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RISS 인기논문 KCI등재

        성인발달장애인의 문화•여가활동이 긍정적 대인관계를 매개로 일상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박수경,이선우,김소민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18 한국장애인복지학 Vol.40 No.40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발달장애인의 문화•여가활동이 긍정적 대인관계를 매개로 일상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장애로 인한 차별경험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분석대상은 장애인고용패널조사 2차 웨이브 1차 조사(2016년) 자료 의 만 19세 이상 성인발달장애인 336명이다. 주요 연구결과를 보면, 첫째, 성인발달장애인 2명 중 1명(49.7%)은 지난 1년 동안 가정 밖에서의 문화•여가활동 경험을 전혀 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인발달장애인의 긍정적 대인관계는 문화 ․ 여가활동이 일상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인발달장애인의 차별경험은 문화•여가활동이 긍정적 대인관계를 매개로 하여 일상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절된 매개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성인발달장애인들의 문화 ․ 여가활동 프로그램 확대, 비장애인을 대상으로 하는 장애인식 개선교육 강화, 발달장애인 당사자를 위한 교육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discrimination by disability in the daily life among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daily life satisfaction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targets used in this analysis are the total of 336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se age is older than 19 within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2nd wave analysis of 1st year(2016). The results of study are as below. First,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cultural activities and leisure activities, it revealed that one in two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49.7%) has not experienced any cultural and leisure activities outside of the home during the past year. Second,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mong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ave partially affected the impact of cultural and leisure activities on daily life satisfaction. Third, the discriminatory experience showed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n the impact of cultural and leisure activities on daily life satisfaction by us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as a medium.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tudy suggest the necessity of increasing programs for cultural and leisure activitie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trengthening education for improving the perception of disabilities for the non-disabled people, and finally making educational intervention for thos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KCI등재

        조선 초기 행정개혁의 인식론적 연구

        박수경 한국행정학회 2006 韓國行政學報 Vol.40 No.1

        Based on the belief that social change can not succeed without change of the idea and ideology, this study examines an epistemology in the Beggining of the Joseon Dynasty.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feasibility of administrative reform can be rised by obtaining the validity of the ideological prospect. Sung Confucianism as the ideological background and an epistemology was widespread and specified through a full administration reform process in Joseon Dynasty. This study which explains social change and ideological background would aimed that we could understand public administrative phenomenon in current korea. 행정개혁은 최근에 이르러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연구주제이며, 많은 국가에서 주요 관심사가 되고 있다. 그런데 실상 이는 행정현상이 존재하고 변화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던 어느 시대 어느 국가에서도 발견할 수 있는 포괄성을 지닌다. 한국의 행정개혁에 대한 많은 연구들은 다른 국가들의 행정개혁 성공사례와 모델을 원용하면서, 한국행정사와의 내재적·연속적 맥락을 간과하는 경우가 많다. 이 논문은 성리학을 인성론, 세계관, 사유의 틀로 설정하는 인식론으로 삼고, 조선 초기 행정현상과 개혁결정과정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당시의 시대상황적 요인을 바탕으로 성리학의 인식론이 행정개혁의 내용과 결정과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설명을 시도하였다. 조선시대 초기의 정치 및 행정체제를 형성하고 변화시킨 당시의 개혁결정요인을 성리학의 인식론적 맥락에서 고찰하는 것은, 오늘날의 체제, 제도 및 관료행태에 잔존하는 한국 행정현상의 근원을 이해하는데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발달장애 영유아 가족지원을 위한 통합서비스 모형 개발: Living Lab 방식을 적용한 프로그램 탐색

        박수경,김보경,서경주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9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63 No.-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determine the needs of the families of infants and toddlers with developmental disorders by applying the living lab method. Based on the determined needs through this approach, this study designed and implemented an integrated support service system model that can effectively provide support for such families to suggest for constructing a model for an integrated support service in the future. In pursuing this objective, the present study operated a living lab for families with infants and toddlers who have developmental disorders, service providers, government workers, and experts, and it determined the needs of the families of infants and toddlers with developmental disorder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re is a need for an integrated support service model that can organically provide various services including early discovery, child rearing, information gathering, family relations, and connections with appropriate support services. Following this discovery, the study developed an integrated service model with the welfare center for the disabled as the hub institution and provided services for the integrated support service model for two families who have infants and toddlers with developmental disordered but have not been diagnosed yet. As an analysis method, quantitative evaluation was carried out by self-efficacy scale,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scale, and program satisfaction scale. Qualitative evaluation was conducted through interviews with program satisfaction and focus group interview(FGI). The results of providing support services showed that the level of satisfaction for service increased through a design that is centered on the disabled family. It is expected that such achievements of the present study is to provide a foundation for increasing the initiative and sustainability of an integrated support service system. 본 연구의 목적은 리빙랩 방식을 적용하여 발달장애가 있는 영유아 가족들의 욕구를 파악하고 이를 위한 통합지원서비스체계모형을 개발 및 적용해봄으로써 사회복지 분야에서 리빙랩 방식 적용의 유용성과 이를 토대로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탐색해 보는 데 있다. 이에 따라 발달장애 영유아 가족, 서비스제공자, 공무원, 전문가로 리빙랩을 구성하여 발달장애 영유아 가족의 욕구를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해보았다. 확인된 욕구는 장애의 조기발견과 조기개입의 필요성, 양육 관련 정보 제공, 가족관계 파악과 적절한 지원서비스 제공, 이를 위한 통합지원서비스체계의 구축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욕구를 바탕으로 장애인종합복지관을 거점 기관으로 하는 프로토타입의 통합지원서비스모형을 개발하고 미진단 발달장애 영유아 두 가족에게 필요한 지원서비스를 제공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 자기효능감 척도와 가족관계 만족도 척도, 프로그램 만족도 척도로 양적 평가를 진행하고, 프로그램 만족도 인터뷰와 집단심층면접(FGI)을 통한 질적 평가를 진행하였다. 장애 가족과 이해당사자가 공동으로 개발한 서비스를 지원체계를 통해 제공한 결과, 이용자들의 서비스 만족도를 높이고 이해당사자들의 사업추진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높여 서비스의 연계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지역사회 기반의 서비스연계가 필요한 통합지원체계를 구축할 때 이용자가 주도하고 이해당사자들이 공동으로 참여할 수 있는 리빙랩 방식을 적용하는 것이 통합지원서비스체계의 추진력과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데 효과적일 것이라는 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 KCI등재
      • KCI등재

        산업재해 환자의 개인적 특성과 우울간의 관계

        박수경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4 Crisisonomy Vol.10 No.2

        산재환자에게 우울은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문제로 신체적인 회복을 지연시킬 뿐만 아니라 직업복귀나 직장생 활 유지에도 방해가 되므로 재활과정에서 중요한 관심대상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산재환자의 인구사회학적 요 인, 산재 관련 요인, 심리적 요인 등의 개인적 특성과 우울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효과적인 개입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제언을 하는 데 있다. 조사대상자는 전국에 있는 근로복지공단 직영 산재병원에 입원 중인 산재환자 122명이다. 분석결과, 자기효능감이 우울을 예측하는 가장 강력한 요인으로 나타났고, 주관적 경제상태 와 근로제한성도 유의미한 영향요인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산재환자의 우울에 개입하는 재활 프로 그램을 개발할 때, 자기 효능감 향상에 초점을 두어야 하며, 주관적 경제상태와 근로제한성에 대한 개입을 우선 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후보

        예비특수교사의 대학생활적응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박수경,권보민 한국보건복지학회 2018 보건과 복지 Vol.20 No.4

        본 연구는 예비특수교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대학생활적응과 심리적 안녕감의 차이를 검증하고, 대학생활적응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예비특수교사 170명의 자료로 빈도분석, 다변량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예비특수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활적응과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분석 결과 학업적 적응, 사회적 적응, 정서적 적응, 신체적 적응은 개인의 성장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학업적 적응이 삶의 목적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적 적응과 대학에 대한 애착은 긍정적 대인관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적 적응이 자아수용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예비특수교사를 지도하는 교수자들에게 교육적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differences in the adaptation to the university lif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o analyze the data of 170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studying in order to analyze the impa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aptation to the university lif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IBM SPSS Statistics 24.0 software was applied to the data processing and the data was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MAN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by sex. Second, analysis of the adaptation to the university lif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cademic adaptation, social adaptation, emotional adaptation and physical adaptation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sonal growth. Academic adaptation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urpose of life. Academic adaptation and attachment to the university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Social adaptation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lf-acceptance. This study will be used as educational material for professors who are teaching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 KCI등재후보

        탄수화물 섭취량과 허리둘레와의 연관성

        박수경,박민선,고정아 대한비만학회 2008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17 No.4

        연구배경 : 복부비만은 대사증후군의 중요한 인자 중의 하나이며, 심혈관계질환의 독립적인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다. 서구에 비해 고탄수화물식사를 하는 우리의 식단에서 탄수화물의 섭취상태와 대사증후군의 중요한 인자인 허리둘레와의 관련성을 조사하고자 한다. 방법: 2003년 6월부터 2006년 4월까지 일개 대학병원 건강증진센터에 방문하여 허리둘레를 포함한 신체계측 및 영양평가를 받은 40세에서 64세 사이의 남녀 2066명 (남성 976명, 여성 1090명)을 분석하였다. 24시간 회상법으로 얻은 1일간의 음식 섭취 자료를 영양프로그램인 CAN-Pro 2.0으로 분석하여 탄수화물을 포함한 영양소 섭취량과 총섭취열량을 측정하였다. 허리둘레는 건강 검진시 측정한 수치를 사용하였다. 다중 선형 회귀 분석을 이용하여 총섭취열량을 보정하며 탄수화물과 허리둘레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단변량 분석에서 남녀 모두 총 섭취열량,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섭취량, 체질량 지수가 허리둘레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총섭취열량, 체질량 지수를 보정한 후, 중년남성에서는 거대영양소의 섭취량 (탄수화물: β=-0.003, p=0.585)과 관련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중년여성에서는 다른 인자를 보정한 후에도 탄수화물섭취량 (β=0.027, p=<0.001) 이 허리둘레와 유의한 관계를 보였다. 결론 : 40세~64세까지의 여성에서 탄수화물섭취량은 허리둘레와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영양소 섭취뿐만 아니라 다른 생활습관, 유전적 요인, 다양한 연령층을 포함한 추가연구가 필요하다.

      • SCOPUSKCI등재

        단측 슬관절 인공치환술 환자에서 정맥 및 경막외 자가조절 통증치료가 술후 통증 및 슬관절 재활에 미치는 영향

        박수경,한정선,이숙영,유은숙,민병현,문봉기,서명신 대한마취과학회 2001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Vol.40 No.1

        Background: Postoperative pain is a major concern after a total knee replacement (TKR). It hinders early intense physical therapy, the most influential factor for good postoperative knee rehabilit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intravenous patient-controlled analgesia (IV-PCA) using morphine and continuous ketorolac IV infusion with patient-controlled epidural analgesia (PCEA) using morphine and continuous bupivacaine infusion in terms of analgesic efficacy and postoperative knee rehabilitation after a unilateral TKR. Methods: Eighteen patients undergoing a unilateral total knee replacement were randomly allocated to one of the two groups. In group IV-PCA (n = 9), 30 min before the end of surgery, patients received ketorolac 30 mg IV bolus followed by continuous infusion with ketorolac (5 mg/h) and IV-PCA with morphine (20 ㎍/kg, lockout 10 min). In group PCEA (n = 9), 30 min before the end of surgery, patients received 2 mg morphine bolus followed by continuous infusion with 0.1% bupivacaine (2 ml/h) and PCEA with morphine (1 mg. lockout 15 min).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visual analogue scale scores at the first 2-hours after the unilateral TKR, cumulative morphine consumption and number of postoperative days required to obtain 90˚ knee flexion. Conclusions: PCEA using a morphine-bupivacaine combination provided better pain relief and faci- litated the continuous passive motion more than IV-PCA using a morphine-ketorolac combination This results in possible faster postoperative knee rehabilitation. (Korean J Anesthesiol 2001; 40: 47 ~53)

      • KCI등재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서의 재택근무의 방향성 : 젠더평등확보의 관점에서

        박수경 이화여자대학교 젠더법학연구소 2023 이화젠더법학 Vol.15 No.1

        본 연구는 향후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서의 재택근무의 젠더관점에 대하여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동안 코로나19로 인하여 확대되어 온 재택근무는 법제 및 정책 등의 정비가 이루어져 왔으나, 여전히 여기에는 젠더의 관점이 결여되어 있다는 문제점을 지적한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코로나19에서의 재택근무와 젠더 이슈로는 (i) 근로시간과 사적 시간 경계의 모호함 증대의 문제점, (ii) 유급노동과 무급노동의 이중부담 증대의 문제점, (iii) 여성근로자의 정신적 부담 증대의 문제점을 논의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바탕으로 향후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수행될 재택근무에서 젠더 인지적이며 젠더평등 확보를 위한 방안으로서, (i) 근로시간 관리의 명확화와 유연한 근무 스케줄 확보의 필요성, (ii) 연결되지 않을 권리 보장의 필요성, (iii) 육아 및 돌봄정책 내실화의 필요성, (iv) 정신건강 확보를 위한 법제도 개선의 필요성 등을 논의하였다. 그동안은 코로나19의 전염병 확산을 위해 재택근무가 의무적인 수행으로 이루어졌다면,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는 일생활균형을 추구하기 위한 새롭고 자율적인 형태의 재택근무가 확산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을 바탕으로, 재택근무 활용을 통해 젠더평등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이 더욱 중요해질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ssues relating to working from home (WFH) in the post-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era from a gender perspective. Laws and policies related to WFH that were enacted during the pandemic have recently been revised. However, the process has not sufficiently considered the gender perspective in relation to WFH. This study identified three problems related to WFH and gender that manifested themselves during the pandemic: (i) blurring of boundaries between working time and private time, (ii) dual burden of paid and unpaid work, and (iii) an increase in stress levels among female worker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paper discusses ways to secure gender equality in the WFH environment, which is set to become the norm in the future in the post-pandemic era. These include the following: (i) establishment of agreed working hours and acknowledgement of the need for flexibility in relation to these, (ii) recognition of the right to be disconnected, and (iii) enforcement of policies related to nursery and childcare, and (iv) improvement in laws aimed at promoting mental health. Workers were encouraged to work from home in recent years to prevent the spread of coronavirus. In the post-COVID-19 era, a new and more autonomous type of WFH, which emphasizes the work-life balance, is expected to prevail. Considering ongoing trends in WFH, securing gender equality in relation to WFH can be expected to become an important topi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