, investment effect of element technology is expected to be large if investment on element technologies with high technology spillover is important for vitalizing convergence.
한국산업기술진흥원(KAIT)기술경영우수논문 공모전 수상작 : 중소기업의 글로벌 기술경영을 위한 요인분석 및 전략연구
김장엽 ( Jang Yeop Kim ),최지석 ( Ji Seok Choi ),이석준 ( Suk Jun Lee ) 기술경영경제학회 2012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20 No.1
FTA를 비롯하여 급속하게 진행된 산업 및 경영환경의 세계화는 국내 중소기업들의 글로벌 기술사업화를 위한 좋은 기회이지만 국내 중소기업의 기술 사업화 노력들이 성과로 이어지고 있는지 불투명하다.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의 글로벌 기술 사업화를 위해 글로벌 기술 사업화에 대한 개념 정리하고 해외 권역별(중국, 일본, 동남아, 유럽)로 현재 진출 하거나 진출을 희망하는 기업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요인분석을 통해 중요요인을 실증적으로 도출하고 해당 기업들을 클러스터링 기법을 이용하여 구분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하여 경영자의 글로벌 마인드 고취 관련 전략, 기업역량·희망진출 권역별 맞춤형 지원전략 및 중소기업의 글로벌 생태계 역량강화전략을 제안한다. The rapidity at which industrial and business management environment has become globalized, including the FTA, has provided valuable opportunities for domestic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SMEs) to obtain global technological business. However, it is unclear whether or not the SMEs` attempt to advance global technological business is producing fruitful results. This study begins with defining global technological business and the efforts of SMEs to develop them and proceeds to discuss survey results that asked the reasoning behind SMEs that entered or wish to enter foreign spheres (China, Japan, Southeast Asia, and Europe) of businesses, and also perform factorial analysis to obtain substantiation. The study classified the relevant SMEs using clustering method.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makes recommendations to executives in instilling global-minded strategies, on customized support strategies depending on the SME`s capability and its intended foreign entry sphere, and on strengthening the SME`s competence on the global scale.
피인용특허수명(CLT)기반의 기술의 경제적 수명기간 산출 개선방법에 관한 연구
김상국 ( Sang Gook Kim ),박현우 ( Hyun Woo Park ) 기술경영경제학회 2012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20 No.2
본 연구에서는 기술의 수명주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분석하고, 기존 표준모델에서 활용되고 있는 평가지표를 근거로 개별기술의 수명에 영향을 미칠 평가지표를 분석해 이를 정량화하여, 피인용특허수명(CLT)을 기반으로 개별기술의 속성이 반영된 기술 수명주기를 산출하는 개선방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론은 기존 표준모델의 기술수명주기 산출방법인 한계점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으로 평가대상기술 관계자들에게 도출결과에 대한 설득의 용이성과 기존에 비해 보다 합리적인 기준을 제시함으로서 기술수명주기 도출결과의 타당성 및 활용성을 배가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study we analyzed factors affecting the life cycle of technology, quantified the evaluation criteria that will affect the life of the individual technologies, and finally proposed the improvements to calculate technology life cycle that the properties of individual technologies are reflected based on cited-patent life time (CLT). It is expected that the methodology proposed improves the limits of the existing standard model, presents more reasonable criteria and ease of persuasion on the results derived by appraisers, and finally gives a lot of the feasibility and the usability of technology life cycle derived by the improved method to appraisers.
한정숙,김현오 기술경영경제학회 2012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20 No.3
경기도는 道의 지원으로 성공한 기업의 초과 이윤을 지역으로 환원시킬 수 있는 제도의 틀을 마련하기 위하여 2011년도에 성공기술료 제도를 도입하였다. 향후 성공기술료 징수를 통해 가용 재원 감소기에 지자체의 과학기술 정책 추진을 위한 추가적인 재원을 확보하고, 기술개발사업의 성과를 설명할 수 있는 근거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그러나 부담능력이 없는 기업에 추가적인 기술료를 징수함으로써 기업의 혁신에 대한 인센티브를 저하할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있다. 본 연구는 사례분석을 통해서 성공기술료 발생시의 기업의 부담능력을 분석하는 것으로 목적으로 한다. 분석결과로부터 성공기술료는 실질적으로 부담능력이 있는 기업에만 징수하게 됨으로써 제도의 도입이후에도 기업의 혁신성공 인센티브를 유지하여 공공기술개발 사업의 정책적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징수의 객관성 확립, 기술사업화의 체계적 지원확대, 고정기술료율 인하로 적정한 기대기술료 수준 유지 등의 제도적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의 기술력평가를 통한 신용등급 상향의 타당성 연구
김재천,손석현 기술경영경제학회 2018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26 No.2
기술금융은 금융당국이 금융산업 선진화, 중소기업발전을 위해 강력한 정책적 의지를 가지고 도입하여 시행하고 있는 분야이다. 이러한 배경으로 은행의 자체적인 기술평 가가 2016년 9월부터 시행되었다. 기술우수기업은 기술평가과정에서 산출된 높은 기술등급으로 기존 신용등급이 상향되게 되며, 결과적으로 높아진 신용등급만큼 금융거래시 혜택을 받게 된다. 분석대상은 KEB하나은행이 2016년 9월부터 2017년 하반기까지 수행한 기술평가 대상 2,719개 업체를 분석하였다. 2016년 하반기 수행된 406개 업체에 대한 기술력평가 예비 연구에서 기존 신용등급과 산출된 기술등급을 결합한 결과, J58‘출판업‘의 기술신용등급은 신용등급대비 1.05등급 상향되어 상향정도가 가장 높았으며, C10‘식료품 제조업‘이 두 번째로 상향정도가 높았다. 이로써 기술력평가를 통한 수혜업종을 가려낼 수 있었으며, 업종별 기술 평가의 유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전체 수행기간동안 평가된 2,719개 업체에 대하여 기술력, 업력, 성장유망업종별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기술력 T-4이상 등급 업체들의 신용등급 상향정도가 가장 높았으며 5년 기준 업력에 따른 기술력평가의 유효성은 미미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정책지원의 효율성차원에서 지정된 성장유망업종에 해당하는 업체들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일반기업대비 신용등급의 상향정도가 높아 성장유망업종 지원의 유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은행의 업체 발굴 또는 당국의 정책수립시에 T-4이상의 기술력 우수기업, 성장유망 업종에 집중하면 자금지원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echnology finance is an area in which financial authorities have introduced and implemented a strong policy will for the advancement of the financial industry and the development of SMEs. As a result, the Bank’s own technology evaluation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2016. Technically superior companies are upgrading their credit ratings, and as a result, they benefit from financial transactions as much as their higher credit ratings through technology evaluation. Based on the data generated during this process, we analyze the degree to which credit ratings was upgraded by technology evaluation. The pre study handles 406 data from KEB Hana Bank’s technology evaluation conducted in the second half of 2016. As a result of combining the credit rating with the calculated technology rating, J58 ‘Publishing Activities’ technology-credit rating is raised by 1.05 rating, which is the highest, and C10 ‘Manufacture of Food Products’ is the second highest. As a result, we were able to identify the sectors that benefited from the technology evaluation and confirmed the usefulness of technology evaluation by industry(KSIC). To expanding the study, 2,719 companies evaluated during the entire period were analyzed by technology grade, business experience and promising growth industry cod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echnological power over T-4 grade companies had the highest credit rating upgrades. The companies belonging to promising growth industries designated for efficiency of policy support, it is confirm that the support of the promising business type was useful because the credit grade was upgraded through technology evaluation. The validity of the technology evaluation based on the five-year business experience was found to be insignificant. In the future, it will be possible to maximize the support effect by concentration on the companies with over T-4 grade and growth potential companies when supporting SMEs.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공개데이터 기반 기업 및 산업 토픽추이분석 모델 제안
박선영,이진무,김유일,서진이 기술경영경제학회 2018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26 No.4
There are increasing needs for understanding and fathoming of business management environment through big data analysis at industrial and corporative level. The research using the company disclosure information, which is comprehensively covering the business performance and the future plan of the company, is getting attention. However, there is limited research on developing applicable analytical models leveraging such corporate disclosure data due to its unstructured nature. This study proposes a text-mining-based analytical model for industrial and firm level analyses using publicly available company disclousre data. Specifically, we apply LDA topic model and word2vec word embedding model on the U.S. SEC data from the publicly listed firms and analyze the trends of business topics at the industrial and corporate levels. Using LDA topic modeling based on SEC EDGAR 10-K document, whole industrial management topics are figured out. For comparison of different pattern of industries’ topic trend, software and hardware industries are compared in recent 20 years. Also, the changes of management subject at firm level are observed with comparison of two companies in software industry. The changes of topic trends provides lens for identifying decreasing and growing management subjects at industrial and firm level. Mapping companies and products(or services) based on dimension reduction after using word2vec word embedding model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of 10-K document at firm level in software industry, companies and products(services) that have similar management subjects are identified and also their changes in decades. For suggesting methodology to develop analysis model based on public management data at industrial and corporate level, there may be contributions in terms of making ground of practical methodology to identifying changes of managements subjects. However, there are required further researches to provide microscopic analytical model with regard to relation of technology management strategy between management performance in case of related to various pattern of management topics as of frequent changes of management subject or their momentum. Also more studies are needed for developing competitive context analysis model with product(service)-portfolios between firms.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기업 경영환경에 대한 이해와 통찰을 구하고자 하는 요구가 산업 및 기업 경영 전반에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따라 산업의 이해와 기업 경영의 이해를 위하여 기업의 경영실적 및 향후 계획을 포괄적으로 담고 있는 기업공시정보를 활용한 연구가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러한 기업공시정보는 대표적인 비정형 데이터로써 텍스트마이닝 방법론을 적용하여 그 범위와 수준에 대한 다양한 접근을 통하여 산업 수준 및 기업 수준에서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아직은 이러한 기업공시자료를 활용한 산업 및 기업 레벨에서 적용가능한 수준의 분석모델이 부족한 것으로 파악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제 활용 가능한 공개데이터를 활용한 산업 및 기업 수준의 분석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미국상장기업의 공시자료인 미국 SEC EDGAR 자료를 기반으로 텍스트마이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산업 및 기업 수준의 경영주제(토픽)에 대한 추이분석이 가능한 모델을 제안하고자한다. SEC EDGAR의 10-K 문서를 대상으로 LDA 토픽 모델링을 통하여 산업 수준에서 전체 산업의 주제분야 분류를 파악하였고, 산업간 비교 측면에서 소프트웨어 산업과 하드웨어 산업 분야의 사례를 통해 최근 20년간의 토픽추이를 비교분석 하였다. 또한 최근 20년간의 기업의 경영주제 변화를 소프트웨어 산업에 속한 2개 기업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산업 및 기업 수준에서의 경영주제의 추이 변화를 파악하여 쇠퇴 및 성장 추세에 있는 경영주제를 확인 할 수 있었다. 한편 word2vec 워드 임베딩 모델과 주성분분석을 통한 차원 축약을 통해 소프트웨어 산업분야의 기업 및 특정 제품(혹은 서비스)에 대한 매핑을 통해 유사한 경영주제(토픽)를 가지는 기업 및 제품(서비스)을 사례를 통해 파악하였으며, 이를 시간적 흐름에 따른 변화 양상도 관찰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목적이 공개데이터를 활용한 산업 및 기업 수준의 분석모델을 개발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안한 측면에서, 해외 데이터를 사용하여 산업의 경영주제 변화 추이, 기업의 경영주제 변화 추이를 거시적으로 조망할 수 있는 실무적인 방법론의 제안에서 의의가 있을 수 있다. 한편 기업의 기술경영전략 측면에서 기업의 경영토픽의 잦은 변화, 경영주제의 변화의 속도 등 다양한 변화 양상의 차이에 따른 기업의 매출 등의 경영성과와의 연관성 분석, 실제 기업의 제품포트폴리오의 구성에 따른 기업 간의 경쟁상황 등을 파악하는 미시적 모델 제안을 위한 추가 연구가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